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mmar to Explain” ① 타동사 현재분사: 남에게 영향을 준다. boring lecture [능동]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Grammar to Explain” That was the reason why he had left. (=for which) 그것이 그가 떠난 이유였다. [ 그 때문에 그가 떠났다 ]. This is the way he has escaped. 이것이 그가 탈출한 방법이다.
Advertisements

KEY POINT 1 ∥지각동사는 감각의 활동을 나타내는 동사 를 뜻한다. 이러한 동사들은 목적보어로서 원형부정사를 쓴다. 다음과 같은 동사들이 이에 속한다. 지각동사 feel 느 끼다 hear 듣다 listen to 듣다 look at 보 다 see 보다 watch 보.
“Grammar to Explain” 원급 ( 배수 / 분수 +as ∼ as...) 을 써서 배수나 분수를, 비교급 ( 수사 + 비교급 +than...) 을 써서 배수 ( 倍數 ) 를 표현할 수 있다. He worked twice as much as I did. ( 그는.
“Grammar to Explain” 특수한 화법으로 직접화법과 간접화법의 중간적인 것이다. 소설에서 자주 쓰이는 이 묘출 ( 描出 ) 화법은 말 그대로 묘사체에 속한다. 작중 인물의 말이나 생각을 작가가 대신해서 묘사하여 전달하는 화법으로서 전달부분이 안 나타 나 있어도.
“Grammar to Explain” 분사구문 대신에 전치사 with 를 이용한 부사구로도 동시동작 상황을 표현할 수 있다. 대체로「 with+ 목적어 + 분사 / 형용사 / 부사 ( 구 ) 」의 형태로 표현된다. 형용사나 부사 ( 구 ) 의 경우는 어원적으로 볼 때 그.
Mechanical clocks were invented in the northern hemisphere by inventors who were trying to make models of the sun's movement in the sky. To watch the.
제 12 장 분사 (Participle) 분사의 성질 현재분사용법 과거분사용법 분 사 구 문 형 성 평 가.
조동사 can 달리다 run 달릴 수 있다 can run (능력) 먹다 eat 먹어도 좋다 may eat (허가)
현재분사 a sleeping baby = a baby who is sleeping
제 12 장 She is singing a song.( 진행 ) Seeing is believing.( S, C ) * I like singing.( O ) (=To see is to believe.) (= I like to sing.) I’m looking forward.
“Grammar to Explain”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에는 when, while, after, since, before, instantly 등이 있다. 1. when (∼할 때, ∼하면) =As I'll tell her when she comes.
형용사, 형용사 절, 형용사 구 a sleeping baby a baby who is sleeping on the bed
English Grammar in Middle School
Reading is interesting.
“Grammar to Explain” 1. Every form of art is good for everyone. It is felt, enjoyed, and experienced. ※Every form of art를 앞 문장의 주어로 썼기 때문에 뒤 문장에서도 주어를.
“Grammar to Explain” 전치사 at: 주로 놀람, 기쁨(with도 가능), 실망, 성냄 등의 감정을 표시
“Grammar to Explain” as ∼ as any+(명사) : 어느 ... 만큼 ∼한, 어느 ...에도 못지 않게 ∼한 : 최상급의 의미 She plays the piano as skillfully as any student in our school. (그녀는.
“Grammar to Explain” 수여동사는 [∼에게 …을 주다]라는 give유형과 [∼(을 위해)에게
“Grammar to Explain” 지각동사(신체의 감각과 관계 있는 불완전타동사)
“Grammar to Explain” 1. though / although / even though
“Grammar to Explain” 형용사의 최상급 앞에는 원칙적으로 정관사 the를 붙이고, of (--중에
1.민족의 발전과 민족 문화 창달(4)주체적 문화교류의 자세
제 6 장 < 동사 ~ ed형, ~ ing > < 동사 불규칙 활용 >
제1장 문장의 구성 1. 8 품사 2. 문장의 구성 3. 5 문형 4. 구와 절 5. 형성평가.
제 6 장 < 동사 ~ ed형, ~ ing > < 동사 불규칙 활용 >
“Grammar to Explain” all은 모든 사람, 모든 것이라는 의미로 대명사로도 쓰이고, 모든의
“Grammar to Explain” 소유대명사는 소유격+명사 대신 독립적으로 쓰이며 mine,
“Grammar to Explain” 분사를 否定하는 말도 부정사와 동명사의 경우 처럼 분사 바로 앞에 둔다.
p. 88 형용사(구)의 수식 The old man was led by a little girl.
.
“Grammar to Explain” 분사의 의미상의 주어와 문장[주절]의 주어가 다르지만, 의미상의 주어를
“Grammar to Explain” 미래의 어느 때까지의 동작 혹은 상태의 완료·경험·결과·계속을 나타낸다.
“Grammar to Explain” 관계대명사 that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쓰인다.
“Grammar to Explain” nor는 and + not: 그리고 ∼도 역시 아니다.
“Grammar to Explain” 목적어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목적어를 설명하는 보어가 필요한
분사(Participle) 분사의 성질 분 사 구 문 현재분사용법 형 성 평 가 과거분사용법.
“Grammar to Explain” 내용의 일부는 긍정의 뜻이고, 일부는 부정의 의미이다.
제7장 전치사 by before above over to after with under in on into of for
“Grammar to Explain” any: 어떤 ∼도 아니다(부정문) / 얼마간의, 어떤(의문문)
“Grammar to Explain”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앞에 나온 명사나 대명사
“Grammar to Explain” 동사와 부사가 결합하여 하나의 타동사 역할을 할 때에 그
“Grammar to Explain” 1) The old woman can dive into a river. [능력=is able to] 2) You can go. / Can I speak to you for a moment? [허가=may] 3) You can't run.
제 1 장 .
9. Do You Have a Scientific Mind?
동 명 사 동명사 란? 현재분사와의 비교 용 법 to부정사와의 비교 형 성 평 가.
English Grammar in Middle School
제 3 장 <구&절, 구조상 문장 종류>
제6장 형용사와 부사 형용사의 용법 형용사의 종류 부사의 용법 부사의 위치.
제 21 장 < 특수구문 : 강조, 도치 >.
“Grammar to Explain” 관계대명사가 전치사(구)의 목적어로 쓰일 때에 미국영어에서는
“Grammar to Explain” 1. 접속사 and로 나열되는 항목들은 서로 같은 형태인 것이 원칙이다.
수 동 태1 1. 수동태 2. 형식에 따른 수동태 3. 주의해야 할 수동태 4. 형성평가.
“Grammar to Explain” 유사 관계대명사(as, but, than)는 본래 관계대명사가 아닌데도 관계대명사와 같은 역할을 한다. 1. as : as, such, the same 다음에 쓰이거나, 앞문장 전체를 받는 which 역할 (a) As many boys.
Grammar To부정사 2 pp
“Grammar to Explain” 장소의 접속사는 보통 where를 가리키는데
• I was touched by my friends’ effort.
1.십자가를 내가 지고 2.주도 곤욕 당했으니 3.내가 핍박 당할 때에 1.Jesus, I my cross have
“Grammar to Explain” 1. 부정의 부가 의문문
“Grammar to Explain” 강조하고 싶은 어구를 it is [was]와 that사이에 위치시킨다. 이 때 강조되는 말이 사람 이면 that 대신에 who, 사물이면 which, 장소의 표현이면 where, 시간의 표현이면 when을 쓸 수 있다. 문장의 보어나.
“Grammar to Explain” 가정법 조건절에서 if를 생략할 수 있는데, 이 때 조건절의 주
“Grammar to Explain”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이미 포함하여[what=the thing
제16장 수 동 태 1. 수동태 2. 형식에 따른 수동태 3. 주의해야 할 수동태 4. 형성평가.
“Grammar to Explain” 1. 현재의 동작: Here comes the bus.(버스가 온다.)
관상으로 보는 성공운 관상을 보아하니 성공운이 트였구려! 관상을 보는 철학가,
“Grammar to Explain” 부정문과 의문문에 쓰이는 기본적 용법 외에도 다음의 중요한 역할들이 있다.
“Grammar to Explain”   부정사구를 뒤로 보내고 주어 자리에 형식주어 it를 주로 쓴다.       It is desirable to keep one's promise.(←To keep one's promise is desirable.)
“Grammar to Explain” 원칙적으로 보어가 필요하지 않는 완전자동사가
“Grammar to Explain” He has no more than 10,000 won. : 그는 만 원만 갖고 있다.
“Grammar to Explain” 명사의 종류
“Grammar to Explain” 관계사는 선행사의 제한 여부에 따라 두 가지 용법이 있다. 대체로 의미상의 큰 차이는 없는데, 다음의 경우는 그 맥락이 약간 다르다. 제한적(한정적) 용법 : 선행사를 수식(한정)하는 경우 She had three sons who became.
Presentation transcript:

“Grammar to Explain” ① 타동사 현재분사: 남에게 영향을 준다. boring lecture [능동] ② 자동사 현재분사: 진행중인 동작. boiling water [진행] ③ 자동사 과거분사: fallen leaves=leaves which have fallen [완료] ④ 타동사 과거분사: the injured man=the man who was injured [수동] 한정용법: (대)명사 앞이나 뒤에서 직접 수식. ① 앞에서 수식 : 부사구나 분사의 목적어[보어] 없이 오는 경우 Who is the sleeping boy? / He avoided meeting the returned soldier. ② 뒤에서 수식 : 부사구나 분사의 목적어[보어]가 함께 오는 경우 Who is the woman sleeping on the bed? the woman that is sleeping [on the bed은 sleeping을 수식] They avoided meeting the prisoner returned from Vietnam. risoner who had returned [from Vietnam이 returned를 수식] Anybody touching that wire will get an electric shock. [that wire는 touching의 목적어]

Maxims Introduced by Teacher The sea, the ever renewing sea! Paul Valery (1871-1945) French poet Alexander himself was once a crying babe Beware of the Greeks bearing gifts. 트로이의 목마(木馬)에서 유래한 말로서 양두구육(羊頭狗肉)을 경계하라는 뜻 The worth of a state, in the long run, is the worth of the individuals composing it. John Stuart Mill (1806-1873) British philosopher & economist

Maxims Translated by Student The only factor becoming scarce in a world of abun- dance is human attention. Kelvin Kelly in Wired I fear we have only awakened a sleeping giant, and his reaction will be terrible. Yamamoto Isoroku (1884-1943) Japanese general Moderation is the silken string running through the pearl chain of all virtues. Joseph Hall (1574-1656) British poet A burnt child dreads the fire.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

“My Maxim” Activity 다음 문장을 응용하여, 민주주의의 양대 축은 자유와 평등임을 나타내 보세요. 1. There may be Peace without Joy, and Joy without Peace, but the two combined make Happiness. 2. ( ) make Democ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