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경영자 신춘 Forum 2005. 1. 13 FTA와 한국농업 : 접점은 있는가? 이 정 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FTA와 한국농업 접점은 있는가? 농업부문 저항 FTA 국가발전전략 부상 FTA와 한국농업의 접점은 있는가? 구조개선론 : 시장개방 구조개선 경쟁력 향상 두가지 주장의 오해와 거품 제거 공포감 극복과 현실적 대안
Ⅰ. 불가론의 거품과 오해 농산물 국경보호의 허상과 실상 공포감의 극복 2. 고관세 품목의 실상 1. 국경보호의 진실 2. 고관세 품목의 실상 3. 저율관세 품목의 관세효과
1. 국경보호의 진실 고관세 보호 모든 농산물 수입자유화, 쌀만 2001년까지 양적규제 국 가 양허세율 실행세율 단위 : % 국 가 양허세율 실행세율 고관세비율 한 국 63.8 56.0 9.1 태 국 35.4 31.5 2.0 멕시코 42.8 27.4 5.7 일 본 41.3 24.1 8.7 중 국 37.9 na 4.3 E U 22.1 3.3 캐나다 21.3 23.0 7.1 미 국 11.1 8.9 1.5 칠 레 6.0 호 주 4.0 1.7 주) 고관세란 관세율 100% 이상을 의미
2. 고관세 품목의 실상 고관세 하의 저율관세 수입 확장 모든 고관세 품목의 우회로 설정 (TRQ) - 옥수수 328%, 착유용 대두 487%, 전분 228% 이상, 매니옥 887% 고관세 품목의 TRQ 미달 - 고구마, 감귤, 밤, 잣 고관세 품목의 생산규모 - 총부가가치의 1% 이하인 소규모 생산 품목 다수
2. 고관세 품목의 실상 (계속) 주: 1) 파란색은 식물검역 상 전 세계로부터 수입이 금지된 품목임. 2) 주황색은 고율관세가 바인딩 되고 있지 않은 품목
2. 고관세 품목의 실상 (계속) 주: 해당 품목수 및 부가가치액, 농업부가가치 상 비중임
2. 고관세 품목의 실상 (계속) 고관세 품목의 대책 - 고관세 대규모 품목 예외, 유예 조치 확보 민감품목(쌀, 고추, 인삼, 마늘) 주의품목(양파, 연초, 참깨, 꿀) 고관세 실효 품목 자유화 - 옥수수, 착유용 대두, 전분, 매니옥, 고구마, 밤, 잣 고관세 소규모 품목 국내대책 주의품목(생강, 녹두, 팥, 대추, 메밀 등 17개 품목)
3. 저율관세 품목의 관세효과 관세 50% 이하 품목의 관세 감축효과 - 수입가격 하락률 15~30% 수준 단위: % - 국내산 등급별 가격차이 3 ~ 4배 소비자 선호와 신뢰가 결정
3. 저율관세 품목의 관세효과 (계속) 검역상 수입 가능 지역
3. 저율관세 품목의 관세효과 (계속) 검역상 수입 가능 지역
4. FTA와 농업의 접점 민감품목에 대한 예외, 유예조치의 확보 주의품목에 대한 국내소득 대책 수립 파급영향 최소화와 농가 공포감 제거 농가저항 최소화 FTA 국가발전전략 부상 문제는 구조조정 돌파론
Ⅱ. 구조조정론의 오해와 진실 농업구조 조정의 한계와 실상 현실적 대안 1. 구조조정의 한계 2. 구조조정의 실상
1. 구조조정의 한계 부문간 노동력 이동의 경직성 - 농업취업자 전직율 연 1~2%, 40세 이상 전직율 연 1% 이하 - 노동시장 폐쇄적 노동력 이동제한 소득격차 확대 국경보호와 국내보조 - 농업취업자 전직율 연 1~2%, 40세 이상 전직율 연 1% 이하 단위 : % 국 가 독 일 프랑스 네덜란드 영 국 덴마크 일 본 한 국 전직율 0.3 1.10 1.97 10.04 1.35 -0.14 1.21 주) 유럽국가는 1972 ~1977 사이의 실적, 일본은 1959 ~1987, 한국은 1982 ~1989 - 세대교체 과정 불가피 - 선진국 산업화 이후 100~200년 , 보호와 세대교체 - 한국 산업화 이후 40년, 보호제거
1. 구조조정의 한계 (계속) 중고령 연령구조 대농의 재무구조 취약성 - 농업취업자 50% : 60세 이상, 40세 이상 : 90% 이상 - 농업이 유일한 선택 시장개방 되도 농업에 천착 대농의 재무구조 취약성 - 급속한 규모화로 투자 증가 5ha 이상 대농 27% 부채 1억원 이상, 50% 5천만원 이상 - 급격한 시장개방 시 파산 우려 점진적 세대교체와 경영안정 도모 연착륙 달성 - 무리한 구조조정 중고령 실직자와 농가파산 양산 새로운 재정소요와 사회적 비용
2. 농업구조조정의 실상 농업의 구조조정 빠르게 진행 중 - 생산의 대규모 농가 집중 급진전 중 - 평균규모 0.79ha(80년) 0.93ha(2000년) - 생산의 대규모 농가 집중 급진전 중 단위 : % - 양극화 급속히 진행 중 5분위 소득비율 5수준 (90) 7수준(2000) 10 이상(최근)
- 생산성 증가와 수입증대 농산물 가격 하락 2. 농업구조조정의 실상 (계속) 영세농이 농업의 걸림돌인가? - 0.5ha 이하 영세농 비중 40% 이상, 경작면적 13%로 농업의 주류 아님 - 모든 영세농 탈농 시 평균 규모 0.24ha 증가 농업투융자는 낭비되었나? - 생산성 증가와 수입증대 농산물 가격 하락 - 환율 상승 자재가격 상승 - 경쟁력 향상과 소득감소의 동시 진행 불가피한 조정 과정 채산성 악화
Ⅲ. FTA 추진의 조건 : FTA와 한국농업의 접점 1. 협상의 조건 2. 소득대책조건 3. 한국농업의 비전과 전략
1. 협상조건 관세철폐 예외와 유예 확보 - FTA에서 민감 농산물에 대한 예외와 유예는 일반적 현상 단위 : 개, (%)
2. 소득대책 직접직불 확충에 의한 소득보상대책 수립 직접직불 확충에 의한 소득보상대책 수립 - FTA에 대한 농가의 이해관계 최소화 납세자 설득으로 관심 전환 선진국의 소득보전대책 - 미국, 유럽 선진국 장기간 목표가격과 목표소득제도 도입 유지
2. 소득대책 (계속) 단위 : US$/취업자 자료 : www.wto.org
3. 한국농업·농촌의 비전 시장논리의 관철로 시장에 의한 선택과 집중실현 - 점진적 세대교체와 규모확대 실현 -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과 산지유통 혁신으로 브랜드화 “Farm to Table” 식품안전보장 체제 확립 - 위험평가, 관리, 전달 체계의 확립 소비자 신뢰 확보로 경쟁력 향상 농촌환경보전으로 농촌공간의 가치 증진 - “환경은 수입할 수 없다” “환경보전이 농촌소득의 관건이다” - 농지이용, 규제, 감시와 보상체계 수립 도시민의 농촌공간에 대한 수요 창출
FTA와 한국농업 접점은 있는가? 3가지 희망적 트랜드 FTA 국가발전전략 부상 국민의 농업·농촌에 대한 신뢰 - 78% 어떠한 비용처리로 쌀 농업 보호 - 87% 농업에 대한 보조금 필요 신뢰할 수 있는 농산물에 대한 높은 지불 의사 - 품질 좋은 농산물, 안전 농산물에 대한 지불의사 증가 농업인의 새로운 인식과 노력의 열기 - 수요자 중심사고와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관심
치밀한 협상안 조기 마련 FTA와 한국농업 접점은 있는가 (계속) 치밀한 준비와 신중한 접근 FTA 국가발전전략 부상 소득(고용)안정 대책 마련 이해관계의 문제로 해결 가치논쟁, 감정문제로의 발전 경계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ank you!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http://www.krei.re.kr belmont@kre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