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의 역사 한국 미국 영국.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Advertisements

Ⅷ. 정치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4.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한다 ! 사회교육과 김문주.
지역사회복지론 ) Community welfare 제 4 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목차 Ⅰ.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Ⅱ.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Ⅲ.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2. 민주주의의 시련과 경제 개발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과정과 그 성과는 ? Ⅹ. 대한민국의 발전.
지역사회복지론 3 주차 :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3 교시 :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김경석 교수.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12-2 자원봉사센터의 개념 - 지역사회복지론 -.
회복적 생활교육 Restorative Discipline
자원봉사센터 *목차* ♤조원:마미숙,김미영,박소영 박은미,최경실,이수인 자원봉사센터의 정의와 설립목적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2015년도 신기술 공공서비스 사업 통합 설명회 개최 안내 설명회개요 세부 일정 오시는 길
사회복지학부 03H0028 안상엽.
Volunteer work.
제 10 장 재가복지 센터.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지역사회복지 06.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종이팩 재활용 실태조사 홍수열/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2-3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지역사회복지론 -.
2-2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지역사회복지론 -.
Ⅰ. 인보관과 인보정신 * 인보관의 각 국가별 기원
지방자치제의 개념 지방자치제 실시와 지역사회복지 로컬 거버넌스 사회복지 재정분권
포항시종합자원봉사센터 오인섭 , 임건택.
국가균형발전과 환경정책 - 기업경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 환경 경영 학회 부회장 차 근 호.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모형 영국 미국 일본 한국.
<실습일정표> 7월 3일~8월 4일(5주)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이해.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Ⅱ. 가족복지 정책 가족복지론 최진령.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
4장.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영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장 우 심.
제3장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사회복지실천론.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9강의 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김 포 대 학 교.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제장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제1절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실천 지도교수 : 장 덕 희 교수님 발 표 자 : 권 영 주.
제8장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관의 현황과 전망 신 용 규 사무총장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의 실천.
인권(人權)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Through the Human Rights 정 수 홍.
조직화란 조직의 목표를 최상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제 2 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한국 외국(미국, 영국).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Anyang Volunteer Center
저소득 어르신의 무료급식 지원 및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클럽 상담자'로 봉사 국제협회  지대위원장 연수.
5. 도시 재개발과 주민 생활의 변화 ② 도시 재개발 과정.
3. 연구접근방법 가. 분석 수준(level of analysis) 1) 거시적 분석수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2).
제3장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제4편 북한경제와 남북한 경제교류 제11장 북한의 경제체제와 발전.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제8장 지역사회복지.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1. 돌파지식 제목 2.핵심성과 3.핵심 아이디어 4.실행 프로세스 ★ 돌파 레벨 : 개인 / 팀 / 복지관 / 재단
지방자치제도.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한국 미국 영국

한국: 근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촌락 단위의 협동관행이 중심 두레 : 촌락단위에 조직된 농민들의 상호협동체 계 : 공익, 산업, 영리, 친목, 공제 목적의 모임 품앗이 : 부락내 농민들이 노동력을 상호 차용 또는 교환하는 조직 향약 : 지역사회의 발전과 지역주민들의 순화, 덕화, 교화를 목적으로 한 지식인들간의 자치적인 협동조직 오가통제도 : 강제성을 지닌 조선시대 인보제도. 지방행정의 운영을 돕는 제도.

한국: 근대화시기(인보관) 반열방 : 1906년. 원산. 최초의 인보관 태화여자관 : 1921년. 일제 시대 인보관 설립 : 1927년 동부 인보관 등 5곳. 6∙25 전쟁 이후 : 외원 물자 및 서비스를 전달하는 활동 중심 이화사회관 : 1956년. 최초의 대학 인보관

한국 : 지역사회개발사업(새마을운동) 1970년 새마을 가꾸기 운동 개시 : 농촌 중심으로 시작 1977년 공장 새마을 운동 1979년 도시 새마을 운동으로 확대 5공화국 이후 민간주도의 새마을운동으로 전환 새마을운동의 의의 : 한국 농촌의 근대화, 한국 경제발전의 초석. 토착적 지도자 발굴 및 훈련

한국 : 지역 중심의 서비스 제공 확대 정부주도 하에 복지시책 추진 지역사회복지관의 설립 :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에 따라 공식적으로 국가지원 받게 됨. 영구임대아파트단지 내 건립 법제화, 사회복지관 설치∙운영 규정을 제정 재가복지서비스의 도입 : 가정봉사원파견사업 실시, CBR 실시 사회복지전담요원제도 실시 : 1987년부터 지역사회행동모델의 확대 : 지역조직화사업, 주민운동 전개, 자조집단 출현

한국 : 현재 새로운 전환기 : 지방자치단체의 부활, 사회복지 확대 정책, 경제위기 등 사회복지관과 재가복지봉사센터 증가 사회복지기관평가 실시 지역 자원봉사센터 건립 지역사회중심의 자활지원사업 전개 광역단체 및 기초자치단체 사회복지협의회의 독립법인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구성, 지역사회복지계획수립, 사회복지재정의 지방분권 등

자선조직화 운동(Charity Organization Society: COS) 1869년 영국에서 시작 1877년 미국 버펄로에서 창설 설립 취지 : 당시 빈민을 대상으로 하는 수많은 구호단체들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함 의의 사회사업기관들의 서비스 조정을 통해 합리적인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공동모금회와 사회복지협의회로 발전 직접적인 구호와 서비스 제공

인보관 운동(Social Settlement Movement) 인보관 운동의 의의 빈민들의 열악한 환경을 파악하고 그들에게 교육하고 환경 개선하기 위해 빈민 지역에서 정착하여 활동함 빈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자들을 위해 적절한 자립 방안을 모색 대학생 자원봉사자과 후원자들을 활용

(Social Settlement Movement) COS와 인보관 비교 구분 자선조직협회(C.O.S) 인보관운동 (Social Settlement Movement) 인력의 참여형태 우애방문원 빈민들과 거주하는 자원봉사자 사회문제의 원인 개인적 속성 환경적 요소 이데올로기 사회진화론 자유주의, 급진주의 참여주도층 상류층 중류층과 대학생 사회문제 접근 및 해결방법 빈민개조와 역기능의 수정 가치있는 빈민과 가치없는 빈민으로 구분하여 원조 빈민과의 거주와 빈민생활에 동조 기존 사회질서 비판 실용주의 및 개혁주의 노력 도움제공 유형 단기간 자선구호 도덕심 향상 상부상조, 자조 사회 및 정치적인 행동 영향 지역사회조직 실천방법(공동모금, 사회복지협의회), 개별사회사업 모태 지역사회복지관 형성에 영향

미국 : 자선조직협회 19세기 말 : 도시집중화로 인해 도시문제 심각. 1877년 뉴욕 주 버팔로 시에 자선조직협회 창설 사회복지기관협의회로 발달 : 지역사회 내 복지서비스를 조직화,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모금 능력을 강화

미국 : 헐하우스 헐하우스 : 1889년 최초의 인보관 건립 주요 사업 : 여성과 소년 소녀의 클럽 조직 활동, 보육원의 운영, 거리청소 등 지역사회의 개선과, 무료 목욕실의 제공, 도서관, 일요학교, 노동보호입법의 제안, 이민자 상담 및 교육서비스 등의 활동 근린지역사회센터 발달 :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발달, 지역사회조직이론과 기술 강화

미국 : 대공황 이후 대공황 이후 : 공공사업 분야 확대, 빈민구제 사업이 정부기관으로 이양 알린스키의 지역조직운동 활성화 : 민주적인 지역사회조직 확산. 조직활동가의 역할, 갈등 전술 발달

미국 : ‘빈곤과의 전쟁’ 이후 지역사회행동 프로그램 : 지역사회 주민 조직화, 당면 문제를 직접 해결하도록 유도. => 풀뿌리 대중 조직 신보수주의 이념 확대 자조를 기반으로 하는 모델 강조 자조집단 형성, 자원봉사 조직화 사회복지기관의 계획, 행정, 조직발전, 평가개발 강조 지역사회중심의 민간비영리조직 확산

영국 : 자선조직협회와 토인비홀 자선조직협회 결성 토인비홀 : 세계 최초의 인보관 목적 : 자선활동의 중복과 누락 해결, 새로운 재원의 확보 근본이념 : 현존 자선단체들의 상호관계를 밀접하게 함 토인비홀 : 세계 최초의 인보관 바네트 목사가 건립 빈곤자에 대한 교육과 문화적인 활동, 보건문제, 그리고 빈곤자 문제에 지역주민들이 관심을 갖도록 하는 활동에 주력

영국 : 지역사회보호 발달과정 1950년대 이전 : 지역사회보호사업 개시 1951-1970년대 1971년 이후 정신위생법 제정(1959) : 재가복지서비스 규정 보건과 복지, 재가복지서비스의 개발(1966) : 재가복지서비스 정책 본격화 노인주택 건설 본격화 : 탈시설화 이론 영향 1971년 이후 시봄보고서 : 대인서비스에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와 주민 참가 등을 강조 1975년 이후 노인주택의 다양화 정책 : 보건, 복지, 주택을 통합한 재가복지서비스가 구체적으로 전개

영국 : 지역사회보호의 동향 그리피스 보고서(1988) : 지역사회보호를 위한 권한과 재정을 지방자치단체에 이양, 책임 강조=> 중앙정부 역할 축소 지역사회보호 개혁(1993) : 시장경제 원리(소비자의 선택과 제공자의 경쟁)을 통하여 지역사회보호서비스 수준 향상, 케어 매니지먼트 도입 => 민간부문의 역할 강조 케어의 혼합경제, 복지다원주의

복지다원주의(welfare pluralism) 복지 제공의 네 주체(국가, 시장, 자원봉사부문, 비공식부문) 가운데 국가의 역할을 줄이고 다른 세 주체의 비중을 늘리자는 주장 복지 제공의 脫중앙화, 복지서비스의 공급과정과 복지에 관한 주요 의사결정에서의 주민 참여, 자원봉사 부문의 역할 강조 복지서비스의 제공주체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민간(기업)도 포함 민간복지제도의 민영화를 통하여 정부의 복지 지출을 최대한 억제 ∙소비자 선택권을 강조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주체의 경쟁을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