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1.3.1 원의 방정식. 생각해봅시다. SK 텔레콤에서는 중화동에 기지국을 세우려고 한다. 이 기지국은 중화고, 중화우체국, 뚝방에 모두 전파를 보내야 한다. 기지국은 어디에 세워야 할까 ? 중화동의 지도는 다음과 같다 원의 방정식.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연암공업대학 기계설계과.
Lecture of Shaft Connector
재료의 기계적 성질 Metal Forming CAE Lab.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공차 및 끼워맞춤.
Basic principles of roundness measurement
차량용 교류발전기 alternator Byeong June MIN에 의해 창작된 Physics Lectures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공학 및 실습 자동차 구동장치-2 전남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교수 임 명 택.
1-4 ≫ 재료의 강도 1. 하중의 종류 (1) 작용 방향에 따른 분류 ② 전단하중(shearing load)
5 장 비 틀 림 ► 비틀림 하중의 효과 단면: 원형, 사각 등 재료: 선형, 비선형 ► 응력분포와 비틀림 각
프로젝트 8. Electron Spin Resonance
Metal Forming CAE Lab.,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9. 축이음 축이음이란 축과 축을 연결하여 회전토크를 전달하는 기계요소를 말한다. 다른 축을 회전시키는 축을 원동축 또는 구동축이라하고,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토크를 전달받는 축을 종동축 또는 피동축이라 한다. 축이음은 커플링과 클러치로 분류한다. 운전중 탈착이 불가능한.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제조공학 담당 교수 : 추광식 산업시스템공학과.
보 이론 I Beam Theory Metal Forming CAE Lab.
1. 초음파 가공의 구성 1. 초음파 가공 ◆ 초음파 가공기의 장치 구성
Robot System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 가변동작을 통해 자재, 부품, 공구 등을 운반하도록 설계된 재프로그램이 가능한 다기능 조종장치 로봇 도입 효과 . 제품의 흐름이나 생산시간의 예측이 정확 . 설비의 범용성, 유연성 향상 . 위험한 작업으로의.
A Moments of Areas.
내열금속재료 항공기 내열 재료 H조 전성표.
5. 단면의 성질 단면(section)이란 부재축(부재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평면을 말한다. 절단된 부재는 균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구조부재가 힘을 받을 때, 그 부재의 응력도(stress)와 변형도(strain)를 구하기 위해 단면에 관한.
기계 주요 사양 구 분 HL-460 베드 상의 스윙  460 크로스 슬라이드 상의 스윙  280
고체역학 1 기말고사 학번 : 성명 : 1. 각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상태를 구하고 점 C의 변위를 구하시오(10).
Project-5 보고서 -단면형상과 처짐의 관계- 창의설계 6 조.
3. 재료역학 개요 3.1 응력과 변형률 (1) 하중 1) 하중의 개요 ; 모든 기계나 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 즉 외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기계나 구조물의 각 부분은 이들 외력에 견디고 변형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충분히 그 기능을 발휘하여야.
기계요소 Ⅱ.키(Key) 키는 기어나 벨트풀리 등을 회전축에 고정할 때, 또는 회전을 전달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학습 주제 p 운동 에너지란 무엇일까?(2).
기술가정 2학년 2학기 3.기계의 이해 > 1) 기계요소의 종류와 동작원리 > 8/18 그 밖의 기계요소
감쇠진동 damping vibration
고체역학1 기말고사1 2. 특이함수를 이용하여 그림의 보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굽힘모멘트를 구하여 작도하라[15]. A C B
대칭과 전위 3차원 대칭과 32 점군 정족과 정계 결정면의 명칭 3차원 격자와 230 공간군 결정형 결정의 투영
진동이란 무엇인가?.
기술.가정 동력전달 장치.
재료의 기계적 성질 Metal Forming CAE Lab.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Ⅱ. 기계 공업 기술 3. 기계제작 2. 기계제작이란 무엇인가 [ 소 성 가 공 법 ]
기계는 어떤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을까? 기술가정 2학년 2학기
4장.
4.7 보 설계 보 설계과정 (a) 재료강도 결정 (b) 보 단면 산정 (c) 철근량 산정 (d) 최소 및 최대 철근비 확인
Gland Packing 과 Mechanical Seal의 비교
2장. 일차원에서의 운동 2.1 평균 속도 2.2 순간 속도 2.3 분석 모형: 등속 운동하는 입자 2.4 가속도
2장 변형률 변형률: 물체의 변형을 설명하고 나타내는 물리량 응력: 물체내의 내력을 설명하고 나타냄
제6장 부피성형가공 (1) 단조.
Evacuation 진동해석 결과 보고서 (사) 전북대 TIC R&D사업단 선행기술팀
차동 기어 장치 굽은 길을 돌 때 좌우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장치.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문제: 길이 1. 5m의 봉을 두 번 인장하여 길이 3. 0m로 만들려고 한다 아! 변형(deformation)
학 습 목 표 기관 본체의 구성 부품을 설명할 수 있다..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5장 광 파이버 도파로 5.1 계단형 광파이버 (step-index fiber).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02. 기계운동의 원리<128p> 2-1. 우리생활과 기계 1
3.3-2 운동 에너지 학습 목표 1. 운동에너지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운동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7. 힘과 운동 속력이 변하지 않는 운동.
압출 개요 압출 작업 압출하중의 근사계산 압출 공정변수 하중 근사식 모델재료의 이용 전방압출의 해석
고체역학1 중간고사1 부정행위는 친구의 죽이기 위해서 자신의 영혼을 불태우는 행위이다! 학번 : 이름 :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기어(Gear) 1.기어란 무엇인가? 2.기어제도 교수자:김준오.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기계요소 Ⅵ.베어링(Bearing) 회전축을 지탱하며, 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 축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기계요소.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Ch. 11 각운동량(Angular Momentum)
제동 장치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거나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Presentation transcript: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5-1 ≫ 축과 그 종류 1. 축의 용도에 의한 분류 (1) 차축(axle shaft) ▪ 축(軸, shaft)  베어링(bearing)으로 지지, 하중을 받으면서 회전에 의해 동력 전달이 목적인 기계요소 1. 축의 용도에 의한 분류 (1) 차축(axle shaft) ▪ 정지차축(stationary shaft) : 바퀴는 회전, 축은 고정되어 회전체를 지지하며 축은 회전하지 않는 축  차량용 차축 ▪ 회전차축(rotating shaft) : 차륜과 함께 차축도 회전하는 축  철도차량용 차축 Chapter 05 축

(2) 전동축(transmission shaft) ▪ 축의 회전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축 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 ▪ 일반 공장용 축, 프로펠러축(propeller shaft) (3) 스핀들(spindle) ▪ 전동축의 특수한 것으로서 축의 지름에 비해 길이가 짧은 축 ▪ 형상과 치수가 정밀하고 변형량이 극히 작아야 한다. ▪ 비틀림과 굽힘을 동시에 받는다. ▪ 공작기계의 주축 및 터빈 축 등이 있다. Chapter 05 축

<그림 5-1> 축의 종류 Chapter 05 축

2. 축의 형상에 의한 분류 (1) 직선축(straight shaft) (2) 크랭크축(crank shaft) ▪ 왕복운동과 회전운동의 상호변환에 사용하는 축 ▪ 피스톤형 내연기관, 왕복압축기의 축 Chapter 05 축

(3) 유연성축(flexible shaft) ▪ 전동축에 큰 휨(deflection)을 주어서 축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꾸거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축 ▪ 비틀림 강도가 매우 크고, 굽힘 강도가 극히 작은 축으로서 축의 방향이 변하더라도 작은 회전 토크의 전달 가능 ▪ 철사를 4~10겹으로 꼬아서, 그 자신이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코일형과 소형의 커플링, 또는 단축원통을 수많이 연결하여 축 전체가 자유로이 휘어질 수 있도록 한 만능 이음형 ▪ 회전계의 구동축, 그라인더의 숫돌을 임의의 장소에서 구동하는 경우와 같이 전동축에 유연성을 준 것 Chapter 05 축

3. 작용하중에 의한 분류 ▪ 축에 작용하는 하중 : 굽힘을 받는 축, 비틀림을 받는 축, 굽힘, <그림 5-2> 코일형 유연성축 3. 작용하중에 의한 분류 ▪ 축에 작용하는 하중 : 굽힘을 받는 축, 비틀림을 받는 축, 굽힘, 비틀림, 인장, 압축 등의 하중을 동시에 2종류 이상 받는 축 ▪ 중실축(中實軸, solid shaft), 중공축(中空軸, hollow shaft), 균일 단면축, 테이퍼축(taper shaft), 단붙이축(段軸, stepped shaft) 등 Chapter 05 축

5-2 ≫ 축의 재료 ▪ 인장강도가 낮고, 연성 풍부한 0.1~0.4%C 탄소강, 저합금강 ▪ 고하중 및 고회전수의 축에는 Ni강, Ni-Cr강, Cr-Mo강 등 ▪ 보통 크기의 축은 인발강이나 열간압연강이 사용 ▪ 지름이 100[mm] 이상이면 단조에 의해 소재 제작 ▪ 공장용 전동축, 저속 회전용  탄소강의 냉간 인발봉을 필요에 따라 표면경화시켜 사용한다. ▪ 베어링 지지의 저널(journal)부 내마모성 필요  고주파 경화, 또는 침탄처리한 표면 경화강 사용 Chapter 05 축

<표 5-1> 축 재료의 성질 및 용도 Chapter 05 축

5-3 ≫ 축 설계의 고려사항 1. 강 도(strength) 2. 강 성(rigidity, stiffness) (1) 굽힘 변형 (2) 비틀림 변형 3. 진 동(vibration) 4. 열응력(thermal stress) 5. 부 식(corrosion) Chapter 05 축

5-4 ≫ 축의 강도 설계 1. 정하중을 받는 축 (1) 굽힘만 작용하는 축 ① 중실축의 경우 Chapter 05 축

② 중공축의 경우 Chapter 05 축

<그림 5-3> 원형축의 지름 Chapter 05 축

(2) 비틀림만을 받는 축 ① 중실축의 경우 Chapter 05 축

② 중공축의 경우 Chapter 05 축

③ 중실축과 중공축의 비교 Chapter 05 축

<그림 5-4> 전달토크 및 축 중량의 비율 Chapter 05 축

(3) 굽힘과 비틀림을 동시에 받는 축 Chapter 05 축

<그림 5-5> 굽힘 및 비틀림을 동시에 받는 축 <그림 5-6> 모어의 응력원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① 취성재료의 경우 ② 연성재료의 경우 Chapter 05 축

(4) 동력전달축의 모멘트 ▪ 전동축은 회전  주로 비틀림 모멘트 T가 작용 ▪ 축의 자중, 풀리 및 기어의 중량, 벨트의 장력, 축의 처짐, 커플링 및 클러치 등의 편심  굽힘 모멘트 M도 작용 ▪ 등가굽힘 모멘트 Me와 등가비틀림 모멘트 Te의 정확한 계산이 복잡, 곤란하다. Chapter 05 축

<그림 5-7> 전동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① 중실축의 지름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② 중공축의 지름 Chapter 05 축

(5) 굽힘, 비틀림 및 축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축 Chapter 05 축

2. 동하중을 받는 축 ▪ 회전 기계의 축에 작용하는 하중은 불균일 변동하중, 반복하중 또는 충격하중이 복잡하게 조합된 동적하중 ▪ 동하중이 작용하는 축의 설계  정하중이 작용할 때의 굽힘 모멘트 및 비틀림 모멘트보다 큰 값을 고려 ▪ kmM과 ktT로 하여 축의 지름을 구한다. Chapter 05 축

(1) 취성재료인 경우 ▪ 등가비틀림 모멘트를 계산한 후 중공축의 지름을 구하면 (2) 연성재료인 경우 Chapter 05 축

3. 노치의 영향 (1) 키홈이 있는 축 Chapter 05 축

<그림 5-8> 키홈이 있는 축 Chapter 05 축

(2) 응력집중을 고려한 축 ① 키홈이 있는 축의 비틀림 Chapter 05 축

<그림 5-9> 키홈 축의 응력집중계수 Chapter 05 축

② 반원형 홈붙이축의 굽힘 ③ 단붙이축의 굽힘 Chapter 05 축

<표 5-4> 회전축의 지름(KS B 0406) ④ 단붙이축의 비틀림 <표 5-4> 회전축의 지름(KS B 0406) Chapter 05 축

5-5 ≫ 축의 강성 설계 1. 축의 비틀림 강성 ▪ 축의 강성(剛性, stiffness) 설계 - 비틀림 변형에 의한 비틀림각 - 굽힘 변형에 의한 처짐량과 처짐각 1. 축의 비틀림 강성 Chapter 05 축

<그림 5-16> 축의 비틀림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그림 5-17> 축지름의 비교 Chapter 05 축

<그림 5-18> 축의 처짐각 및 처짐량 2. 축의 굽힘강성 ▪ 베어링 간격(bearing span)이 클 때  축의 자중(自重), 기어, 풀리, 벨트의 장력 등에 의하여 축이 기울어져 처짐이 발생 ▪ 축의 처짐은 축의 원활한 회전이 불가능, 베어링에 무리한 부담  과열 및 수명 감소 <그림 5-18> 축의 처짐각 및 처짐량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5-6 ≫ 회전축의 위험속도 ▪ 공진(共振, resonance) : 외력의 변화에 의한 주기(週期)가 축 자체의 고유진동수(固有振動數, natural frequency)와 일치하였을 때 진폭이 점점 커지는 현상 ▪ 위험속도(critical speed) : 축의 굽힘 또는 비틀림 진동에 의해 축의 고유진동수와 같아지는 축의 회전수 ▪ 위험속도에서 축의 회전  공진(共振, resonance) 현상 발생 - 운전의 안정이 깨진다. - 축의 파괴 현상 발생 - 고속 회전체  진동 방지 대책 필요 ▪ 공진진동수  다차항 - 1차항이 가장 위험 - 1차항을 대상으로 위험속도 결정 Chapter 05 축

- 신축의 세로진동(longitudinal vibration) : 위험성 적다. ▪ 축의 진동  신축, 굽힘, 비틀림 등의 진동 고려 - 신축의 세로진동(longitudinal vibration) : 위험성 적다. - 주로 굽힘에 의한 가로진동(transverse vibration)과 비틀림 진동(torsional vibration)을 고려 ▪ 자동차의 크랭크축과 같이 짧은 축이 베어링으로 지지될 때  굽힘 진동이 억제, 비틀림 진동만 고려 ▪ 터빈, 펌프, 송풍기, 압축기 등과 같이 베어링 간격이 큰 축  처짐이 크므로 굽힘 진동도 고려 ▪ 재료의 불균질, 가공 및 조립 정밀도 불량 등에 의한 불균형  원심력(遠心力)도 진동의 원인 ▪ 축의 회전속도가 축의 고유진동수 부근일 때  진폭이 커져서 베어링, 또는 축의 파손 우려, 축의 상용(常用) 운전속도를 그 축의 고유진동수 로부터 25% 이상 떨어지도록 한다. Chapter 05 축

1. 축의 굽힘 진동 (1) 1개의 회전체를 가진 축 ▪ 베어링 사이의 거리가 길고 축지름이 작은 축  처짐이 커지므로 굽힘에 의한 위험속도 고려 ▪ 재료의 불균질, 가공 및 조립의 정밀도 불량 등에 의한 축중심과 중심(重心)의 불일치  원심력도 진동의 중요한 원인 Chapter 05 축

<그림 5-19> 회전축의 진동해석 모델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① 축의 양끝이 베어링으로 자유로이 지지된 경우(자중 무시) <그림 5-20> 축의 위험속도 Chapter 05 축

② 축의 양끝이 스러스트(thrust) 베어링으로 지지된 경우 (자중 무시) Chapter 05 축

③ 균일 지름의 축이 양끝에서 레이디얼 베어링으로 지지된 경우(자중만을 고려) Chapter 05 축

④ 균일 지름의 축이 양끝에서 스러스트 베어링으로 지지된 경우(자중만을 고려) Chapter 05 축

(2) 여러 개의 회전체를 가진 축 ▪ 던커레이(Dunkerley)의 실험식 : Chapter 05 축

(3) 단면이 불균일한 축 <그림 5-21> 단면이 불균일한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2. 비틀림 진동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그림 5-22> 비틀림 진동계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5-7 ≫ 베어링 간격 1. 굽힘 강성에 의한 베어링 간격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

2. 굽힘 강도에 의한 베어링 간격 ▪ 축이 여러 개의 베어링으로 지지된 경우<그림 5-23>  연속보에 균일분포하중 w가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 처짐의 제한을 고려하여 허용굽힘응력을 더욱 작게 선택하여 베어링 간격 계산 ▪ 축의 양끝 부분에 해당되는 ℓ1의 보 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고정된 보 ▪ 중간부분에 있는 ℓ2의 보  양단 고정보 Chapter 05 축

<그림 5-23> 연속보로 간주하는 축 Chapter 05 축

Chapter 05 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