플라톤
고대 그리스의 식민지
1. 출생과 가계 플라톤의 출생일과 장소는 정확하지 않음. 기원전429~423 사이의 427/428년으로 추정 본명은 Aristocles(조부 이름을 따서)-플라톤은 ‘넓은 어깨’의 의미 출신은 영향력 있는 귀족가문 부 Ariston: 왕족 후예 모 Perictione: 솔론가의 후예로 Charmides의 누이, Critias의 질녀 2명의 형과 1명의 누이(누이의 딸 Speusippus가 Academy 계승) 부 사후, 모는 그녀의 오빠 Pyrilampes(Pericles의 친구)와 재혼 아들을 둠 그리스의 가족과 생활
2. 교육과 생애 저명한 교사들로부터 문법, 음악, 체육(올림픽 경기 참가), 철학을 배움 소크라테스와의 관계: 멘토와 생도 플라톤의 소크라테스 평가: “내가 만난 사람 중 가장 현명하고, 정의롭고, 훌륭한 사람” 소크라테스는 신에 대한 불경/ 청년을 타락시킨다는 죄목으로 처형->충격 이집트, 시실리(이상정치 실현의 시도-실패) 여행, 40세에 아테네로 귀국하여 Academy 설립(아리스토텔레스는 16세입학, 플라톤 60세) 기원전 347년 80세로 사망 그리스의 교육과 성sexuality(pederasty, prostitution)
3. 사상 자연철학 소피스트 고전철학 신화적 세계관->과학적 세계관 우주의 원리와 본질 탐구 탈레스: 물; 피타고라스: 수(정의 4, 결혼 5); 데모크리토스: 원자 소피스트 전통과 관행 비판: 종교적 권위 배격, 노예제 폐지 주장, 그리스인의 우월의식 비판 지적 관심을 인간문제(문화, 예술, 정치)로 전환 지적 상대주의: 프로타고라스, “인간은 만물의 척도”; 트라시마코스, “정의는 강자의 이익” 고전철학 진리의 보편 타당성 인정(소크라테스: 물리적 세계의 본성에 관한 객관적 명백성에 도달 가능) 플라톤: 선, 정의, 진리의 보편적 기준 설정-Idea(실재) 아리스토텔레스: 사물의 본질이 이데아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물질적 경험세계 속에 내재한다.
무엇이 진리인가? 변화: 헤라클레이토스(535~475) 불변: 파르메니데스(510~450) 부재: 고르기아스(487~376) “두 번 다시 같은 강물에 들어갈 수 없다.” 변화가 본질(생성becoming철학) 불변: 파르메니데스(510~450) “자연세계의 실재는 불생불멸이다.” 불변이 본질(존재being철학) 부재: 고르기아스(487~376) “우리가 남에게 표시하는 것은 외면의 실체가 아니라 단지 말logos이다” 진리는 없다.
4. 플라톤의 사상과 이상국가(The Republic) ‘선’ 혹은 ‘덕’이 인간의 가장 좋은 상태이다. 인간의 온갖 소질이 조화롭게 발휘되어 완성된 상태이다. 개인은 조직적인 사회생활에 참여함으로써 인간적 발전을 실현할 수 있다. 국가는 분업의 원리-생산자, 전사계급, 영도계급-로 조직된다 국가는 질서가 조건이며 국가의 덕은 ‘지혜’, ‘용기’ ‘절제, 그리고 ‘정의’이다. “인간은 하나는 검고(욕정) 하나는 흰(기개) 두 필의 말을 한 몰리꾼(이성)이 몰고가는 마차와 같다.” ‘덕’의 귀족정
5. 평가 전체주의의 사상적 시원으로 비판 철학적 전통에서 비판 Karl Popper(1902-1994): 플라톤으로 회귀하려는 모든 노력을 전체주의 추구로 규정 Hannah Arendt(1906-1975): 인간행위를 생산으로 대체하려는 시도는 전체주의의 시작이다. 철학적 전통에서 비판 Friedrich Nietzsche(1844-1900): 자신과 미래의 철학적 과업을 “플라톤을 뒤집는 것”으로 규정 Alfred North Whitehead(1861-1947): 서구철학의 전통은 “플라톤에 대한 주석 달기이다” Gilles Deleuze(1925-1995): “초월성을 철학에 끌어들이고, 초월성에 철학적 의미를 부여한 바로 그것이 플라톤주의가 남긴 독이 든 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