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이해 제8강.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발표자 : 푸른한국닷컴 대표 전영준. 활기찬 미래한국 창조 남북한 통일 초석 마련 관념적이고 무능한 진보좌파정권 탄생 방지.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Today’s topic : TV, 드라마, 정치, 쇼오락 한성대학교 의류패션산업전공 교수 이희승.
2) 북한의 통일 정책 2) 북한의 통일 정책 A) 북한의 통일정책 기본구조 주체와 주체와 방법 방법 한반도 전체의 공산화 북한 노동당규약 전문 : ‘ 온 사회의 공산주의 사회 건설 ’ 명시 주체 : 공산당에 찬성하는 집단이나 개인 방법 : ‘ 인민 민주주의 혁명 노선.
Ⅷ. 정치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4.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한다 ! 사회교육과 김문주.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5.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와 건국 준비 활동 광복을 향한 노력과 건국 준비 활동 년대 임시 정부를 비롯하여 나 라 안팎의 여러 단체들이 전개한 항 일 투쟁의 내용과 성과를 파악할 수 있다. 임시 정부 등 독립운동 세력이 추구 한 광복 이후 국가 건설의.
WTO & Doha Development Agenda 민경태 민경태.
N.G.O (Nuclear GNFL Organization) 경남외국어고등학교. Table of Contents 활동계획 활동방법 1) 경제부서 2) 과학부서 3) 국제관계부서 참고사이트.
환 태평양경제동 반 자 협 정(TPP) Trans-Pacific Partnership 박 소 영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설치하기.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5 가을학기 제3주(1)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동아시아 평화와 협력의 길을 찾아서 이 종 석(전통일부장관).
아모레퍼시픽과 IT기술 아모레퍼시픽에서 쓰이는 IT기술.
통일비전과 통일대비 ) 배정호(GK전략연구원 대표).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03 공동체 발전을 위한 제도와 사회 참여 방법은?.
과거와 현재의 한미 동맹과 미래전 홍우현 김홍빈 강승민 이장희 임현철
한.아세안 FTA 협정의 기대효과 와 의의 무역학과 최영도 이상철
ASEAN 경제통합의 확대와 한국의 대응방향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9강. 말레이시아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5강. 베트남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동아시아의 이해 제14강. 동아시아 공동체를 향하여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일본의 독도 침탈과정의 불법성을 알고 일본의 잘못된 주장을 반박하기.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4 가을학기 제1주(2)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Southeast Asian Nations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2009 아시아포럼 이 재 현 (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수업명 또는 그 외 PPT 주제를 넣으세요 PPT주제를 영어로.
동아시아의 이해 제4강. 동아시아의 정치구조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7강. 캄보디아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АБИИ (Азиатский банк инфраструктурных инвестиций)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13강. 브루나이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UNISDR ONEA-GETI 안내.
2012 PISA 한국 VS 핀란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도라도라 작전 국제관계학과 정민화.
동아시아의 이해 제1강. 지역으로서의 동아시아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국제관계론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Forum with Russian Ambassador to Korea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제1장 기업환경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1.1 기업환경의 변화 1.2 품질경영도입의 필요성.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12강. 싱가포르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한국대외관계론 제6강. 한국의 대외관계 1: 미국과 일본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 가?.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2. 세계의 종교 분포와 경관 ① 세계 주요 종교의 분포와 확산.
국제 연합(UN) 국제경영학과 이태희.
사회 2학년 2학기 2. 제 2차 세계 대전과 전후의 세계 > 4) 국제 질서의 새로운 전개 > 9/13
제1차 세계대전.
제4편 북한경제와 남북한 경제교류 제11장 북한의 경제체제와 발전.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중국과 미국의 관계.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지방자치제도.
Presentation transcript:

동아시아의 이해 제8강.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1.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특징 ○ 동아시아 국제관계는 지역적으로 두 개의 하위지역으로 구분하여 고찰 가능  - 동북아(한국, 북한, 중국, 일본)+동남아(아세안 10[ASEAN Ten]+동티모르)  - 그러나 동아시아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주의에 입각하여 종종 러시아, 남태평양 제도의 호주, 뉴질랜드, 태평양 국가로서 미국, 캐나다, 남미 일부 국가 등이 국제관계에 관여 ○ 오늘날 동아시아 국제관계는 국제정치를 통해 발생하는 광범위한 이슈를 포괄  - 세계화의 영향에 따라 인권, 난민, 마약, 국제범죄, 환경 등 다양한 이슈들이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주요한 의제로 등장  - 국제적 지역주의의 다각적인 영향에 따라 아세안을 비롯하여 APEC, ‘아세안+3,’ 동북아 공동체 등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지역협력 강화

2. 냉전체제 시기의 동아시아 국제관계 ○ 현대 동아시아 국제관계는 오랜 전통에도 불구하고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본격적으로 형성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중국과 일본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미국의 선택은 동아시아 국제관계 형성의 기본적 토대 제공  - 동남아 식민지 국가의 독립과 공산주의 확산, 그리고 동남아의 지역분쟁 등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또 다른 변수로 작용 ○ 1945년 일본의 패망과 1951년까지 일본에 대한 미군정의 정책적 선택은 미·일 동맹관계 형성으로 발전  - 전후 미국은 최초 미군정을 통해 일본의 민주화와 비무장화를 추진하여 미국의 안보적 위협이 되지 못하도록 조치  - 1947년 공산주의 환산을 막기 위한 봉쇄(containment) 정책의 일환으로 미국의 동북아정책 변화: 미국은 1951년 미·일 평화조약을 체결, 동북아 지역 에서 일본을 주축으로 안보동맹체제 구축(한국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고심)  - 1949년 평화헌법 제정: 제9조에 따라 일본은 국제관계에서 군사력 사용을 포기, 일본의 방위는 미국에 의존하는 전략적 선택

 - 1950년대 요시다 독트린(Yoshida Doctrine): 일본의 요시다 시게루(吉田茂) 총리의 주창으로 일본의 안보 문제를 미국에 의존함으로써 군비에 최소한의 비용 만을 사용하고, 모든 자원을 경제성장에 투입하는 전략 ○ 1945년 이후 중국의 공산화는 동아시아 안보질서를 재편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  - 제2차 세계대전 종결 당시 미국은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일본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역할 기대: 중국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 찬성  - 그러나 1949년 중국의 공산화는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 예시: 1950년 중·소 동맹 체결은 동아시아에서 잠정적으로 공산주의의 확산을 의미  - 1950년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에 따라 미국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기 위해 1954년 대만과 상호방위조약 체결 ○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남아는 식민지 독립을 위한 전쟁과 더불어 역내 국가들 사이의 국가 형성을 위한 상호 경쟁체제 돌입  - 베트남: 1946년~1954년 베트민(Viet Min) 중심으로 프랑스에 대한 독립전쟁  - 인도네시아: 1945년~1949년 네덜란드 상대로 독립전쟁 전개, 1949년 독립  - 필리핀: 1946년 미국으로부터 독립, 미얀마(버마): 1948년 영국으로부터 독립  - 1957년 말레이시아 연방 탄생: 싱가포르, 보르네오 북부를 포괄하는 연방국가 탄생으로 인도네시아와 대결(konfrontasi)정책 형성

○ 1960년대 베트남전쟁의 발발은 동남아 지역을 둘러싼 중국과 미국, 중국과 소련 사이의 긴장관계 초래  - 1960년대 중·소 분쟁의 확산은 국제적으로 공산주의 종주권 경쟁과 더불어 동아시아 지역에서 세력정치(power politics) 차원으로 전개     예] 베트남 등 인도차이나 공산주의 국가들에 대한 종주권 경쟁  - 중국과 소련 양국은 국경 분쟁과 더불어 서로를 수정주의라고 지칭하며 종주권 획득을 위한 갈등관계 형성  - 베트남전쟁 기간 중 미국은 참전 당사국으로서 베트남을 지원하는 중국과 미묘한 대결구도 형성  - 베트남전쟁 등 인도차이나 지역의 안보위협 증대는 1967년 태국, 필리핀, 말레 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주축의 아세안(ASEAN) 창설 ○ 1969년 닉슨 독트린(Nixon Doctrine)과 1972년 미·중 관계정상화는 동아 시아 지역의 유화적 분위기 형성  - 1969년 미국 닉슨 대통령은 “아시아의 방위는 아시아인의 힘으로”라는 구호 아래 닉슨 독트린 발표  - 1972년 닉슨의 중국 방문: 상해공동선언을 통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확인, 대만의 국가 인정과 상호방위조약 폐기(1979년 미·중 공식적 국교 수립)

 - 1973년 미국은 파리협정을 통해 베트남 철군 결정: 1975년 베트남 공산화, 캄보디아의 경우 친중국계 크메르루즈(Khmer Rouge) 정권 수립  - 1978년 말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으로 중국-베트남 관계 악화; 베트남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소련과 국교 수립 ○ 1985년 소련 고르바쵸프의 개혁개방(Perestroica and Glasnost) 정책 추진 을 통한 국제 냉전체제의 변화  - 1985년 소련의 개혁개방 선언 이후, 미·소 관계의 변화와 더불어 양국은 대결 구도를 청산하고 국제적 냉전체제의 변화 모색  - 1989년 중·소 관계정상화, 베트남 군사고문단의 캄보디아 철수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국제적으로 탈냉전 분위기 확산  - 동아시아 지역에서 안보적 위협 약화, 경제성장을 주축으로 국가 간 경제적 경쟁 과 협력 강화  

3. 탈냉전 이후 동아시아 국제관계 1) 동북아의 국제관계 ○ 탈냉전과 더불어 미국의 국제적 영향력 증대와 더불어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입지적 환경 및 외교정책 노선 변화  - 오늘날 미국은 세계적으로 군사력을 투사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유일한 국가로 부각되어 동아시아 지역에도 영향력 확대  - 미국의 외교정책 목표는 기본적으로 정치적 자유민주주의와 경제적 시장자유화 를 전세계로 확산시키는 것  - 특히 중국의 경제적 부상에 따른 견제를 위해 일본을 전략적으로 활용, 중국에 대한 경제적 포용정책을 함께 추진  - 미국은 1989년 천안문 사태 이후 중국의 인권 문제를 지속적으로 거론하여 정치적으로 압박, 경제적 협력관계는 지속적으로 유지 ○ 탈냉전 이후 중국의 경제적 부상은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있어서 새로운 변화를 촉진하는 핵심 요인  - 중국의 동아시아 외교정책은 일차적으로 영토 보존, 그것은 티벳, 신장 위구르 지역 등 변방지역의 분리 독립을 억제하는 정책으로 표출

 - 중국은 자국의 안보를 위해 북한을 비롯한 주변국의 정치·경제적 변화를 지속적 으로 주시하며 대응  - 경제적으로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통해 국가를 현대화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 ○ 탈냉전 이후 일본은 기존의 동아시아 외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 주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적응  - 탈냉전 이후 일본은 자주국방(self-defense)과 더불어 미국에 의한 안보적 무임승차(free-ride) 비판을 벗어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에서 안보력 증강  - 일본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주의를 대표하여 APEC, 아세안 지역포럼(ARF) 등에서 다자 간 안보협력 주창  - 미·일 무역흑자에 따른 미국의 견제를 의식하여 시장자유화에 대한 외형적 변화 를 추진,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시장접근 추진(예] 동남아 아세안) ○ 중·일 관계, 미·중 관계, 미·일 관계 등의 다각적 변화에 따라 동아시아 국제관계 의 역동성 표출  - 거시적 차원에서 미국과 중국은 동아시아 패권을 둘러싼 눈에 보이지 않는 경쟁 관계를 유발, 이에 따른 역학관계의 변동 초래

 - 한국과 더불어 중·일 관계는 일본의 과거사 문제와 더불어 각국의 민족주의 감정 문제가 동북아 협력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  - 미·일 관계는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기 위한 협조관계가 유지되는 가운데 일본의 안보적 역할이 점차 증대 ○ 동북아 국제관계에 있어서 러시아는 제3의 존재, 현대 국제관계를 통해 지정학적 경제적 이해관계가 점차 증대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러시아는 동북아 국제관계를 논의함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 으로 작용, 특히 한반도 문제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 회복을 위해 노력  - 러시아는 동북아 지역에 있어서 특정 국가에 의한 패권적 질서를 반대, 중국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일본과 잠재적 적대 관계를 유지 (예] 사할린 등 쿠릴열도 문제)  - 그러나 최근 들어 경제협력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동북아 국가들과 경제협력 관계를 우호적 방향으로 확대하고자 노력 ○ 중국에 있어서 양안(대만) 문제는 그들의 영토 보존과 연관된 가장 핵심적 사안,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미묘한 입장 반영  - 중국은 1984년 홍콩에 적용된 1국 2체제 모델을 대만 문제에 적용, 2005년 반(反)분리법 명문화

 - 대만의 경우 2000년 민진당 천수이벤 총통의 집권으로 중국과 분리된 대만의 독립 주장, 2008년 국민당 마잉주 총통으로 정권 교체되면서 중국과 관계 회복  - 대만 문제에 대한 미국의 입장은 전략적 모호성 특징, 중국과 관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대만에 대한 군사적 행동만은 철저하게 경고 ○ 한반도 문제는 크게 3가지 요인의 핵심적 이슈가 작용하며 각 시기마다 역동적 변화 양상을 표출  - 한반도 통일 문제는 남북한이 상호 공인하는 핵심적 사안이며, 지속적으로 노력 해야 될 핵심 과제  -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의 입장과 태도가 매우 중요: 1994년 북한의 핵개 발 문제가 발생하면서 2002년 핵무기 개발에 이르기까지 북한 문제는 국제적 관 심사로 대두  -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의 방북과 6․15 공동선언 등 가시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전향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 ※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북방삼각관계 vs. 남방삼각관계 변화에 따라 한반도 환경 이 다각적으로 변화

※ 한반도를 둘러싼 북방삼각관계, 남방삼각관계 중국 러시아 북방삼각관계 북한 한국 남방삼각관계 미국 일본

2) 동남아의 국제관계 ○ 동남아 지역은 동북아 지역만큼 강대국이 존재하지 않으나, 국제적 차원에서 중요한 이슈들이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지역  - 동남아는 강대국들이 관여, 동북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  - 동북아 국가들에 비해 동남아 국가들의 국가체제가 훨씬 허약하나, 상대적으로 동아시아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게 작용  - 동남아 국가들의 지역주의가 동북아 지역주의보다 훨씬 강하게 작용, ‘아세안+3’ 의 근간 형성(예] 아세안 방식[ASEAN Way])  - 동남아 국가들의 국가-시민사회 관계는 다양한 긴장관계를 유발하며 크고 작은 안보 문제와 국제적 이슈 제공    예] 각국 내부의 분리·독립 운동을 비롯하여 인권, 난민, 개발, 국제범죄, 환경 문제 등 ○ 동남아 내부에는 세력경쟁 등 특정한 국가에 의한 지배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나, 역내 국가들 사이의 복잡한 역학관계 형성  - 해양부의 경우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이 경제적 우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사이의 삼각관계 속에서 인도네시아가 지도력 발휘

 - 대륙부의 경우 태국-베트남, 태국-미얀마 관계가 전통적 경쟁관계 형성, 태국이 지도력 발휘  - 이들 국가들 관계는 비교적 다양한 패턴 형성, 상호 관계의 세력균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 1992년 아세안자유무역지대(AFTA)가 체결되고 1993년 1월 발효되면서 동남아 국가들 사이의 경제협력 강화  - 2002년 11월 중국은 중국-아세안 간 전면적 경제협력 방안에 관한 협의서 채택으로 경제적 협력관계 강화  - 2006년 5월 태국을 제외한 아세안과 한국 사이의 자유무역협정 기본조항이 체결되어 경제협력 강화 ○ 1994년 아세안 지역포럼(ARF) 형성으로 아시아·태평양을 근간으로 한 안보 협력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  - 아세안 지역포럼은 동남아뿐만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주요 국가들이 집단적으로 참여하여 안보협력 논의  - 1990년대 동남아 내부 문제에 대한 유연한 관여(flexible engagement) 정책은 실패, 강화된 상호작용(enhanced interaction) 아래 협력 강화  - 역내 이슬람 국가들이나 이슬람 분리주의 운동이 격화된 국가들을 중심으로 테러리즘에 대한 공동대처 논의

3. 동아시아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주의 ○ 동아시아 경제협력 등 공동체 형성을 위한 동북아 국가들과의 연계활동 강화  - 동남아와 일본은 전통적으로 경제협력 관계에 놓여 있으나, 일본에 의한 경제적 종속을 우려  - 동남아에 있어서 중국은 전통적 위협국이며, 특히 남사군도 문제 등 해결해야 될 과제 산재 (예] 남사군도 문제: 남중국해를 둘러싼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과 영토 문제 발생)  - 동남아적 인식에서 한국은 가장 수월한 국가이나, 한반도 문제와 2002년 노무현 정부의 ‘동북아 중심’ 등으로 이니셔티브 상실     ※ 보고르 선언(Bogor Declaration 1994): APEC 참가국들은 역내 경제협력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되, 선진국들의 경우 2010년까지, 개발도상국들의 경우 2020년까지 역내 무역과 투자 자유화를 추진하기로 합의한 선언 3. 동아시아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주의 ○ 동남아는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주의 사이의 중심적 위치  - 1989년 창설된 APEC과 1994년 창설된 ARF 등은 전통적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주의를 대변하며 아세안 중심의 참여 유도  -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아세안+3 창설과정에서 아세안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 국가들의 영향력 증대  - 최근 들어 아세안+3를 통한 동아시아 경제협력과 공동체 구성 논의 강화, 동아 시아 정상회의(EAS)에 역외 국가들이 포함되는 등 미국의 견제력 작용

NIEs: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 아시아·태평양이라는 용어는 동아시아 국제 문제에 대한 역외 국가들의 개입을 정당화시켜 주는 역할로 작용  - 전통적으로 동남아 지역은 동아시아 패권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존재, 따라서 동아시아 역내 국가들뿐만 아니라 미국 등 역외 국가들도 동남아에 대한 적극적 접근  - 아세안+3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주의를 극복하고 진정한 동아시아 협력체제를 이끌기 위해서는 상호 국익을 초월한 리더십 요망      예] 안행이론(flying geese theory) 기러기 대장 중국 일본 NICs: 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NIEs: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