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Advertisements

주기율표 제 8장제 8장 Copyright ©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ermission required for reproduction or display.
2:1 격자형 광물 : 한층의 Al-OH8 면체를 Si-O4 면체가 양쪽에서 샌드위치처럼 싸서 3 층구조를 이룬 광물의 형태. 대표적인 광물 - montmorillonite, illite, vermiculite. 2:1 형 광물에는 4 면체의 Si 4+ 또는 8 면체 구조의.
토양 pH 의 영향  수소이온은 작물뿌리에 들어가 단백질 응고를 일으키고 효소작용을 방해함  뿌리의 양분흡수력을 약화시키며 세포의 투과성을 약화시켜서 불필요한 염류가 투과됨으로써 양분의 균형을 깨뜨림  Al, Mn, Cu, Zn, Pb 등은 pH 4-5 이하에서 용해도가.
액체의 따른 잉크의 확산 속도 조원 : 김연주 문나래 민예담 정선주 한수경 한혜원.
토양 수분.
Ⅱ. 태양계와 지구 Ⅱ-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2. 지구의 진화.
염기 비누화 반응 (Saponification)
산화막 (Oxide, SiO2)란?.
소금물과 설탕물 의 농도를 측정하는 간이 비중계 만들기 제북교 영재학급 5학년 김수용
앙금 생성 반응식(1) 누가 앙금을 만들었는지 쉽게 알려 줘! 앙금 생성 반응식.
제7장. 토양의 화학적 성질 농업연구사 강성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관리과
토양과 토양생물 토양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4-3. 풍화, 침식, 운반 및 퇴적 풍화(weathering)
<CH 14> 14. 8장 미량중금속 모델링을 공부하고 요약하라.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투명 비누 만들기.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3장 수화학의 원리 3.1 개요 생물학적과정 (1) 산-염기반응 (2) 금속염의 용해도 물속에서의 반응 (3) 산화-환원 반응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2) 변 임 규
몰리브덴 블루법에 의한 인산염 인(PO4-P) 정량
실험의 목적 산화-환원적정법의 원리 이해 산화-환원 반응식의 완결(산화수) 노르말 농도 및 당량 과망간산 용액의 제조법
SYSTEM SYSTEM HOMEWORK 환경 공학과 김상헌.
4-6. 광합성 작용(1).
Chapter 22 경구용 고형제.
나노필터(nano filter) 나노바이오화학과 강인용.
전류에 의한 자기장 B < B’ 자기장(magnetic field)
 과학  1학년  Ⅳ.생명>1-3.광합성과 호흡(1/5) 광합성 수업계획 수업활동.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박진우 Buffer(완충제).
PIGMENT BLACK RX(고저항카본)
중화반응 구현고등학교 지도교사 :이병진.
6-7. 전해질, 화학식으로 표현하기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고분자 화학 4번째 시간.
산성과 염기성이 식물에게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영재 6학년 5반 송명훈.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6-9. 앙금 생성 반응이 일어나면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질소(Nitrogen) 인(Phosphorus) 유황(Sulfur)
6-10. 앙금을 만드는 이온을 찾아라!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산성비가 식물의 잎과 씨앗에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 5반 박성용.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1-5 용해도.
비열.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86.
학습 주제 p 질량과 부피 측정 방법 알기.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양의 정의 및 물리적 성질.
은거울 반응.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1. 화학 결합 … 01. 분자 구조의 다양성 02. 화학 결합의 성질 03. 이온 결합
광물과 광물학.
(생각열기) 운동 선수들이 땀을 많이 흘린 후 빠른 수분 보충을 위해 마시는 음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 )
생물막 (Biofilm).
모세관 현상과 표면장력 원리 학번 : 이름 : 황규필.
지시약의 작용원리 실험방법 1. 지시약의 최대흡수파장 측정
제10장. 식물생산에 관한 법칙.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저온지구시스템화학 및 실험 Ch.6 용해도도 JYU.
Ⅳ. 광합성 4.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할까?.
당신을 위한 NH 연금보험.
Presentation transcript:

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2008. 3.27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토양미생물학 2008. 3.27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참고: 토양미생물학 원리와 응용, David M Sylvia 외 3인, 2장 토양의 화학적 성질

목차 토양 산도(pH) 토양의 음이온 용량/양이온용량 점토광물 1) 구조 2) 종류 3) 음전하

토양산도(pH) 토양 산도란? - 토양용액 내 수소이온(H+) 농도의 역수의 로그값 pH=log10 1/[H+] - 산성/중성/알칼리성 산성 토양/ 알칼리성 토양 - 산성토양: - 알칼리성 토양 토양미생물과 토양 산도의 관계 - 대부분의 토양미생물은 pH 6-7 선호 예) 방선균-중성 선호 - 균류: 산성에 내성 있어 산성토에서 발견 - 토양 미생물에 의한 토양의 산도 변화는 불가능. 일부 혐기조건에서 유기산을 생성하는 미생물, 호기조건에서 암모니아와 황을 산화시켜 H+ 생성하는 미생물 존재

토양의 양이온 용량과 음이온 용량 1) 토양의 음이온 용량(AEC) 2) 토양의 양이온 용량(CEC) 토양의 양전하 물질이 음이온(예: 인산염 H2PO4-)을 끌어당기는 능력, 풍화가 많이 진행된 하층토양에서 특히 중요 2) 토양의 양이온 용량(CEC) 양이온(예: Ca2+, K+)을 끌어당기는 토양의 능력, 음이온 보유능력보다 우세 토양의 물리적 특성 변화 초래하거나 토양 pH와 비옥도에 영향미침 점토와 유기물의 종류와 양에 의해 결정됨

토양의 이온교환용량과 토성 사이의 관계 - 토양입자의 표면적 넓을수록, 입자의 직경 작을 수록 -> 수분, 양분, 기체의 흡착 잘 일어남 (예: 세사>미사>점토) 토양의 이온교환용량과 유기물과의 관계 - 유기물의 CEC가 점토의 CEC 보다 크며 전하의 발생원이 카르복실기 (-COOH)라 pH의 영향을 받음

토양의 이온교환용량 표현단위: - 1g 밀리당량/ 100g 토양= 1 cmol(+) / kg 토양 - 음이온 또는 양이온의 산화가에 따라 달라짐

토양의 이온교환용량과 토양미생물과의 관계 - 토양미생물의 표면은 토양의 pH에 따라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띠는 유기분자(-COOH->-COO-; -NH2->-NH3+ 로 구성-> 토양입자와 화학적으로 흡착 또는 결합가능 - 일반적인 토양 pH (pH 5-8)에서 토양미생물 & 점토 & 유기물은 음전하를 띰

토양의 물리적 특성과 토양미생물과의 관계 - 일반 경운/부분경운의 차이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토양미생물과의 관계 근권: 식물, 미생물, 토양의 삼각관계 형성된 지역, 다양한 다량이 유기물을 배출하여 미생물 생장의 영양원으로 작용 - 예: 점토 많은 토양->뿌리생장 억제 식물은 유기물 생성-> 입단구조 형성 등으로 토양구조 변화 근권의 유기산 생성-> 토양 pH 변화 -> 양분의 가용성 변화 식물의 토양수분 흡수 원할-> 토양 내 수분 제거-> 토양 통기 원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