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원론) 제 3장 정치학의 연구방법 강윤하 김희태 이민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價値 시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제품의 사용자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어떤 환경에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소비자의 생활 패턴을 파악해야.
Advertisement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심리학 개론 언어재활과.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 (Bloom’s Taxonomy)
제6장 가치평가.
사회과학 패러다임과 과학철학.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Entity Relationship Diagram
한국 사회와 정치 제1강. 한국 정치를 어떻게 볼 것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잠재력의 발견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4 가을학기 제1주(2)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제 1 장 과학적 조사란 무엇인가? 사회과학조사방법론의 이해.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Mind Map - 교육 공학 영역 분반 04 소속 음악교육과 학번 이름 장미희.
창의공학설계 4주차 강의 창의적 문제 해결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Professor C. K . KIM.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제1장 통계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자료와 수집 제3장 자료 분석 방법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재무회계의 목적 회계의 기본가정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회계원칙(회계기준) 제약조건
원격탐사의 활용 - Mapping -.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사회복지조사론(7) 2006학년도 2학기.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학과 : 국제개발 협력 대학원 과목명 : 국제 경영학과 담당 교수 : 백종희 학번 : 성명 : 샤르마 샤르원 발표 일 : 제 2 장 경제학 연구의 방법 경제학 들어가기
데이터마이닝, 빅데이터, 데이터과학: 정의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2 안누 팔라쿤나투 매튜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合作, 听的文学 박병현.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협동학습 박세정.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McKinsey 7S MODEL McKinsey 의 7S Model 은
사회복지조사와 조사 연구 방법 제3장.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Historical Materialism
사료.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디자인 리서치] 학번: 이름 : 홍지애.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제1장 행동수정 이론의 특징.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제11장 2차적 자료 수집과 내용 분석 경북대학교 황성동 C.
마케팅 의사결정과정 시장조사 의사결정 시장 상황 분석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알기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제1장 조사와 과학 경북대학교 황성동 C.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Recommended course of action for HRDers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행정윤리 접근법의 모색 -이기주의적시각을 중심으로-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정치학원론) 제 3장 정치학의 연구방법 강윤하 김희태 이민수

제 1절 방법론의 의미 제 2절 전통적 연구방법 제 3절 행태주의적 방법 제 4절 후기 행태주의 제 5절 정치경제론 제 6절 사변적 과학의 과제

제 1절 방법론의 의미 1. 방법론(methodology)이란 무엇인가? : 어떤 현상들을 접근하는 데 적용되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 1) 정치학에 있어 방법론은? - 정치학을 연구하는 데 있어 어떤 구체적인 주제를 선정·분석하는 데 필요한 자료·개념·이론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기준이나 절차를 마련하는 일은 필수적인 요건 => X : 전문성·체계성이 결여되기 쉬움 * 전문성 : 추상적 이론구성이나 선택을 위한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거나 그 이론의 타당성·적실성을 검토하고 평가하는 데 유용한 지식과 개념적 틀을 갖추는 것을 의미 ∴ 방법론이란, 어떤 본질이나 현상을 연구하여 지식을 축적해 나가는 데 있어 체계성과 정확성을 증진시켜주는 분석적 도구들을 연구하는 것이다.

2. 정치학의 연구방법 : 정치학의 학문적 성격이나 규모 자체가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어 다양 ① 규범적 방법 : 정치의 본질이나 도덕적 원칙을 규명하려는 데 초점 ② 실증주의적 행태방법 : 감각적, 경험적 자료에 의존해 정치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려 함 ③ 제도적 접근방법 : 정부 형태나 법률체계 등을 주요 연구대상 ④ 분석적 접근방법 : 권력엘리트들의 개인적 속성이나 권력유지 방법에 초점 : 정치학은 발전되어온 역사적, 사회적 배경이 달라 방법론적으로 시대나 지역에 따라 강조점을 달리해 옴 cf, 유럽, 미국 (p 109) 3. 정치학 용어 : 용어들은 정치학의 분석과 기술과정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① 패러다임 : 분석의 일반적 맥락을 수립하는 이념(구상)의 틀. 문제의 선택과 자료의 평가, 가설과 이론의 수용을 이끌어 나가고 결정

(행태주의가 정치학의 연구에서 적용되기 시작하면서부터 구분) - 토마스 쿤 정의 : 과학 공동체의 역사적 시각·세계 보는 방법·신념·가치·기술 및 공약의 포괄적 구성체 ② 이론 : 변수의 행위나 관계를 요약하는 일반화된 서술 (종속 · 독립 · 매개 · 조변수) ③ 방법 : 이론들을 자료에 적용하기 위해 조직하는 것. (비교적, 개별모형적, 역사적 방법) ④ 기술 : 방법들을 적절한 자료들과 연계 (표본조사, 공중여론조사, 인터뷰, 회귀분석, 척도와 시험) ⑤ 모델 : 관계들을 기술하는 단순화된 방식 (유형적, 기술적, 방법론적, 형식적) ⑥ 전략 : 어떤 요소들을 분석대상에 적용하는 특수한 방식 ⑦ 분석디자인 : 전략을 현장조사나 실험을 위한 조작적 계획으로 전환시키는 것 제 2절 전통적 연구방법 (행태주의가 정치학의 연구에서 적용되기 시작하면서부터 구분)

1. 철학적-규범적 방법 ex, 플라톤 ‘이상국가론’, 공자와 맹자 ‘왕도정치론’ ① 정치의 본질이나 현상을 형이상학적, 철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설명하려는 것을 특징 ② 현재 존재하고 있는 것, 있어야 될 것, 그런 당위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과 수단들을 강구하려는 데 연구 초점 ③ 보다 나은 정치질서나 국가형태를 이룩하려는 데 관심 ∴ ‘정치는 인간이 추구하는 고귀한 이상과 가치들인 정의·공동선·자유·평등·인권 등의 실현 수단’이다. 2. 역사적-기술적 방법 ① 어떤 사건이나 사태들을 정화한 자료에 근거해서 기술해 나가는 것 ② 연대순으로 정치적 사건들을 정리하여 기술 → 사실을 있는 그대로 기록·전달하려는 데 관심 ③ 사실 기록에 주관적인 가치판단이나 편견 배제되는 것 원칙 ④ 경우에 따라 인과적 설명 시도 경향, ‘구조적 원칙들’ 규명에 초점 ∴ 정치적으로 발생한 사건들이나 사태들을 자세하게 시대별로 구분해서 정리·기록하는 데 관심을 두기 때문에 후에 정치적 분석에서 필요로 하는 경험적 자료 제공

3. 제도적-법적 방법 ① 정치학의 연구대상을 제도나 법적 조문들에 한정, 관료제나 행정 분야를 포함 * 제도 : 기본적으로 한 사회가 존중하고 추구하는 원칙들을 반영한 일정한 틀 ② 국가의 헌법구조나 그에 기초한 공식적인 정부기구, 법 규정에 따른 정부기구들의 활동 등에 대한 연구에 초점 ∴ 정치현상을 헌법구조나 정부기구 및 그의 공식적인 활동 등에 한정시켜 연구하려고 했으며, 반면 정치과정이나 정치행위들에 대한 관심을 배제 제 3절 행태주의적 방법 행태주의 : 근대 경험과학에 기초해서 정치현상 중에서 경험적 측면들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는 하나의 개념적 틀, 분석적 방법 1. 인식론적 · 지적 배경 1) 실증주의 - 데이비드 흄 : 경험에 기초를 둔 지식이야말로 객관적임 현생에 대한 기술은 경험적 관찰을 통해 입증되는 경우에만 실제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

- 어거스트 꽁트 : 사회 분석을 위해 새로운 과학 수립, 지식 획득의 3단계 (신학적-종교적, 형이상학적-철학적, 과학적-실증적) 중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인간은 경험적으로 사실들을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고 봄 - 허버트 스펜서 : 생물적, 유기체적 분석을 정치사회학에 도입, 사회=유기체 사회 특징 ① 상호의존적 ② 모든 부분은 큰 실체를 살아있게 하기 위해 기능 ③ 사회는 외부환경에 스스로 적용하려 하며 구조적 분화를 가져 옴 2) 막스 베버의 지적, 방법론적 특징 * 베버 : 사회과학 방법론에 관심. 사회학이나 정치 분석에 있어 과학적 성격을 갖는 일련의 방법들을 발견해내려 함. 사회·과학적 객관성의 본질적 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을 믿음 - 방법론 개발을 위한 측면 ① 방법론적 개인주의 : 개인들의 독특하고 사려 깊은 행위 분석하는 데 중점 ② 이념형의 설정 : 존재 개체들의 공통 속성들이 일정 분류도식에 따라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논리적 구조물 ③ 사실과 가치의 구분 : 사실적인 것이란 경험적으로 증명될 수 있는 현실의 일부, 가치란 인간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결정할 때 취해지는 선험적 선택, 취향 및 욕망들이라고 규정

3) 심리학 -행태심리학의 자극·반응 [S-R]의 모델 ① 인간을 포함한 유기체의 행태는 이전의 자극에 대한 결과 혹은 반응이며 이런 자극은 알려지고 관찰되고 측정될 수 있다는 가정에 기반을 둠 ② 인간의 생활·행위 자체가 더 복잡하고 발견될 수 없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고 인정 4) 미국 사회의 전통이나 문화 미국인들의 전통적 믿음과 실용주의의 팽배가 미국 지식계에 행태주의적 조망을 수용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 2. 행태주의의 특징 : 행태주의적 장법은 근대 경험과학에 기초해서 정치현상 중에서 경험적 측면들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는 하나의 개념적 틀이고 분석적 방법으로 제시 ① 분석의 수준을 인간 및 그의 행태에 두고 있다 ② 행태주의는 시험될 수 없는 사변을 반대 : 사실의 분석에 초점

2. 행태주의의 특징 - 데이비드 이스턴 ③ 규칙성 : 개인의 현재 행태를 설명하고 미래 행태를 예측하기 위한 일반화나 이론들의 근거 ④ 입증 ⑤ 기술 : 사실과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일정한 기술 필요 ⑥ 계량화 : 정치 분석에 있어 수학적, 통계적 방법에의 의존을 더욱 증대 ⑦ 가치 ⑧ 체계화 ⑨ 순수과학 : 정치에 대한 연구를 순수하고 실험실 형태의 학문분야로 한정시키는 데 관심 ⑩ 통합 및 종합 과학적 접근 : 사회과학의 통합 강조 3. 행태주의의 장점 ① 일정한 가정 하에 통제된 상황 내에서 정치행위자들의 행태를 분석·설명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을 증대 ② 일정한 상황에서 정치행위자들이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보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고 나아가 예측가능 ③ 정치분석에 있어 방법론적 중요성과 명확한 개념적 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는 데 기여

4. 행태주의의 한계 ① 정치제도나 광범위한 정치과정들에 대한 분석을 소홀하게 함 ② 가설에 치중한 결과 역사적 연구가 무시되었으며, 추상적인 모델분석에 많은 관심이 주어짐 ③ 정치학이 하나의 학문 분야로서 갖고 있는 독특성을 상실케 함 ④ 가치의 문제를 제외 제 4절 후기 행태주의 행태주의적 방법의 불만과 비판 중대 → 행태주의 방법을 극복. 새로운 방법을 정치 분석에 적용하려는 움직임 - 행태주의 비판 : 기술적, 분석적 절차에만 관심, 현실과 관계없는 추상적 측면을 강조, 사회가 직면한 정치적 위기에 관여 X →비도덕적 1. 인식론적 배경 1) 역사주의 - 모든 인간적 표현들은 그 자체를 넘어서 그들이 속해 있는 시대나 문화의 특징적인 세계관과 연결되었다고 인식

① 감각에 기초한 자료들이 본래 순수한 형태로 인식될 수 있으며, 감각적 자료들은 본래의 순수한 형태로 인식될 수 없다고 주장 ② 정신은 인식과정에 있어서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매개체로 간주. 경험이란 정신 그 자체에 의해 선택되고 형성되는 것 ③ 인간정신의 기본 원칙이나 범주가 시대와 문화의 변화에 따라 달라져 왔다 → 단일적 관점 거부 ④ 진실·객관적인 지식 획득 가능성 의문시 → 인식론적 상대주의 인정 2) 칼 만하임 - 모든 사상은 사회적으로 결정되고 역사적으로 달라진다. - 인식론적 상대주의가 신념과 가치까지도 제공한다. 3) 토마스 쿤 - 역사가 현대과학에 대한 이미지를 결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 - 한 패러다임이 다른 패러다임으로 바뀔 때 나타난 새로운 패러다임은 문제를 선택하고 자료를 분류·해석하며 이론들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기준들을 제공

2. 후기 행태주의의 특징 ① 실체가 기술을 앞서야 한다 → 문제 해결을 위해 조사 분석 하는 것이 중요 ② 행태과학은 경험적 보수주의의 이데올로기를 숨기고 있음 → 탐구 하고자 하는 사실 자체 유지에만 집중 ③ 행태적 연구는 현실과의 접촉을 저해 → 추상적 설명, 분석에만 집중한 나머지 정치 현실을 은폐함 ④ 가치들에 대한 연구와 그들의 건설적인 발전이 정치학 연구에 있어 불가결한 요소 ⑤ 지식인들은 사회·역사적 책임을 져야함 → 지식인들은 인류문명 가치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 ⑥ 지식인들은 지식 활용의 특별한 의무를 져야함 ⑦ 전문 지식인들의 정치화는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제 5절 정치경제론 정치경제학 : 18-19세기에 걸쳐 등장한 정치적 요소들 + 경제적 요소들의 서로 상호관계를 중요하게 고려.

1. 일반적 특성 ① 19세기 후반, 20세기 초에 학문분야가 세분화되고 이론들과 분석양식들이 점차 전문화·구체화됨으로써 정치학과 경제학을 별개의 학문적 영역들로 분류 ② 별개의 영역들로 취급 되는데 자유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전통이 많은 영향을 미침 ③ 정치는 사회의 모든 부분들을 대표하는 다원적인 이익집단들 간의 상호작용과 경쟁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 ④ ‘경제와 국가의 정체간의 상호의존성’을 연구하는 분야로서 규정 ⑤ 생산과 분배를 포함한 경제활동과 관련해 국가의 담당 역할이 정치경제론에서 연구대상 - 노만 비그 ① 규범적, 경험적 성격을 갖는다 ② 정책 지향적 성격을 갖는다 ③ 구조적, 행태적 분석 수준들을 통합시켜 사태를 ④ 국제정치와 국제 경제간의 관계를 중요시한다. 이데올로기적 성향들 : 자유주의, 민족주의(중상주의), 마르크스주의

2. 자유주의적 시각 ① 19세기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의 사상에 기초. 개인의 자유무역, 제한정부로 등을 옹호 ② 인간 = 본질적으로 합리적인 경제동물. 시장 = ‘보이지 않는 손’에 자율적으로 규제·조정 되며 균형과 안정 지향 ③ 경제와 정치 분리 → 상호관계를 중요시하는 정치경제적 기본전제를 배제 3. 중상주의적 시각 ① 중상주의 = 경제적 민족주의 → 경제에 대한 정치의 우위성 강조 ② 중상주의는 모든 경제활동은 국가의 목표와 이익에 종속되어야 한다고 주장 ③ 부와 권력을 국가가 추구해야 하는 정책적 목표들로 간주.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갖는다고 인식 4. 마르크스주의적 시각 ① 정치는 상부구조로서 경제적 조건들에 따라 결정 → 정치에 대한 경제의 우위성을 주장 ②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에서부터 시작 ③ 신 마르크스주의자들 : 정치현상은 경제적 생산의 기본구조와 그러한 구조가 추구하는 사회계급 이익들과의 관계에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

(각기 독특한 목표들을 지향하고 각기 다른 분석양식들과 도구들을 적용해 옴) 5. 정치경제론의 한계 ① 정치·경제 양자 간의 관계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의 경험적 규명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님 ② 정치와 경제간의 관계에 대한 객관적 자료 획득의 어려움 ③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과학의 준거 틀로서 한계성을 갖는다. 제 6절 사변적 과학의 과제 정치학의 연구방법들의 세가지 접근방법 (p 134) (각기 독특한 목표들을 지향하고 각기 다른 분석양식들과 도구들을 적용해 옴)

2. 연구방법으로서의 과학 ① 현대 정치학에서 주로 관심 ② 과학으로서의 정치학 목표 : 미래의 인간 정치행태에 대한 예측을 가능케 함 ③ 정치현상을 분석 -연역적인 연구과정 : 주제의 선택에 따른 연구계획 마련 → 가설 설정 → 경험적 자료가 수집 →자료에 의한 가설의 입증 ④ 일정한 이론과 개념에 기초해서 분석과정이 이루어 져야함 ⑤ 분석할 때 필요한 자료의 수집에서부터 분류 및 적용에 이르기까지 가능하면 계량적 통계방식이 적용되어 객관적 분석이 가능해지도록 요구 3. 정치과학과 철학 ① 정치과학자들이 항상 가져야 할 위상 : 사변적 과학자 ② 도덕이나 철학은 경험과학 발달을 위해 필요한 새로운 이념·사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③ 어떤 정책이나 지도자를 결정하는데 개인·집단들의 건전한 가치판단의 기준 마련 역할.

- 자유주의 시각, 중상주의 시각, 마르크스주의 시각 Q: 학문분야(정치학)의 연구가 과학적일 수 있는가? Q: 우리나라를 정치경제론과 관련하여 한가지 시각을 적용하여 말하시오. - 정치학 연구 방법론의 예를 들어 서술할 것 - 자유주의 시각, 중상주의 시각, 마르크스주의 시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