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 쿠싱증후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Advertisements

성홍열 (Scarlet fever) A 군 β- 용혈성 연쇄구균의 홍반독소에 의한 발열과 홍반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성 질환.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질환관리 - 대사 증후군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정 혜 선.
Ⅱ운 동과 비만 관리 1.
Focused Product Portfolio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Steroid와 NSAID의 작용 및 기전 충남학술위원회 부여군 홍산한의원 이기성.
관절염 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과장 김형식.
서울의대,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최 성 희
Knee & Spine Hospital, Seoul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퇴행성 신경질환.
아이가 다리가 아파요~ 건국대학교 부속 충주 병원 정형외과 스포츠 의학 및 관절내시경 고덕환
유 방 암 6조:최복엽 문성호 곽동우 이연자 김소원.
여 드 름 정 피부비뇨기과 파티마 메디컬스킨케어 정 찬 의.
피부의 구조 및 기능 피부는 표층으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 피부부속기로는 털, 기름샘, 땀샘 등이 있다. 발생학적으로 피부는 외배엽과 중간엽에서 유래한다.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이고, 표층으로부터.
생 물 교 재 론 PRESENTATION 서울대학교 사범 대학 생물교육과 장지은.
강예나 서민혜 이성은.
스트레스(stress).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08. 선천성 및 유소아 질환 1. 선천성 유전질환 1) 유전학적으로 본 병인의 분류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구강악안면영역의 신경질환 동통.
내분비계 질환 간호학과 야간 김혜은.
내분비계에 작용하는 약물 당뇨병치료약 부신피질호르몬 갑상샘호르몬과 항갑상샘물질 골무기질 항상성에 영향을 주는 약물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피임이란?.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이소플라본의 기능성 문 희.
Exercise Physiology 제 5부 호르몬과 운동 내분비기관의 위치 호르몬의 일반적인 기능 운동에 따른 호르몬 반응
활기찬 하루를 여는 “건강 박수 !!!”.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청소년기의 신체적 변화와 호르몬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내분비.
비침습성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하는 환자에게서 호기 기도 양압 올리는 경우 공기 삼킴증 (Aerophagia) 에 의한 횡격막 기능 부전위험성 있다.
웃음의 힘 POWERPOINT 광고홍보학과 강지수.
묘성증후군 백화순.
홍 길 동 목원대 행정학과 3년 AIDS 의 이해 홍 길 동 목원대 행정학과 3년
피부계 1. 피부병변, 증상 및 진단명 abscess 농양 acne (point) 여드름
호르몬이란? 동물의 내분비 샘에서 분비되어, 몸 안을 순환하며 화학적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작용을 하는 물질의 총칭.
호르몬의 조절 작용(1) 항상 일정하게! 신경계와 호르몬의 조절 작용 혈당량 조절 모의 실험.
면역 장애 1 1.
지식회고 소장전막 내분비기관 화학 조절 미량 체액
약물조사 항암제 - 관해 유도 치료 - 유지요법 - 항생제 - 항진균제 - 진토제.
3조 : 손우리, 송문주, 신예림 안윤하, 양미진, 양진영 원데레사, 윤소연, 이경화, 이미선
I. Wellness : Life-Styles for Healthy Living
치과와 미생물.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스트레스와 건강.
중 증 환 자 보 고 서 2007년 1월 11일.
Automatic nerve system
피터팬 증후군 (Peter Pan Syndrome)
터너 증후근 (Turner Syndrome)
내분비계 건강문제 - 학령기 아동의 조절장애 1 1.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주사료.
몸도 마음도 청 춘 윤 금 노 인 요 양 원.
비만프로그램 건강피아.
생약 혼합 추출물을 사용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치료기술 Tech Biz Material 기술소개자료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안전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단독 · 쿠싱증후군

단독 (erysipelas) 원 인 증 상 화농균의 하나인 연쇄상구균 습진, 피부염 열상 동상 등 피부외상의 감염으로 진피속에 화농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 원 인 잠복기는 몇 시간~2일 갑자기 오한과 고열이 나고 피부에 찰과통(擦過痛)이 일어나면서 적반(赤斑)이 생기는데, 경계가 선명하며 약간 부어 오른다. 만지면 딱딱하고 열감(熱感)과 압통이 있으며 림프선도 붓고 아프다. 주로 얼굴과 두부(頭部) 및 외상을 입기 쉬운 손, 발에 생기고, 코 ·입 ·인후(咽喉)의 점막에서 볼 수 있다. 증 상

단독 (erysipelas) 합병증 치 료 림프관염 ·림프절염 ·뇌막염 ·신장염 ·폐렴 ·패혈증 등을 일으킨다. 합병증이 생기지 않도록 안정을 취한다. 국소적으로 붕산수나 리바놀 찜질, 각종 연고를 사용 전신적으로는 술파제나 페니실린, 그 밖의 항생제를 쓴다. 전신 증상은 항생제 투여 1-2일에 호전 되지만, 피부 증상은 더 오랜 치료 기간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치 료

쿠싱 증후군

Cushing's syndrome 정 의 분 류 우리 몸에 당류 코르티코이드가 지속적으로 지나치게 많이 존재하면서 여러 가지 대사적 이상이 나타남. 정 의 외부에서 장기적으로 많은 양의 부신 피질 호르몬제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한 경우로 이러한 경우를 의인성 쿠싱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체내에서 뇌하수체나 부신의 이상으로 부신 피질 호르몬이 과잉 분비되어 쿠싱 증후군이 나타납니다. 분 류

Cushing's syndrome 증 상 10-20대와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체중이 증가하는 중심성비만 10-20대와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체중이 증가하는 중심성비만 붉은 뺨과 둥근 얼굴, 목 뒤에도 지방이 축적 아랫배, 엉덩이, 허벅지 등의 살이 터서 붉은색 또는 보라색의 선조가 생기기도 합니다. 근육에 힘이 없어지고 신경과민으로 정서 불안정과 우울증이나 정신병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여성의 경우 여드름, 다모증, 그리고 과소월경이나 무월경이 나타나기도 한다. 증 상

Cushing's syndrome 외부에서 장기적으로 많은 양의 부신피질호르몬제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하는 의인성 쿠싱 증후군. 자연 발생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뇌하수체 종양에서 부신피질을 자극하는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 경우, 부신의 종양에서 부신피질호르몬을 많이 분비하는 경우. 다른 조직의 종양. 원 인

Cushing's syndrome 합병증 치 료 고혈압, 당뇨병, 골다공증 등 장기간 방치할 경우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 의인성 쿠싱증후군 - 스테로이드제를 중단. 부신피질의 종양 - 양성종양의 부신선종이면 선종을 떼어낸 후, 하이드로 코티졸의 분비기능이 회복되는 1~2개월 동안 하이드로 코티졸을 사용하고 암 등의 악성 종양일 때는 수술로 떼어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수술이 불가능 할 때에는 약제로 치료하는 방법. 뇌하수체 종양-종양을 떼어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최근에는 부신피질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제를 사용. 치 료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