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고사 문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담배 속에 유해물질. 니코틴 1  아편과 같은 수준의 습관성 중독유발 니코틴 2  고혈압  동맥경화증  소화기궤양  구토, 현기증, 두통유발.
Advertisements

김창숙 Basal ganglion and Cerebellar. Basal Ganglia.
Peripheral Nervous System Chapter 6 Copyright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ermission required for reproduction or display.
I am Sam 이름 : 전선호 학번 : 학과 : 작업치료과 담당교수님 : 박주형 교수님.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광주대학교 보건의료공학 한희정교수.  인체구조 – 해부학 (Anatomy)  인체기능 – 생리학 (Physiology)  생리학 인체의 세포, 조직 또는 각 기관이나 계통 등과 같은 인체구성단위 들이 생명현상을.
3–4. Severe Weather Associated with Tropical Weather Systems 김시영.
감각운동 접근법 (Sensorimotor Approach)신경발달치료(NDT)
당뇨합병증 검사의 이해 내분비대사내과.
생물학의 한 분야로서, 생물의 기능을 주 대상으로 하여 그 기능을 나타내는 과정이나 원인을 1 해부생리학 첫머리 1) 해부생리학의 정의 해부생리학 해부학(anatomy) :인체 기관의 구조와 이들 구조가 어떻게 상호 관련하는 지를 연구 하는 학문 생리학(physiology)
심장의 구조와 기능 경원전문대학 조경숙.
Case Presentation 신경과 PK 6 조 박경선, 정택영. Identifying Data Name : 김 O O Sex : Male Age : 71.
Electromyography in Clinical Practice A Case Study Approach Chapter 22.
제출일: 과목명: 임상생체역학실습 지도 교수님: 황 성수 교수님 발표자: 김 진
Nervous system.
응급실에서 접하는 의학적 영상 Chest Radiograph (Plain) Brain CT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영상의학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신경센터 기억장애 및 뇌노화클리닉 이정석
갑자기 발생한 기억력 장애와 이름대기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3례
Basal Ganglia 기저핵 Happy Always !!!.
제 5장 운동조절에서의 제약 : 신경학적 손상의 개요
이제혁 제4장 뇌혈관 질환의 물리치료 Free Powerpoint Templates.
사 업 계 획 서.
신경계: Nerve System in Human
서울의대 정신과학교실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최정석
제 14장 산전태아안녕검사 설현주.
Chap 2. 신경학적 검사.
Prayer Attendance Homework.
꼭 알아야 하는 물리치료 용어 (1) 각운동 angular movement ① Flexion 굽힘(Flex.)
이제혁 제7장 뇌와 척수의 질환 Free Powerpoint Templates.
이제혁 제7장 뇌와 척수의 질환 Free Powerpoint Templates.
Spinal Cord Injury 척수손상환자의 척수수준별 기능 분석.
러스크 수지병원 오수아 채세영.
Spine & Spinal Cord Injury
이제혁 제5장 외상성 두부손상 Free Powerpoint Templates.
Cerebral Palsy.
                                                                                                       대뇌(cerebrum) 간뇌(diencephalon) 소뇌(cerebellum) 뇌간(brain stem)
“뇌의 혈관(Willis circle) 및 병변 부위에 따른 뇌졸중의 증상”
뇌졸중(Stroke, CVA) 신경계 질환별 물리치료 조덕상.
20--학년도 심리학의 이해.
뇌에서의 언어 처리 학기 인지과학 입문.
과목명 : 임상생체역학실습 교수명 : 황 성 수 교수님 발표일 : 발표자 : 박 용 신
뇌혈관질환 (cerebrovascular disease:CVD)
장애인 바로 이해하기 - 지체장애 동양대학교 장애학생지원센터 작성일 : 2016년 7월.
치매 (Dementia) 김 정 애.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DGMIF)
감염성 질환, 뇌혈관질환과 간호.
“그린 힐링 오피스”.
파킨슨병의 운동치료.
어르신들의 건강 국립서울병원 임선진.
뇌 혈류 진단기(T.C.D)란? TCD(TransCranial Doppler)는 초음파Probe를 이용하여 내두개골 동맥(Intracranial arteries)과 외두개골(Extracranial).말초동맥(Peripheral)의 혈류 순환관계를 측정하는 비 침입 혈관(Non-Invasive.
심리학의 생물적 기초 생리심리학이란? 생리심리학(physiological psychology)은 신경생물학적 수준에서 인간의 마음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인간의 마음과 뇌의 신경생리학적 구조와 기능의 관계를 분석하여 마음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뇌와 발달, 뇌와.
마음과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건강사정실습 Practice of Health Assessment.
2012 전공의 선발 공동설명회 : 신경과.
뇌에서의 언어 처리 학기 인지과학 입문.
세 번째 이야기 언어와 뇌 담당교수: 남 윤 주.
Major Brain Regions and Their Major Interconnections
대뇌변연계 백북스천문우주뇌과학모임 2010년 10월 24일 김 현 미.
신경계(nerve) nervous system.
감각 및 지각운동의 발달 II 강의 4.
13장 Knee Joint.
병 리 학 15. 신경계 질환.
제 9 장 신경조직(Nervous tissue)
병 리 학 10. 노 화.
생물학의 한 분야로서, 생물의 기능을 주 대상으로 하여 그 기능을 나타내는 과정이나 원인을 1 해부생리학 첫머리 1) 해부생리학의 정의 해부생리학 해부학(anatomy) :인체 기관의 구조와 이들 구조가 어떻게 상호 관련하는 지를 연구 하는 학문 생리학(physiology)
구조주의 심리학 감각질이라는 단순 요소들로 분해 집=나무 + 벽돌
소뇌(cerebellum) 발표자 : 고동록.
의사소통장애개론_ 신경해부(및 생리)_첫번째 (2018년 2학기)
의사소통장애개론 2018년 2학기 (가톨릭관동대학교).
꿈과 무의식.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Insulin Pump CPF Xproject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Presentation transcript:

중간고사 문제

Introduction to neuroanatomy Nervous system 1. Central nervous system(중추신경) - Brain - Spinal cord 2. peripheral nervous system(말초신경) - cranial and spinal nerves - their ramifications 3. Autonomic nerve system(자율신경) - sympathetic nerve - parasympathetic nerve

뇌의 구조 Brain 1. Cerebrum (대뇌) - cerebral hemisphere (대뇌반구) - diencephalon (사이뇌) 2. Brainstem (뇌줄기) - midbrain (중간뇌) - pons (다리뇌) - medulla (숨뇌) 3. Cerebellum (소뇌)

뇌의 기능 대뇌반구 가쪽면 1. 이마엽(frontal lobe) - 인지기능, 문제해결, 단기기억, 표현언어, 운동계획, 작업기억 등 2. 앞이마옆(prefrontal lobe) - 성격, 지성, 계획, 연속, 동기, 자기통찰, 정서통제 등 3. 마루엽(parietal lobe) - 감각감지, 운동, 지각, 해석 등 4. 관자엽(temporal lobe) - 청각, 언어의이해, 장기기억, 열, 냉, 촉각, 압력 등 5. 뒤통수엽(occipital lobe) - 시각경로에서 시각적 자극 해석

뇌의 기능 6. 뇌줄기(brain sterm) - 대뇌와 척수 그리고 소뇌 연결, 신경로의 교차 - 호흡, 기침, 구역반사, 동공반응, 삼킴반사, 팔과 다리조절운동, 청각계, 시각계의 교량역할 등 무의식적인 기능 7. 소뇌(cerebellum) - 근육 수의운동조절, 자세 협응운동의 통합과 조절, 근육의 긴장도와 반사, 균형감각 8. 시상(thalamus) - 시상 : 감각과 운동정보를 대뇌와 소뇌로 보내고, 수면 깨임, 주기와 의식 등 - 시상하부 : 자율신경계 조절, 호르몬 분비, 체온조절, 생식기능, 섭식, 수분대사 수분대사 조절, 수면-깨임 주기 조절

Circle of Willis

뇌졸중 원인 1. 뇌출혈(hemorrhagic) - 16~20 % 2. 뇌경색(infaction) - 80~84 %, (혈전증 41~50 %, 색전증 34~39 %)

2) 조가비핵 출혈 (putamen hemorrhage) - 뇌출혈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뇌출혈 - 반대쪽에 팔 및 다리의 마비, 지각장애, 얼굴마비, 말더듬, 언어상실증 - 양쪽 눈은 마비된 팔 및 다리의 반대측으로 편위 - 뒤 쪽 병변에는 마비, 감각, 편측시야결손, 반대측 안구추적운동의 장애 베르니케형 언어 상실증, 질병인식불능증 등 3) 시상 출혈 (thalamic hemorrhage) - 편측운동장애보다 감각장애가 심하고, 편측 팔과 다리에 부전마비 - 편측 입체감각장애, 시상통증, 이상감각, 감각과민, 감각소실, 극소동공 - 호너증후군

뇌의 손상 혈관별 임상징후 1. 중간대뇌동맥 (middle cerebral artery) - 이마엽, 마루엽 그리고 관자엽의 부위에 혈액 공급, 바닥 핵이나 내낭 - 반대측 반신마비, 얼굴과 다리 < 팔 더 큰 마 비

2. 앞대뇌동맥 (Anterior cerebral artery) - 이마엽, 마루엽, 바닥핵, 전뇌활, 뇌들보의 앞 쪽에 혈액 공급 - 팔 < 다리마비

3. 뒤대뇌동맥 (Posterior cerebral artery) - 뒤통수엽을 통해 관자엽의 중간 부분과 아래 부분에 혈액을 공급 4. 안쪽목동맥 (Internal carotid artery) - 뇌 속으로 들어감, 중간대뇌동맥과 앞대뇌동 맥 영역의 손상

뇌졸중의 임상증상 1. 반신마비 (Hemiplegia) - 중추성 마비는 특정 근육에 조합적으로 나타나며 운동의 패턴도 상실 - 이완성 마비 >> 강직성 마비 진행 2. 경직 (Spasticity) -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임상징후가 다양하게 나타남, 뇌졸중 환자의 90%에서 발생 - 수동운동에 대한 저항 증가, 깊은힘줄반사 항진, 간대성 경련, 근긴장도 증가 병적 반사 출현, 비정상적인 자세(팔은 굽힘과 엎침, 다리는 폄, 접칼현상) - 주동근과 폄근에서 경직이 강한 우세

경직의 평가척도 - 경직의 치료는 과긴장 근육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운동치료 및 열, 전기치료

3. 강직 (Rigidity) - 굽힘 및 폄 모두 과긴장 형태의 저항 - 연관형 강직 (lead-pipe rigidity), 톱니바퀴강직 (cog-wheel rigidity) 4. 간대성 경련 (Clonus) 1) 무릎 간대성 경련 (Knee clonus) 2) 족부 간대성 경직 (Ankle clonus)

5. 실조 (Ataxia) - 협응운동장애와 거의 동의어 - 몸통운동불능, 선 자세 평행 장해, 팔 및 다리에 운동불능 >> 운동의 방향, 연속성, 원활한 활동이 저하, 자세유지와 균형 저하 1) 소뇌성 운동불능 : 소뇌자체, 뇌줄기 손상 - 팔 및 다리와 몸통에 주로 운동불능 - 협응운동불능, 롬베르그징후, 만취걸음, 비틀거림 2) 안뜰미로성 운동불능 : 전정기관의 병변 - 주로 몸통만 운동불능, 기립과 걸음 시 불안정성, 갈지자 걸음

18. 반신마비 환자의 자세 및 걸음 1) 반신마비 환자의 자세 - 어깨 관절은 내림, 안쪽돌림,팔꿉 관절은 굽힘과 엎침, 손목과 손가락은 굽힘 - 굽힘공동 > 폄공동 - 다리는 폄패턴 (만베르니케 자세) 2) 반신마비 환자의 걸을 - 다리는 뻗치고 바깥돌림 - 발바닥은 굽힘, 안쪽번짐 - 휘돌림 걸음 (circumduction gait)

외상성 뇌손상 신체적 외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뇌의 손상 교통사고, 스포츠 손상, 폭력 등 원인 분류기준 젋은 연령층 : 주로 교통사고 노령 인구 : 낙상 분류기준 일반적 분류 : 골절 상태, 영역, 속도, 과정과 기간, 손상 정도 : 경도, 중등도, 중증, 식물인간 GCS, 글래스고우 혼수척도

글래스고우 혼수 척도 (GCS)

손상 정도에 따른 분류 1) 경도 뇌손상 (mild) 2) 중등도 뇌손상 (Moderate) 3) 중증 뇌손상 (Severe) 뇌진탕 증후군 (cerebral concussion), 13점 이상 2) 중등도 뇌손상 (Moderate) 9~12점, 외상 후 기억상실 3) 중증 뇌손상 (Severe) 8점 이하, 6시간 이상의 의식소실 4) 식물인간 (Persistent vegetative state) 5저 이하

손상기전 1. 일차적 뇌손상 가속손상 (타격손상, coup injury) 감속손상 (타격손상 + 반대편 타격손상, countercoup injury) 머리의 밀착된 구조에 통합성의 파열과 기형 초래

3장 파킨슨병

바닥핵 (basal ganglia) Thalamus (시상)의 양측에 위치 피질로 부터 구심성으로 신호를 받아들여 다 시 원심성으로 신호를 피질로 보냄

= 조가비핵(putamen) + 꼬리핵(caudate nucleus) 흑질(substantial nigra) 줄무늬체(striatum) = 조가비핵(putamen) + 꼬리핵(caudate nucleus) 흑질(substantial nigra) 창백질(globus palidus) 렌즈핵 : 조가비핵 + 창백질

원인 줄무늬체, 선조체 (corpus striatum)의 손상 흑색질 (substantia nigra)에서 바닥핵의 기능 조절 도파민 부족 겉질줄무늬섬유로부터 줄무늬체에 입력 창백핵과 흑색질의 그물부(pars reticulate)에 서 시상을 통해 대뇌겉질 운동회로(motor loop)와 복합회로(complex loop)

운동회로(motor loop) 조가비핵(putamen) 앞운동영역(premotor area)이나 감각운동영역 (sensorimotor area) 보완운동영역으로 출력 (supplementaly motor cortex) 운동활동의 복잡한 패턴을 조절 복합회로(complex loop) 꼬리핵(caudate nucleus) 앞이마엽 연합겉질(prefrontal association cortex) 입력 앞이마엽 연합걸질로 출력 운동활동의 인지적 조절 움직임의 순서, 운동프로그램 작성

Problem - tremor at rest - cog-wheel rigidity (increased muscle tone) - akinesia (bradykinesia) - disturbance of eye-movement - postural instability - problem with gait

1. 안정 시 떨림 (resting tremor) 임상증상 1. 안정 시 떨림 (resting tremor) 환자의 50% 정도에서 나타남 수의적 운동을 하는 동안 증상 사라짐 Pill rolling 현상 http://www.youtube.com/watch?v=ZY1uEmgvp 0U https://www.youtube.com/watch?v=ZkM- 1MLn0_A 한쪽에서 양쪽으로 떨림 현상 쉬고 있을 때, 지지를 하고 있지 않을 때 지속적 으로 나타남 잠을 자고 있는 동안 사라짐

2. 경축 (rigidity) 수동관절운동 시 속도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저항 수동관절운동 시 속도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저항 톱니바퀴형 (cogwheel type)과 납파이프형 (leadpipe type) 몸쪽 근육에 영향 점차적으로 얼굴과 팔다리의 근육으로 진행 특히 보행 중 팔 흔들기 와 같은 동작 상실 통증과 피로 수준을 증가

2) 운동완만증 (Bradykinesia) 3. 운동못함증과 운동완만증 1) 운동못함증 (Akinesia)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어려운 것 Freezing 현상, 갑자기 멈추거나 움직임이 차단 2) 운동완만증 (Bradykinesia) 움직임이 느리고 유지하기가 어려움 운동속도, 운동범위, 진폭 감소 : 운동감소증 3) 운동계획의 결함 (Motor planning deficit) 협조의 이상 작은글씨증 등 정교한 동작 어려움 Freezing으로 인해 이동하는 동안 한 동작에서 다른 동작으로 전환할 수 없고 그 동작은 느리고 주저하게 된다 정확하고 천천히 움직이도록 유도

4. 자세 불안정성 (postural instability) 기능적인 손 뻗기, 걷거나 방향을 전환하는 데 어려움 보호 반사나 바로서기반사의 감소 불안정성 증가 수의적 운동을 하는 동안 자세근육의 조절 예측 조정 어려움 운동전략에 적응하는 데 장애 고릴라 자세

5. 보행 (gait) 짧은 스텝, 주저하는 듯한 보행 형태 (shuffle gait pattern) 몸통과 엉덩이의 움직임 감소 팔 흔들기 감소 발의 끌림 회전하거나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어려움 가속보행 형태 (acceleration gait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