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14장 AD-AS와 균형국민소득.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 김경환, 김종석 제 31 장 총수요와 총공급. © 김경환, 김종석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소득,
완전경쟁시장.
경쟁시장 © 2007 Thomson South-Western.
Ⅴ. 시장형태와 산업조직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
제12주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제2장 주요 거시경제변수 제1절 : 국내총생산 제2절 : 실업률 제3절 : 생계비용의 측정 제4절 : 맺음말.
생산비용.
국민소득의 측정.
국민소득의 측정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경제학원론 7장 국민소득 수준의 결정.
제 7 장 공급곡선의 이면: 투입과 비용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 개념 © 2007 Thomson South-Western.
단기에서의 총지출과 총생산 CHAPTER 26.
제 7 장 생산비용.
인플레이션, 총수요, 총공급 CHAPTER 28.
제25장 거시경제문제 : 실업과 인플레이션.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국민소득의 측정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 2007 Thomson South-Western.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제19장 국민소득 결정이론 민간소비 및 투자활동과 국민경제
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제4장 효용과 소비자선택 제1절 효용과 소비자선택 1.총효용과 한계효용 2.효용극대화 제2절 수요곡선 1.수요곡선의 도출
경제지수 리터당 휘발유 가격(원) 소비자 심리지수 현재경기 판단 취업기회 전망 미래경기 전망 리터당 휘발유값
생계비의 측정.
생산요소시장.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 16 장 총공급과 총수요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제7장 생산량과 생산비 7-1 생산비용 7-3 단기비용함수 7-4 장기비용함수 7-5 결합생산물의 수입극대화조건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제 29 장+ 30 장(일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제10장 단기총공급이론 제1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제2절 합리적 기대론자들의 단기총공급 이론 제3절 장기총공급곡선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제16장 투자 제1절 토빈의 q이론 제2절 옵션이론 제3절 건축투자 제4절 재고투자 제5절 맺음말.
제 17 장 재정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9장 거시경제학 개관.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 개념.
경기안정화정책: 연방준비제도의 역할 CHAPTER 27.
제 13 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13.1 거시경제이론의 기본 개념 13.2 총수요와 총공급.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제3장 수요.공급이론의 적용 3-1 가격 및 임금의 통제.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국제무역론 10 판 도미니크 살바토레 John Wiley & Sons, Inc.
무차별곡선의 도출 무차별곡선의 도출 학 과: 경제학과 학 번: 이 름: 양아란 학 과 : 경제학과
제 3 장 공급과 수요 (Supply and Demand)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제5장 무차별곡선과 현시이론 5-1 무차별곡선.
제 2 장 수요와 공급의 기본사항들.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국민소득의 측정.
부분균형과 무역.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소비자 선택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Ⅰ. 경제란 무엇인가? 목 차 1. 경제의 정의 2. 경제의 순환.
제 6 장 생 산.
제 8 장 이윤극대화와 경쟁시장의 공급.
총수요와 총공급.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제 2 장 경제모형: 상충관계와 무역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9 총수요곡선: 개방경제.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CHAPTER 8 완전경쟁과 공급곡선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Presentation transcript: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14장 AD-AS와 균형국민소득

제14장 AD-AS와 균형국민소득 01. 총수요 02. 총수요곡선 03. 총공급곡선 04. 총수요와 총공급(AD-AS) 모형

01. 총수요 총수요(aggregate demand) • 상품을 구입하려는 모든 소비자,기업,정부, 그리고 해외 경제주체들이 우리나라의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하고자 지출하는 총금액 • 총수요는 물가수준에 따라 우하향하는 형태를 지님 그림 14-1 총수요곡선의 형태

01. 총수요 1.1 총수요의 구성요소 AD = C + I + G + ( X – IM) 1. 소비지출(Consumer expenditure: C) : 모든 소비재와 서비스 수요의 총가치, 전체 총지출에서 2/3을 차지 2. 투자지출(Investment spending: I) : 공장, 기계와 같은 새로운 설비와 장비를 구입하기 위한 지출액와 가계가 새 집을 구입하기 위한 지출액을 합한 개념 3. 정부구매(Government purchase: G) : 정부가 구입하는 컴퓨터, 비행기, 공무원 등을 포함 4. 순수출(Net eXport: NX) : 우리나라의 수출(eXport: X)에서 수입(Import: IM)을 뺀 것

01. 총수요 1.2 한계소비성향과 소비 1. 가처분 소득과 소비 •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 소득 중에서 세금을 제외한 나머지 소득으로 자기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 • 가처분소득이 높을수록 소비수준도 높음 그림 14-2 가처분소득과 소비와의 관계

C: 소비 Yd: 가처분소득 α: Y축의 절편 β: 기울기 01. 총수요 2. 소비함수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소들 중에서 가처분소득이 소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두고 나타낸 함수, 다른 요소들은 일정하다는 가정 C = α + β Yd C: 소비 Yd: 가처분소득 α: Y축의 절편 β: 기울기 (1) 한계소비성향(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MPC) • β = C의 변화액 / Yd의 변화액 = 한계소비성향(MPC) • 소득이 한 단위 증가했을 때 소비가 얼마나 증가했는가를 나타낸 개념 (2) 절대소비 • 소비함수 중 절편 α • 가처분소득이 0일 때의 소비를 의미

그림 14-3 소비함수와 한계소비성향 C (소비) 소비함수 기울기:한계소비성향 절대소비 Yd (가처분소득)

01. 총수요 3. 소비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가처분소득과 소비수준 이외의 요인들이 변화하면 소비곡선 자체가 이동 (1) 부(wealth) 부- 저량개념/ 소득- 유량개념 소득과 함께 구매력 형성 (2) 물가 물가수준이 상승하면 액면이 화폐단위로 고정된 자산의 구매력은 감소 (3) 실질이자율 실질이자율이 높으면 저축이 증가하고 소비는 감소 (4) 미래 기대 소득 미래에 더 많은 소득을 얻을 것이라 기대하면 소비 증가

그림 14-4 소비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소비곡선을 위로 이동 C (소비) 부의 증가 물가 하락 실질이자율 하락 그림 14-4 소비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소비곡선을 위로 이동 부의 증가 물가 하락 실질이자율 하락 미래 기대소득 증가 C (소비) 소비함수 소비곡선을 아래로 이동 부의 감소 물가 증가 실질이자율 증가 미래 기대소득 하락 Yd (가처분소득)

01. 총수요 1.3 변동이 심한 투자 투자는 총수요 중에서 비중은 크지 않지만 가장 변동성이 큰 구성요소 투자에는 신축된 공장, 기계, 주택에 대한 기업과 개인의 지출만 포함 (금융거래, 기존 공장, 장비, 주택, 주식거래는 포함X) 동물적 본능(animal spirit) : 기업가의 도전적인 모험가 정신으로서 투자지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업의 확신상태 이외에도 이자율, 세법, 기술발전, 경기변동 등이 투자에 영향

그림 14-5 투자의 변동

01. 총수요 1.4 순수출의 결정요소 1. 국민소득 • 수출은 다른 나라 국민소득에 의해 영향을 받고, 수입은 우리나라 국민소득에 영향을 받게 됨 - 우리나라 국민소득 증가⇒ 수입 증가 - 다른나라 국민소득 증가⇒ 수출 증가 2. 물가와 환율 • 물가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수입 증가, 수출 감소 ⇒순수출 감소 • 환율 상승⇒ 다른 나라 상품의 가격 상승⇒ 우리나라 상품 수출 증가, 수입 감소⇒순수출 증가

02. 총수요곡선 2.1 균형국민소득 결정 1. 총지출량 곡선 • 총지출은 소비지출, 투자지출, 정부지출, 순수출의 합 2.1 균형국민소득 결정 1. 총지출량 곡선 • 총지출은 소비지출, 투자지출, 정부지출, 순수출의 합 • 단순화를 위해 소비지출은 소득의 증가함수라고 하고,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은 일정하다고 가정⇒ 투자를 독립투자로 가정 • 주어진 소득수준에서 소비지출, 투자지출, 정부지출, 순수출을 수직으로 합하면 총지출량 곡선 도출 • X축 실질GDP, Y축 실질지출 2. 총공급량 곡선 • 실질 GDP만큼 총생산된 공급량은 모두 지출에 사용할 수 있는 여력을 나타냄 ⇒ 45도 우상향하는 직선의 형태

그림 14-6 총지출량 곡선의 도출

그림 14-7 총공급량 곡선 실질 지출 총생산량 곡선 =총공급량 곡선 그림 14-7 총공급량 곡선 실질 지출 총생산량 곡선 =총공급량 곡선 주어진 실질소득이 모두 지출로 소비되는 경우이면 45도 직선이 된다. 450선 실질 GDP

02. 총수요곡선 3. 균형국민소득 결정 총공급곡선과 총지출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결정 3. 균형국민소득 결정 총공급곡선과 총지출곡선이 만나는 점에서 결정 총지출 > 총생산량⇒ 재고상태(-)⇒ 생산증가⇒ 균형도달 총지출 < 총생산량⇒ 재고상태(+)⇒ 생산감소⇒ 균형도달 ▶결론적으로 균형국민소득을 나타내는 실질 생산량 수준은 총지출과 총생산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 이러한 그림은 소득이 변함에 따라 지출수준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소득-지출 모형(income-expenditure model) 혹은 45선을 강조하여 45도선 그림(45° cross diagram)이라고 함

표 14-8 소득-지출모형을 통한 균형국민소득 결정과정

02. 총수요곡선 2.2 총수요곡선의 도출 총수요곡선은 물가수준이 변할 때 총수요량이 얼마나 되는가의 관계를 보여준 것⇒ X축 실질GDP, Y축 물가 물가수준이 변하면 총수요의 구성요소인 소비부분이 변하게 됨 물가↑⇒ 실질부(구매력)↓⇒ 소비지출↓⇒ 소비함수 우측(아래로) 이동⇒ 총지출량 곡선 우측(아래로) 이동⇒ 실질GDP↓

소비함수 소득-지출 그림 총수요곡선 그림 14-9 총수요곡선의 도출 총수요곡선 C(소비) 물가상승 소비함수 아래로 이동 그림 14-9 총수요곡선의 도출 총수요곡선 C(소비) 물가상승 소비함수 아래로 이동 총지출곡선 아래로 이동 국민소득(GDP)감소 실질 지출 P(물가) P0에서 P1으로 가격인상이 소비지출 감소 소비지출의 감소로 총수요량 아래(우측)이동 C0+I+G+(X-IM) C0 (소비함수) C1 P1 C1+I+G+(X-IM) P0 AD곡선 Y1 Y0 Yd (가처분소득) 실질 GDP Y1 Y0 Y (GDP) 소비함수 소득-지출 그림 총수요곡선

02. 총수요곡선 2.3 승수효과 1. 승수(multiplier)란? 말 그대로 ‘몇 배 곱해지는 수’를 의미 Ex) 경기부양을 위해 100을 투입 500의 효과 = 승수 5의 효과 2. 승수원리 승수효과의 핵심은 소비함수의 한계소비성향(MPC) Ex) 소비함수: C = α + β Y = 50 + 0.8Y (T=0 이라 가정) 균형국민소득: Y = AE = 50 + 0.8Y + I + G + (X – IM) G가 100만큼 증가하면 소득은 500만큼 증가

그림 14-11 승수효과의 비밀 =은 양쪽의 값이 같다는 의미임 정부지출 100만큼 증가로 우변이 100만큼 값이 더 큼 그림 14-11 승수효과의 비밀 정부지출 100만큼 증가로 우변이 100만큼 값이 더 큼 정부지출 100만큼 증가 1단계 +100 소득이 100 증가하면서 소비함수의 0.8배만큼 다시 소득이 증가해 우변이 80 증가 +100 2단계 +0.8(100)=80 우변이 80만큼 증가하기 때문에 다시 등호 성립이 깨짐 3단계 4단계 +80 80만큼의 우변 값이 커지기 때문에 다시 좌변의 소득(Y)가 80증가해 등호가 다시 성립 +0.8(80)=64 그러나 다시 소득의 0.8배인 64만큼의 소비가 증가해 우변의 값이 다시 커짐 5단계 5단계 +64 반복 됨 소득의 증가분은 점점 감소하게 되고, 그러다가 멈추게 되었을 때 증가한 소득의 합을 모두 더하면 100+80+64+………= 500이 된다. 여기서 처음 정부는 100을 증가시켰는데 국민소득이 최종적으로 500 증가했으니까 승수는 5가 된다.

02. 총수요곡선 3. 승수의 정책적 의미 • 투자로 인한 파급효과는 클 것 • 투자로 인한 파급효과는 클 것 • 경기가 침체되어 있거나 개발도상국의 경우 정부가 나서서 투자를 활성화하면 그 효과가 몇 배 이상의 GDP 증가분을 야기 • 한계소비성향만 구할 수 있다면 정부투자의 파급효과를 예측 가능 ⇒정부주도와 개입에 찬성하는 사람들에게 유의미

03. 총공급곡선 3.1 총공급곡선의 형태 총공급곡선은 물가가 오르면 생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우상향하는 기울기를 보이게 됨 총공급곡선(Aggregate Suppy curve) : 일정기간 동안에 물가수준에 따라서 한 나라의 모든 기업이 생산하고자 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양을 나타낸 것 ⇒ 물가 이외의 변수는 일정하다고 가정 3.1 총공급곡선의 형태 총공급곡선은 물가가 오르면 생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우상향하는 기울기를 보이게 됨 π = TR – TC = P•Q – TC (π: 이윤, TR: 총수입, TC: 총비용)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이윤이 커지기 때문에 생산은 증가하게 됨. (비용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

AS 곡선 그림 14-12 총공급곡선의 형태 미시경제학에서의 가격이 아닌 경제전체의 물가수준을 나타냄 P (물가) 그림 14-12 총공급곡선의 형태 미시경제학에서의 가격이 아닌 경제전체의 물가수준을 나타냄 P (물가) AS 곡선 미시경제학에서의 상품의 생산량이 아닌 경제전체의 총생산가치를 나타냄 Y(국민소득)

03. 총공급곡선 3.2 총공급곡선의 이동 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도 X축의 국민소득과 Y축의 물가 이외에 고정되어있다고 전제한 모든 요소들이 변하면 이동 1. 명목임금 임금이 상승하면 비용상승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어진 가격하에서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 2. 다른 투입물가격의 변화 임금 이외의 다른 투입물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총공급곡선은 상방(왼쪽)으로 이동 3. 기술과 생산성 기술이 발달하면 노동생산성이 증가하여 기업들은 생산을 증가시키게 되고 총공급곡선은 하방(오른쪽)으로 이동

그림 14-13 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AS를 위로(좌측) 이동 요인 P(물가) 명목임금 증가 다른 투입물 가격 상승 그림 14-13 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AS를 위로(좌측) 이동 요인 명목임금 증가 다른 투입물 가격 상승 기술과 생산성 감소 P(물가) AS (총공급곡선) AS를 아래로(우측) 이동 요인 명목임금 감소 다른 투입물 가격 감소 기술과 생산성 증가 Y(국민소득)

04. 총수요와 총공급(AD-AS) 모형 1. 총수요곡선-총공급곡선의 균형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이 일치하는 경우 균형국민소득과 균형물가수준이 결정 • 총공급량 > 총수요량⇒ 초과공급⇒ 재고발생⇒ 가격하락, 생산감소 • 총공급량 < 총수요량⇒ 초과수요⇒ 상품구입경쟁⇒ 가격인상, 생산증가 2. 총수요 증가 효과 정부지출을 증가시키면 총수요곡선은 우측으로 이동 ⇒국민소득과 물가의 증가 정도는 총공급곡선 기울기에 따라 달라짐 (1) AS가 수평인 경우 물가 상승X, 국민소득 크게 증가 (2) AS가 우상향인 경우 국민소득 증가크기는 물가가 상승하면서 약간 감소 (∵ 소비자 부의 구매력 감소, 순수출 감소) (3) AS가 수직인 경우 국민소득 변화X, 물가만 상승

그림 14-14 AD-AS 균형 P(물가) AS AD Y(국민소득) P(물가) 물가수준 총수요량 총공급량 상황 물가변화 80 5400 4600 초과수요 상승 90 5200 4800 100 5000 균형 불변 110 초과공급 하락 120 120 100 80 AD 4600 5000 5400 Y(국민소득)

그림 14-15 AS기울기에 따른 총수요 증가 효과 (3) AS3 (수직) P(물가) (2) AS1 (우상향) 120 100 (1) AS2 (수평) 총수요 우측이동 80 AD1 AD0 4600 5000 5400 5800 Y(국민소득) AS2 (수평) AS1 (우상향)

04. 총수요와 총공급(AD-AS) 모형 3. 총공급곡선(AS)의 이동 (AD곡선 우하향 가정) (1) 유가의 인상과 인건비의 증가 • 생산비용 증가로 AS곡선은 상방(좌측)이동 • 물가상승(inflation) + 국민소득 감소(stagnation) = stagflation (2) 정보통신 기술혁신을 통한 생산성 증가 • 생산비용이 절감되어 AS곡선은 하방(우측)이동 • 하방이동: 동일생산 비용절감, 우측이동: 동일가격 국민소득 증가 4. 인플레이션갭과 디플레이션갭 잠재적 GDP: 한 국가가 생산할 수 있는 최대한의 생산수준의 국민소득 실제GDP < 잠재적GDP 디플레이션갭 실제GDP > 잠재적GDP 인플레이션갭

AS AD 그림 14-16 AS곡선 이동에 따른 균형의 변화 P(물가) AS곡선 좌측(위로)이동 AS곡선 우측(아래로)이동 120 100 80 AD 4600 5000 5400 5800 Y(국민소득)

그림 14-17 경기침체 갭과 인플레이션 갭 AS AS AS AD AD AD 물가(P) 물가(P) 물가(P) 경기침체 갭 실제 GDP 잠재 GDP 국민소득(GDP) 실제(잠재) GDP 국민소득(GDP) 실제 GDP 국민소득(GDP) 잠재 GDP

04. 총수요와 총공급(AD-AS) 모형 4. AD-AS 곡선 균형점 변화와 경제성장 변하면서 계속 변화 • 일반적으로 물가수준과 국민소득은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 추세 그림 14-18 한국의 물가수준과 GDP (1987~2006년) 1987년 1998년 1997년 2006년 명목 GDP (달러표시, 2000년 기준) 물가수준 (GDP 디플레이터,) 2000년=100 기준 AS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