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주차 계측 관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 Mini-MBA 일정표 Ⅱ. 제안 프로그램 DAY1(2/2)DAY2(2/3)DAY3(2/4)DAY4(2/5)DAY5(2/6)DAY6(2/7) 8 이동 조식 (07:00~08:00) 9 모의기업경영 시뮬레이션 MACS.
Advertisements

Six Sigma 품질/환경 시스템 실험실 석사 2기 정 지 영 석사 1기 김 경 훈 품질/환경 시스템 실험실.
제 3 호 농촌 어메니티 관광개발 정보 -농어촌체험 ∙ 휴양마을 지정제도- 농 촌 진 흥 청 농촌자원과.
목 차 Ⅰ. 병원경영의 환경분석 Ⅱ. 병원경영의 전략유형 Ⅲ. 병원경영의 최신기법 Ⅳ. 대응전략 1.
“내 소득 만족” 10명중 1명뿐 우리나라 국민 가운데 현재 소득 수준에 만족하는 사람은 10명 가운데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명 중 6명 정도는 앞으로 소득이 지금보다 더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60세 이상 노인 10명 중 6명은 자녀와 같이.
성문교회 행정시스템 구축 및 교회활성화 방안 2008년 12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시스템경영공학부 산업공학전공 오지연
현장의 작업개선 및 관리기법 과정.
1장 품질경영의 기본개념 ▶ 경영시스템 INPUT OUTPUT CUSTOMER VALUE ADDED ▶ 품질통제문제
기업과 표준화 목 차 1절 기업과 표준전략 2절 기업의 표준 3절 기업표준의 관리 4절 기업 부문별 표준화 오 태 균 부장.
ISO 인증기관 : ㈜큐엠에스 인증원 3정5S 운동과 TPM (종합생산성향상).
초일류 기업의 품질혁신 박영택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부 교수).
초일류 기업의 품질혁신 박영택 (성균관대학교 시스템경영공학부 교수)
㈜ 큐펙스 코리아 전문위원 박 준 화.
통계적 품질관리(SQC).
일본의 TPM Part-II 사례 TPM Part-II 추진체제 만들기 T P M
2017년 스타트Up-청년취Up 매칭사업 개요 □ 사업목적 □ 지원내용 □ 청년인재 정의 □ 스타트업 정의
품질과 시스템.
제 2-1 강 품질경영상 김한수 교수 연변대학 과학기술학원 경영정보관리학과
경기도시흥교육청 유치원평가 연수 시화유치원 남궁 상.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전사적 품질경영)
제 12 장 감성적 품질을 창조하는 품질경영 [전사적 품질경영 : TQM].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8장. 품질관리.
제9장. 품질경영 (CHAPTER 09. Management of Quality)
ISO 인증기관 : 한국 큐엠에스 인증원 3정5S운동과 TPM(종합생산성향상) KS.
ISO / KS A 9001:2000 전환을 위한 지침.
1.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이해.
KOSHA 인증제도 안내.
품질 입문 교육자료.
ISO 개정표준 핵심개정내용 및 준비사항 ISO 9001 개정이력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정 정보
간호관리Ⅱ Chapter 6. 통제 동아인재대학교 장 광 심.
ISO 9000 품질경영시스템 도입 및 인증.
Quality Management Construction Management
㈜맑은물E&F의 지속성장발전을 위한 전략체계도
ISO 9001:2000 프로세스 접근방법의 이해와 적용 베스트경영컨설팅(BMC).
품질관리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품질경영 (Quality Management)
의료의 질 관리 이론 및 질 향상 모델 김 민 경.
6시그마 경영개념 소개.
Quality is Customer Satisfaction
제 3 장 품질 경영.
통계적 품질관리 Statistical Quality Control
PDCA는 업무 (일)의 기본 1. 관리의 Cycle
ISO 9001 인증 교육.
교세라 아메바 경영 실무세미나 Wisdom21 기업의 채산성 강화를 위한 강사 : 양승경
아메바경영의 이해와 실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식품 품질관리
통합경영시스템 지도 제안서 ISO 9001, ISO SD경영연구소.
표준화 임원코칭 ③ 전략적 사고 2009年 05月 20日 先進標準化팀 SD경영연구소.
제Ⅰ부 생산·운영관리의 기초 제1장 생산·운영관리 입문 제2장 생산전략 제3장 제품설계 제4장 서비스설계.
품질관리 기본과정 2014년.
9 주차 품질 관리 2.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제 8 장 고객만족측정 고객만족은 경영품질의 근본 고객만족경영의 특징은 고객만족지표의 설정 고객만족도 측정과 활용
분임조 활동 (주) 세 기.
현대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제5장 기획과 의사결정.
우린 할 수 있어 - Yes, We can do it 09년도 절대빈곤 자녀 썸머 훼스티벌
6장 품질경영.
어린이집.
사회복지행정이론(3) - 현대조직이론(총체적 품질관리, 학습조직이론, 목표관리)
분임조원고 작성의 이해 임 헌 길.
3신(新•信•神)신입사원 Up-Grade과정
신체활동 동아리조직화 전략과 협업사례 박평문 제1기 국민건강을 위한 신체활동사업과정
타인을 내편으로 만드는 12가지 방법 고객서비스팀.
음 식 물 쓰 레 기 ▶ 감량의무 사업장 ; 1일 평균 연 급식인원 100인 이상인 집단급식소 음식물 쓰레기란?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2017학년도 함께하는 신나는 체육수업 체육수업, 이렇게 해요! OO초등학교 OOO 선생님.
물류(Logistics)의 개념 한국생산성본부.
Presentation transcript:

9 주차 계측 관리

계측 관리

계측 관리

계측 관리

계측 관리

9 주차 품질 관리

품질 관리 품질관리의 정의 품질관리의 목적 품질관리 효과 품질관리의 통계적 수법

품질 관리의 정의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품질의 제품을 경제적으로 만들어 내기 위한 수단의 체계이다. – KSA 3001 품질 관리의 정의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품질의 제품을 경제적으로 만들어 내기 위한 수단의 체계이다. – KSA 3001 품질관리란 가장 유용하게 또한 구매자가 요구하는 제품을 가장 경제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말한다.– 데밍(W.E Deming)… SQC(통계적 품질관리) 품질관리란 실제의 품질 정도를 측정하여 그것과 품질의 표준과 비교하여 그 차에 따라 조치를 취하는 일련의 과정이다.—쥬란(J.M. Juran) 종합적 품질관리란 모든 소비자의 만족을 고려한 가장 경제적인 수준으로 매매, 기술, 생산 및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조직내의 여러 부문내의 품질개발, 품질유지 및 품질개선 노력을 종합하는 효과적인 체계이다. -- 화이겐바움(A.V.Fegenbaum)… TQM(종합적 품질관리)

품질 관리의 정의 품질관리의 발전 단계별 개념 QC (Quality Control) 검사적 의미의 근대적 품질관리 SQC (Statistical Quality Control) 통계적 품질관리 TQC ( Total Quality Control) 전사적(종합적) 품질관리 TQM ( Total Quality Management) 종합적 품질경영 IMQ ( Integrated Management of Quality) 미적 감성, 유희적 본능 포함

품질 (Quality)이란? 사용목적에 적합도 ( Fitness for use ) 소비자 요구에 일치시킴 ( Conformance to Requirements) 고객의 명시적 묵시적 요구를 만족시켜줄 능력을 지니는 특성의 전제 ( ISO 8402 ) 품질 = 성능 + 안전성 + 기호 + 환경성 + 건강 + …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 요소 성능이 우수할 것 모양이 좋고 독특할 것 고장이 없고 오래 사용 할 수 있을 것 사용하기 편하고 조작이 간편할 것 수리가 용이할 것 색상이 좋을 것 유지비가 적게 들 것

품질 관리의 목적 소정의 품질의 확보 품질향상, 개선 편차를 적게 하고 균일한 품질관리 실수, 손실, 클레임 방지 품질 관리의 목적 소정의 품질의 확보 품질향상, 개선 편차를 적게 하고 균일한 품질관리 실수, 손실, 클레임 방지 품질에 대한 신뢰성 증가 원가절감 도모

품질 관리와 품질 경영의 비교 품질 관리 (QC) 품질 경영 (QM) 품질 요구를 만족케 하는 실시기법과 활도 공정 및 제품의 불량감소를 목표 생산 현장 중심 기업자체의 필요성에 의해 자율적으로 추진 생산중심적, 제품 중심적 사고와 관리기법을 강조 QM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관리기술의 하나 고객의 만족을 얻기 위해 최고 경영자의 품질방침에 따라 실시하는 모든 부문의 총체적 활동 공정 및 제품의 질은 물론 설계의 질, 사람의 질까지 포함한 총체적 품질 향상을 통한 경영목표 달성 최고 경영자, 관리자, 현장근로자가 모두 참여 ISO에 의해 구가규격으로 정해졌음 고객지향의 기업문화와 구성원의 행동의식 변화까지 요구 QC이외에도 VE,CPM,LCC등 필요한 관리기술의 총체적 활동

품질 관리의 목적 (이해관계) 건축주의 입장 건축물의 신뢰성, 안정성, 견고성, 기능, 외관 등에서 만족할 성능 및 신뢰성 품질 관리의 목적 (이해관계) 건축주의 입장 건축물의 신뢰성, 안정성, 견고성, 기능, 외관 등에서 만족할 성능 및 신뢰성 법규준수나 허가 등의 요구사항 만족을 위한 법적 대리인 선정 및 운영 사용검사, 실패사례조사, 성능검토에 기초가 되는 데이터 제공 계약의 이행, 시공자의 감시 시스템 제공 설계자 입장 다음 프로젝트의 설계 기초 자료 제공 (피드백) 품질이 보증되는 범위내에서 설계의 단순화와 안전율을 낮춤 → 원가절감 시공자의 입장 최대한 성공 가능성을 가진 시공방법 선택 불합격되거나 승인 받기 어려운 재료의 선택을 원칙적 배제 품지수준이 설계, 시방보다 우월성 확인 시켜줌. 관공서 공무원의 입장 관공서 시공과 시공재료가 공공성, 안녕,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관련법규의 최소한의 요구사항에 만족 동식물의 생태계 피해 방지

품질 관리의 효과 시공 능률의 향상 - 올바른 자재의 사용 - 시공상 불필요한 노력과 시간의 낭비 해소 품질 관리의 효과 시공 능률의 향상 - 올바른 자재의 사용 - 시공상 불필요한 노력과 시간의 낭비 해소 - 장비 가동률 향상 - 설비 및 장비의 수명 연장 품질 및 신뢰성의 향상 - 품질 변동이나 불량률 감소 - 건설시장의 신용도 향상 - 공사 수주의 증대 - 불필요한 검사 배제, 신뢰성 높은 분석 결과 도출 설계의 합리화 - 설계나 시방서의 불 합리점 배제 - 불량요인 파악하여 적절한 설계변경 작업의 표준화 - 작업 표준을 설정 → 준수 → 개선 공사비 및 공기 절감효과 품질, 공사비, 공기의 3요소를 동시에 만족되어야 한다.

품질을 나타내는 특성 일반적인 특성 (협의의 특성) 품질을 나타내는 특성 일반적인 특성 (협의의 특성) - 성능, 순도, 강도, 치수, 중량, 외관, 신뢰성, 수명, 불량률, 포장성, 안정성 Cost 및 수익 관계 - 원 재료비, 로스, 생산비, 불량률, 원가, 판매 가격, 이익 제품 출고후의 관계 - 보증기간, 운전방법, 부품의 호환성, 설명서, 저장방법, 수리의 난이도, 손질방법, 보급부품, 크레임, 사용기한, 서비스, 조사와 처리, 소비자의 불만과 요구

품질 관리 사이클 품질관리는 일반적으로 계획(Plan), 지시(Do), 검토(Check), 조치 (Action)의 4단계로 말하며 관리의 사이클, 또는 PDCA 사이클이라 함. 관리수준 조 치 계 획 A (Action) P (Plan) A P C D A P C (Check) D (do) A P C D 개선 검 토 실 시 C D 유지 개선 Level Up 유지 시간 데밍의 관리 사이클 관리 사이클

품질관리의 원칙 예방의 원칙 하자 정보 품질 정보 하자 항목 개선안 및 대책 발주자 및 요구품질 원인 분석 품질관리의 원칙 예방의 원칙 하자 정보 품질 정보 하자 항목 개선안 및 대책 발주자 및 요구품질 원인 분석 하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 품질 보수 대책 시공 품질 Plan 실 시 Do Check No 품질검사 Yes 끝

품질관리의 원칙 과학적 관리의 원칙 데이터에 의한 관리를 말하며 데이터로 정량화함으로써 주관적인 판단을 객관화 시킬 수 있다. 품질관리의 원칙 과학적 관리의 원칙 데이터에 의한 관리를 말하며 데이터로 정량화함으로써 주관적인 판단을 객관화 시킬 수 있다. 현장·현물을 상세히 관찰 기록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해석 해석 결과에 의한 조치 스태프 (Staff) 원조의 원칙 전문적인 품질 관리 기술자의 원조로 효과적인 품질관리 협조의 원칙 각 공정이 모두 품질,수량,원가,안전에 대한 책임을 공유함으로써 효과적인 품질 관리를 수행 할 수 있다. 사내 표준화를 통해서 업무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명확히 하여야 한다.

공사 품질 연관성 및 단계별 품질 실현 건설 공사의 품질 연관성 요구 품질 발주자, 건축주 설계 품질 설계자 시공 품질 시공자 공사 품질 연관성 및 단계별 품질 실현 건설 공사의 품질 연관성 요구 품질 발주자, 건축주 설계 품질 설계자 시공 품질 시공자 건설 공사의 단계별 품질 실현 자재 품질 선정/관리/검사시험 완성 품질 구조물/AS/유지/보수 설계 품질 설계도면/시방서 요구 품질 1. 성능 :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본적인 작동 특성 2. 부가 기능 : 제품이나 서비스에 있으면 편리한 기능 3. 신뢰성 : 제품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척도 4. 규격 적합성 : 미리 설정된 기준에 대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적합성 5. 내구성 : 제품의 수명 6. 서비스의 체계 : 신속, 정중, 기술적 능력, 간편성 등 제품의 수리에 관계 7. 관능 요소 : 주관적인 요소, 품직에 대한 소비자의 느낌 8. 인지된 품질 : 제품, 서비스의 명성, 이미지, 광고, 선전, 상표명 등 설계 품질 1. 요구 품질 중 자사의 기술 수준과 공정 수행 능력상 실현이 가능하다고 생각되어 제품의 설계에 반영된 품질 특성으로 2. 요구 품질을 실현하기 위해 제품을 기획하고 그 결과를 시방으로 정리하여 도면화한 품질을 설계품질이라 한다. 3. 설계도서는 발주자에게 건축물을 설명하는 역할이며 발주자의 의도를 확인하는 과정 4. 건축물을 만드는 입장을 시공자에게 전할 목적 시공 품질 1. 설계단게에서 작성된 설계 도면과 시방서를 전달받아 시공 과정에서 지정된 품질 기준에 어느 정도 일치하는 건축물을 생산해 내는가를 의미 2. 시공품질은 실제의 품질 특성 즉 “실현되는 품질”을 의미하기도 한다. 현장의 품질은 제조의 품질을 의미하기도 한다. 공정 품질 노무/자재/장비/작업/공법 설계 단계 시공단계 유지관리단계

공사 품질 연관성 및 단계별 품질 실현 자재 품질 정보의 흐름도 설계 품질 설계 품질 품질 기준 품질 목표 허용 범위 공사 품질 연관성 및 단계별 품질 실현 자재 품질 정보의 흐름도 설계 품질 설계 품질 품질 기준 품질 목표 허용 범위 시험 항목 시험 방법 허용 오차 시험 빈도 관리 방법 공종/자재 건축 현장의 품질 관리 추진 첫 단계이며 과제 → 자재의 품질과 건축의 품질과는 높은 관련성 : 신중한 선택 및 구매, 함리적인 선정 시험, 적절한 보관 관리 필요 발주자는 한국산업규격 및 건설기술관리법령이 정한 시험 기준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여 사용해야 한다.

공사 품질 연관성 및 단계별 품질 실현 공정 품질 정보의 흐름도 설계 품질 설계 품질 품질 기준 품질 목표 허용 범위 공사 품질 연관성 및 단계별 품질 실현 공정 품질 정보의 흐름도 설계 품질 설계 품질 품질 기준 품질 목표 허용 범위 표준 작업 관리 시방서의 이해 장비 관리 공정표 관리 응급 관리 공종/공정 자재 품질과 더불어 건축 공사의 운영면에서 설계 품질과 시공 품질을 확보하는 시공업무, 즉 방법에 관련하는 품질 관리를 공정 품질이라 함. 공정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 품질이 시공 품질로 구체적으로 전달되는 과정

품질관리의 방법 품질관리의 7가지 도구 품질관리 7가지 도구 연관도법 파레토도 KJ(친화도)법 특성요인도 계통도법 히스토그램 매트릭스도법 매트릭스, 데이터 해석법 PDPC(과정 결정 계획도)법 애로우 다이어그램법 품질관리 7가지 도구 파레토도 특성요인도 히스토그램 그래프 층별 산포도 체크시트 관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