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 갯벌 탐구를 통한 생태영상자료 개발 A reflection development of ecology  through research of tidal flat in the Korean South Sea.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정보의 공유와 보호 정보의 공유와 관리 2. 정보 보호 기술과 지식 재산권.
Advertisements

크리스마스 김하은. 크리스마스란 ? 크리스마스란 즉 성탄절을 말하는 것인데, 세 계 4 대 성인으로 손꼽히는 인물 중 하나인 예수가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 날에는 곳곳에서 화려한 조명으로 장식을 하고 집에서는 트리를 장식하며 가족과 즐 거운 시간을 보낸다.
영화초등학교 5-3 최단비. 목 차 1. 실험 동기 2. 실험 방법 3. 가설 4. 실험 과정 5. 실험 1~8 6. 실험결과 7. 결론 8. 더 알고 싶은 점.
흙과 물에 따른 보리의 성장 초등과학 궁내초 4 학년 이주형, 김민재, 박지우 지도교사 궁내초 채현우, 이경자.
콜라에 우유를넣으면 ? 1 조 ( 이주상, 이문수, 정주현, 홍희진 ). - 모둠명 / 지은이유 - 탐구주제 / 탐구동기 - 역할분담 - 진행과정 / 실험내용 - 관련직업 차례.
학생들은 어떤 예능을 좋아할까 ? 손성민, 한규하, 김대원. 1. 연구 동기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4. 연구 과정 5. 연구 결과 6. 결과 및 고찰 목차.
2-4 과학 탐구 정은혜, 이상은, 김동희. 탐구 동기 더운 여름날 음식이 부패하는 것을 보고 어떤 음식에 가장 곰팡이가 많이 생길지 궁금해져서 탐구를 시도 하게 되었다.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테마가 있는 이야기 카페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을 위한 편안한 쉼터.
예술품일까? 음란물일까?.
아웃도어1/ 2/ 3/.
TV 광고의 문제점 7모둠 장기혁 홍원표 김수린 신준화.
게임 마케팅. 국제지역문화학과 김윤기ㅇ 국제지역문화학과 김영호ㅎ.
법질서 UCC 콘테스트 김민숙, 김지혜, 방주진, 최은선.
보혈을 지나 하나님 품으로 아버지 품으로.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어떻게 하면 좋은 수학여행이 될 수 있을까?.
2012 UNIVEXPO 1차 홍보방안 대학생연합광고동아리 넘버원크리에이티브 온애드.
The Irish Potato famine and the Brith of Plant Pathology
나의 진로와 앞으로의 계획에 관하여 박세훈.
소금물과 설탕물 의 농도를 측정하는 간이 비중계 만들기 제북교 영재학급 5학년 김수용
내가 살고 싶은 집 -생물의 건축술에서 아이디어를 얻다-
팀원 : 권유정, 박진영, 박채은 조교교사 : 김지섭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재해 및 미개척지 탐사를 위한 4족 보행 로봇 제어 허준영 교수님 연구실 2007 손승하 2006 우인식.
소마큐브로 3*3*3(정육면체)만드는 방법 탐구하기
5-9. 전기 에너지가 편리한 이유는?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식물은 어떻게 자손을 남길까(1) <생각 열기>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수나무를 재배하거나
실험관찰보고서 4학년 난초반 노성래.
프랙탈 넌 누구냐?! 한림초등학교 수학’과학영재 현승환.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우리나라의 외래종 확산과 과제: 다 없애는 것이 좋은가?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Java , 안드로이드를 이용한 ‘사천성’ Game
Detectors 정해린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과학 자유 탐구 모둠 이름 : 고구마 조 모둠 원 1번 김다영 11번 송은영 12번 안승연 13번 이다빈.
말하기 ㆍ 듣기 2학년 2학기 5.마음을 전해요 >1)주고받는 마음 (2/4) 내 마음 전하는 말 하기.
청소년 흡연 원광중학교 이 정 란.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종이비행기가 잘 날기 위한 조건 만든이:김윤성.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SNS 광고 시안 [Facebook – 이미지 제작]
과학 1 학년 6. 생물의 구성 3)조직과 기관 (7/7) 물 속의 작은 생물 관찰 수업계획 수업활동.
우유와 사이다가 식물 성장의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2반 김민지.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간이 정수기 이혜진 김연우 송선 신기영.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 2D 애니메이션 3D 애니메이션 임희영.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지능 로봇 연구회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문서번호 : NGVHY-F 호 수 신 : 성균관대학교 경력개발센터 및 전 학과 참 조 : 성균관대학교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환영합니다!! 여기는 무안생태갯벌센터 입 니다..
보건복지부 13기 대학생 금연서포터즈 활동 계획서 OOOO대학교, OOOO팀 팀장 이름 : 홍길동.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사과의 갈변현상 관찰하기 4-2 배형준.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2) 양파 뿌리의 체세포 분열 관찰 순서 [ 해리 ] [ 염색 ] [ 고정 ] 학습 주제
Power Point 예제 디자인 적용 (서식) - (디자인적용) - (원하는 디자인 선택)
빛의 투과율 실험을 통하여 자외선을 잘 차단하면서도 잘 보이는 선글라스를 만들어 보자!
나의 꿈 발표 6학년3반 이서은.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Ⅳ. 광합성 4.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할까?.
꽃잎의 수로 피보나치 수열하기 장전초등학교 6학년 신찬유.
Brill Academic Publishers
Presentation transcript:

남해안 갯벌 탐구를 통한 생태영상자료 개발 A reflection development of ecology  through research of tidal flat in the Korean South Sea

남해안 갯벌 탐구를 통한 생태 영상자료 개발

1. 탐구 주제 경남 남해군과 하동군, 사천시에 있는 갯벌과 갯벌 생물을 탐사하고 그것을 토대로 갯벌과 갯벌 생물의 움직이는 영상자료를 개발한다.

2. 탐구 동기 바다와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면서도 바다 생물에 대한 막연한 호기심만을 가지고 있었던 차에 그 호기심을 학생들과의 갯벌탐구 활동으로 해소하고 싶었다. 또 그것들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알게 되는 지식을 영상 자료로 개발하여 많은 학생들이 갯벌과 그곳에 사는 생물들을 좀더 친숙한 존재로 여기게 하는 매체가 되리라는 작은 기대에서 과제수행은 시작되었다.

3. 탐구 기간 및 장소 기간 : 2004년 6월~12월 장소 : 경남 남해 둔천, 문항, 수산, 진목 갯벌 등 경남 하동 상촌 갯벌 등 경남 사천 비토, 가화 갯벌 등 총 9곳의 갯벌

4. 탐구 방법 탐사 전 사전지식 학습 갯벌의 특성 파악 생물상과 생물의 특징 조사 갯벌 및 각 생물의 촬영 영상 편집 및 제작

5. 탐구 역할 분담 탐구총괄, 영상 촬영 편집 : 학술조사 : 채집조사 :

6. 탐구 결과

6. 탐구 결과

6. 탐구 결과 남해안 갯벌에 사는 이웃들 살아있는

6. 탐구 결과 절지동물 19종 연체동물 19종 기타동물 4종 갯가식물 6종 : 총 48종의 생물을 동영상 촬영 갯가식물 6종 : 총 48종의 생물을 동영상 촬영 ※ 조사는 하였지만 동영상으로 촬영하지 못한 생물은 제외시킴

7. 고찰 6개월이 넘는 기간을 주말마다 갯벌을 찾아 생물을 조사하고 촬영을 다녔지만 갯벌은 익숙하지 않은 분야의 사람들에게 그들의 삶을 좀처럼 쉽게 보여 주지 않았다. 이제 좀 익숙해지기 시작했는데 찬바람은 그네들을 갯벌위로 올려 보내는 걸 허락하지 않기 시작했다. 다시 한번 더 도전하고 싶은 분야이고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은 욕심도 생긴다.

8. 참고 문헌 갯벌탐사지침서 갯벌 창조문화 백용해 갯벌탐사도감 예림당 김종문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 갯벌현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