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스파이스 머천트 향신료 소개 후추 생강 계피 정향 육두구 샤프란 딘코게임즈 (Deinkogames)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스파이스 머천트 향신료 소개 후추 생강 계피 정향 육두구 샤프란 딘코게임즈 (Deinkogames)"— Presentation transcript:

1 스파이스 머천트 향신료 소개 후추 생강 계피 정향 육두구 샤프란 딘코게임즈 (Deinkogames)

2 후추 [ Black pepper ] 인도의 말라바르 해안 원산인 후추과(Piperaceae)의 기면서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 그 장과(漿果)로 만드는 톡 쏘는 듯 매운 향신료를 일컫기도 한다. 옛날부터 알려졌으며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향신료 중 하나이다. 또한 구풍제나 위산분비촉진제로 약품에도 쓰인다. 역사시대의 초기에는 동남아시아의 열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었는데, 이곳에서는 후추가 양념으로 중요하게 취급되었다. 후추는 일찍이 인도와 유럽 사이에 육로를 통한 중요한 무역품이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후추로 물물교환을 했으며 공물로 바치게 했다. 중세에는 베니스인들과 제노바인들이 주 판매자가 되었는데, 이들의 실제적인 무역 독점이 극동으로 해상로를 찾는 것을 촉진시켰다. 식물체는 동인도 전역에 걸쳐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아프리카와 서반구의 열대지역에도 도입되었다 목본성 덩굴식물로 공기뿌리에 의해 10m 높이까지 이르기도 한다. 넓은 잎은 어긋나며 녹색으로 광택이 있다. 눈에 잘 띄지 않는 꽃은 약 50송이씩 빽빽하게 달려 가느다란 수상(穗狀)꽃차례를 이룬다. 장과 같은 열매, 즉 알 후추(peppercorns)는 지름이 5㎜로 구형이다. 알 후추는 성숙하면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이 되며 하나의 씨를 맺는다. 코를 콕 찌르고 향기로운 냄새가 나며, 맛은 맵고 얼얼하여 아주 자극적이다. 식물체는 장기간의 우기, 상당히 높은 온도, 반그늘 상태에서 가장 잘 자란다. 번식은 대개 줄기꺾꽂이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식물체는 받쳐줄 수 있는 교목 또는 지주 옆에 심는다. 차나 커피나무 농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심기도 한다. 2~5년에 열매를 맺기 시작하여 양호한 생장조건에서는 40년까지 열매를 맺기도 한다. 장과는 붉게 물들기 시작할 때 거두어들인다. 수집한 장과는 끓는 물에 약 10분간 담그는데 1시간 정도 지나면 흑갈색이나 검정색으로 변한다. 이를 매트나 콘크리트 바닥에 흩어놓고 3~4일간 햇볕에 말린 다음, 알 후추를 통째로 갈아 후춧가루를 만든다. 흰 후춧가루는 알 후추 과 피의 바깥 부위를 제거해서 얻는다. 외피는 장과를 축축한 더미로 만들어 2~3일 가량 두거나, 부대에 담아 흐르는 물에 7~15일 가량 담가두어 부드럽게 한다. 부드러워진 외피를 씻거나 문지르거나 짓밟아서 벗겨낸 후 알맹이를 흩어놓고 햇볕에 말린 다음 기계를 이용해 가루로 빻으면 흰 후춧가루가 된다. 맛은 후춧가루보다 덜 자극적이다 실제 이미지 게임 이미지

3 생강 [ Ginger ] 생강과(生薑科 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아시아 남동부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뿌리줄기가 향기롭고 톡 쏘는 맛이 있어 음식의 양념·향료나 약품 등에 쓰인다. 속명(屬名)인 징기베르(Zingiber)는 그리스어 징기베리스(zingiberis)에서 유래했는데, 징기베리스는 산스크리트 향신료 이름인 'singabera'에서 나왔다. 중국과 인도에서는 고대부터 사용해왔으며, 1세기경에 상인들이 지중해 지방으로 가져갔고 11세기경 영국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스페인 인들이 서인도제도와 멕시코를 정복한 후 바로 생강을 가져갔으며, 1547년경에는 생강이 산티아고에서 스페인으로 수출되었다 잎같이 생긴 줄기는 키가 1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줄기를 둘러싸고 있는 잎 집에서 나오는데, 길이가 15~30㎝이고 길쭉한 잎 2장이 수직으로 어긋나 있다. 꽃은 두께가 약 2.5㎝, 길이가 4~7.6㎝이며, 가장자리가 노랗기도 한 녹색의 포(苞)가 겹쳐져 있는데, 각각의 포가 1송이의 작은 황록색·자주색 꽃을 둘러싼다. 생강은 주로 뿌리줄기를 꺾꽂이하여 번식하며, 수확할 때는 뿌리줄기를 흙 속에서 들어올려 깨끗이 씻은 뒤 햇볕에 말리는데, 그 모양이 가지를 치거나 손바닥처럼 갈라져 일정하지 않다. 색깔은 어두운 노란색에서 밝은 갈색, 희미한 담황색 등으로 다양하다. 생강은 코르크 층으로 되어 있어 잘 벗겨지지 않는데, 부분적으로 벗겨지기도 하며 긁어내면 코르크층· 표피층· 피하층이 모두 벗겨진다 생강은 2% 정도의 정유(精油)를 함유하는데, 그 주성분은 진지베린(zingiberene) 이며, 진제론(zingerone)은 얼얼한 맛을 낸다. 정유를 추출해 식품과 향수 제조에 이용한다. 향신료로서 생강은 약간 쓴맛이 나며 보통 말려 갈아서 빵, 과자, 카레 요리, 소스, 피클, 진저 에일 등에 이용하며, 신선한 뿌리줄기인 풋 생강은 요리할 때 쓴다. 껍질을 벗긴 뿌리줄기는 끓여서 시럽에 넣어 절이기도 하며, 일본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입맛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얇게 썰어 식사 중에 먹는다. 생강은 고창(鼓脹)과 복통을 치료하는 약재로도 쓰인다 실제 이미지 게임 이미지

4 계피 [ Cinamon ]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의 뿌리․줄기․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말리거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건조시킨 가느다란 가지[桂枝]를 말한다. 계피는 방향성을 가진 건위제로서 그 분말을 다른 산 제와 배합하여 식욕 증진제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땀이 나게 하고 식은땀을 거두게 하는 이 약재를 계지탕․갈근탕(칡뿌리탕)에 배합하며, 특히 감기를 포함한 소화기와 순환기 질환․급성열병․노인병 등에 첨가 하여 사용한다 계피나무는 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곧게 서고 높이는 약 7~8m에 달하며 작은 가지는 녹색이다. 잎은 장타원형으로 어긋나며 3개의 주맥이 있다. 꽃은 집산화서로 담황색을 띤 녹색이며 작은 꽃이 5~6월에 핀다. 과실은 장과이고 12월경에 암자색으로 익는다. 중국산, 한국산 등이 있으며 향기는 어느 것이나 비슷하니 방향, 쓴맛, 매운맛을 가지고 있으나 산지에 따라 특성이 다르다. 우리나라의 제주도에서 시험재배하고 있다 계피나무의 껍질은 계피(桂皮), 옥계(玉桂), 대계(大桂) 등으로 부른다. 국제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은 시론계피, 중국계피 등으로 말린 껍질을 이용하고 일부는 정유원료로 이용된다. 계피껍질에는 탄닌과 정유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신남 알데히드(cinnamic aldehyde), 신남산(cinnam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시나몬은 실론과 인도산의 계피껍질을 24시간 발효 후 속껍질을 분리하여 건조한 것으로서 어린 줄기의 얇은 껍질로 만든 것이 가장 좋다. 계피유는 계피를 증류한 유상의 물질로서 특유한 향기 및 감미와 신미가 많다. 계피유는 화채, 도넛, 제과, 콜라 등에 이용된다. 분말정유는 과자류, 빵, 콜라, 음료, 아이스크림, 커피 등에 이용한다. 우리나라산 계피는 중국에서 이식된 것이며 나무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과자, 음료 등의 향료로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향신료 중 하나로 기원전 4000년 경부터 이집트에서 미라의 방부제로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기원전 6세기 무렵에 쓰여진 에제키엘 (구약성서)이나 고대 그리스의 시인 사포가 쓴 시에도 계피가 사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묘사가 있다 실제 이미지 게임 이미지

5 정향 초기 향신료 무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인도네시아의 몰루카 제도가
[ Clove ] 도금양과(桃金孃科)에 속하는 열대산 상록교목인 클로브트리의 작고 불그레한 갈색의 꽃봉오리. 초기 향신료 무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인도네시아의 몰루카 제도가 원산지로 추정된다. 향기가 강하고 맵고 톡 쏘는 맛이 나며, 많은 음식 중 특히 육류와 제과류의 맛을 내는 데 쓰이며, 유럽과 미국에서는 바세일이나 다진 고기 같은 크리스마스 음식의 독특한 맛을 내는 향신료로 쓰고 있다. BC 200년 사절단이 자바에서 중국의 한나라 궁정으로 클로브를 가져왔는데, 황제를 알현하는 동안 입 속에 넣어 은은한 향기를 내게 하는 관습이 있었다 중세 말 유럽에서는 클로브를 설탕 절임·조미료·고명으로 썼다. 거의 인도네시아에서만 재배되었으며, 17세기 초 네덜란드 인들이 높은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암보이나와 테르나테를 제외한 모든 섬의 클로브를 뿌리째 뽑아버렸다. 18세기 후반 프랑스인들이 동인도에서 인도양제도와 신대륙으로 밀수입하여 네덜란드인의 독점을 막았다 클로브트리는 키가 8~12m까지 자라는 상록수이다. 선점(腺點)이 있는 잎은 작고 홑잎이며 마주 난다. 대개 씨로 번식시키는데 그늘진 지역에 심는다. 약 5년이 지나면 꽃이 피기 시작하며, 한 나무에서 연간 34㎏에 이르는 마른 꽃봉오리를 얻을 수 있다. 꽃봉오리는 늦여름과 겨울에 손으로 따서 햇볕에 말린다 탄자니아의 일부인 잔지바르 제도가 세계의 최대생산지이며, 마다가스카르와 인도네시아에서도 생산한다. 클로브는 길이가 13~19㎜로 다양하며, 14~20%의 정유(精油)를 함유하는데, 주요성분은 방향성 기름인 유게놀이다. 클로브는 유게놀 때문에 톡쏘는 맛이 강한데 증류하여 기름을 추출한다. 기름은 현미경 관찰 때 슬라이드를 닦는 데 쓰이며 치통을 치료하기 위한 국부 마취용으로도 쓰인다. 유게놀은 살균제·향수·구취제거제를 만들거나 바닐린 합성에 이용하며 감미제 또는 강화제로 쓴다. 실제 이미지 게임 이미지

6 육두구 [Nutmeg & Mace ] 향신료로 쓰이는 미리스티카 프라그란스(Myristica fragrans)의 씨. [ 넛 멕 : Nutmeg ] 육두구는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를 원산지로 나무열매의 씨앗을 말린 것이다. 높이 10~20m의 육두구나무에서 열매가 열리며 익으면 붉은빛을 띤 노랙색으로 껍질이 벌어진다.종자인 육두구를 감싸고 있는 붉은색 종의가 있는데 이것을 메이스라고 부른다.일찍이 실제 대항해시대의 역사가 존재하는 16세기경 육두구는 유럽 전역에서 매우 비싼 값에 거래되고 있는 후추와 더불어 대표적인 향신료 중 하나이다. 육두구는 매우 독특하고 고유한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고기의 잡냄새를 없애는데 아주 탁월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육두구를 '효과 좋은 자양강장제'로 쓰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16세기 중반 유럽인들은 전염병이 냄새로부터 전염된다고 믿었으며 귀족들은 이러한 질병을 막기 위해 육두구 농축액을 뿌렸다고 한다 실제 이미지 게임 이미지 [ 메이스 : Mace ] 메이스는 육두구의 씨를 감싸고 있는 씨앗의 껍질을 말린 것이다. 씨의 껍질은 그 건조상태에 따라 붉은색에서 갈색,오랜지색으로 점차 변해간다. 육두구와 비슷한 맛과 향이 나지만 메이스는 그에 비해 조금 더 부드럽고 고급스러운 향이 난다. 육두구와 메이스는 같은 나무에서 자란 향신료 이지만 그 쓰임새는 상당히 다르다. 육두구는 달콤한 요리에 맛의 포인트를 주기 위해 쓰이는 경우가 많으며 메이스는 고기,생선 요리의 잡 냄새를 없애고 풍미를 더하기 위해 쓰인다. 과거 유럽인들이 육두구보다 좀 더 고급스러운 향을 내는 메이스를 더욱 선호하게 되었고 육두구보다 메이스의 가격이 훨씬 높아지게 되었다. 그러자 이 두 가지가 같은 나무에서 나오는지 몰랐던 유럽인들은 몰루카 제도에 있던 육두구 나무를 모두 베어내고 메이스 나무를 심었다는 웃지 못할 역사도 존재한다고 한다.

7 샤프란 [ Saffron Crocus ] 속명의 Crocus는 그리스어 ‘crokos(샤프란)’ 또는 ‘croke(실)’로 암술이 실 같은 데서 유래. 높이 23cm 정도 자라는 다년초로 구근은 편구형이다. 잎은 선형으로 꽃이 핀 다음 제대로 자란다. 꽃은 10~11월에 흰색이나 연한 자줏빛으로 피는데 깔때기 모양이다. 화경은 짧고 잎과 더불어 밑부분이 엽초로 싸여 있다 금보다 비싼 향신료로 유명한 샤프란은 샤프란 크로커스 꽃의 암술대를 건조시켜 만든 향신료다. 붉은색의 얇은 막대모양을 하고 있지만 조리하면 금색을 연상시키는 노란 색조를 보여준다. 전문감정가의 말에 따르면 샤프란의 향은 풀 또는 건조 시킨 향초의 향기와 금속성의 꿀 향기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특색과 그 독특한 향 때문에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향신료입니다 꽃의 암술대를 일일이 손으로 따야 하는 번거로움과 1키로의 샤프란을 얻기 위해서는 10만 송이의 꽃에서 채취해야 한다는 희소성 때문에 그 값어치는 굉장히 높게 평가 받고 있다. 샤프란은 향신료의 쓰임새 뿐만하니라 염료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몇몇 왕가의 고풍스러운 금색을 내기 위한 염료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샤프란은 과거에도 굉장히 고가의 향신료였지만 현재에도 같은 무게의 금보다 비싼 향신료로 가장 고가에 속해 있다. 이런 고가의 향신료인 샤프란을 과거 로마의 네로 황제는 자신이 지나가는 로마 시내의 거리에 샤프란을 뿌리게 하였다고도 한다 실제 이미지 게임 이미지


Download ppt "스파이스 머천트 향신료 소개 후추 생강 계피 정향 육두구 샤프란 딘코게임즈 (Deinkogames)"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