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동 기어 장치 굽은 길을 돌 때 좌우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장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Made by 주례 없는 결혼식♥ 대본 사회 : 홍길동.
Advertisements

WHAT IS ABS?. ABS 란 ? 최근 많이 채용되고 있는 ABS 시스 템 (Anti-lock Brake Systme) 은 브 레이크의 신기원이라고 할 만큼 안 전 운전에 획기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ABS 시스템은 1952 년 영국 Dunlop 사가 항공기용으로.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추적 카메라 조원 : 최승호, 백진영, 이현지.
연암공업대학 기계설계과.
제2장 주파수 영역에서의 모델링.
제동장치 brake system 배경이 제거된 그림 (중급) 이 슬라이드에서 그림 효과를 재현하려면 다음을 실행합니다.
제동장치 brake system 배경이 제거된 그림 (중급) 이 슬라이드에서 그림 효과를 재현하려면 다음을 실행합니다.
공차 및 끼워맞춤.
제19장 대체연료 자동차 19-1 전기 자동차 ,Electric Vehicles : EVs
현가 장치 주요 학습 내용 1. 현가 장치 1) 필요성 3) 구성 요소 3) 새시 스프링 4) 쇼크 옵서버 5) 스테빌라이저
Basic principles of roundness measurement
차량용 교류발전기 alternator Byeong June MIN에 의해 창작된 Physics Lectures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공학 및 실습 자동차 구동장치-2 전남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 임 명 택.
28장 전기회로.
HANKOOK AUTOMOTIVE COLLEGE
HANKOOK AUTOMOTIVE COLLEGE
9. 축이음 축이음이란 축과 축을 연결하여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기계요소를 말한다. 다른 축을 회전시키는 축을 원동축 또는 구동축이라하고,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토크를 전달받는 축을 종동축 또는 피동축이라 한다. 축이음은 커플링과 클러치로 분류한다. 운전중 탈착이 불가능한.
자동차공학 및 실습 자동차 구동장치-1 전남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 임 명 택.
자 동 차 구 조 학.
엔드밀 포장설비 제안서 자동화 사업부 ( ).
이동식 다 관절 로봇팔 Removable Articulated robot arm
국가대표 생애주기교육 프로그램 참여방법 안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수진이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자전거 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전기자동차 만들기 전기자동차 기어박스 조립 – 1 (고속형)
고속 모바일 매니퓰레이션 시스템의 개발 KAIST 오준호 교수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적 성과
16조 캡스톤 설계 중간보고Ⅲ 오승호 김종우 오윤진
수업 첫 날 교육B 황유미 첫 수업 계획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계요소 Ⅱ.키(Key) 키는 기어나 벨트풀리 등을 회전축에 고정할 때, 또는 회전을 전달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작 품 명 설계목적 설계과정 제작과정 메커니즘 완성품 지도교수: 000 고00, 김00, 김00, 이00, 최00, 최00
연결링크 이미지를 마일리지샵 내에 기획전으로 제작하여 오픈/노출 사이즈 가로 1000/세로 상관x 배너사이즈 가로 400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다면체 다면체 다면체: 다각형인 면만으로 둘러싸인 입체도 형 면: 다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
Prof. Byeong June MIN, Department of Physics, Daegu University
기술가정 2학년 2학기 3.기계의 이해 > 1) 기계요소의 종류와 동작원리 > 8/18 그 밖의 기계요소
20강 패턴을 통한 객체지향 언어의 이해 - II - 난이도 있는 패턴 예제 - I Lecturer Kim Myoung-Ho
자전거의 구조와 기계요소에 대하여 알아보자. 기술가정 2학년 2학기
IV. 제조 기술과 자동화.
전동 운반 카트 Battery Powered Traction Drive Cart
Tire Filling & TyreSav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대칭과 전위 3차원 대칭과 32 점군 정족과 정계 결정면의 명칭 3차원 격자와 230 공간군 결정형 결정의 투영
기술.가정 동력전달 장치.
1. 단면도 그리기 (1) 단면도의 정의 물체의 외형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은 숨은선으로 그리지만, 필요한
6. 에너지 사용 신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3) 하이브리드 기술 하이브리드 자동차.
Ⅱ. 기계 공업 기술 3. 기계제작 2. 기계제작이란 무엇인가 [ 소 성 가 공 법 ]
Electric Vehicle.
자전거의 구조와 기능 초기화면 기술·가정 2학년 1학기 II. 기계의 이해>1.기계 요소>
자동차의 구조 (7) 조향, 제동, 현가 장치 기술ㆍ가정 1학년 1. 에너지와 수송기술(3)동력의 이용 12/14 [제작의도]
P 직선상에서 속력이 일정한 운동.
기계는 어떤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을까? 기술가정 2학년 2학기
현가장치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의 개요
수동 변속기.
동력전달장치 구동방식에 따른 분류 FF 방식(front engine front drive type)
학 습 목 표 기관 본체의 구성 부품을 설명할 수 있다..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02. 기계운동의 원리<128p> 2-1. 우리생활과 기계 1
수 동 변 속 기 Automotive Chassis.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7. 힘과 운동 속력이 변하지 않는 운동.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상용차용 현가장치.
2. 굴착기 코스운전 1. 코스 운전 조건 : S 자 코스를 출발하여 반곡점 정지선 안에서 정지 하였다가 정지선 넘은 다음 후진하여 제자리 출발선 까지 4분 이내 완료 한다. 후진 정지선 시간 측정 정차 출발 도착 4분.
기어(Gear) 1.기어란 무엇인가? 2.기어제도 교수자:김준오.
기계요소 Ⅵ.베어링(Bearing) 회전축을 지탱하며, 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 축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기계요소.
소화설비 및 경보설비 느티나무 요양원.
자동차 브레이크 구조
자동차 브레이크 구조.
제동 장치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거나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Presentation transcript:

차동 기어 장치 굽은 길을 돌 때 좌우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장치

차체와 새시를 연결하는 장치로 자동차가 주행할 때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안정성을 좋게 만든다. 현가장치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 현가 스프링 현가 스프링의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 상승 쇼크 업소버 자동차의 좌우 흔들림 방지하여 안정성 상승 스태빌라이저

조향 핸들 조 향 축 피트먼 암 타이 로드 너클 암 바퀴 STEP.1 자동차의 핸들을 돌려 앞바퀴를 조향 장치 조향 핸들 조 향 축 피트먼 암 타이 로드 너클 암 바퀴 STEP.1 자동차의 핸들을 돌려 앞바퀴를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만드는 장치 최근에는 유압을 동력으로 이용하는 동력 조향 장치가 사용됨

앞 차축과 앞 바퀴 사이에 자동차의 안정성을 높이고 앞바퀴 정렬 앞 차축과 앞 바퀴 사이에 자동차의 안정성을 높이고 조정을 쉽게 하기 위해 앞바퀴를 차축에 결합시킬 때 고려하는 각

앞바퀴 정렬 앞바퀴의 앞쪽이 뒤쪽보다 좁은 것 → 타이어의 마멸 방지 토 인

앞바퀴 정렬 앞바퀴의 킹핀이 앞이나 뒤로 기울어진 각도 → 직진성 및 회전 후 원상태 유지 캐 스 터

앞바퀴 정렬 앞바퀴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윗부분이 아랫부분보다 더 벌어져 있는 것 → 핸들 조정 용이 캠 버

자재 이음 추진축 일직선 상에 있지 않은 두 축에 원활한 회전력 전달 (높이 변화) 비틀림이나 굽힘에 강한 강관 사용 변속기로부터 최종 감속 기어까지 동력 전달하는 긴 축 (길이 변화) 비틀림이나 굽힘에 강한 강관 사용

Made by 김신명 http://joytech.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