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수발보장법 시행과 노인복지관 역할 2005. 11. 3 마포노인종합복지관 장 천 식 관장.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장 : SPSS 프로그램 및 사회조사분석사 SPSS 프로그램 ●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 패키지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 -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데이터 관리, 통계분석용 프로그램 (1969 년 )
Advertisements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보조기구 날다 ! ( 사회복지프로그램 아이디어제안서 ) 부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보조기구센터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고도 미세먼지 발생 시 대응요령... 미세먼지 … 예보 시행 ( )  아울러, 환경부에서는 국민건강보호를 위해 올 해 8 월부터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예 보를 시범실시하고 있으며, 내년 2 월부터 전국 을 대상으로 정식예보를 실시할 예정임.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국민건강보험 사회보험론 (11,12,15 장 ). 11 장. 건강보험이론 1. 개념 - 의료보험 : 질병, 부상 등으로 인한 치료비 지원이 목적. - 건강보험 : 의료보험 + 예방기능 + 상병급여. - 요양보험 : 노인성질환 등 장기요양에 필요한 부분을 분리하여 건강보험제도의.
정보보안 담당자 교육 자료 일시 : (금) 장소 : 광주교육정보원 대강당 발표자 : 백창범.
(월) 복지뉴스 - 목 차 - 1. 사회복지비 매년 눈덩이 지방업무정부 환원해야 1 2.
거짓말에 대한 경북대생들의 의식 조사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연구계획서 5조 - 음악학과 이수영
2015년 ★ 연수대상자 ★ 연수기간 (1일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1주 총 20시간 초과불가)
3장 정신보건정책과 전달체계의 현황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이해.
재가(在家)노인복지서비스 보건복지경영과 2-A 임도현.
제3차 임원회의 한국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협회 일시 | 2016년 4월 21일(목) 오전 12시 00분
경기도 추진 현황 및 대책 보고.
노인복지시설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일자리전담기관.
노인요양보장제도 시안 및 정책방향 일정: 2004년 12월 10일 장소: 전주 기전대학 보건복지부 노인요양보장과장 장 병 원.
<부산대학교 건설관 오시는 길>
가정의의 진로.
글로벌경영학과 배인영 법학과 주정미 역사문화학과 허수한
낙 상 지 표 정 의 서 지 표 명 낙상 후 손상발생률 지표정의 낙상발생 건수 중 손상이 있는 건의 비율 분자정의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국민건강보험 사회보험론 (11,12,15장).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2008년도 의료급여제도 변경 주요 내용 보건복지가족부 기초의료보장과
노인장기요양보험 업무 안내 장기요양기관 지정 관련 사항 장기요양기관 지정은 어떻게 하나요?
개요 2006년 230여개 골프장 -- 2010년 400여개 이상의 골프장 운영 예정
제1장 병원 경영의 이해 및 병원 환경의 변화.
종이팩 재활용 실태조사 홍수열/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서울시 치매관리 정책 방향 서울시 보건정책과 치매관리팀장 이 미 경.
실습기관 분석 보고서 실습기관: 실습생:, 발표일:.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노인요양센터 명 철 호.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이해.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비뇨기과 병원의 개원 과 경영 유 로 병 원 최 웅 기.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공적 노인장기요양 보장제도 시행관련 보고 (일본의 개호보험 제도의 유형)
UNISDR ONEA-GETI 안내.
노인복지론 노인복지의 개관 신흥대 황 주 룡.
제8장. 지역사회복지와 생활시설.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매뉴얼
Ⅱ. 가족복지 정책 가족복지론 최진령.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합동설명회 또는 합동공청회 (사업시행자-사전환경성검토 및 영향평가)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회복지협의회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청소년복지관계법 11강 제10장 청소년복지관계법 광주여자대학교 오상수 교수 청소년.
입사지원자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 동의서 ▣ 개인정보 수집 ∙이용에 대한 동의 정보제공목적 달성 후 및 관련법령에 따름
제10장 건강보험.
제10장 건강보험.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김 운 왕 ( , ) 충청북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 / 사무국장 1.
사회복지법제론 이 수 천 (서울기독대학교 M.A., Ph.D.).
Anyang Volunteer Center
신곡 새샘터 도서관 개관 구축 및 운영보고 (화) 신곡초등학교.
주관 : (사)한국사회복지심리사협회, 강남전문학교 공동
WISE DQ.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3.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주요내용 12) 의사소견서 필요성 제출시기 : 등급판정위원회 심의에 상정하기 이전까지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1. 돌파지식 제목 2.핵심성과 3.핵심 아이디어 4.실행 프로세스 ★ 돌파 레벨 : 개인 / 팀 / 복지관 / 재단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지방자치단체의 장 (시·도지사 또는 시 · 군 · 구청장)
Presentation transcript:

노인수발보장법 시행과 노인복지관 역할 2005. 11. 3 마포노인종합복지관 장 천 식 관장

l. 노인요양보장제도 이해 1.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추진 경위 노인요양보호(Long Term Care) 개념 신체적, 지적, 정신적 질병 등으로 인해 의존상태에 있는 노인 또는 생활상의 장애를 지닌 노인에게 장기간(6개월 이상)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도와 주기 위해 제공되는 건강, 대인적 SVC, 사회적 지원 SVC 2) 제도 도입의 필요성 고령화 진전에 따라 치매, 중풍 등 요양, 수발보호 필요노인 급증 - 65세 이상 노인의 14.8% : ’04년 62만명 => ’07년 71만명 => ’10년 79만명 => ’20년 114만명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보호기간의 장기화(평균 2년) 등으로 가정에 의한 요양보호 한계 중산, 서민층 노인 이용시설 부족, 유료시설 이용시 비용부담 과중(유료요양시설, 요 양병원 월 100~250만원) 노인인구 증가, 요양병원 수가 미비 등으로 노인의료비 급증 - ’95년 7,281억(12.2%) => ’01년 3조6,356억(19.3%) => ’03년 4조3,723(21.3%) 현행의 복지와 의료 분립체제 하에서는 노인의 보건,의료,요양,복지 등 복합적 욕구 에 효과적 대응곤란 ■ 고령화사회 초기에 노인요양보장체계를 확립하여 국민의 노후 불안해소 및 노인가정 의 부담 경감 도모 필요

2.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추진 경과 ’01. 8. 15 대통령 경축사에서 「노인요양보험제도 도입」제시 ’01. 8. 15 대통령 경축사에서 「노인요양보험제도 도입」제시 ’02. 7. 「노인보건복지종합대책」(국무회의 보고)에 “공적노인요양보호 체계 구축” 시행 제시 ’03. 2. 대통령인수위 보고, 요양보호노인을 위한 공적제도 도입 추진 ※ 대통령 공약 : 노인요양보험제도 시범실시 후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도입 ’03. 4. 4 대통령 업무보고,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07년 시행 목표) 도입 추진계획 보고 ’03. 3. 17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구성, 운영(04. 2월까지) ’04. 1. 15 국정과제회의 주요안건으로 대통령보고(2007년 도입추진) ’04. 3. 22 공적노인요양제도 「실행위원회」및 「실무기획단」 구성, 운영 (위원장 복지부 차관, 차흥봉 교수) ’05. 6. 1 6개 시군 시범사업(광주 남구, 수원시, 안동시, 강릉시, 부여군, 북제주군) ’05. 9. 15 「노인수발보장법(안)」1차 공청회 ’05. 10. 19 동 법안 입법예고(20일간) => ’05. 12 정기국회 제출 예정 ’05. 11. 1 ~ ’06. 12. 31 지역사회중심 Care Management 시범사업(7개 지역) - 지원금 : 서울 동대문구, 경기도 파주시, 강원도 춘천시, 강원도 원주시 - 자부담 : 서울 마포구, 서울 노원구, 경북 의성군

Ⅱ. 노인수발보장법 제정(안) 이해 ■ 법안의 주요 내용 요약 구 분 내 용 구 분 대 상 전 국민 구 분 내 용 구 분 대 상 전 국민 (건강보험가입자/의료급여수급권자) 전문인력 수발사 자격 신설 운영주체 국민건강보험공단(자격관리, 보험료징수, 급여 지급) 급여대상 65세 이상 노인 치매, 뇌혈관성 질환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노인성 질환을 가진 64세 이하 국민들 중 - 6개월 이상 타인의 지속적 도움이 필요하 다고 인정 받은 자(수발 인정자) 수발등급 판 정 노인수발 평가 관리원 - 시,군,구 수발등급판정위원회 보 험 료 부 담 직장 가입자 가입자 50% 사용자 50% 지역가입자 의료급여자 - 국가 100% 이용절차 본인신청→평가관리원 방무조사→등급판정 위원회 평가판정→수발계획서 작성→서비스 이용절차에 따름 수발급여 시설급여:노인요양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입소 재가급여 간병수발, 간호, 목욕, 가사, 일상생활지원 주간보호, 단기보호 복지용구 대여 시설 수발수당 : 시설, 인력부족으로 가족, 이웃 에게 수발 받는 경우 특례수발:부득이 하게 유료수발시설 이용시 요양병원 수발:요양병원 입원 시 소요비용 일부지원 * 수발급여는 현물원칙, 보완적 현금지급 인정 비용부담 보험료 : 80% 자부담 : 20% 수급권자 : 무료 차상위계층 : 10% 시행시기 2008. 7. 1

Ⅲ. 공적전달체계의 시범사업 ■ 1 단계 시범사업 ■ 2 단계 시범사업 ■ 3 단계 시범사업(’07. 7 ~ ’08. 6) 기 간 : ’05. 7. 1 ~ ’06. 3. 31(9개월) 대도시(수원시, 광주 남구), 중소도시(안동, 강릉), 군지역(부여, 북제주) 구분 시범사업 주요내용 - ADL 등의 평가 판정 체계 등 타당성 검증 ■ 2 단계 시범사업 기 간 : ’06. 4. 1 ~ ’07. 6. 30(16개월) 대상지역 10개 지역으로 확대 예정 주요 시범사업 내용 - 민간이 참여할 수 있는 수가체계 개발과 적정성 검증 ■ 3 단계 시범사업(’07. 7 ~ ’08. 6) 희망 지자체 선정 실제 시행 모형과 동일한 모의 적용사업 실시 수발급여 대상 등급 1~5등급으로 구분 평가 판정기준 : 51항목 ADL(12항목) , 인지기능(8항목), 문제행동(10항목), 간호처치 및 재활(21항목)

Ⅳ. 지역사회중심의 CM시범사업 1. 연구목적 2. 연구기간 3. 시범사업 지역 지역사회 중심의 노인수발보장 체계의 정립밯향 연구 한국형 노인수발보장의 관리운영체계 수립방안 연구 지역사회중심의 Care Management 체계의 수립방안 연구 2. 연구기간 1 차 : 2005. 11. 1 ~ 2006. 4. 30( 2 차 : 2006. 5. 1 ~ 2006. 10. 31 3. 시범사업 지역 서울 동대문구, 경기도 파주시, 강원도 춘천시, 강원도 원주시(사업비 지원) 서울 마포구, 경북 의성군(사업비 자체부담) ※ 타지역 시범사업 연계 - 경기도 광주시 정신보건센터 시범사업 - 전남 장성군 치매관리 시범사업 - 중계노인복지관 입소자(약 300명)

4. 시범사업의 중점연구 내용 서비스의 접근성 서비스의 선택과 경쟁원리 효과 예방사업의 효과성 - 수발인정자 중에서 경증 대상자를 분류하여 이들을 일반노인복지사업의 대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 탐색 - 일본의 Power Rehabilitation Center 기능 역할 4) 지역사회자원의 활용 5) 급여비용의 절감 6) 지방자치단체의 책임과 역할 7) 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관계

5. 시범사업의 방법 1) l 안

2) Ⅱ안

Ⅴ. 노인복지관의 역할(방향) 1. 지역사회내 노인복지 종합 Center 역할 수행 2. 지역사회 자원의 Net-Work 강화 기본사업 수행 건강(Well-Being) 중심 특화 프로그램 확대 행정기관의 정책사업 참여 2. 지역사회 자원의 Net-Work 강화 인적 자원 물적 자원 System 3. 노인수발보장법 시행의 선두 역할 예방사업 중심 프로그램 실천(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축) 수발인정자(이용자) DB화 치매도우미 사업, 주간보호, 재가복지 담당의 Team-Work 확대 4. 생활수발시설 연구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