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작업관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번 이름 김정현 1차 프로젝트 발표 2D 게임프로그래밍. 목차 1. 게임 컨셉 2. 게임 설명 2/10 3. 개발 범위 4. 개발 일정 5. 자체 평가.
Advertisements

전통한옥 실내공간의 구성과 특성. 상류주택의 안채는 각 지방의 평면형을 적용하기도 하나 이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평면을 이 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것은 주로 평면의 형태에서 풍수 ( 風水 ), 도참 ( 圖讖 ) 에 관계된 일자형 ( 一字形 ), 월자형 ( 月子形.
1, 묵상 : 하나님을 알아가는 시작입니다. 다윗의 삶 : 삼상 30:1-6 도의 지도력 동역자 가족 양, 현지인 1, 왕이 되기 전의 일이다. 2,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다윗 자신이다. 3,6 절 여호와를 힘입고 용기를 얻었더라. ( 마음속에 깊이.
제 1 편 서비스 매너연출 입문과정 제 1 장 서비스의 이해 제 1 절 서비스의 어원과 개념 1. 서비스의 어원과 유래 2. 서비스의 개념 제 2 절 서비스의 특성과 구성 1. 서비스의 특성 2. 서비스 상품의 구성 제 3 절 서비스의 변화 1. 서비스 부문의 추세 2.
제2장. 산업공학의 발전과 기능.
라포르시안 뉴스레터 e마케팅 소개서 ㈜올댓닥터스
전남행복수업 design 독서ㆍ토론 수업 지원 자료 활용 목포유달초등학교 김미향.
4월 중 Robust Design ( New 다구찌 실험계획법 )
전남행복수업 design, 독서·토론수업 연구의 개요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본 과정은 귀사의 제품연구개발 기간 단축, 초기 신뢰성 향상을 통하여 비용절감 / 생산성 향상 / 경쟁력 강화를 실현하는
정책설계의 사회의 재구성과 발전적 평가의 활용 - 시스템적 사고와 복잡성 개념을 중심으로 -
정보사회형 Network 정부조직 관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최 창 현.
현장의 작업개선 및 관리기법 과정.
2016년 신경대학교 토익 & 취업 사관학교.
타타대우상용차 소개와 사회 초년생의 마음가짐
원정초등학교 5학년1반 48번 윤민정.
*노동문제 * -비정규직 유효림 박지희 전향숙 황연두.
서비스의 특성 서비스(service)의 정의 서비스(service)의 특성 서비스의 생산
직무분석의 이론과 접근방법 전략기업컨설팅 전략기업컨설팅 세종사이버대학교 장수용 교수
2005년 노인일자리사업 안내.
표준시간의 설정과 활용 ㈜광성ANV 승 인 지도위원 : 최윤식 핸드폰 :
멀티미디어 기본+활용 제대로 배우기.
사회복지조사론 Research Method for Social Welfare
전동기 보호 수화력발전연구소 기술지원센터 책임 이상길
C-2. 실수 방지(Mistake Proofing)
한국 건설산업의 환경변화와 대응전략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민형(연구위원, 경영·博).
잘못된 티칭 시대를 올바른 만점 공부법 코칭 시대로 열어가는 인재의 잣대 GSR-8 만점 공부법 프로젝트
모션캡쳐(motion-capture)
5정 5행 티유브이 컨설팅 컴퍼니 TUV CONSULTING COMPANY 1/30.
5S C I A M D 활용 목적 5S란 업무 성과 및 편리성, 안정성, 쾌적함 등을 최고로 하는 작업장을 창출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별 활동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한 눈에 정상 및 비정상적 상태를 분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기법이다 단계별 구분 1단계 :
합리적.동태적 정원모형 설계.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전국 실고·전문대 교수·학습 연구대회 수상작 -우수사례 -
제2장 경영의 역사 I. 경영의 흔적들 II. 현대경영의 태동과 발전.
그림으로 배우는 컴퓨터구조 전찬주 / 엄재민, 황지순, 정나래, 신정윤, 이하나.
예산결산 1.
Changing Objectives of Optimization
제 3 장 경영이론의 발전과정 학과 교수.
수납형계단 & 바닥수족관 이다영 김수지 김은지 진윤정.
초등교육 학문연구와 현장실천 역량의 창조적 융합
2015 한국연구재단 글로벌박사 양성사업 변경사항 안내
作業 改善을 爲한 MODAPTS 動作分析 技法.
Trajectory Optimization for Full-Body Movements with Complex Contacts
정보표준화를 위한 직무기술서 작성 목 차 정우 · 능원금속공업㈜ 경영혁신팀 1. 직무정보 수집의 목적(취지) 및 작성요령
치공구(治工具 / jig & fixture)
Chapter 4.1 종관기상학 2013년도 1학기.
11.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2010년 2학기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제 6 장 테일러 시스템과 포드시스템 과학적 관리의 역사성.
4. 작업관리의 도구 작업관리의 영역 작업관리: 방법연구와 작업측정 (1) 방법연구
기업과 경영 제 8 장 생산운영관리.
청주 기적의 도서관 현황 1. 도서관 현황 청주기적의도서관은 2004년 7월 15일 개관하여 31,000여 점의 장서를 4,793 가족회원에게 일 평균 대출 579권 (회전율 5.22), 15개 프로그램을 운영 중. 도서관 현황 개관일자  2004년 7월 15일.
이족 보행 시뮬레이션 서울대학교 운동연구실 운동연구실에서는 사람의 보행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디자인유형(2) 비실험디자인 선실험디자인.
(제작자: 임현수)모둠:임현수,유시연,유한민
Ⅲ. 남부 지방의 생활 제 4장 관광산업이 발달한 제주도 주제1. 화산 활동으로 이루어진 섬, 따뜻한 기후.
노인의 요양 낙상과 욕창.
2011회계연도 톤세제 적용 설명회
7월 중 여사원 교육 과정 안내 ㈜한국비즈니스정보원 원 장 임 경 진
15 향 소 제 소사고 제15회 일시|` (목) 9:00~17:00 장소|소사고등학교 교정 th
무시하는 상사 일 미루는 동료가 최악 많이 웃으셧나요? 이제 펀경영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11.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숙명여자대학교 임순범.
방송대 공부는 어떻게 합니까? 모든 온라인 교육은 스마트폰으로 수강 가능 STUDY
고객만족조사의 이해(2) CSA컨설팅 SCS아카데미.
제 9 주차 설명적 조사설계.
현장학습후기 Present Date 화공생명공학과 김완수 한국플랜트 산업협회 안녕하십니까
두마리 토끼를 잡아라! 「노키아」 김지환 수석연구원 삼성 지구환경연구소.
A Practice Device for Frequency Response
마케팅 원리와 전략 김범종, 송인암, 박승환, 황용철 도서출판 대경:
제2장 경영의 역사 I. 경영의 흔적들 II. 현대경영의 태동과 발전.
[도입 사례] 스타벅스의 인간중심 경영 스타벅스는 처음부터 인간에게 중심을 둔 기업이념을 확고히 한 기업이었다. 물론 혼란도 있었다. 이 회사는 지나친 확장정책으로 인하여 지난 2007년 어려움에 빠지게 되었다. 이때 스타벅스는 ‘인간중심의 경영’, ‘직원 사랑’의 이념을.
Presentation transcript:

제7장. 작업관리

1. 작업관리의 의의 및 연구영역 작업관리의 의의 작업관리의 내용 현장에서 여러 작업방법이나 작업조건 등을 조사ㆍ연구하여 무리와 낭비가 없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의 작업방법을 추구 나쁜 작업조건들을 개선하여 최적의 작업조건을 이루도록 하는 활동 작업관리의 내용 동작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최선의 작업방법을 찾아내어 작업표준으로 정하는 방법연구 시간연구를 중심으로 방법연구의 개선된 작업내용을 토대로 해서 표준시간의 설정 및 유지를 목적의 작업측정연구 공업경영

1. 작업관리의 의의 및 연구영역 <그림 7-1> 작업관리의 연구영역 공업경영

2. 방법연구 방법연구의 정의 작업 중에 포함된 불필요한 동작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을 과학적으로 자세히 분석하여 필요한 동작만으로 구성된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작업방법을 찾아내 는 기법 공정분석ㆍ작업분석ㆍ동작분석 등의 기법으로 연구 방법연구의 기법 (1) 공정분석 공정분석의 개요 공정 제품화되는 과정의 가장 작은 일의 단위 “동작”이 합해진 “요소작업”이 있고 여러 개의 요소작업이 모여 단위작업의 기능 공정의 종류와 공정분석 : <표 7-2> 참조 가공공정: 물품의 변동․변질․조립․분해 등을 하는 공정 운반공정: 물품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공정 검사공정:물품의 수량․치수․품질, 설계도에 표시된 특성을 확인하는 공정 정체공정: 위의 3공정의 도중에 발생하는 대기공정 보관공정: 재료․제품․서류 등의 보관ㆍ저장 공업경영

2. 방법연구 공정분석의 목적 공정분석은 일련의 공정을 공정의 순서에 따라 조사ㆍ분석하고, 공정 가운데에서 빚어 지는 낭비ㆍ산포ㆍ무리나 도중에 발생할 대기상태 등을 파악하여 개선의 포인트를 골 라내어 개선안을 만들기 위한 분석기법 <그림 7-3> 단순공정분석 <그림 7-4> 세밀공정분석 공업경영

2. 방법연구 공정분석의 기법 제품공정분석 작업자공정분석 연합공정분석 제품의 물류(物流)에 주안점을 두어 작업의 순서를 설계하거나 개선하는 분석기법 작업자공정분석 한 단위의 작업을 해 나가는 한 작업자의 작업 활동을 ‘작업’, ‘검사’, ‘이동’ 및 ‘대기’를 나타내는 기호를 사용하여 도표화 하는 기법 연합공정분석 공장 작업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계, 기계와 기계의 구성으로써 행해지는 경우도 많 은데, 이를 능률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개선기법 <표 7-3> <표 7-3> ‘프레스기에 의한 철판 구부리기’ 사람ㆍ기계도표 공업경영

2. 방법연구 - 공정분석의 예 (작업자공정분석) 공업경영

2. 방법연구 (2) 동작분석 동작분석의 의의와 목적 동작분석방법 : 서블릭 분석, 필름분석, 동작경제의 원칙, 동작경로분석 작업의 동작내용을 도표화함으로써 움직임의 낭비를 없애고, 피로가 보다 적은 동작의 순서나 결합을 마련하기 위한 분석기법 동작분석의 목적은 작업자의 동작순서․방법을 파악하고, 동작 속에 낭비, 무리, 불균 형 움직임이 없는지 가려내어서 균형 잡힌 동작을 취하고자 함 동작분석방법 : 서블릭 분석, 필름분석, 동작경제의 원칙, 동작경로분석 서블릭 분석 사람이 작업을 할 때의 기본적 동작요소를 기호화 동작요소를 ‘길브레스의 기본요소’ 또는 ‘서블릭(Therblig)’ 효율적 서어블릭: 작업의 진행과 직접적 연관을 가지는 동작 기본동작부문: 빈손이동, 운반, 쥐기, 내려놓기, 미리놓기 동작목적을 가지는 부문: 사용, 조립, 분해 ---> 소요시간 단축은 가능하나 배제는 불가능 비효율적 서어블릭: 작업을 진행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못하는 동작 정신적 혹은 반정신적인 부문: 찾기, 고르기, 바로놓기, 검사, 계획 정체적인 부문: 불가피한 지연, 피할수 있는 지연, 휴식, 잡고있기 ---> 동작경제원칙을 적용하여 제거 공업경영

2. 방법연구 공업경영

2. 방법연구 동작경제의 원칙 (The Principles of Motion Economy) 유용한 일을 증가시키기 위해 피로가 줄어 둘게 하고, 인력을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경 험적인 법칙 Ralph M. Barnes - 동작경제원칙 22가지 제시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Use of the human body) 두 손의 동작은 같이 시작하고 같이 끝나도록 한다. 휴식시간을 제외하고는 양손이 동시에 쉬지 않도록 한다. 두 팔의 동작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손과 신체의 동작은 작업을 원만하게 처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낮은 동작등급 을 사용하도록 한다. 가능한 한 관성(momentum) 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도록 하되, 작업자가 관성을 억제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발생되는 관성을 최소한도로 줄인다. 손의 동작은 완만하고 연속적인 동작이 되도록 하며, 방향이 갑작스럽게 크게 바뀌는 모양의 직선동작은 피하도록 한다. 탄도동작(ballistic movements)은 제한되거나 통제된 동작보다 더 신속하고, 용이하 며 정확하다 가능하면 쉽고, 자연스러운 리듬이 작업동작에 생기도록 작업을 배치한다. 눈의 초점을 모아야 작업을 할 수 있는 경우는 가능하면 없애고, 이것이 불가피할 경우 에는 눈의 초점이 모아지는 서로 다른 두 작업지점간의 거리를 짧게 한다. 공업경영

2. 방법연구 공업경영

2. 방법연구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Arrangement of the workplace) 모든 공구나 재료는 지정된 위치에 있도록 한다. 공구, 재료 및 제어장치는 사용위치에 가까이 두도록 한다 공업경영

2. 방법연구 공구 및 설비의 설계에 관한 원칙( Design of tools and equipment) 중력이송원리를 이용한 부품상자 (gravity feed bin)나 용기를 이용하여 부품을 부품 사용장소에 가까이 보낼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하다면 낙하식 운반 (drop delivery) 방법을 사용하라 공구나 재료는 작업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그 위치를 정해준다. 작업자가 잘 보면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명을 비추어 준다. 작업자가 작업 중 자세의 변경 즉 앉거나 서는 것을 임의로 할 수 있도록 작업대와 의 자 높이가 조정되도록 한다. 작업자가 좋은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좋은 디자인의 의자를 제공한 다. 공구 및 설비의 설계에 관한 원칙( Design of tools and equipment) 치구(jig 와 fixture)나 족답장치(foot-operated device)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작업장에서는 이러한 장치를 활용하여 양손이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공구의 기능을 결합하여서 사용하도록 한다. 공구와 자재는 가능한 한 사용하기 쉽도록 미리 위치를 잡아준다.(pre-position) (타자칠 때와 같이) 각 손가락이 서로 다른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량을 각 손가락의 능 력에 맞게 분배해야 한다. 레버(levers), 핸들 그리고 제어장치는 작업자가 몸의 자세를 크게 바꾸지 않더라도 조 작하기 쉽도록 배열한다. 공업경영

2. 방법연구 공업경영

2. 방법연구 서블릭에 의한 동작분석의 예 1 공업경영

2. 방법연구 서블릭에 의한 동작분석의 예 1 공업경영

2. 방법연구 서블릭에 의한 동작분석의 예 2 볼트에 고무와셔, 강철와셔, 록와셔 등의 3가지 와셔를 끼우는 작업 공업경영

2. 방법연구 서블릭에 의한 동작분석의 예 2 공업경영

2. 방법연구 서블릭에 의한 동작분석의 예 2 공업경영

2. 방법연구 서블릭에 의한 동작분석의 예 2 공업경영

3. 작업측정 작업측정의 의미와 목적 작업측정기법 작업측정의 의미 작업측정의 목적 직접측정법 간접측정법 작업의 내용이나 방법을 정량화하기 위한 척도로써 시간을 사용해서 측정하는 방법의 총칭 작업측정의 목적 작업개선을 지원한다. 무효요소를 명확히 한다. 표준시간을 결정한다. 작업측정기법 직접측정법 시간연구(Time Study) : 작업의 시간적 경과를 측정하는 기법 워크샘플링(Work Sampling) : 무작위로 선정된 시간에 작업자 또는 기계설비 등의 가동상태를 관찰해서 샘플을 취하여, 그때의 상태를 미리 정한 분류에 따라 기록한 후 집계하여 각 현상의 발생률 설정 간접측정법 PTS(기정시간표준법) : 요소동작 또는 운동에 대해 미리 정한 일정한 값을 적용해서 작업시간 값 설정 표준자료법 : 반복요소에 대해 시간연구 또는 PTS로 구한 시간값을 합하여 새로운 작 업시간 값을 합성 실적자료법 : 작업의 실적시간자료를 통계적으로 정리해서 기준시간 값 산정 공업경영

3. 작업측정 표준시간 표준시간의 정의와 용도 표준시간의 정의 표준시간의 용도 표준시간이란 그 작업에 맞는 적성과 숙련을 가진 작업자가 소정의 작업을 표준작업방 법과 작업조건을 유지하면서 무리 없는 양호한 작업속도를 가지고 1단위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다. 일정한 환경조건과 배치아래 일정한 설비ㆍ치공구를 사용해서 일정한 작업순서에 따라 그 작업이 요구하는 지식과 숙련을 가진 작업자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무리없는 양호한 작업속도로 1단위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며, 그 시간에는 필요한 여유가 부가되어 있 다. 표준시간의 용도 작업방법의 비교선택 조편성으로 하는 작업의 균형유지 한 사람이 분담할 기계대수의 결정 생산계획상 기초자료 가공비 견적 생산량 급여의 기초 작업능률 평가, 필요 인원 결정 공업경영

3. 작업측정 표준시간 결정방법 표준시간의 구성 표준시간 = 정미시간 + 여유시간 또는 = 정미시간(1+여유율) 표준시간 = 정미시간 + 여유시간 또는 = 정미시간(1+여유율) 여유시간: 인적여유(물마시기, 화장실, 땀닦기 등), 피로여유(휴식), 작업상여유(품질 불균일, 기계조정, 조별 속도 맞춤 등), 관리상(작업지시받음, 청소, 고장수리 등) 여유율: 방법A=여유시간/정미시간(p179 예제), 방법B=여유시간/근무시간(p184 예제 ) <그림 7-7> 작업시간과 표준시간의 관계 공업경영

3. 작업측정 표준시간 설정순서 <그림 7-8> 표준시간의 설정순서의 개념도 공업경영

3. 작업측정 시간연구 시간연구의 의미와 목적 시간연구를 위한 작업내용의 요소분할 시간연구는 작업 구성단위(작업요소)로 분할해서 어떤 시간 측정 기구 또는 기록장치 를 이용하여 시간을 척도로 관측하는 기법 작업에 필요한 시간, 작업대기 시간, 그 밖의 낭비적인 작업시간을 찾아냄 시간연구를 위한 작업내용의 요소분할 단위작업 하나의 공정목적을 형성하는 부문목적의 각각의 단위: 예로써, 1회의 장착, 선반 가공 의 ‘거친 절삭’ 등 요소작업 하나의 단위작업을 실현하기 위해 작업자가 다루는 하나하나의 대상물을 어떤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1단위 <표 7-11> 작업의 측정단위 공업경영

3. 작업측정 관측 방법 진행 순서 스톱워치나 비디오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작업을 실제로 측정 작업자는 평균 혹은 이를 다소 상회하는 작업자를 선택 관측자가 작업자의 정면보다 뒷편 1.5m-2m 정도 비켜서서 10-20회 관측 진행 순서 직장의 이해와 협조를 구하고, 대상작업자를 선정하여 시간연구의 내용을 설명한다. 작업을 요소작업으로 분할하여 기록한다. 작업을 실제로 관측하여, 시간치를 관측지에 기록한다. 관측회수가 충분한지 검사한다. 작업수행도를 평가(rating)한다. 요소작업별 평균시간치를 구한 후 평가계수를 사용하여 정미시간(혹은 정규 시간, Normal Time)을 구한다. 여유율(Allowance)을 결정하여 표준시간을 산출한다. 공업경영

3. 작업측정 수행도 평가(레이팅) 예 레이팅의 의미 관측한 실시간을 표준적인 사람이 하는 계산으로 수정하기 위해서 관측자가 지니고 있 는 표준속도의 개념과 관측 중인 작업자의 작업속도를 머릿속에서 비교하여 평정하는 절차 관측시의 작업조건이나 작업자의 숙련이 표준에 못 미치고 있거나 표준 보다 높 을 때, 작업자의 기능도, 노력 정도, 안정도와 작업조건 등을 고려하여 관측시간 의 평균치를 보정하는 것 레이팅 방법 레이팅계수 = 실제수행도 / 기준수행도 정미시간 = 관측실시간 X 레이팅계수 예 측정된 작업의 관측시간 평균치 = 2분 정상보다 20% 빠르게 작업했다면 (레이팅계수 = +0.2) 정미시간(NT) = 2 X (1 + 0.2) = 2.4 분 정상보다 10% 느리게 작업했다면 (레이팅계수 = -0.1) 정미시간(NT) = 2 X (1 - 0.1) = 1.8 분 여유율이 10%라고 하면 표준시간(ST) = 2.4 * (1 + 0.10) = 2.64 분 공업경영

3. 작업측정 워크샘플링법 (Work Sampling) 작업자를 무작위로 관찰하여 특정 활동에 실제 소비하는 시간의 비율을 추정하고 이 에 근거하여 시간표준을 설정하는 기법 절차 연구대상 직무나 그룹 선정 작업자에게 연구를 수행함을 알리고 작업자의 활동을 나열ㆍ기술 필요한 관찰의 횟수 및 관찰시점을 결정 작업자의 활동을 관찰하고, 평정하고, 기록 산출물의 단위당 정미시간을 구함 정미시간 = (총작업시간*실제 작업중인 비율*레이팅계수) / 총생산량 공업경영

3. 작업측정 워크샘플링법 공업경영

연습문제 1) 어떤 공정에 대한 작업측정을 한 결과 A작업자의 작업시간은 평균 5.3분이고, 레 이팅계수는 105%이다. (1) 정미시간은 얼마인가? (2)여유율이 10%라고 할 때 방 법A(23번 슬라이드)에 의한 표준작업시간은 얼마인가? 2) 3개의 요소작업(각기 다른 작업자가 수행)으로 이루어진 특정작업에 대한 시간측 정 결과가 다음과 같다. 여유율(방법A)이 20%라고 할 때 이 작업에 대한 표준시 간은 얼마인가? 3) 2주일간의 작업시간(4800분)에 작업표본을 추출(워크샘플링)한 결과 다음과 같은 자료를 얻었다. 총생산량: 225개, 관측된 작업비율: 0.8, 레이팅계수: 110% 이 때의 제품당 정미시간은 얼마인가? 공업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