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 정수기 <숯 VS 다시마> 이혜진 김연우 송선 신기영.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간이 정수기의 원 리 제암 초등학교 6 학년 공 나 영공 나 영. 탐구 주제 정수기의 원리를 알아 본다. 간이 정수기의 정수과 정을 알아본다. 간이 정수기에 사용된 재료의 역할을 알아본 다.
Advertisements

선행선행 죄 죄 구원구원 선행 ※ 경기 규칙 1. 윷놀이의 아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규칙은 동일하다. 2. 이 윷놀이의 궁극적인 목적은 험한 세상을 지나 천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3. 윷놀이를 하다가 앞서 가고 싶은 욕심 때문에 ‘ 죄 ’ 칸에 멈춰서면 반드시 목욕탕으로.
영화초등학교 5-3 최단비. 목 차 1. 실험 동기 2. 실험 방법 3. 가설 4. 실험 과정 5. 실험 1~8 6. 실험결과 7. 결론 8. 더 알고 싶은 점.
액체의 따른 잉크의 확산 속도 조원 : 김연주 문나래 민예담 정선주 한수경 한혜원.
흙과 물에 따른 보리의 성장 초등과학 궁내초 4 학년 이주형, 김민재, 박지우 지도교사 궁내초 채현우, 이경자.
콜라에 우유를넣으면 ? 1 조 ( 이주상, 이문수, 정주현, 홍희진 ). - 모둠명 / 지은이유 - 탐구주제 / 탐구동기 - 역할분담 - 진행과정 / 실험내용 - 관련직업 차례.
소속 : 호성초부설영재학급 이름 : 이가현.  1. 연구동기 및 목적  2. 이론적 배경과 용어의 정의  3. 가설 및 연구방법  4. 실험 및 결과  5. 결론 및 알게 된 점.
주변온도와 수분함유량 에 따른 과일의 갈변현상 3-1 김강산. 목차  탐구기간 및 탐구동기  탐구주제  온도에 따른 갈변현상 ( 실험 1)  과일 각각의 수분 함유량 ( 실험 2)  결론  알게된 점.
사과의 갈변현상을 막는 방법 박주현 ( 지도교사 김미정 ). 서론 1. 연구 동기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이론적 배경 1. 사과가 갈변하는 이유 연구 내용 및 결과 1. 연구 가설, 기간 2. 연구 내용 및 결과.
학생들은 어떤 예능을 좋아할까 ? 손성민, 한규하, 김대원. 1. 연구 동기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4. 연구 과정 5. 연구 결과 6. 결과 및 고찰 목차.
2-4 과학 탐구 정은혜, 이상은, 김동희. 탐구 동기 더운 여름날 음식이 부패하는 것을 보고 어떤 음식에 가장 곰팡이가 많이 생길지 궁금해져서 탐구를 시도 하게 되었다.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프로젝트 산출물 물 로켓 VS 에어 로켓 비교 필 봉 초등학교 5 학 년 류 한 서.
TV 광고의 문제점 7모둠 장기혁 홍원표 김수린 신준화.
조용한 음악과 시끄러운 음악을 들려 주었을 때 식물성장 변화 관찰
주제:풍차의 원리를 이용하여 움직일 수 있는 물건 이름:김연우
과학 과제물 양파실험 5학년1반 박채빈.
과학자유탐구 30437한수경 30438형예지 30439홍예진.
여러 액체를 얼릴 때 어떤 차이가 있을까? 영재학급 산출물 박 결, 전 호진, 심 예진.
소금물과 설탕물 의 농도를 측정하는 간이 비중계 만들기 제북교 영재학급 5학년 김수용
3학년3반 18번 백애린 대림 미술관 Sparkling secret
10가지 재앙 7.우박 재앙 6.독종 재앙 8.메뚜기 재앙 9.어둠 재앙.
봄의 날씨.
크로마토그래피 장준우.
투명 비누 만들기.
길이의 단위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산출 활동 전개 제주북초등학교 영재학급 5학년 윤정민 ▣ 연구 동기
주의할 점!!!! 1. 문자 쓸 때 문자 틀 글자 크기에 맞추기 2. 색 보정할 때 Colorize 체크하고 /
나노필터(nano filter) 나노바이오화학과 강인용.
? ! 극성과 비극성, 이 둘은 무엇일까? 팀명:98% / 작성자:정해준 조장:정해준 조원:김동민, 최혁우, 김선혁.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생각열기) 타이완의 소수 민족 요리중에는 달궈진 돌을 물에 넣어 끓 이는 해물탕이 있다. 돌을 넣는 이유는?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물질에 대한 과거의 생각 우주는 몇 가지 성분으로 되어 있을까?.
2조 편인숙 홍선영 김선혜 진보나 강미현 서애리 이지혜
27강 JAVA Collections - II - Map계열 컬렉션 클래스 살펴보기 - Set계열 컬렉션 클래스 살펴보기
FileMaker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옥현진(KICE).
먹이종류에 다른 구피의 성장변화.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3주차 오늘은 2주차에 만든 모형의 문제점이 뭘까 생각하면서 더 멀리 날아갈수 있게
GM7 PLC 모니터링 프로그램 한국 폴리텍 항공대학 항공정보통신과 송 승 일.
오늘의 이야기는 돼지책! 이책을읽고 다함께퀴즈타임
Ⅴ. 지각의 물질과 변화 5.1 지각을 이루는 물질.
과학 자유 탐구 모둠 이름 : 고구마 조 모둠 원 1번 김다영 11번 송은영 12번 안승연 13번 이다빈.
디버깅 관련 옵션 실습해보기 발표 : 2008년 5월 19일 2분반 정 훈 승
나만의 전지 대 평 초 - 심 규 석 저는 대평초등학교 5학년 심규석입니다. 저의 창의적 산출물 주제는 ‘나만의 전지’ 입니다.
물이 누르는 힘에 대하여 알아보기 과학 6학년 2학기 1. 물속에서의 무게와 압력>물이 누르는 힘에 대하여
종이비행기가 잘 날기 위한 조건 만든이:김윤성.
시각절벽실험 김현우.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18학번 철학과 김영하.
과학자유탐구 곽승희 주제-약이 가장 잘 녹는 액체는?.
우유와 사이다가 식물 성장의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2반 김민지.
사이클로이드실험을 하고 느낀점.
bOuT 마찰차 전동 4조 박승기, 백승민, 이중환, 송슬기
숯에 숨겨진 비밀을 찾아라! 6학년 영재 김도완.
종이의 종류의 따른 물 흡수량 수원초등학교 6학년 이형민.
MotionSolve Contact 해석을 위해 Mesh를 조밀하게 짜서 해석하였지만
은거울 반응.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직선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이산화탄소 발생실혐 관찰항목 이산화탄소의 색깔 이산화탄소의 냄새 촛불의 변화 석회수의 변화 ?
사과의 갈변현상 관찰하기 4-2 배형준.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플래시MX2004 디자인스쿨 Chapter 11. 플래시와 사운드.
Cuk LED driver output current ripple calculation
빛의 투과율 실험을 통하여 자외선을 잘 차단하면서도 잘 보이는 선글라스를 만들어 보자!
내가 만든 인천의 상징 고돌이와 고순이 코리아 모둠 기획: 신수현 자료 수집: 전재우 김준영
꽃잎의 수로 피보나치 수열하기 장전초등학교 6학년 신찬유.
프랙탈 넌 누구냐?! 한림초등학교 수학’과학영재 현승환.
피보나치수열에 대하여 한림초 5학년 신동오.
Presentation transcript:

간이 정수기 <숯 VS 다시마> 이혜진 김연우 송선 신기영

탐구 동기 물 오염 증가 간이 정수기 식수 사용가능 물 감소

VS 실험 동기 숯 간이 정수기 다시마 간이 정수기 대부분 숯이 정화 작용이 뛰어나다고 해서 “간이 정수기”라고 하면 숯 간이 정수기만 떠올리게 됩니다. 하지만 저희 조는 다시마의 주 성분인 요오드가 살균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숯 간이 정수기와 다시마 간이 정수기 중 어느 정수기가 더 정화가 잘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준비물 : 굵은 자갈, 모래, 숯, 작은 자갈, 망 또는 휴지, 다시마, 빈 페트병 2개(500ml) 제작 방법 준비물 : 굵은 자갈, 모래, 숯, 작은 자갈, 망 또는 휴지, 다시마, 빈 페트병 2개(500ml)

위 쪽으로 물을 넣을 수 있도록 자른 페트병 2개를 준비합니다.

맨 아래 망 또는 휴지를 깐 뒤 작은 자갈을 넣습니다. 그 위에 모래를 넣어줍니다. 정화 작용을 하는 숯을 넣어줍니다. (다시마정수기는 다시마를 넣습니다.) 흙탕물을 준비합니다. (이는 간이 정수기를 실험할 물입니다) 그 위에 모래를 한 번 더 넣고 굵은 자갈로 덮어줍니다. 정화된 물을 모으기 위해 빈 통과 정수기를 붙여줍니다.

실험 결과 처음 처음에는 ‘다시마 정수기’가 더 빨리 내려오고 정화가 먼저 되었다. ‘숯 정수기’는 천천히 내려오며 처음 물과 거의 비슷한 상태였다.

<<실험 진행 사진>>

중간 중간 정도 되니깐 숯과 다시마의 정화 정도는 비슷하게 되었다. 숯 다시마

숯 정수기는 시간이 지날수록 정화가 되고 있었다. 반면에 다시마 정수기는 더 이상 정화가 되지 않았다. 다시마

마지막에서 숯 정수기는 흙탕물이 수돗물처럼 맑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종 결론 다시마 정수기와 숯 정수기를 실험해 보았습니다. 저희는 이러한 실험을 통해서 숯 정수기가 다시마 정수기보다 저희는 이러한 실험을 통해서 숯 정수기가 다시마 정수기보다 정화가 잘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또한 숯이 몸에 유해한 납, 수은 같은 중금속을 걸러내고 칼슘,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을 통과시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숯의 성질을 이용해서 단순히 간이 정수기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좀 더 나아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정수기가 만들어 졌으면 좋겠다는 것이 저희 조의 결론입니다.

역할 분담 실험: 이혜진 김연우 송 선 신기영 PPT제작 : 이혜진 보고서 : 신기영 발표 : 김연우 송 선

질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