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6 제조업 화학사고 예방관리 10계명 화학물질을 취급하기 전에 반드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11 년 4 월 월례회 및 기술세미나 울산환경기술인협의회. 시간계획진 행 순 서발 표 자발 표 자 15:00 ∼ 15:20 개정법규 및 질의회신 설명기술이사 15:20 ~ 15:30 광영기업 소개광영기업 15:30 ∼ 16:00 악취관련 기술세미나태성환경연구소.
Advertisements

High-Five 운동 추진 ( 유해  위험물질 취급작업 ) High-Five 운동 추진 ( 유해  위험물질 취급작업 ) 전 자 ㈜
취급제한 · 금지물질 제도 안내 취급제한 · 금지물질 제도 안내 낙 동 강 유 역 환 경 청낙 동 강 유 역 환 경 청 낙 동 강 유 역 환 경 청낙 동 강 유 역 환 경 청.
작업발판에서 안전난간을 넘어 이동 중 추락 사망 건설 1. 재해개요 ( 일 ) 11:00 경 ㅇㅇㅇㅇ㈜가 시공하는 Plant 하자보수 공사현장에서 사업관리 과장인 피재자가 Reactor 사이의 Expansion Joint 상부 플러그 하자 보수작업 중.
냉동물류창고 안전보건 매뉴얼Ⅱ (보건관리분야)
2012년도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교육 배출량 조사표 작성 방법.
산업보건위생분야 석면해체·제거 작업지침 안전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G-health system 제안서.
삼성토탈 생활화학, 첨단화학, 환경화학의 글로벌리더
발암물질 진단사업 방향과 노동조합의 역할 금속노조 노동안전보건실.
실험장비 및 기구의 안전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신종식 교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이해 직업건강실 화학물질관리팀
공정안전관리(PSM) 소개 (Process Safety Management)
산업안전보건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안 노동부 안전보건정책팀.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안전보건센터 소 장 양 정 선 ( ~12. GHS 순회설명회)
측정, 특수건강진단 비용지원사업 설명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전남동부지도원.
2010년 1월 안전보건교육 목 차 (보약보다 더 좋은 사상체질별 건강식)
2007년 울산 광역시 안전문화대상 사례 발표 한국에어프로덕트㈜.
화학물질 수입절차 안내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
18장. 인간활동과 환경오염 과목 : 에너지 공학 교수 : 이영우 교수님 소속 :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산업안전일반 동영상 잘 보셨습니까. 좋은 날 기분 좋게 등산가서 이런 건 조심하라고 상기시켜주기 위해 보여드렸습니다.
안전/보건/환경관리 현황 보고(상반기 실적)
양산중앙 요양병원을 소개합니다^^ 발표 : 행정원장 김 광 록.
Laboratory Core Safety and Environment
REACH에 의한 안전보건관리 김정호 보건사무관 산업보건환경팀, 노동부
GHS 분류·표시 세부지침 웹 프로그램 활용 및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이종한 (Ph.D)
조선업 안전보건 활동 사례 조선.
삼성전자 녹색구매 추진현황 삼성전자 DS총괄 ESH그룹.
생물안전2등급 연구시설(BL2) 이용안내.
2010년 6월 안전보건교육 목 차 중점 안전보건환경활동 POINT(밀폐공간 질식사고 예방, 전기작업 안전)
2018년3월23일 전면개정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사용자 매뉴얼 Ready Mixed Concrete User’s Manual
유해∙위험요인 자기관리 제 목 : 함께 가야하는 길.
SILICONE PRIMER & RUBBER PRIMER INTRODUCTION
화학물질중독 예방대책 EMS정보지원자료 근로자 안전보건 교육자료 한국산업안전공단 교재자료개발팀.
재단법인 네오딘의학연구소 강희용,김보경,김미라,홍창식,김창수
한국산업안전공단 충북지도원 안전보건팀 이진수 대리
Behaviour(행동) Based(기반) Safety(안전)
공정안전자료 울산중대산업사고예방센터.
반도체 보건관리 전략 건강“Enter” 과장 황 보 숙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웹사이트( 접속 우측상단의 MSDS(물질안전보건자료) 검색 바로가기 클릭.
. tel) 서울 광진구 구의동 광진구벤처창업지원센터 504호 스위트스톤.
화학생물공정실험 (2016년 1학기 계획 및 조교 예비 발표) 2016년 3월 3일.
GHS대비 MSDS 제도 개정 및 정책방향 2008 오 정 룡.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광주지역본부 교육센터
치과기공소에서 알아야 할 산업안전보건법
물 질 안 전 보 건 자 료 (Material Safety Data Sheet) 물질명: 수산화나트륨
산업안전보건법 바로알기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정책과.
주간 : 9119 / 9123 야간 : 사고발생 시 대처요령 ◆ 사고처리 절차 ◆ 사고 보고 시간
연구실 안전의 필요성 연구활동종사자의 역할, 책임 그리고 권리 주요 연구분야별 안전 유의사항 및 현장검사 시 주요 위반사례 참고자료 및 사이트.
안전보호구 착용 캠페인(案) 경영지원본부 지원팀.
연구실 안전정보 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Safetylabs.incheon.ac.kr.
UN 이행보고서.
공예전공 안전교육 1.0.
연구실 안전정보시스템 사용설명서 - 사용자 -.
안전보건11대 기본수칙 선정 8. 고소작업시 안전난간, 개구부 덮개 설치 1. 작업전 안전점검, 작업중 정리 정돈
B사 지브라 “타블렛” 테스트
위험물질 위치 현황도 경기도재난안전본부 주식회사(1/2) 저장시설 N 잔디밭 5동 11동 위험물 유해화학물질 가스 범례 :
위험물질 위치 현황도 경기도재난안전본부 주식회사(1/2) 저장시설 N 잔디밭 5동 11동 위험물 유해화학물질 가스 범례 :
POLY – KP35 개요 일반 방청제는 윤활성분에 의한 수분차단으로 녹 발생을 방지하지만 POLY-KP35는 강력한 녹 전환작용으로 이미 발생한 녹을 안정된 형태로 개선하고 고분자 코팅 막을 형성하여 녹의 발생을 억제한다. 녹제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기 단축과.
조선업 위험성평가 프로그램 모델개발 세이프티아㈜.
위험물질 위치 현황도 경기도재난안전본부 주식회사(1/2) 저장시설 N 잔디밭 5동 11동 위험물 유해화학물질 가스 범례 :
위험물질 위치 현황도 경기도재난안전본부 주식회사(1/2) 저장시설 N 잔디밭 5동 11동 위험물 유해화학물질 가스 범례 :
신규채용자 안전교육 자료 (유)국민종합주택관리.
현장 작업자를 위한 업종별 교안 2013-교육미디어-1451.
화학물질관리법 하위법령 개정(안) 설명 대구지방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
교육 자료 화학물질 관리제도 업무 안내 화 학 물 질 과 심충구 주무관.
2012년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금강유역환경청.
위험물질 위치 현황도 경기도재난안전본부 주식회사(1/2) 저장시설 N 잔디밭 5동 11동 위험물 유해화학물질 가스 범례 :
Texport PEEL (Oligomer제거제)
연구실 유해화학물질의 안전한 관리 PNU 함께하는 나침반 화학안전 워크숍 제7공학관 7415호
Presentation transcript:

1 6 제조업 화학사고 예방관리 10계명 2 7 3 8 4 9 5 10 화학물질을 취급하기 전에 반드시 * 화재·폭발·누출 등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정에서 설비결함 및 관리소홀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말합니다. 1 6 화학물질을 취급하기 전에 반드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화기작업 시에는 인화성 가스, 가연성 물질 등 위험물을 제거 유해성·위험성을 숙지하고 적절한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확인 포함)하고 용접불티 비산 방지 덮개 설치, 소화기 비치 등 안전조치를 하여야 합니다. 2 7 화학물질은 물질의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작업장 내 보관을 인화성 액체의 증기·가스 또는 고체로 인해 폭발 위험이 있는 장소 최소화하고 MSDS 게시·경고 표지를 부착하여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여야 합니다. 에는 방폭구조의 전기 기계·기구를 설치하고 환기를 자주 실시하여야 합니다. 3 8 화학설비 정비·보수 작업 시 안전작업 허가서 발행, 관리감독자 화학물질 혼합·가열 시에는 발열·분해 등 이상반응을 파악하기 배치 등 위험요인 관리를 강화 하여야 합니다. 위하여 온도계·압력계·유량계 등의 계측장치를 설치하고,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4 9 안전밸브, 파열판, 역화방지기, 긴급차단밸브 등 적절한 안전 화학물질 저장 및 취급설비의 배관 연결부, 밸브 등은 새지 장치를 설치하고 정상작동 여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야 합니다. 않도록 유지하고 수시로 누출여부 확인 등 유지보수를 강화하여야 합니다. 5 10 위험물을 취급하는 공정에서는 불꽃, 스파크, 정전기, 충격, 마찰, 위험물질을 액체상태로 저장할 경우, 저장설비 파손에 의한 누출 시 외부 흡연 등 화재 원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여야 합니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방유제를 설치하고 균열 등 누출 위험 요인이 없도록 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