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nsei Cardiovascular Center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내시경 집담회 아주대 병원 소화기 내과. 박 O 희 F/27 C/C : Epigastric pain ( duration : 3 months ) Case 1.
Advertisements

Cough 를 주소로 내원한 32 세 여자환자 심장 내과 R3 김민제 /Prof. 김우식 MGR.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소화기내과 이 정 록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월례집담회 증례. Chief complaint Lower abdominal pain and bloody stool for 2 days 32/M 김 O 섭 Present illness 30/M.
Right chest pain 을 주소로 내원한 65 세 남자 호흡기내과 R2 한재준 MGR.
Chief Complaint RUQ pain onset > remote: 3 개월 전 recent: 내원당일 오전 8 시 Present Illness M/ 68, 특이병력 없던 자 3 개원 전부터 intermittent RUQ pain 시작되어 2 주 전부터 local.
Problem Case 순환기 내과 R1 최소영 김 O 주 F/29 내원일 :2005 년 5 월 26 일 CC: Feveronset) 3 days ago CC: Feveronset) 3 days ago PI : F/29, 5 년전 첫아기 임신 8 개월째에.
Case conference Department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05 년 7 월 13 일.
Motality case 경희의료원 소화기내과 General weakness 를 주소로 내원한 71 세 남자환자 R1. 박은지 / pf. 심재준.
Rt. hip pain을 주소로 내원한 62세 여자환자
순환기학 4주 Learning Issue 손의영.
Department of Pulmonology R2 In Ah Choi
Chief Complaint Constipation onset) recent 2wks ago remote 10yrs ago Present Illness 72/M, HTN, angina 로 본원 IC(Pf. 김우식 ), DM 으로 본원 IE(Pf. 오승준 ) f/u 하는.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 간소세포암)
Case 년 7 월 7 일 응급의학과 R3 김현종. 권 0 웅 M/65  Chief Complaint Epistaxis  Duration 내원 3 시간 전.
Case Presentation SKKU School of Medicine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Son Eui Young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경원전문대학 조경숙.
GI conference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GI conference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GI conference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MGR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는 갑상선 중독증 3 례 R2 변종규 R4 손정일/ Prof . 전 숙.
정지민, 정혜경, 강민정, 김성은, 김태헌, 심기남, 정성애, 유권, 문일환
Interesting Case of Acute Abdomen
Department of nephrology R1 이동영
Problem case 내분비 대사 내과 R2 문수연.
반복된 우상복부 동통과 발열을 주증상으로 병원에 온 31세 남자
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박현주, 유성수, 권계숙, 김형길, 신용운
서울병원 신장내과 Prof. 권 순 효/ R3 서대철
서울아산병원,소화기 내과 김자영, 정훈용, 최기돈, 이진혁, 변정식, 양석균, 김진호
Case 박O석 M/56 adm C.C) for DM control
Department of nephrology R1 이윤정
CASE presentation 신장내과 R1 박상준.
인하대병원 최윤아.
건양대학병원 소화기내과 김용문, 정승현, 김선문, 이태희, 임의혁, 허규찬, 최용우, 강영우
발표일: 2009월 6월 20일 발표 병원 : 한강성심병원 발표자: 최 윤 선
Case Conference 내분비 대사 내과 R1 최소영.
Case Presentation SKKU School of Medicine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Son Eui Young 1.
Treatment and Care of NSCLC
Liver Conference 점상출혈 소화기 센터 회의실.
내시경 집담회 증례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이태윤.
아주대학교 소화기 내과 임선교, 신성재, 이기명, 김진홍
림프절 종대를 주소로 내원한 70세 위암 과거력 환자
Multidisciplinary Bowel conference
GI conference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Symptomatic Small Bowel Obstruction due to Capsule Impaction
. Chronic renal failure Hanjong Park, PhD, RN
내과계 응급 호흡기계 응급 심맥관계응급 소화기계응급 내분기계응급 기타약물.
이유기에 섭취한 미음에 의해 발견된 쌀 알레르기 1례
102w case study 배혜인.
병리학 2015 임미란.
Case presentation R1 박정훈.
복부불편감과 구역을 주소로 내원한 65세 여자 환자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증례 집담회 대구가톨릭대학병원 내과 조규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학교실.
< 101w 실습 > CASE STUDY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배혜인.
이피곤씨의 전신 쇄약감 - 교육용 콘텐츠 - 의과대학 이러닝 컨소시엄 e-MedEdu.
건강사정실습 Practice of Health Assessment.
Case 2006년 3월 3일 응급의학과 R2 김현진.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환자의 사례연구 102병동 CASE STUDY
장소 : 인하대학교병원 날짜 : 2010년 6월 15일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화기병센터 안형수 고봉민 홍수진
ER CASE STUDY 장누리.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ICU case study -AMI 박효은.
CCU Case 환자 보고서 서효혜.
Case Presentation 날짜: 장소: Sub-intern:.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월례집담회 영남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용길.
외래 요양급여 명세서 작성방법.
이화의대 소화기내과 김성은·심기남·염혜정·조유경·이종수·이창배·정성애
이화의대 내과학교실, 의과학 연구소 조유경, 심기남, 이종수, 염혜정, 김성은, 정성애, 유권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ogress Seminar ~ Ji Soo LEE.
Presentation transcript: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CASE Yonsei Cardiovascular Center 5313922

15-year-old boy Chief Complaint: • Aggravated dyspnea on exertion for 3 days • Referred from a private clinic for evaluation of documented abdominal mass & LV dysfunction on ultrasonogram

Past History: Hypertension (–) DM (–) Alcohol (–) Family History: None Review of System: Dyspnea on exertion (+) Palpitation / Chest pain (-/-) Headache (-) Abdominal pain (-)

Physical Examination: BP 114 / 70 mmHg PR 128 bpm Distended Jugular vein Crackles on both lower lobes RHB without murmurs No Hepatomegaly or splenomegaly No pitting edema on both extremites

Laboratory findings: CBC 9740 / 15.6 / 248,000 BUN / Cr 22.7 / 1.1 mg/dL Glucose 102 mg/dL U/A Pro (-) Glu (-) Pro / Alb 6.0 / 4.2 g/dL AST / ALT 364 / 428 IU/L T.Bil / D.Bil 1.7 / 1.1 mg/dL CK / CK-MB / Tn-T 50 / 5.01 / 0.012 NT-proBNP 17,402 pg/mL

Chest PA (HD #1)

ECG (HD #1)

Echocardiography (HD #1) 1. Severely depressed LV systolic function (EF=13%) with multiple thrombi in LV apex 2. Severe hypokinesia of RV 3. Enlarged LA (volume index=34cc/m2) and borderline enlarged LV 4. Mild pulmonary hypertension (RVP=42mmHg), dilated IVC with plethora

Abdomen CT (HD #1)

• Epinephrine 39.8 ug/day (0~20) 24 hr urine study: • Epinephrine 39.8 ug/day (0~20) • Metanephrine 11.1 mg/day (0~1.3) • Norepinephrine 10,531 ug/day (15~80) • VMA 34.1 mg/day (0~8)

DIAGNOSIS: Catecholamine induced cardiomyopathy LV thrombi, multiple Pheochromocytoma Captopril (ACE inhibitor), Heparin infusion, Doxazocin (alpha-blocker) 투여 시작 입원 14일째 갑작스런 복통 호소하여 CT F/U 하였으며, Pheochromocytoma rupture 의심되었으며, 입원 16일째 right adrenalectomy 시행함

Abdomen CT F/U (HD #14)

Adrenalectomy, Right (HD #16) Adrenal Gland 37.9 g, 6.5 x 4.5 x 4 cm x12 x100

PROGRESS 114/70 mmHg 100/70 mmHg 42/21 mmHg 128 bpm 130 bpm 140 bpm HOD#1 HOD#8 #14 #16 #18 #20 Rupture of Pheochromocytoma PCPS CRRT Adrenalectomy, Right 114/70 mmHg 128 bpm 100/70 mmHg 130 bpm 42/21 mmHg 140 bpm Heparin Heparin Captopril 25mg tid Doxazosin 1mg bid 2mg bid Phenoxybenzamine 10mg qd Aldactone 12.5mg qd Ciprofloxacin 200mg bid, Tazocin 4.5g tid Epinephrine 0.3ug/min/Kg Norepinephrine 85ug/min Vasopression 0.12ug/min/Kg

수술 후 2 일째 흉부 단순 촬영에서 폐부종 악화, 혈압 및 산소포화도 저하되면서 심정지 발생하여 15분간 흉부 압박 후 자발순환 회복되었고, 심기능 저하, 폐부종 악화되어 심폐보조순환술 시행 수술 후 4 일째 소변량 감소하고 산혈증 진행되어 지속적정정맥혈액투석 시행하였으나 폐부종 악화되어 혈압 및 산소포화도 유지되지 않았으며 동공반사 소실되어 매우 불량한 예후 예상되었음. 당시 Ejection fraction 5% 로 회복소견 보이지 않았음 입원 22 일째 맥박 소실, 심전도상 정지 소견 보여 사망선언

After Operation After PCPS HOD #17, POD #1 HOD #19, POD #3

HD #22, PD #6

Cardiac manifestations of Pheochromocytoma Cardiomyopathies Forms of myocardial ischemia Primarily arrhythmogenic conditions

Mechanism of Catecholamine induced Cardiomyopathy Catecholamine-induced vasomotor constriction of the myocardial circulation Catecholamine direct toxicity Calcium overload Catecholamine oxidation product   Free Radical  Sarcolemmal permeability Ischemic damage Myocardial change Focal areas of myocytolysis Myofiber necrosis Interstitial fibrosis Mononuclear inflammatory infiltrates

Catecholamine-induced cardiomyopathy can be irreversible or reversible. In the presence of heart failure or pulmonary edema, one must consider pheochromocytoma as the ca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