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화재진압 시스템 (K-Fire, 선진소방, 소방한류, 소방IT) 부제 :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VCSS)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설비시설물 종합화상 및 최대전력제어 System 구축 사업보고 설비시설물 종합화상 및 최대전력제어 System 구축 사업보고 서울지하철노동조합 기술지부 설비지회.
Advertisements

학원장 · 독서실 · 교습소 운영자 연수 화성오산교육지원청. 목 차 1 경기교육정책 2 개인정보보호법 주요내용 3 선행교육 및 선행학습 4 옥외가격 표시제 5 아동 · 청소년의 성 보호 관련 6 아동학대 관련 7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학원의 노력 8 어린이 놀이시설 9.
2011 년도 하계휴양소 운영 한전산업개발노동조합 태안 발전지회 기간 : 7 월 15 일 ~ 8 월 19 일.
아동 성폭력사건 대응사례 및 예방 종합 추진 대책 전라북도 군산시 아동 성폭력사건 대응사례 및 예방 종합 추진 대책 전라북도 군산시.
음란물에 대하여. 인터넷 음란물의 의미 돈벌이를 위해 단지 성적 욕망을 불러 일으키기 위한 음란한 인터넷 상의 사 진, 동영상, 만화 등을 말한다.
영문중학교 1 학년 5 반 이서빈, 이지수 모둠  대기오염의 원인  ( 공장의 가동, 운수교통의 활동, 연료소비 등 )  대기오염의 피해  ( 산성비, 오존층파괴, 지구온난화, 인체에 직접적인 영 향, 실내공기오염 등 ) 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대기오염 해결방안.
아이핑 소개 (탁구대회) 아이핑 담당 신동일 네이버(다음)에서 아이핑검색 아이핑 소개 (탁구대회) 담당 신동일 아이핑.
소규모 사업장 환경법령 등 관리실무 소규모 사업장 환경법령 등 관리실무 환경감시단.
2015년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 신고의무기관 및 성범죄자 취업제한기관 종사자 등의 교육.
개인정보보호 공공기관에서의 개인정보보호 본 자료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교육용 자료로 활용 가능 합니다
배움과 돌봄으로 꿈을 키우는 행복한 학교 실현을 위한
2013서울특별시장기 전통종목 생활체육 국무도대회 요강
발표:김경아,방수정 자료:최경자 PPT:주한솔
제 1 부 2013년 노인일자리사업 안내 안동시니어클럽.
교회를 교회되게 예밸 예배되게 우릴 사용 하소서 진정한 부흥의 날 오늘 임하도록 우릴 사용 하소서
교회를 교회되게 예밸 예배되게 우릴 사용 하소서 진정한 부흥의 날 오늘 임하도록 우릴 사용 하소서
순창군과 복흥면 추령마을 발전방향제시 복흥면 추령마을 발전위원회.
연구활동종사자 교육ㆍ훈련 수강방법 사무처 안전관리실
1. PC 에서 회원가입 1. 회원가입 버튼 클릭 클릭.
기숙사 이전 총 무 팀.
바다 목장의 설계.
소방안전교육 대학건설본부 시설운영팀.
17 20 정보보안 개인정보보호 능력 향상 마침표 없는 정보보호!.
사회의학연구소 의사 타무라 아키히코(田村昭彦)
주 무 현 (고용정보원 선임연구위원) 지역고용사업의 주요 동향 주 무 현 (고용정보원 선임연구위원)
경찰.
로그인 로그인을 하시기 전에 상단 엑티브엑스 프로그램을 실행 후 로그인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TV싱 사이버경찰학과 이경실.
SMS를 이용한 오토바이 도난방지장치 5조 김성중 노광훈 최영미.
순환&면역 6조 박아름 이명동 최제춘.
자영업 컨설팅 결과보고 (월드펀-샵) 고객만족을 통한 매출증대 방안 컨설턴트 - 김임수.
경북학생생활지도위원회 동계 연수회 자료 2016학년도 겨울방학 학생생활지도 계획 (금)
제주닷컴 매뉴얼 (실시간 예약시스템) 2013년 10월.
초등학생이 pc방을 가도 되는가? 등마 초등학교 5학년 4반 김근아.
Ubiquit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건축개요 건물명 안중 푸드피아 Food Pia 주소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덕우리 용성리 729-6번지 총점포수 57개 대지면적
[ 포털 사이트 연관검색어/자동완성 등록 서비스 ]
공인인증서 신청 및 발급 제일 먼저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인터넷뱅킹 신청.
[관리감독자교육 신청서] ▶ 교육장주소: 서울시 송파구 송파대로 167 ▶ 문의전화 : , 3950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어린이집을 위한 어린이집 관리 강화대책 서 울 특 별 시 (여성가족정책실)
과거사 청산, 밝은 미래를 위하여 역사 청산 비교 분석-독일과 우리나라.
Ⅲ 농과원 스마트온실.
개인정보처리와 개인정보보호 2017년 2월.
산성과 염기성이 식물에게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영재 6학년 5반 송명훈.
불(FIRE)이란? 산소공급차단 질식소화 가연물 제거 제거소화 열 원 냉 각 열원냉각 불 불을 끄기 위해 명 칭 산 소 가연물
건양대학교 OPIc 평가 신청 매뉴얼 (
Underground parking Control System 임베디드 프로젝트 D 팀
스마트폰(QR코드)을 활용한 위치 기반 출결관리시스템(훈련기관용).
우리나라의 수자원 물 보기를 금같이 우리나라의 수자원 현황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 현황.
2015년도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대한 사업비 타당성 평가
하나님은 허망한 사람을 아시나니 악한 일은 상관하지 않으시는 듯하나 다 보시느니라 욥기 11장 11절 말씀 -아멘-
지역의 자연 환경과 인문환경 조사 사회 1학년 1학기 Ⅰ.지역과 사회 탐구>1.지역사회의 지리적 환경(3/6
체육관용 SD-201 system(특허 ) 장선: 30x70x1.0t 지주: 주 장선 간격 : 700mm
[관리감독자교육 신청서] [교육지역 : 서울] ▷ 찿아 오시는 길 교육과정명 관리감독자 안전보건교육 훈련일수 1일 교육기간
퍼머넌트 웨이브의 종류 뷰티디자인과 박해진.
원소의 분류 원소 줄 세우기.
Ⅸ. 별과 우주 9-3 별까지의 거리.
Ⅸ. 별과 우주 9-3 별까지의 거리.
사람을 물건처럼 매매함으로써 타인에 대하여 예속적인 상태에 두는 일.
화학물질관리법 하위법령 개정(안) 설명 대구지방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
이런 직업도 있어요^^ 감성인식기술전문가 Q : 어떤 일을 하는 직업인가요?
문제행동 지도 사례를 통한 중재방법 연구.
평화로운 학교를 위한  퀴즈 대회 000학교.
15 향 소 제 소사고 제15회 일시|` (목) 9:00~17:00 장소|소사고등학교 교정 th
강북아리수정수센터 방문을 환 영 합 니 다 강북아리수정수센터.
유체역학 마이크로마노미터의 이론과 공식을 설명하라. 환경공학과 김기복.
100세 시대, 스마트 헬스케어와 미래직업 (3) 고령화 사회에 필요한 웨어러블.
5.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01.지구적 차원의 환경 문제 02.국경을 넘는 환경 문제 03. 일상생활과 환경 문제
코딩교육, 어떻게 해야 할까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 김가연 안선영.
체력 운동과 건강.
Presentation transcript:

한국형 화재진압 시스템 (K-Fire, 선진소방, 소방한류, 소방IT) 부제 :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VCSS) 2013. 1. 18. 만상소방 이 상 선

한국형 화재 조기진압 시스템 소 화 설 비 (화재진압) 경 보 설 비 (화재경보) (상호연계) “한국형 화재조기진압 시스템(K-Fire)”은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와 화재발생을 알리는 경보설비를 상호 연계하여 화재 발생시 조기에 화재경보를 발령하고, 초기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 할 수 있는 소방시스템이다 화재발생시 즉시 화재를 감지 할 수 있어야 하고, 모든 관계자에게 화재발생 사실을 알리고, 관계자는 누구라도 불을 끌 수 있도록, IT기술과 소방산업을 융합하여 각종 화재위험으로 부터 잠재된 문제를 해결 (소화설비 : 1단계 개발과제, 스프링클러설비) VCSS 개발 : Valve Control Sprinkler System, 밸브제어식-스프링클러 소화설비 조작반(MBX) 제작: VCSS 주요 구성품, 각 건물내 또는 세대별 화재현장에 설치   (경보설비 : 2단계 개발과제, 자동화재탐지설비) 자감기 : 자동화재감시설비, 1차-제어반(CBX-1), 관리실 및 방재실 설치 자통기 : 자동화재통제설비, 2차-제어반(CBX-2), 통제실 및 소방서 설치 "한국형 화재진압 시스템"

<--- 화재현장(건물내), 소화설비(VCSS) --> <--- 원격지(화재상황관리), 경보설비 --> 시스템 흐름도 (화재발생에서 화재진압까지) 화재감지 화재경보 화재경보 화재 발생 건물내 조작반 (MBX) 관리실 자감기 (CBX-1) 소방서 자통기 (CBX-2) D B B 밸브개방 소화신호 소화신호 화재진압 C F F <--- 화재현장(건물내), 소화설비(VCSS) --> <--- 원격지(화재상황관리), 경보설비 --> 1. 화재 발생시 (화재경보, B) 화재감지기에 의해 화재경보가 실내 화재 현장에 발하게 되면, 원격지의 관리실, 방재실, 소방관서에 까지 화재가 경보되어서, 어떤 집(건물)에서 화재가 발생 했는지를 알게 된다. 2. 화재 진압시 (소화신호, F) 화재 현장의 실내 거주자가 화재를 확인하고, 조작반 소화신호(F) 버턴을 누르게 되면 전자밸브가 개방되어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실내 거주자가 부재 시(외출 중)에는 원격지의 관리실, 방재실 및 소방서 에서도 소화신호(F)를 눌려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한국형 화재진압 시스템"

단계별 개발계획 구 분 1 단계 : 소화설비 화재진압(스프링클러설비) 2 단계 : 경보설비 화재경보(자동화재탐지설비) 제품명 밸브제어식-스프링클러설비 자동화재감시 및 통제설비 개발 항목 1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VCSS) 2 조작반 (MBX) 제작 3 간이 제어반 (CBX) 제작 4 신기술인증 : VCSS 5 형식승인 : MBX 1 자동화재감시설비 (자감기) 1차-제어반, 관리실, 방재실 2 자동화재통제설비 (자통기) 2차-제어반, 소방관서용 3 제어반 (CBX) 제작 4 신제품인증, 형식승인 (CBX) 특징 신속한 대처로 조기 화재진압 고객맞춤형 소방시스템 설계 화재경보, 화재진압, 공동대처 원격지 화재상황 감시 및 통제 투자 3.5억원, 1년(2013년) 기술개발 과제수행 3.5억원, 1년(2014년) - 기타 화재현장에 설치 (건물내, 세대내, 실내) 원격지에서 상황관리 (관리실, 방재실, 소방서) "한국형 화재진압 시스템"

밸브제어식-스프링클러설비 (VCSS = Valve Control Sprinkler System) 다양한 화재감지(D) 화재경보(B) 제 어 회 로 조작반 (MBX) 경 보 설 비 제어반 (CBX) 소화신호(F) 소화액선택 (용수, 가스) 시험점검(T) 밸브제어 (ON/OFF) 부가기능처리 헤드설계 (개방형) 경보설비연계 <--- VCSS, 소화설비, 화재현장, 건물내 설치 (조작반) ---> <- 경보설비 -> “밸브제어식스프링클러시스템(VCSS)”은 개방형 헤드에 연결된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방수구가 개방된 헤드로 소화수를 방수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새로운 방식의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이다. “VCSS”는 다양한 화재감지 수단과 화재진압(밸브제어) 기능을 조작반으로 일원화하여 화재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것을 목표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부가기능제공 (가스잠금장치, 동파방지, 환기구, 제연설비, 비상등, 소화신호이중화) 2. VCSS 구성도 화재감지수단 (화재감지기, 화재센서, 부저) 안목 (위치지정 버튼, 화재를특정 소화작업) 소화액 (물, 가스) 제 어 회 로 (MBX) 부가기능제공 (가스잠금장치, 동파방지, 환기구, 제연설비, 비상등, 소화신호이중화) 비상벨 (B, 화제경보) 관 리 실 방 재 실 소 방 서 (CBX) 소화신호 (F, 스위치) 밸브 시험신호 (T, 시험, 점검) 자동소화 (감지기, 센서) 개방형 헤드 영상장치(CCTV, 인터폰) 비상통신망 <- 화재발생위치 -> <--- 화재현장 (조작반), VCSS, 소화설비 ----> < 원격관리, 경보설비 > 1) 작동원리 : 화재발생시 화재진압 순서 화재발생 --> 화재감지(감지기, 센서, 부저, 안목) --> 화재경보음(B) --> 건물내 관계자 화재 확인 --> 조작반의 소화신호(“F”) 조작 --> 제어회로 작동 -> 밸브 개방 -> 소화액 방출 -> 화재 진압  사후정리 2) 소화액은 화재종류에 따라 수계(물) 및 가스계(약제)를 선택하여 사용 3) 화재 감지기는 일반감지기, 화재센서, 화재부저, 스위치, 안목 혼용 가능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 다양한 화재감지 수단(감지기, 센서, 부저, 안목등)과 화재진압 수단인 3. VCSS 특징 - 다양한 화재감지 수단(감지기, 센서, 부저, 안목등)과 화재진압 수단인 전자밸브를 연계 작동하여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 - 경보설비(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하여서 원격지(관리실 및 방재실, 소방서)에서도 화재상황을 관리, 통제 하거나 화재를 진압 가능 - 기존 설비의 단점 (동파우려, 헤드 감열부 대기시간, 수손피해)을 보완 하였을 뿐만 아니라, 화재를 진압한 이후에 사후처리가 용이 - 타 소화설비(물분무등소화설비)에도 사용(적용)할 수 있고, 가스계 및 수계 소화설비를 혼용(병행) 할 수 있고, 기타설비와도 연동이 가능 - 안목(감지기 작동이전)으로 화재를 발견한 경우, 위치지정 버튼을 조작 하여 화재발생 위치를 특정하여 화재를 진압 - 고층화, 대형화 건축물의 자동화재관리 및 주요시설물(전산기계통신실, 지하공동구)과 선박, 항공기 등의 소방대상물에 다양한(맞춤) 소방설계 4. VCSS 구성 및 조작반 설명 1) 개방형 헤드에 연결된 밸브를 조작반에서 제어 함으로써, 헤드 작동에 소요되는 개방 대기시간 없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으로, 주요구성은 조작반, 전자밸브, 개방형헤드, 화재감지기, 전기배선, 부가 기능 등이 있다. 2) 조작반은 건물이나 세대(가정)내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며 화재를 감시 하고 화재경보를 발령하며,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화재상황을 관리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패드(함, 박스)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1) 전자밸브를 제어하며 (조작반에서 밸브를 개방 및 닫힘을 통제) 5. 조작반 (VCSS 주요 구성품) 주요기능 1) 전자밸브를 제어하며 (조작반에서 밸브를 개방 및 닫힘을 통제) 2) 화재를 감시하고, 화재경보를 발령하며, 자체 시험 및 점검회로를 구성 3) 각종 신호를 분배 (상급기관과 연계하여 상황통제 및 화재진압) 4) 경계구역내 각종 위험물에 대한 감시, 안전관리, 위험경보(위험표시등) 5) 비상통신망을 구성하여 화재상황을 관리하며 (3자간 영상통화) 6) 부가기능 수행 (가스차단, 동파방지용 중간밸브, 환기구 제어 등) 6 주요 핵심 기술 1) 제어회로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전자밸브를 자동 제어하는 기술 2) 화재감지 수단과 화재진압 기능을 상호 연계하여 처리하는 기술 3) 타 소방시설인 경보설비와 연동하여 화재상황 관리 통제하는 기술 4) 원격지(관리실, 소방서) 에서도 화재를 조기진압 할 수 있는 기술 5) 화재발생 위치를 지정(특정)하여 화재상황을 처리하는 기술 6) 수계 및 가스계 소화설비를 혼용하여 건축물의 화재특성과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 소방시스템 제공(설계)하는 기술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1)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초기대응이 가능하고, 현장 관계자의 적극적인 화재진압 대처로 능동적인 소방의식의 함양 7. 차별화된 특징 1)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초기대응이 가능하고, 현장 관계자의 적극적인 화재진압 대처로 능동적인 소방의식의 함양 2) 타 기기와 연동 (경보설비, 피난설비, 제연설비, 감지기와 기타 장치) 3) 다양한 화재감지 수단 제공 (안목, 감지기, 센서, 부저, 스위치) 4) 화재발생 위치를 지정(특정)하여 소화 작업 화재발생시 화재 감지기가 작동하기 이전(안목으로 발견시) 이라도 화재발생 위치를 지정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 5) 기존 설비의 단점 개선 및 화재 진압 후 사후처리가 용이 6) 원격지의 상급기관(관리실, 방재실, 소방관서 등)과 화재상황을 공유 하거나, 화재진압을 공동대처 함으로 일체화 된 원격관리 7) 각종 소화설비에 적용 및 혼용(병행사용)으로 폭 넓은 활용 8) 초기 대응시 화재(불)와 직접 대면하지 않고서 화재상황에 대처 - 화재발생 초기에 관계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일이 매우 제한 적임 (생활용수, 가정용소화기, 옥내소화전을 이용하여 대응) - 불(화마)을 직접 대면해서 진압해야 하므로 화마에 위험 노출 - 초기대응에 실패할 경우 화재확산 및 규모가 대형화재로 발전함 9) 건축물 용도, 화재 특성, 서비스 수준(요구사항)을 고려한 적합한 소방 시스템 설계로 다양하게 사용자 맞춤소방(화재진압) 시스템을 제공 0) 경계구역 및 건물내 위험관리 : 각종센서  위험경보(위험표시등) 유독가스, 저장실, 응급(방범), 각종 위험상황/위험물 감시 안전관리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2) VCSS 기술 활용대상물 (모든 형태의 소방시설물 설계, 구축) 8. 활용분야 및 활용시 효과 1) 개발기술 활용분야 판매(활용) 예상처 활 용 분 야 1차 고객 (내 집 이니까) 건축주, 시행사, 사업조합 (이런 집에 살고 싶다) 2차 고객 (집 짓어 주는자) 시공사, 건설사, 건축사업자 (이런 집을 짓겠다) 3차 고객 엔지니어링, 소방설계업체 (사용해 보니까 좋아요) 4차 고객 특수건축물, 대중시설, 목조문화재, 주요시설물 기타 모델하우스(분양시 옵션), 무인건축물, 지하공동구, 다중이용시설, 대중교통시설, 전시관, 홍보관 등 2) VCSS 기술 활용대상물 (모든 형태의 소방시설물 설계, 구축) 대형건축물 : 아파트, 지하상가, 호텔, 백화점, 빌딩, 초고층건축물 다중이용시설 : 노래방, 고시원, pc방, 공연장, 극장, 다중이용업소 주요보호시설 : 목조건축물, 고궁, 각종 문화재, 공항, 지하역사 대중교통시설 : 전철, 선박, 항공기, 대형버스, 각종 운반수단물 비상시설물 : 공동구, 전기/전산/기계/통신실, 터널, 지하시설물 무인건축물 (원격관리) : 무인창고, 무인국사, 무인운영 시설물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 기존 설비의 단점 개선(동파방지. 수손피해, 대기시간, 사후처리) 3) 활용시 효과 ① 기술적인 측면 - 기존 설비의 단점 개선(동파방지. 수손피해, 대기시간, 사후처리) - 타 소화설비에 적용, 수계 및 가스계 설비를 함께 병행 사용 목조건축물인 경우 기와 속은 가스계를 혼용 - 경보설비와 연동하여 원격지에서 화재상황을 관리 및 통제 각 세대와 관리실과 소방서를 경보설비로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 무인 건축물 이나 시설물에 대한 원격관리 및 통제 (다중백업) - 고의성 및 기기 오작동에 따른 시스템 오동작 방지 (통제구역내 설치) 불특정 다수에 의한 고의성 및 주변기기 오작동시 에는 밸브가 동작 하지 않으며, 2차측 배관으로 소화수가 송수되지 않음 ② 경제적인 측면 - 소방기술의 선진화 및 한국형 화재진압시스템 독자 모델 보유 - 맞춤형 소방시스템 설계 및 제공 건축물 용도 및 화재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소방시스템 설계 시스템 구성을 부품화하여 모듈 설계로 맞춤소방 시스템 제공 - 해외시장진출, 소방기구 수입에서 해외수출로 수입대체 효과 ③ 기타 - 관계자의 자발적인 대처로 조기진압 및 대국민 소방인식 변혁 내 집에 난 불은 주인인 내가 끈다, 내 재산은 내가 지킨다 - 글로벌 경쟁력 확보 (원천기술+표준특허, 국제표준화 활동) - U-소방 구현 (IT소방융합), 선진소방 신기술 접목이 용이함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T F 9. 조작반 모형도 및 조작순서도 9-1 조작반 모형도 (소방설계 평면도, 화재위치 표식) 사용설명서 (조작순서) (소방설계 평면도, 화재위치 표식) 화재표시등 위험표시등 전원 화장실 ② 작은방 ① 큰방 ⑥ 주방 현위치 ③ 거실(1) ④ 거실(2) ⑤ 중간방 현관 사용설명서 (조작순서) ○ ○ ○ ○ ○ ○ ① ② ③ ④ ⑤ ⑥ 위치램프 위치번호 위치버튼 T 시험신호(불끈후) F 소화신호(불끌때) □ □ □ □ □ □ [범례] : 누름버튼(조작버튼) : 표시등 ○ : 표시램프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9. 조작반 모형도 및 조작순서도 9-2 조작순서도 화재발생 화재경보 화재발생 위치확인 (조작반 평면도) 화재확인 아니오 화재발생 화재경보 예 화재발생 위치확인 (조작반 평면도) 아니오 화재확인 해당화재 위치번호 위치버튼 누름 예 안목으로 지정 기기오동작 소화신호(F) 누름 소화수 방수 화재진압 사후정리 (종료)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2) 시스템 설계 기술 (모든 형태의 소방시설물 설계 및 구축) 10. 시스템 설계모형 및 설계기술 1) 시스템 설계 모형 소화액 (물, 가스) 부가기능 화재표시등 경 보 위험표시등 제어회로 밸브(구경) 경보설비 연계 (원격지관리) 화재위험감지 (감지기, 센서) 헤드 (유형별) 2) 시스템 설계 기술 (모든 형태의 소방시설물 설계 및 구축) 감지기 제어회로 전자밸브 헤드 일반감지기 단독(병합) 배관 구경 수계(소화수) 센서, 버튼, 공유(인접) (mm) 가스계(약제) 안목, 스위치 자동(단독, 차등) 헤드 수 개방형 위험물센서 위치지정 병행사용 N : M 매핑 관계, 단위 부품을 조합하여 설계 (모듈식)  다양화 건축물 용도별, 화재별 특성, 사용자 요구사항 반영  맞춤형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3) 방수구역 조절 (헤드구성 및 4) 수계와 가스계를 혼용 (문화재, 감지기 공유) 주방, 반자 속, 목조건축물) 11. 소방시스템 설계 사례 예시 1) 기본모형 2) 감지기 연결 형태에 따른 구성 Ⓦ Ⓦ Ⓓ 자신의 밸브만 작동함 (단독) Ⓥ Ⓒ Ⓓ Ⓥ Ⓒ Ⓓ 이웃하는 밸브와 공유 (인접) Ⓗ Ⓗ Ⓓ 화재 감지시 자동방수 (자동) 3) 방수구역 조절 (헤드구성 및 4) 수계와 가스계를 혼용 (문화재, 감지기 공유) 주방, 반자 속, 목조건축물) Ⓦ Ⓓ Ⓦ Ⓦ Ⓓ Ⓖ Ⓥ Ⓒ Ⓥ Ⓥ Ⓒ Ⓥ Ⓗ Ⓗ Ⓗ Ⓗ Ⓗ Ⓗ 실내공간(상하좌우, 지붕위) 수계(건물내) 가스계(기와속) 5) 기존 폐쇄형 설비와 VCSS(개방형)를 혼용(병행사용) Ⓦ Ⓓ Ⓦ Ⓥ Ⓒ Ⓞ Ⓞ : 중간밸브 Ⓗ Ⓗ Ⓗ Ⓗ (VCSS) 기존 폐쇄형설비 (폐쇄형 헤드 사용) <범례> 제어회로(C), 밸브(V), 헤드(H), 화재감지기(D), 수계(W), 가스계(G), 중간밸브(O)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전구를 켜는 것처럼, 스위치만 누르면 불이 커집니다. 12. 기타 1) 특허기술 활용 : 등록번호 10-1034077, 출원일자 2008.12.31 명칭 : 밸브일체식 스프링클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시스템 2) 기술보호 : 국내외 특허출원 권리보호 (52개국, EU 34개국 포함) 3) 신청과제 관련 기술개발 준비현황 ◦ 국내출원 3건, 등록 2건 : 지식재산권 국내 권리확보 - 출원번호 10-2009-035192, 등록번호 10-1034068 (2011.5.2) 발명의 명칭 “대중교통 시설에서의 화재진압 시스템” ◦ 해외출원 : 52개국 권리주장 (EU 34개국 포함) AU, BR, CA, CN, EG, EP(EU 34개국), ID, IL, IN, JP, MX, MY, PH, RU, SG, TH, US, VN, PCT 소방지킴이 국민의 생명과 안전, 재산을 보호한다 화재 발생시 망설일 필요가 없습니다. 소방차가 올 때 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바로 불을 끄십시오. 아주 쉽습니다. 전구를 켜는 것처럼, 스위치만 누르면 불이 커집니다. 전통 제조업인 소방산업과 정보기술 IT산업의 융합인 소방IT로 한국형 독자적인 시스템을 보유하여, 선진 소방한국을 건설하고, 해외시장으로 진출하여 소방시설의 소방한류(K-Fire)를 달성 "밸브제어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만상소방 대표 이 상 선 연락처 HP) 010-8910-5344 이메일 lssun1910@daum.net 감사합니다 만상소방 대표 이 상 선 연락처 HP) 010-8910-5344 이메일 lssun1910@daum.net 마지막장입니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