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선방안 점검내용 ① 1 에너지효율 1등급 및 친환경 인증 의무화 강화 에너지효율 1등급 적용대상 확대 및 1등급 기준 상향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도초 5 학년 4 반 김정수 지도교사 전혜원 선생님.  산출물 주제를 정하다가 문득 낮보다 왜 밤이 더 소리가 잘 들리는지 궁금해서 결정했다. 처음에 는 물질의 종류에 따른 소리의 크기로 하려 그랬 지만 실험이 너무 간단한 것 같아서 재료를 늘리 거나 온도를 높이려고.
Advertisements

(재)동남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지원단 광역경제권 선도사업 추진경과 3. 비전 및 목표 4. 조직 구성 5. 주요 추진 경과 7. 향후 추진 계획 6. 세부 추진 내용 발표순서 2. 사업개요 (동남광역경제권)
송 우 경 지역발전위원회 정책연구팀장 `
3 시장 내 민간기업의 적극적인 노인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부의 선도적이고 구체적인 사업 모델 제시 역할 기존 노인일자리사업 민간분야의 정책적 지향을 구체화하기 위한 사업 모델을 제시하여 정책의 연속성과 완결성을 제고 다양한 사업참여 주체와 방식 ( 민간기업의 대응투자,
1 2011` ( 금 ) 신성장동력 인력양성 정책방향. ◎ 3 대 분야 17 개 신성장동력 인력 중점 양성 -> 『신성장동력 인력양성 추진계획』 수립 (‘09.5 월 ) 3 대 분야 17 개 신성장동력 녹색기술 ①신재생에너지 ②탄소저감에너지 ③고도 물처리 ④.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123 위 시복식. 일시 : 8 월 16 일, 10 시 - 13 시 장소 : 광화문 · 서울광장 · 청계광장 일대 인원 : 천주교 신자 20 만 명 포함 100 만 인파 예상.
인천광역시교육청 평생교육체육과 장학사 권상순. 인천 검사실시 학생수 관심군 학생수 관심군비 율 주의군 학생수 주의군비 율 초 164,24226, , 중 102,34019, , 고 104,68815, ,
의료자원 규제현황과 개선방향 자원평가실. 의료자원 관리 개요 규제개혁 토론과제.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제 10 차 회의. 농업의 국가 경제적 비중이 저하되고, 농가인구 고령화가 급속히 진 행 농업 생산성이 낮고, 농산물 무역수지 적자도 지속적으로 확대.
목 차 Ⅰ 제도 도입 배경 및 개요 내일채움공제 사업 안내 내일채움공제 연계 지원 사업 Ⅲ Ⅱ.
응급의료정책 방향 및 비전 보건복지부 의료자원팀장 신 의 균. 1. 응급의료 현황 2. 응급의료 기본계획 수립배경 3. 비전 및 전략 4. 분야별 핵심추진과제 목 차목 차목 차목 차.
지식재산강국으로 가는길, 인천지식재산센터가 함께 하겠습니다 특허정보종합컨설팅 사업자료
D I 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K하이닉스에서는 꿈의 기술로 세상에 행복 날개를 달아줄
1-1. 직무발명제도의 원리 종업원 사용자 특허출원 발명 및 발명자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종업원 명의 특허출원 ?
2009년 녹색기술 연구개발 시행계획(안) 제3차 녹색성장위원회
병원의 CRM사례 디지털샵마스터과 이하영.
CRM (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진 윤 정.
우리나라 암발생률 보 건 복 지 부 중앙암등록본부 지역암등록본부
1.IOT ? 2.IOT 관련이미지 3. 현재진행중(ex:) 4.iot에대한 개인소견?
연 합 남 전 도 회 월 례 회 1부 예배- 찬 송 장 다같이 2011년 1월 2일 1부 예배- 찬 송 장 다같이 기 도
스마트 남해 모바일 앱 완료보고 및 시연회 ㈜아이액츠.
사 업 계 획 2011년 제1호 - 2월 1일 2011 주 안에서 소통하며 화합하고 참여하며 헌신하는 남신도회
부천테크노파크1단지 제12회 정기총회 * 일시: 2012년 3월 20일 14시 * 장소: 1단지 구내식당.
휴먼 배너 (Mobile LED) 제안.
설계 프로젝트 경진대회 성결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내가 꾸미는 우리 집 팀장 김용훈 김경희 김미선 김헌진.
교육실무직 인사노무관리 경상북도교육청.
[별첨2] 참고자료 에너지관리공단 홍보교육실.
춘천을 이끌어 가는 힘! 통계.
㈜다솜씨스쿨 ( 대학 홍보 제안서 본사 입시 사이트( ‘고교 네트워크’를 클릭하시면 본사가 운영 중인 270개 고교의 공식 홈페이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다솜씨스쿨 (
(수) 실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당 및 예비후보자를 위한 선거사무안내.
신년워크숍-전략경영본부 (월), 09:30~13:30, 본관 교육장.
출처 : ebiznote.com 사업관리 개발관리 개발서버(문서함) 산출물 관리대장 컨텐츠 DB DB 개발서버(작업관리)
공공기관 LED조명 교체(백열등,할로겐)시 효과분석
주방 안전지킴이 강민준 강재성 이로운 최민성.
아두이노 기초 제 1 주 강의 소개, 환경 설정.
새로운 물질, 나만의 스마트폰 디자인하기.
-공인노무사 김 완 식 -외식업중앙교육원 노무관리 교수 -열린인사 노무법인 대표 노무사 (열린 세무 회계 고문)
강아지풍선 채색체험,야광 판매 제안서 본사:인천 부평구 원적로269번길10 Tel:(032)
전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2)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5. 전기 전기의 장점 단원 열기 (1)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이용 : (2)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이용 :
사업/성과관리시스템(SMART) 전산접수 매뉴얼 (수행기관용) 2013년 정보서비스팀.
물류단지 총량제 폐지 이후 물류시설 공급정책 방향 국 토 교 통 부.
공용위원회 e-시스템을 이용한 심의신청하기
2016 기관운영 설명회 행정부문
캐리어 저울탑재 캐리어 프리마인드&티안티안 세련된 디자인과 멋스러움!
요한계시록을 여는 3rd key 키 3: 인과 나팔과 대접재앙
센 소리와 약한 소리, 높은 소리와 낮은 소리는 어떻게 다를까?
기술창업팀 프로젝트 사업계획서 (과제명) 창업팀의 사업에 대한 소개글.
회사소개서-.
인생이모작을 위한 지자체의 지원 방안 : 울산 북구청 사례 울산북구인생이모작이음센터
IPHONE용 cross21 사용법 1.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청이 뜹니다.
환경관리 규정 - 목 차 – 1.적 용 범 위 9.환경관리 교육 2.목 적 10.환경 점검
한국석유공사 사옥매각 소재지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7
영인면 종합발전 전략수립 노인복지부문 전혜정 (호서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제안 목적 고객성향 분석으로 매출 증대 유사업체 분석으로 신상품 홍보 원가요소 분석 및 피드백으로 원가율 관리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2 옥정달.
휴대용 복합가스 측정기 소하119안전센터 소방장 김형진
장 비 사 양 서 제품특징 제품사양 제조국 브랜드 KEVIC 모 델 PA2142/M 품 명 POWER AMPLIFIER
6-2. 전해질과 비전해질 구별해 보기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IP-Biz 하나로 서비스 (
자료정제 사용자 교육 (교무업무 부문) 차세대 나이스 구축을 위한 장소: 광주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 대강당 일정
고령친화산업의 현황(2): - 주거관련서비스업, 고령친화제품 제조업, 금융/보험분야, 여가/정보분야 고령친화산업의 발전방향
청렴교육 강사양성 표준강의 6 기타 반부패 청렴정책.
스포츠성공학 이광우 교수님 중등특수교육과 박수현.
이용기관 안내 자료 目 次 전자금융거래법 시행에 따른 전자금융법의 개요 이용기관 준비사항 담당자 안내
수돗물 캠페인 AD채플린 최보근+김지연+안호성+최혜주.
친환경 LED조명(거실,방,주방) 특가 판매 아파트단지 입주민들 가정의 전기료 절감,조도 개선을 위한
꿈꾸는 코딩 노트북 필수 지참 (중요!!) 모집 대상 : 초등 4~6학년 10명
일본의 전자가구 2**80**7 일본어학과 4학년 하*우
Presentation transcript:

개선방안 점검내용 ① 1 에너지효율 1등급 및 친환경 인증 의무화 강화 에너지효율 1등급 적용대상 확대 및 1등급 기준 상향 1.신축 공공건축 에너지효율 향상 에너지효율 1등급 및 친환경 인증 의무화 강화 1 에너지효율 1등급 적용대상 확대 및 1등급 기준 상향 ① 에너지효율 1등급 적용을 공공건축 전분야로 확대 (현행) 업무시설(공공청사)에 대하여만 에너지효율 1등급 의무화 기준 적용 (개선) 업무시설외에 학교, 문화, 체육시설 등 공공건축 전분야로 단계적으로 확대 * 적용대상 확대에 따라 대상시설에 대한 에너지효율 인증 등급 기준 신설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규정』 및 『건축물 에너지효율 등급 인증 규정 개정』

② 1 에너지효율 1등급 및 친환경 인증 의무화 강화 에너지효율 1등급 적용대상 확대 및 1등급 기준 상향 1.신축 공공건축 에너지효율 향상 에너지효율 1등급 및 친환경 인증 의무화 강화 1 에너지효율 1등급 적용대상 확대 및 1등급 기준 상향 ② 건축분야 감축목표 추진로드맵과 연계하여 에너지효율 1등급 기준을 단계적으로 상향조정 * 주거용 : ('12) 30%→('17) 60%→('25) 100% 감축 * 비주거용 : ('12) 15%→('17) 30%→('20) 60%→('25) 100% 감축 (현행) 업무시설(공공청사)에 대하여만 에너지효율 1등급 의무화 기준 적용 (개선) 업무시설외에 학교, 문화, 체육시설 등 공공건축 전분야로 단계적으로 확대 『건축물 에너지효율 등급 인증 규정 개정』(국토부,’11.12)

2 3 친환경인증 1~2 등급 의무화 에너지 사용량 특성에 따라 공공건축 유형별로 엄격한 친환경인증 등급기준(4등급으로 구분)을 적용 (현행) 등급기준 없이 친환경인증 등급을 취득만 하면 됨 (개선) 우선 2등급 이상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단계적으로 1등급 이상으로 확대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개정(국토부․환경부, '11.12) 혁신도시 이전청사를 초에너지 절약 건축물로 건설하는 공공건축 랜드마크 사업추진 3 * 1차 에너지소요량을 1등급보다 50% 이상 감축 (300→150 Kwh/㎡·year)   (현행) 혁신도시 이전청사를 에너지효율 1등급(300 Kwh/㎡·year) 건축 예정 (개선) 에너지효율 1등급보다 50% 이상 절감된(150 Kwh/㎡·year) 초에너지절약형 청사를 혁신도시별 1개소 이상 건축 경제정책조정회의('11.8)에서 의결(국토부)

1 2 1. 공공건축 에너지진단 의무화 에너지진단 결과에 따른 시설개보수 활성화를 위해 에스코 사업 적용기준 완화 2. 기존 공공건축 에너지효율 개선 1. 공공건축 에너지진단 의무화 에너지진단 결과에 따른 시설개보수 활성화를 위해 에스코 사업 적용기준 완화 1 (현행) 등급기준 없이 친환경인증 등급을 취득만 하면 됨 (개선) 우선 2등급 이상을 받도록 의무화하고 단계적으로 1등급 이상으로 확대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개정(국토부․환경부, '11.12) 2 장기적으로 녹색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마련 (현행) 기존 공공건축물에 대한 녹색 리모델링 대책 부재 (개선) 20년 이상 노후 공공건축물(37,288,000㎡)에 대하여‘25년까지 녹색 리모델링을 완료할 수 있도록 자금지원 등 계획 수립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개정(국토부․환경부, '11.12)

2 장기적으로 녹색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마련 ※ 공공건축 현황 (단위 : 천㎡)   ※ 공공건축 현황 (단위 : 천㎡) ☞ 녹색 리모델링에 대한 자금지원 등 계획 수립(국토부, '11.10) 구분 계 업무 문화집회 체육 군사 학교 기타 총계 188,811 18,568 6,296 3,907 10,798 91,446 57,793 10년 미만 60,693 6,741 3,267 1,659 3,678 29,099 16,247 10-20년 65,339 6,486 1,960 1,205 3,811 31,225 20,650 20년 이상 37,288 4,380 861 789 2,014 13,950 15,291 연도누락 25,489 960 207 253 1,294 17,171 5,603

1 2 2. 공공기관 LED교체 LED 교체 활성화를 위한 점검 및 지원 강화 점검, 지경부는 지원예산을 확대하고 기관평가요소 반영 등 다양한 촉진책 마련 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평가하고 재원확보 등 대책 마련(지경부, ‘11.10) 2 신축 공공건축에 대한 LED 설치 의무화로 확대 (현행) 기존 공공건축은 ‘12년 까지 30%이상 교체토록 의무화하였으나 신축 공공건축은 의무설치 대상에서 제외 (개선) 신축 공공건축에 대하여도 30%이상 설치를 의무화(‘13년 시행)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 규정 개정(지경부.‘11.12)

온실가스 목표관리 점검·평가 결과를 토대로 소관부처가 에너지효율 개선을 책임관리토록 이행체계 강화 3.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 시행 온실가스 목표관리 점검·평가 결과를 토대로 소관부처가 에너지효율 개선을 책임관리토록 이행체계 강화 (현행) 총괄기관인 환경부가 공공부문 목표관리제 적용대상 759개 기관에 대하여 직접 지도·감독 (개선) 중앙부처가 관련분야 건축물에 대하여 중간 책임관리하는 체제로 전환 * 자치단체(행안부), 문화·체육시설(문광부), 군사시설(국방부), 우체국 (지경부), 경찰서 및 지구대(경찰청) 등 ⇒ 매년 이행결과를 총괄기관(환경부)이 종합하여 녹색위 보고 「공공부문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지침」개정(환경부, '11.12)

4. 공공부문 에너지절약 대책 추진 중앙부처 소속기관 청사에 대한 녹색 리모델링 시범 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그 성과를 확산 1 (현행) 녹색 리모델링에 대한 모범 사례가 없음 (개선) 상징성이 높은 중앙부처 소속기관 청사를 대상으로 녹색 리모델링 시범사업(10개)*을 추진하여 모범사례 도출 * 에너지 사용량의 50%이상를 절감하고, 에너지효율 1∼2등급 수준으로 개선 경제정책조정회의('11.8)에서 의결(국토부) 문화·체육·복지·학교·군사시설 등 기타 공공건축물에 대해서도 소관부처가 녹색 리모델링 확산대책 마련 2 (현행) 기존 공공건축에 대한 녹색 리모델링 대책 부재 (개선) 중앙부처별로 소관 기존 공공건축물에 대한 녹색 리모델링 대책을 마련하여 시행 * 학교→교과부, 군사시설→국방부, 문화·체육시설→문화부, 우체국→ 지경부, 동사무소→행안부, 공공기관(경영평가)→기재부 중앙부처별로 녹색 리모델링 계획수립(각 부처, ‘11.12)

1 1. 녹색도시 조성 일정규모 이상 도시조성 사업은 개발계획에 건축부문의 에너지효율 대책을 반영 3. 녹색도시·녹색마을 조성 1. 녹색도시 조성 일정규모 이상 도시조성 사업은 개발계획에 건축부문의 에너지효율 대책을 반영 1 (현행) 도시조성 사업의 개발계획에 건축물 에너지 절감에 대한 내용 미반영 (개선) 도시조성 사업시 건축물 에너지효율 향상 대책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여 개발계획을 수립토록 개선 택지개발업무처리지침 등 개정(국토부, '11.12) * 산업단지, 새만금 등 공공기관이 추진하는 기타 개발사업에 대하여도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여 시행

2 건축물 에너지효율 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부여 (현행)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부재 (현행) 건축물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부재 (개선) 친환경건축물 인증,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을 받은 건축물에 대하여는 용적률·조경기준·높이제한 완화 등 인센티브 부여 「건축법시행령」개정(국토부, '11.12)

1 2 2. 녹색마을 조성 저탄소 녹색마을은 시범사업을 검토하여 추진목표 조정, 사업추진 체계 구축 등 보완 (현행) 사업추진이 지연되고 있으며, 과다한 목표 설정 (개선) 시범사업을 점검하여 실현가능한 범위로 사업계획을 조정하고 추진체계를 구축하는 등 보완 시범사업으로 종료 또는 40∼50개 수준으로 사업계획 조정 등 개선대책 수립 (환경부 등 4개 부처, '11.10) 그린 빌리지는 지원대상 주택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제고할 수 있는 시설개보수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 2 (현행)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한 주택개보수사업과 연계 부재 (개선)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한 주택개보수사업과 연계하는 경우 우선 지원할 수 있도록 지침 개정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등에 관한 지침」개정(지경부, '11.12)

1 2 공공건축 선도사업이 완공 되면 에너지효율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 민간부문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공개 4. 민간부문 확산 방안 공공건축 선도사업이 완공 되면 에너지효율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 민간부문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공개 1 (현행) 녹색건축에 대한 모범사례 및 가이드라인 부재 (개선) 공공건축 선도사업을 토대로 건축물 용도별 녹색건축 기준 및 기술매뉴얼 개발·보급 민간에 적용 가능한 설계·시공지침을 개발·보급(국토부, ‘12.6) 2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공공 녹색건축 성과에 대한 홍보를 강화 (현행) 녹색건축의 필요성, 에너지절감 효과 등 녹색건축정보를 국민들에게 충분히 제공하지 못함 (개선) 건물별 단열, 에너지 사용현황, 신재생에너지 생산실적 등을 방문객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안내판 제작 - 대상 : 에너지효율 1등급 또는 녹색 리모델링이 완료된 기관 녹색 공공건축에 대한 안내판 제작(해당기관)

3 4 녹색건축 활성화 기반 강화 (현행) 녹색건축 기술력 향상, 전문인력 양성, 녹색건축 정보공유체계 등 (현행) 녹색건축 기술력 향상, 전문인력 양성, 녹색건축 정보공유체계 등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한 제도기반 미흡 (개선) 녹색건축 R&D 확대*, 친환경 건축자재 DB 구축을 통한 정보공유, 녹색건축 전문인력 양성 등 기술개발 확대 * 녹색건축 R&D 예산 확대 : ‘11년 300억 → ’12년 381억 * 친환경 건축 전문인력 양성 추진(‘09∼’13년 1,500명 양성) 녹색건축 R&D 확대 및 기술인력 확충(국토부) 4 경제단체, 대형건축물 소유자 등을 대상으로 랜드마크적인 에너지절약 건축물 신축․리모델링을 적극 권장 (현행) 민간부문의 녹색건축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지원 방안 부재 (개선) 전경련 등을 대상으로 상징성 높은 녹색건축을 적극 권장하고 재정 및 금융지원 등 이를 지원하기 위한 대책 수립 민간 녹색건축 지원 방안 마련(국토부, 기재부 협조, ‘11.10)

3. 녹색 건축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국가 차원의 건축물 에너지 관리 국가 건축물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국가 건축물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구축 건축물 정보가 있는 건축행정정보 시스템과 한전, 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급 기관의 정보를 연계하여 정확한 건축물 에너지 사용정보를 구축 ※ 현재 마포구를 대상으로 시범 시스템 구축(’12년까지 전국확산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