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감염병 예방관리 방안 및 위기대응 모의훈련 개요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Advertisements

기업명 ( 담당자명, 연락처, 이메일 ) [ 첨부 2] 부산 스마트콘텐츠 마케팅 지원사업 마케팅 계획서.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1 시 간강 의 명강 의 명교육구분내 용비 고 10:00 ~ 11:30 학교 집결 및 이동 * 인원점검 11:30 ~ 12:00 오리엔테이션워크샵 * 프로그램 일정 및 소개 * 캠프 유의사항 및 공지사항 안내 잡코리아 12:00~13:00 점심식사 13:00 ~ 15:00.
일본뇌염 (Japanese Encephalitis) 인수 공통의 전염병으로 일본 뇌염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중추 신경계 감염증.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 병의원 및 약국 관계자 간담회 강 북 구 보 건 소 장 이 인 영.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9 월 On/Offline 미팅 9.15 활동 아이디어 제안 프로젝트 수정 CW 마스코트 제작 참여 9.23 프로젝트 주제 선정 티볼리 제품군 선정 9.25 프로젝트 활동 계획 10.2 프로젝트 활동 계획 수립 및 세 부 계획 설정 방문 학교 물색 10.5 새 프로젝트.
[ 공무국외여행 경과보고 ] “ 한미 생물방어훈련 (Able Response 13)” 중간계획회의 (MPC) 참석 보고 생물테러대응과 병원체방어연구과.
불특정 공격에 무너진 H 사 업무 시스템 서서히 저하 내부에서 원인 불명으로 네트워크의 속도가 서서히 저하 되는 현상이 발생 공격의 발생 핵심 장 비 서비스가 되다 되지 않는 현상이 심해지고 결국 핵심 장 비는 장애가 발생하게 됨 장비 장애 발생 핵심 장비 장애 전체.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선교전례사목부. 선교전례사목부 사목목표 사목목표주요시책 1 사목 교서에 따른 업무 1-1. “ 신앙의 해 ” 주제에 따른 업무 및 교육 1-2. 제 2 차 바티칸 공의회에 따른 선교 방법의 체계적 교육 확대 1-3. 선교를 위한 레지오, 구역반장의 인식 고취 1-4.
신종 인플루엔자 Novel Influenza A (H1N1)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감염내과 기세윤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홍역 발생 현황 (1.1~5.18일 기준)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국내 발생상황 확진환자 현황(5.18 기준) 마지막 환자 이후 최장 잠복기(3주) 미경과 지역 구 분구 분 계 해외유입
정보보안 담당자 교육 자료 일시 : (금) 장소 : 광주교육정보원 대강당 발표자 : 백창범.
회복적 생활교육 Restorative Discipline
1.
문산고등학교 학교에서의 인터넷 이용 수칙 사이버 예절, 건강한 디지털 세상의 시작입니다
-국제 임상화학회 학술대회 및 당화혈색소 네트워크 연례정기회의 참석-
신종인플루엔자 A(H1N1) 학교에서 대응 방법
학생감염병 종합대책 이해 및 적용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과.
감염병 예방과 관리 질병 감염병 전염병 ※ 감염병 : 전염병과 기생충질환을 포함한 개정법령 시행( )
신종전염병 대응훈련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과.
학 과 : 토목공학과 담당교수 : 김 수 용 분반,조 : 301분반,4조 조 이 름 : 다 크 호 스
교회운영위원회가 생기면 교회가 어떻게 달라지나?
(ME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사역보고 및 중보기도제목 신명근/임효진 선교사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국내 말 임상 분야 소개 한국말임상수의사회.
Windows Server 장. 사고를 대비한 데이터 백업.
주요변경내용 요약 - 보건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Outlook Addin 설치 방법 및 매뉴얼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근관치료학 개요.
B형 간염.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강릉원주대학교 전임교원대상 온라인 교수법 특강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PC에 설치된 엔드포인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클릭하여 프로그램 상자를 엽니다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매뉴얼
메르스질병 바로알기 (MERS)감염병 예방교육 ( )
취업형 GTE 아카데미 프로그램 소개.
재료공학원리 II – 최종 보고서 및 최종 발표 1. 최종 보고서 2. 최종 발표 3. 평가 항목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Problem-Based Learning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학생 감염병 예방∙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른 학생감염병 예방관리 방안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중 증 환 자 보 고 서 2007년 1월 11일.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학생감염병 예방·위기대응 매뉴얼 평상시 이 관 동국의대.
연구학교 운영 절차 및 평가 단계별 협의회 운영 절차 협의록 처리 절차 과정 평가 절차.
직장인 건강관리 김용규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산업의학센터.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신곡 새샘터 도서관 개관 구축 및 운영보고 (화) 신곡초등학교.
서울 미세먼지 경보 센터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및 인플루엔자 사업 참여 매뉴얼
연구윤리와 논문작성법 수강 매뉴얼 동국대학교 법무대학원.
지방자치단체의 장 (시·도지사 또는 시 · 군 · 구청장)
Presentation transcript:

학생 감염병 예방관리 방안 및 위기대응 모의훈련 개요 동국의대 예방의학교실 유 석 주

감염병의 역습 신종감염병 발생, 과거 유행했던 감염병의 재출현 지구온난화, 이송수단 발전 및 해외여행 증가, 항생제 남용, 인구밀집, 무분별한 자연개발 전파속도 빠르고 광범위화되는 경향 <국내 감염병 발생 추세 변화>

학교 감염병 학교는 면역이 약한 다수의 소아 및 청소년들이 밀접하게 접촉하면서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 감염병이 발생하면 빠른 속도로 전파될 우려 높음 학생들은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를 활발히 왕래하며 학교 밖에서 학교 안으로 감염원이 유입 역으로 학교에 유입된 감염원이 다시 가정과 지역사회로 확산 교내 학생들 사이에서 감염병이 유행하면 정상적인 수업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휴업 내지 휴교 사태 초래

학생감염병 발생현황

빈발 학생감염병

인플루엔자 (Influenza)

임상증상 증상의 갑작스러운 시작 열, 오한, 두통, 마른 기침, 근육통, 쇠약감, 식욕부진, 인후통 등 발열: 가장 뚜렷한 증상, 시작 24~48시간에 정점(~41°C) 무증상부터 비염, 인두염 등 경증, 그리고 치명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바이러스 폐렴까지 다양

전파1 비말을 통한 호흡기 감염 폐쇄 공간 내 밀집된 집단에서 공기감염(분무전파) 드물지만 손과 손의 접촉이나 옷, 침구 등의 매개물을 통한 전파 가능 일상적인 손 씻기와, 의심 환자 근접 접촉 시 마스크 착용이 제일 중요하고 효과적인 예방방법

전파2 잠복기: 1-4일 (평균 2일) 어린 소아에서는 잠복기가 6일까지도 됨 발병 전일부터 바이러스 발견(보통 증상 발생 하루 전부터 증상 발생 후 5일까지 전염력 높음) 영아나 어린 소아는 바이러스 증식이 발병 후 7-10일까지(최고 21일) 전파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바이러스 필요 바이러스 양의 최고 시점은 발병 첫 2일

치료1 Neuraminidase inhibitors: influenza A 와 B strains에 효과 Zanamivir Oseltamivir 증상 시작 48시간 이내에 투약 시 두 가지 약 모두 증상 해소 까지의 기간 단축 및 증상의 중증도를 낮추고, 항생제의 사용빈도를 유의하게 낮춤

치료2 보존적 치료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 Acetaminophen, ibuprofen to control fever (Reye 증후군의 위험으로 salicylates은 금기) 세균성 합병이 있을 경우 항생제 병용 지속되는 열, 새로 생긴 열, 임상양상의 악화되는 경우 세균성 합병을 의심

예방 예방접종이 가장 효과적 생후 6개월 이상부터 매년 접종 사백신 3가, 4가 Egg-based, Cell culture-based 생백신 손씻기, 기침 예절

수 두 (Chickenpox, Varicella)

수두 수두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에 의한 감염증 수두(varicella, chickenpox), 초기감염 대상포진(zoster, shingles), 잠복감염의 활성

Chickenpox

특성 수포액의 직접접촉이나 공기를 통한 전파 수두, 대상포진 모두 전파될 수 있음 잠복기: 10-21 days (대개 14-16일에 발생) 발진이 생기기 1-2일전부터 전파 가능 딱지(crust)가 생길 때 까지(보통 5일) 전염력을 가짐 (격리기간)

Breakthrough Varicella (돌파감염) 접종자에서의 수두 VZV에 밀접한 접촉 이후 1회 접종 어린이에서 5명 중 1명에서 가능 비전형 발진, 주로 반구진(maculopapular) 수포가 덜 생기고, 숫자도 적고, 기간도 짧음 열이 없을 수 있음 전파력이 덜 하다지만, 역시 격리는 필요

예방접종 우리나라에서 12-15개월 영아의 기본접종으로 권장됨 수두 백신 접종 받은 후에도 수두에 걸리면 대부분 경미한 증상을 나타내며 회복도 빠름 만 13세 미만 - 정기접종 : 생후 12-15개월 소아에게 1회 접종 - 따라잡기 접종 : 수두에 걸린 적 없으면서 예방접종을 받지 못한 소아에게 1회 접종 만 13세 이상 - 4-8주 간격으로 2회 접종

접촉자 관리 감시 필요 - 감수성이 있는 접촉자의 경우 노출 3-5일 이내에 예방접종 1회를 권고 - 환자와 접촉한 사실이 있다면 발병 여부를 노출 후 3주간 주의 깊게 관찰

유행성이하선염 (Mumps)

임상증상 전구기 침샘비대 및 통증 침샘이 커지기 1-2일전에 발열, 두통, 근육통, 식욕부진 등이 드물게 생길 수 있음 - 귀밑샘의 침범이 가장 흔함 - 처음에는 한쪽에서 시작하여 2-3일 후 양쪽에 침범, 25%에서는 한쪽만 침범 - 부기는 1-3일째 최고조에 달하며 3-7일 이내에 가라앉음 - 턱밑샘과 혀밑샘도 단독으로 침범되거나 귀밑샘과 동반되어 침범될 수 있음

합병증 수막염: 뇌척수액 세포증가증은 환자의 40-60%에서 나타나지만, 증상을 동반한 경우는 10%정도 고환염 및 부고환염: 사춘기 이후의 남자(30-40%)에서 발생하며, 갑작스런 고환의 부종과 압통, 구토, 발열 등의 증상이 있으나, 불임이 되는 경우는 드묾 난소염: 사춘기 이후 여자(7%)에서 발생하며, 골반부 동통과 압통 증상이 있으나, 불임과는 관계없음

역학적 특성 잠복기 보통 14-18일이며, 25일까지 길어질 수 있음 전염기간 증상발현 3일 전부터 발현 5일까지 전파경로 - 호흡기 전파: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됨 - 접촉 전파: 환자의 타액이나 호흡기 분비물과 접촉을 통해서 전파됨

관리방안1 예방접종 생활지도 및 보건교육 내용 - 1차 접종: 생후 12-15개월 MMR 접종 - 비말 전파 감염병이므로 전염성이 소실될 때까지 등교 금지를 실시 - 기침 예절 교육을 철저히 시행하고 마스크 착용을 권고 - 유행성이하선염에 대한 정보(질환 특징, 합병증, 예방접종 중요성 등)를 제공

관리방안2 환자 치료 치료는 보존적이며 대증적인 방법으로 치료 환자 격리 격리 필요: 증상 발현 후 5일까지 격리 환자의 타액이나 호흡기 분비물로 오염된 물품의 소독을 실시 접촉자 관리 - 면역력이 있는 접촉자: 감시 필요 없음 - 면역력이 없는 접촉자: 노출 후 3주 동안 관찰

학생 감염병 발생시 대응

평상시 학생 감염병 발생 단계

평상 시 대비 및 대응 단계별 조치-예방단계

예방단계 상황 내용 : 감염병 환자 발생에 대비하여 대응체계 구축(조직 구성, 계획 수립) 및 예방 활동 수행 학교 내 감염병이 없거나 감기 혹은 단순한 설사 등 특이사항 없이 일반적인 상황을 유지하는 경우 내용 : 감염병 환자 발생에 대비하여 대응체계 구축(조직 구성, 계획 수립) 및 예방 활동 수행 「학생 감염병 예방・관리 계획」 수립 「학생감염병관리조직」 구성 예방접종 관리 감염병 예방 교육 실시 수동감시체계 운영 방역활동

평상 시 대비 및 대응 단계별 조치-대응단계

대응단계: 학교 내 감염병 발생단계

평상 시 대비 및 대응 단계별 조치-대응 1단계

대응 제1단계 상황 기간 주요 내용 학교 내 감염병 유증상자의 발견 및 확인 단계 감염병 유증상자가 있음 감염병 유증상자를 발견한 후부터 의료기관 확인을 통해 감염병 (의심)환자 발생 혹은 감염병이 아닌 것을 확인할 때 까지 주요 내용 의료기관에 진료를 의뢰하여 결과를 확인 후 감염병 (의심)환자 발생 여부 확인

평상 시 대비 및 대응 단계별 조치-대응 2단계

대응 제2단계 상황 기간 주요 내용 학교 내 감염병 유행 의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의료기관으로부터 확인 받은 감염병 (의심)환자가 있음 기간 학교 내 감염병 (의심)환자 발생을 확인한 순간부터 추가 (의심)환자 발생 확인을 통해 유행 의심 기준을 충족하거나, 기존 (의심)환자의 완치 및 추가 (의심)환자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주요 내용 감염병 (의심)환자의 추가 발생을 파악하여 유행의심 여부를 판단

평상 시 대비 및 대응 단계별 조치-대응 3단계

대응 제3단계 상황 기간 주요 내용 학교 내 유행 확산 감염병 (의심)환자가 2명 이상 있음 유행의심을 확인한 후부터 해당 감염병으로 인한 기존 (의심)환자가 모두 완치되고 최대 잠복기까지 추가 (의심)환자 발생이 없을 때까지 주요 내용 「학생감염병관리조직」의 유행 시 대응 활동을 통해 유행 확산을 방지

학교 유행경보제 목적 발령검토 기준 판단 및 발령 주체 발령 단위 관내 학교의 감염병 유행을 조기에 대응하여 전파를 차단 2개 이상 교육기관에서 「유행의심」 상황이 확인된 경우 「학교유행경보」 발령을 검토 판단 및 발령 주체 시・도 교육청에서 필요성과 발령 범위를 판단 해당 교육청 감염병관리협의체 또는 전문가의 자문을 받을 것을 권고 발령 단위 교육지원청 단위(동일 지역 고등학교를 포함)를 기본으로 하되, 지역적 특성과 유행 상황에 따라 판단

평상 시 대비 및 대응 단계별 조치-복구단계

복구단계 상황 유행 종결 및 복구 기간 기존 (의심)환자가 모두 완치되고 최대 잠복기까지 추가 (의심)환자 발생이 없을 때부터 사후조치가 완료될 때까지 주요 내용 유행종료 보고 및 사후조치 실시

복구단계 유행종료 선언 사후조치 수업 결손 보충 심리지원

국가위기 상황

국가위기 단계별 대비 및 대응

국가 위기상황 대응체계

휴업 및 휴교

휴업 및 휴교

휴업 및 휴교

각종 행사에 대한 조치

학생 감염병 대응 모의훈련 필요성 교육청과 학교 관계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감염병 대응 모의훈련 필요 학생 감염병 담당자의 역량강화 감염병 관리를 보건교사 혼자가 아닌 학교 구성원 전체가 함께 참여하는 활동으로 계획 정해진 역할에 맞는 반복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학교 내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

관련 근거 『학교보건법』제 14조의 3(감염병 예방대책의 마련 등*) (‘16. 3. 2 신설) * 교육부는 감염병으로부터 학생과 교직원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교육청은 이를 토대로 지역 실정에 맞는 세부대책을 마련 『학생 감염병 예방 종합대책』(‘16. 2. 25 ) 교육기관의 연 1회 이상 감염병 대응훈련 정례화

학생감염병 대응 모의훈련 체계 평상시 교육부에서는 연간 1~2회의 감염병 대응 모의훈련 실시 계획을 수립하고 배포 교육지원청 단위의 훈련 실시를 기본으로 하고, 지방자치단체 규모에 따라 시·도 교육청 또는 교육지원청은 모의훈련을 주관하여 실행 일선 학교의 대표 구성원은 시·도 교육청(또는 지방자치단체 규모에 따라 교육지원청) 주관의 모의훈련에 참여 모의훈련에 참여한 학교별 대표 구성원은 훈련 내용과 방식을 소속 학교에 전파하고 학교장 주관 하에 개별 학교 일정에 맞추어 학교별 모의훈련 진행

모의훈련 체계도

감염병 대응훈련 관련 조직도

훈련 내용 및 방법1 훈련대상 학교 내 구성원 : 교장·교감 및 부장급 교사, 보건(담당)교사, 담임교사, 행정실장 중 학교별 여건에 맞게 참석 시․도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관계자 관할 보건소 감염병 담당자 훈련시기 교육지원청 단위로 소속 학교들의 학사 일정을 고려하여 구성원 대표들이 참석할 수 있는 일정을 정하도록 함 소속 학교의 수가 많은 교육지원청은 일정을 나누어 학교를 분산하여 훈련 진행 교육지원청 단위의 훈련은 가급적 상반기 내에 진행하여 학교 구성원 대표가 훈련 후 각자의 학교에 내용을 전파하고 학교별 자체 모의훈련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함

훈련 내용 및 방법2 교육지원청 단위의 훈련 참석 대상자들을 한 조당 10~15명씩 나누어 조를 편성 한 조에는 6개 담당 역할자*가 골고루 배정되도록 함 * 담임교사, 보건(담당)교사, 행정업무 담당자, 관리자(교장, 교감, 부장급 교사), 교육(지)청 담당자, 관할 보건소 감염병 담당자 훈련 참석 대상자들에게 훈련 전 학생 감염병 대응 매뉴얼 및 대응 단계에 따른 구성원별 체크리스트(checklist)를 배포하여 대응 단계별로 본인의 역할을 미리 파악하고 훈련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함

훈련 내용 및 방법3 훈련 당일 조별로 특정 학생 감염병 발생의 단계별 시나리오(평상시 혹은 국가 위기 상황 시)가 기입되어 있는 훈련용 workbook을 제공 → 훈련 시나리오 주제는 평상시 대응은 다발생 감염병을 우선 순위로 하여 선정하고, 국가 위기 상황 시 대응은 메르스에 대한 대응 예시를 통하여 기관별 역할을 파악하는 것을 토대로 하고 훈련 당시 유행하는 신종 감염병을 상황에 맞추어 대입하도록 함 대응 단계에 따라 각 구성원들이 서로의 역할을 논의하여 대응 방법을 찾아 나가도록 하는 도상훈련(tabletop exercise)을 실시 조별로 모더레이터 양성교육을 통해 양성된 모더레이터(moderator)들이 상황과 역할에 맞는 대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피드백 학교별 자체 모의 훈련 시에는 교육지원청 단위 모의훈련에 참석하였던 학교별 대표 구성원들이 모더레이터(moderator) 역할을 하도록 함

훈련용 워크북1

훈련용 워크북2

감사합니다 학생 감염병 대응 매뉴얼 숙지 모의 훈련 과정 원활한 모의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