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Cabbage 甘藍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Cabbage 甘藍"— Presentation transcript:

1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Cabbage 甘藍

2 17A.1 명칭 Brassica 는 끓이다. 요리하다. oleracea 는 채소 변종명인 capitata는 두상을 의미한다. 17A.2 재배내력 양배추는 BC 2500~2000부터 재배되어 BC 600년에 북유럽 켈트족의 남하때 지중해 연안으로 전파, 9세기에 원예재배의 면모를 갖춤, 아시아에는 네덜란드인에 의해 17세기에

3 17A.2.2 우리 나라에서의 재배내력 17A.2.3 식품가치 및 이용
1906년 권업모범장에서 5개의 도입품종으로 시작. 1950년 이후 본격적인 재배가 시작 197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1년 6000ha에서 300여톤이 생산 17A.2.3 식품가치 및 이용 녹색 부위에 비타민 B,C가 많은 양배추의 독특한 향미는 휘발성 황화합물인 glucossinolate에 기인하며 필수아미노산 lysine도 함유한다. 또한 항궤양성 성분인 비타민 U를 함유해 양배추즙은 위장을 보호하는 건강식품으로.. 이용은 생으로 또는 익혀서 샐러드로, 쌈, 볶음 절임 그리고 김치로도…

4 위장에 좋은 양배추 식품을 통한 생활습관병의 예방가이드
비타민 U(ulcer-궤양)는 상처난 위장에 궤양치료약 비타민 U는 위벽의 점막을 튼튼하게 하고, 상처난 위벽의 회복을 도우며, 궤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성분은 1940년에 발견하여 49년 후에 실제 임상실험에서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유황과 염소 등 미네랄이 많은데 이들은 위장 내에서 소화흡수를 도와 소화불량으로 인한 메슥거림을 방지한다. 서양 고기요리에 양배추가 등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밖에도 비타민 C 함량도 많고, 식물섬유와 칼슘도 많아 변비, 스트레스 등에도 좋다. 비타민 U는 그밖에 상추, 셀러리, 아스파라거스, 파래에 다량 함유 비타민 U는 열에 약해 생즙이나 날 것으로 먹어야..

5 지역 2000 년 2001 년 2002 년 2003 년 2004 년 전국 5,998 5,992 4,901 5,401 5,214 서울 부산 20 1 35 47 11 대구 15 2 인천 3 광주 대전 울산 경기 55 65 24 40 강원 1,002 904 1,041 988 1,059 충북 352 328 168 193 107 충남 617 616 431 631 681 전북 133 109 131 132 전남 1,172 870 840 814 821 경북 326 345 343 314 261 경남 48 64 49 45 41 제주 2,255 2,740 1,796 2,196 2,047

6 년도 10a 당 수량(kg) 생산량(톤) 1980 3,326 73,195 1982 3,490 128,947 1984 3,706 97,161 1986 3,494 141,580 1988 3,570 133,019 1990 3,670 144,334 1992 3,807 176,448 1994 4,012 168,916 1996 4,551 268,217 1998 4,266 189,392 1999 4,560 214,728 양배추 재배면적(ha) 10a당 수량(kg) 생산량(톤) 2000 5,998 4,518 270,986 2001 5,992 5,630 337,345 2002 4,901 5,287 259,094 2003 5,401 5,214 281,584 2004 5,254 273,922

7 17A.3 식물학적 특성 17A.3.1 형태적 특성 배추과 2년생 초본으로 2n=18이며 자가불화합성이 강하다. 근출엽으로 초기에는 잎이 결구하지 않으며, 일정한 엽수를 가지면 결구한다. 결구- 배추의 결구과정은 일조가 충분하고 영양상태가 좋으면 식물 호르몬 중 옥신이 체내에서 생성되고 이 옥신이 잎의 뒤쪽으로 이동해서 세포를 신장시켜 그결과 잎의 뒤쪽이 표면보다 세포가 크게 발육하므로 잎은 서게 되고 결구상태가 됨

8 17A.3.2 생리 생태적 특성 발아 – 발아적온은 15~30℃인대 과습한 토양에서는 발아 불량하며 광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영양생장 ① 영양체 생육의 외적 조건 – 생육적온은 15~20℃로 5℃정도에서도 생장가능 pH가 5.5이하에서는 수량감소 ② 양분흡수 – 질소 17.7, 칼륨 20.1, 칼슘 10.5 인 3.8 정도가 흡수된다. ③ 결구 – 조생종은 결구에 들어간 직후 엽중이 무겁고 결구완료시 총엽수가 적어 엽중형으로 결구, 중만생종은 결구엽 간의 엽중 차이가 크지 않고 엽수로 결구를 형성하는 엽수형이다.

9 좋은 재배환경에서는 엽수가 많고 개개의 잎도 잘 신장하며 엽수형의 특징을 발휘하지만 불량환경에서는 엽수가 적어져 엽중형으로 구성된다.
고냉지에서는 생육적온일 때 엽수형이나 엽중형 모두 생육에 큰 차이가 없지만 평지에서는 엽중형이 적온 하에서 빨리 결구를 완료한다. 엽수형은 고온기인 여름에 엽수의 증가없이 생육이 정지하였다가 가을에 결구엽수를 확보하여 결구를 종료한다. (3) 꽃눈분화와 추대 – 양배추는 녹식물춘화형으로 일장에 관계없이 경경이 5~6mm이상 잎이 8~10매에서 0~14℃범위에서 화아분화되어 고온 장일조건에서 개화한다. 가장 민감한 범위는 5~9℃, 평균기온 14℃, 최저기온 10℃이하에서 1개월 이상이면 화아분화

10

11 녹식물감응형(green plant vernalization) – 식물체가 일정한 크기까지 생장한 후 저온에 감응하는 종류, 양배추, 양파, 파, 당근, 셀러리 등 배추과, 백합과, 미나리과 등

12 17A.4 품종 및 작형 17A.4.1 품종 육성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교잡종이 육성 보급되고 있는데 위황병, 검은썩음병, 무사마귀병 등에 대한 내병성 품종의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17A.4.2 작형 내한성이 강해 여름기간 중 평지재배만 피하면 재배가 매우 용이하다.

13 17A.5 재배관리 17A.5.1 육묘 및 정식 직파해도 결구에는 큰 영향이 없으나 재포기간이 길면 병충해… 최근 플러그묘의 이용이 많아지고 있다. 17A.5.2 시비량과 시비방법 N:P:K = 30:25:27kg/10a로 시비하며 소석회, 붕사도 함께… 질소와 칼륨은 3/2는 추비로 시용한다.

14 17A.6 수확 및 저장 17A.6.1 수확, 선별, 포장 및 출하 엽구가 완전히 형성되면 수확하는데 수확을 늦게하면 수량은 늘지만 열구나 병발생의 피해가… 상품 3kg이상 하품 2kg 미만으로.. 17A.6.2 저장 저장기간이 매우 길며 0℃, 95~98% 습도가 적당하다. CA저장은 5% CO2, 1~3% O2가 …

15 17A.7 병충해 및 생리장해 17A.7.1 병충해 – 병해는 노균병, 무름병, 무사마귀병, 검은무늬병, 균핵병, 뿌리섞음병, 위황병, 잘록병, 바이러스 등. 해충은 진딧물, 벼룩잎벌레, 나비 나방 유충, 선충 등이 17A.7.2 생리장해 추대- 노지월동재배에서 종종 발생한다. 추대는 품종, 월동시 묘의 크기, 월동시 온도에 따라… 방지를 위해 노지월동품종재배, 적기 파종으로 작은 묘로 월동, 겨울이 따뜻할 때는 일찍 결구

16 (2) 열구 – 수확시에 건조한 토양에 비가 오면 과도하게 수분을 흡수시켜 구가 터지는 것, 적기에 수확하고 적절한 관수관리가 필요
(3) 고온장해 – 호냉성 작물이므로 생육 적온 이상에서는 발육이 나빠지고 잎자루가 안으로 굽으며 미결구 포기가 많아진다. (4) 필수원소 결핍 및 과잉증 – 마그네슘 결핍: 산성토양 칼륨 과다 - 칼슘 결핍: 생장점 근처 잎의 가장자리가 갈변 고사, 질소 칼륨 과다, 불량 환경으로 칼슘 흡수와 이동 억제로 - 망간과잉: 속잎이 황화되고 외엽에 갈색 반점 잎둘레가 말린다.

17 Brassica oleracea L. var. botrytis cauliflower 花榔菜, 花菜

18 17B.1 명칭 17B.2 재배내력 17B.2.2 식품가치 및 이용 변종명인 botrytis는 포도알 같다는 의미이다.
Cauliflower는 cole(서양평지(rape)) flower의 뜻이다. 17B.2 재배내력 원산지는 서부유럽으로 꽃양배추와 녹색꽃양배추는 식물학적으로 var. botrytis 에 포함하며 원종은 야생 양배추의 일종인 B. cretica이다. 국내에는 1970년말부터 재배되었다. 17B.2.2 식품가치 및 이용 이상 비대한 꽃눈덩어리를 식용하는데 비타민 B, 니아신, 비타민 C가 양배추보다 많으며 인과 칼슘의 함량도 많다.

19 17B.3 식물학적 특성 17B.3.1 형태적 특성 배추과 2년생 초본으로 결구하지 않으며 원줄기생장점에서 꽃눈이 분화하여 가식부위인 꽃눈덩어리(花蕾球: curd)로 발달한다. 꽃눈이 분화하면 잎의 분화가 정지된다. 수확이 늦어지면 화기가 분화되면 녹색으로 변하면서 개화한다. 17B.3.2 생리 생태적 특성 생장 및 꽃눈분화 냉량 다습한 기후를 좋아하지만 내서, 내한성은 강하지 못하다. 발아적온 25~30℃이며 4 ℃이하와 38 ℃이상에서는 생육이 정지.토양수분은 습한 쪽이 좋다. 화아분화에 필요한 온도는 5~20 ℃인데 유묘상태에서 감응하면 조기 분화로 상품성이 없는 작은 curd(꽃눈덩어리)가 된다.

20

21 (2) 영양 –화뢰구 형성 전에 충분한 엽수가 필요하므로 생육초기에 질소질시비가 잎 줄기 신장 및 화뢰구 비대에 극히 중요
(2) 영양 –화뢰구 형성 전에 충분한 엽수가 필요하므로 생육초기에 질소질시비가 잎 줄기 신장 및 화뢰구 비대에 극히 중요. 초기 질소가 부족하면 조기출뢰가 많아진다. 칼륨은 꽃봉오리 비대와 밀접한 성분으로 화아분화 전후에 시용이 매우 중요하다.

22

23 17B.4 품종 및 작형 17B.4.2 작형 춘파 – 화아분화 후 서늘한 기간이 짧으면 화뢰구의 발육이 저하되기도….. 육묘중이나 정식 초기에 지나친 저온은 조기출뢰나 밥풀현상을 일으킨다. 파종기가 늦어 정식후 온도상승이 빠르면 엽출현상이나 깃털현상이… 하파 – 가장 알맞은 재배 작형이나, 육묘기가 고온이므로 내서 내병성 품종 고온기에 충분한 경엽과 이후 꽃눈발달이 알맞은 가을조건이므로 수량이 가장 많다. 추파 – 서늘기 시기에 파종은 용이하나 초기 저온으로 조기출뢰가 쉽고, 혹한에 한해나 동해가 쉽다.

24

25 17B.5 재배관리 육묘 – 춘파재배시 50~60일, 하파재배중 극조생종 30~35일, 중생종 40일 중만생종 60~70일로 본엽이 5~6매 비배관리 – N:P:K = 20~27:15~20:25~30 kg/10a로 17B.6 수확 및 저장 화뢰구가 형성되면 속잎 잎자루를 꺽어 햇볕이 닿지 않도록 한다. 출뢰기부터 수확기까지는 고온에서는 10~15일, 저온에서는 20~30일 저장은 0℃에서 4~6주, 8주(가을재배)가 가능하면 CA조건은 5% CO2, 10% O2에서 2개월까지

26 17B.7 병충해 및 생리장해 병충해 – 묘상에서 잘록병(입고병), 정식 후 노균병, 뿌리썩음병, 생육 후 흑반성세균병 검은 썩음병, 수확기에 검은무늬병이 많고 연작시에 무사마귀병이 발생 17B.7.2 생리장해 (1)블라인드 (blind) – 모종이 0℃이하, 25℃이상 고온에 처할때 화뢰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2) 조기출뢰 (buttoning) – 엽수가 충분하지 않을때 일찍 저온감응이 와서 어린 상태에서 화뢰가 나오는 것 크기가 작아 상품성 없다.

27 (3) 엽출현상(leafiness) – 화뢰구 표면에 작은 잎이 발생하는 것으로 화아 원기가 증식 중에 고온으로 화뢰구 분지 기부에 잎이 발생하여 신장한다.
(4) 밥풀현상(riceness) – 화뢰구 조직이 비대할때 꽃눈 원기의 일부가 계속 발육하여 표면에 쌀알모양으로 발달한 작은 봉우리로 튀어 나오는 현상 화뢰 형성 중 저온으로 (5) 깃털현상 (fuzziness) – 화뢰구 표면으로 부터 포엽이 발생하여 작은 털이 돋아난 것 같이 보이는 현상. 화뢰 형성 중 고온으로 꽃눈의 원기를 보호하지 위해 포엽이 발육하는 현상

28 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 broccoli 花榔菜, 花菜

29 17C.2 재배내력 원산지는 지중해 동부연안으로 15세기 말에 이탈리아에 전해졌고 17세기 이후 꽃양배추에서 분화되어 품종 발달은 18세기에 국내에는 1980년초에 재배되어 서울근교와 제주도 고냉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17C.3 식품가치 및 이용 표 17-1에서 보듯이 양배추류중 가장 영양적 가치가 높으며 최근에는 암예방 및 숙취 미용에 좋다고 하여 많이 이용하고 있다(?).

30

31

32 17C.4 식물학적 특성 17C.4.1 형태적 특성 꽃양배추와 거의 비슷하지만 꽃눈의 원기가 암술 및 수술형성기까지 분화 발육하여 좁쌀~쌀알 크기의 꽃봉우리들의 집합체를 형성한다. 17C.4.2 생리 생태적 특성 꽃양배추와 녹색꽃양배추 간에는 연속적인 중간단계의 변종들이 있어 사실상 명확한 구분이 불가능하다. 대부분의 특성이 꽃양배추와 같다.

33 17C.5 품종 및 작형 조생종에 비해 중생종과 만생종이 내한성 내병성이 좋고 곁가지 발생이 많아 재배가 용이하다. 17C.5.2 작형 봄재배 – 생육초기 저온, 생육후기 고온으로 극조생종을 재배해야 blind현상이 적다. 여름재배 – 생육적온이 맞는 고냉지에서 재배 가을재배 – 생육전반기는 고온조건 후반기는 저온조건으로 가장 적당한 재배작형이다. 9월에 수확하는 것은 고온에서 화아가 분화하는 극조생종 10월 수확은 중생종 11월은 조생, 중생종 월동재배는 제주도에서 실시한다.

34

35 17C.6 재배관리 정식시 묘의 크기는 품종의 조만성에 따르는데 조생종은 파종 후 35일 내외 중 만생종은 40~50일 내외, 극조생종은 25~30일의 어린묘가 적당하다. 시비량을 많이 하는 것이 외엽의 발달을 도와 큰 화뢰를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N:P:K = 25~30:15~20:20~25 kg/10a

36 17C.7 수확 및 저장 17C.7.1 수확, 선별, 포장 및 출하 숙기가 빠른 것부터 수확하는데 조생종은 꽃봉우리 출현후 15~20일 지나면 수확적기이다. 크기는 극조생종이 300g, 조생종 400g, 중만생종이 450g정도로 꽃봉오리가 쌀알정도로 꽃눈덩어리에 틈이 없이 단단하게 붙어 있을때 본엽 5~6매을 붙여서 수확한다. 17C.7.2 저장 저장성이 약한 편으로 상온에서는 3일이내 황화되나 0.5℃, 90% RH에서 3주간 가능하다. 17C.7.3 병충해 및 생리장해 – 앞과 동일

37 Lactuca sativa L. Lettuce 萵菜 국화과
제 18 장 상추 Lactuca sativa L. Lettuce 萵菜 국화과

38 18.1 명칭 18.2 재배 내력 Lactuca 는 잎절단에 나오는 흰 유액을 상징한다. sativa 는 재래종이란 뜻이다.
원산지 및 전파경로 이란, 터키, 등 지중해 동부 내륙지방이 원산지로 기원전 450 이집트 피라미드의 벽화에 나타난다. 채소로 이용은 BC 550년경 로마시대에, 중세 이후 유럽에서 품종이 분화되었다. 중국에는 7세기 초 이란에서 잎상추가 전파

39 우리 나라의 재배내력 1236년 향약구급방에 처음 나타나고 실질적 재배는 1910년에 결구상추 등 많은 품종이 도입되었다. 1980년까지 100품종이 도입되어 결구상추를 여름에는 고냉지에서 재배한다. 우리 나라는 잎상추가 주를 이루며 포기째 수확하는 축면상추와 한장씩 수확하는 치마상추가 가장 널리 재배되고 있다. 2001년 6914 ha 중 81%가 시설 재배되고 있다. 2004년 6,791ha 중 76%인 5,166ha가 시설재배 식품가치 및 이용 큰 영양적 가치는 없으나 신선하고 상쾌한 맛과 씹는 느낌이 좋아서 결구상추는 가장 중요한 샐러드작물로, 잎상추는 상추쌈 등 생식용으로 이용된다.

40 전체 2000 년 2001 년 2002 년 2003 년 2004 년 전국 7,685 6,914 6,778 6,994 6,791 서울 399 270 178 160 128 부산 297 197 286 353 332 대구 410 357 260 242 249 인천 581 570 619 599 522 광주 133 125 108 91 61 대전 60 50 58 76 64 울산 115 69 53 59 62 경기 2,941 2,584 2,592 2,506 2,557 강원 229 130 157 100 충북 180 209 154 213 충남 535 488 406 499 전북 375 394 472 566 602 전남 706 782 734 808 510 경북 326 378 268 411 421 경남 366 412 387 434 제주 32 14 19 37

41 전체 1996 년 1997 년 1998 년 1999 년 2000 년 전국 6,625 6,428 6,707 6,894 7,685 서울 391 382 340 444 399 부산 311 299 272 290 297 대구 293 405 482 425 410 인천 239 344 370 393 581 광주 215 185 176 179 133 대전 73 74 45 49 60 울산 112 168 115 경기 2,375 2,163 2,161 2,412 2,941 강원 348 159 205 201 229 충북 161 177 208 180 충남 437 595 463 535 전북 284 336 389 421 375 전남 536 525 568 641 706 경북 320 326 경남 541 514 423 357 366 제주 22 46 41 4 32

42 시설 2000 년 2001 년 2002 년 2003 년 2004 년 전국 5,918 5,598 5,234 5,383 5,166 서울 389 263 173 153 121 부산 29 40 85 62 146 대구 201 119 151 118 인천 533 522 525 510 477 광주 89 68 52 22 대전 53 47 55 51 울산 61 18 17 20 경기 2,703 2,426 2,334 2,286 2,251 강원 134 87 86 59 충북 94 188 81 123 138 충남 509 458 367 354 438 전북 297 346 407 517 전남 490 627 587 668 361 경북 167 215 142 210 223 경남 137 93 181 129 208 제주 32 6 14 9

43 노지 2000 년 2001 년 2002 년 2003 년 2004 년 전국 1,767 1,316 1,544 1,611 1,625 서울 10 7 5 부산 268 157 201 291 186 대구 209 184 141 91 131 인천 48 94 89 45 광주 44 36 40 39 대전 3 11 21 13 울산 54 51 41 42 경기 238 158 258 220 306 강원 95 43 73 71 충북 86 34 31 75 충남 26 30 32 52 61 전북 78 65 49 69 전남 216 155 147 140 149 경북 159 163 126 198 경남 229 204 231 226 제주 8 50 37

44 지역 2004년 전체 재배면적(ha) 10a당 수량(kg) 생산량(톤) 전국 6,791 3,016 204,786 서울 128 3,256 4,168 부산 332 3,734 12,397 대구 249 2,399 5,974 인천 522 2,104 10,985 광주 61 3,921 2,392 대전 64 2,619 1,676 울산 62 2,727 1,691 경기 2,557 3,289 84,106 강원 100 2,768 충북 213 2,623 5,588 충남 499 2,352 11,736 전북 602 4,059 24,435 전남 510 3,299 16,823 경북 421 2,217 9,335 경남 434 2,315 10,046 제주 37 1,800 666 2004년 - 노지_상추 재배면적(ha) 10a당 수량(kg) 생산량(톤) 1,625 2,265 36,799 7 2,104 147 186 3,530 6,566 131 2,139 2,802 45 1,760 792 39 3,944 1,538 13 2,425 315 42 2,601 1,092 306 1,967 6,019 41 2,530 1,037 75 1,688 1,266 61 1,476 900 69 3,264 2,252 149 2,355 3,509 198 1,737 3,439 226 1,973 4,459 37 1,800 666 2004년 - 시설_상추 재배면적(ha) 10a당 수량(kg) 생산량(톤) 5,166 3,252 167,987 121 3,323 4,021 146 3,994 5,831 118 2,688 3,172 477 2,137 10,193 22 3,883 854 51 2,669 1,361 20 2,995 599 2,251 3,469 78,087 59 2,934 1,731 138 3,132 4,322 438 2,474 10,836 533 4,162 22,183 361 3,688 13,314 223 2,644 5,896 208 2,686 5,587

45 18.3 식물학적 특성 형태적 특성 상추종자는 흑갈색과 백색이며 장타원형으로 작고 편평하다. 길이 3~5mm, 나비 0.8~1.5 /두께 0.3~0.5 mm로서 1000립중이 0.8~1.2g내외이다. 결구상추의 잎수는 약 60장이고 꽃눈이 분화하면 줄기가 신장한다. 뿌리는 가는 섬유근으로 구성된다.

46 생리 생태적 특징 온도적응성 발아적온은 15~20℃, 4~25℃, 고온에서 종자가 휴면을 한다. 호냉성 채소로 생육적온은 15~20℃지만 여름철에 차광, 겨울철에 수막재배 등으로 연중 재배한다. 상추의 화아분화는 적산온도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1400~1500℃가 되면 이루어져 고온 장일조건에서 추대한다. 그밖에 고온에서는 추대와 함께 쓴맛의 증가, 생리적 고온장해, 병발생이 많아진다. (2) 일장적응성 장일조건에서 잎의 동화작용이 활발해져 생육이 촉진되나 추대가 유발된다.

47 (3) 수분적응성 생육 전기간에 걸쳐 토양수분유지가 필요한대, 특히 결구상추의 경우 결구기에 많은 수분이 필요하다. 그러나 건조상태에서 다량의 수분이 갑자기 공급되면 속빈 상추가 된다. (4) 토양적응성 pH 5.5~8.0까지 재배가능하고 최적은 5.5~6.6까지이다. 강산성에서는 각종 장해가 발생하므로 석회시용이 필요 토질은 별로 가리지 않는다.

48 18.4 품종 및 작형 품종의 발달 및 주요 품종의 특성 고정품종으로 국내 40여종 국외 40여종이 판매되고 있다. 결구 상추 및 반결구 상추 – head lettuce 는 양배추와 같이 결구하는데 완전결구형(crisphead)와 반결구형(butterhead)로 구분한다. ① 결구상추 – 잎이 규칙적으로 바르게 포피해서 단단히 결구하고 수송성도 좋다. 압력을 가하면 쉽게 바스러진다. ② 반결구상추 – 잎이 중첩되지 않고 결구가 이루어지는데 국내에서는 거의 재배하지 않는다.

49 (2) 잎상추(leaf lettuce) 또는 축면상추(bunching lettuce) – 불결구성으로 근출엽이 오글오글하면서 연하고 화청소(안토시안 [anthocyan] )가 발현하는 적색계와 발현하지 않는 녹색계가 있다. 잎을 한 장씩 젖혀 수확하는 젖힘상추는 포괄적으로 치마상추라고도 한다. 적축면/청축면, 적치마/청치마 (3) 배추상추(romaine lettuce)는 지중해의 코스섬이 원산지로 반결구배추와 유사하다. 잎이 긴 장타원형이며 속잎의 위쪽이 중첩되면서 단단하지 않은 결구가 형성되는데 국내에서는 거의 재배되지 않는다.

50 재배환경의 분화 상추는 생육기간이 짧고 내한성이 강하여 수요가 연중 계속됨에 따라 새로운 작형이 분화되어 연중 공급체계가 확립되었다.

51 18.5 재 배 관 리 파종 및 육묘 발아 적온은 18~23℃로 최아시킨 후 파종상에 흩어뿌린거나 5~6 cm 간격으로 줄뿌림한다. 플러그묘는 200공 트레이를 이용하는데, 본엽 1.5~2.0매일 때 이식한다. 본엽이 4~5매일 때 25cm X 25cm 간격으로 정식한다(그림 18-3). 시 비 10a당 N:P:K = 20:5.9:12.8 kg 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점질 토양에서는 질소와 칼륨성분을 절반 정도로 줄여서 시용한다.

52 정 식 여름엔 백색 또는 은색, 가을엔 흑색, 저온기에는 투명필름으로 멀칭 한다. 관 리 관수는 pF 2.3정도로 유지하고 덧거름은 정식 후 15일경에 뿌리가 완전히 활착한 후부터 수확하기 전 20일경까지 2~3회에 걸쳐 요소비료를 10a당 3~5kg 시용한다. 수확 전 10~15일경부터는 0.5% 요소를 2~3일간 약 3회 엽면 살포한다.

53 재배상의 문제점 평지에서의 춘파재배와 추대 평지 춘파재배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추대현상이다. 봄에 파종하여 여름철에 수확하는데, 그 동안에 고온에 감응하여 꽃눈분화와 추대를 일으킨다. 적산온도 1400~1700℃에서 꽃눈이 분화하고 다시 15~30일이 지나면 추대한다. (2) 종자의 품질 및 순도 결구상추의 종자는 주로 화란에서 수입되고 있는데 상추종자의 경우 대부분이 고정종이어서 자가채종이 가능한대 이때 무병지에서 채종한 좋은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54 (3) 종자의 휴면과 최아 갓 채종한 종자는 고온기에 파종할 경우에는 발아하지 않는다 휴면기간이 지난 종자일 경우에도 30℃ 이상의 고온에서 일정 기간(15~30 시간) 노출되면 다시 휴면이 일어나 발아율이 급격히 감소한다(그림 18-5). 이를 막기 위해 여름에 파종할 때 종자를 충분히 흡수시킨 후 4~6℃의 저온에 3~5일간 저장하였다가 파종하면 발아율도 좋고 초기의 생육에도 지장을 받지 않는다. 종자발아에 적색광은 발아를 촉진하고 청색광과 초적색광은 억제한다. GA, kinetine, BA, ethephon 등은 고온에서도 발아를 촉진하고, CCC Daminozide, 등은 발아를 억제한다.

55 18.6 수확 및 저장 수 확 입상추는 왕성한 생육을 보이기 시작한 정식 후 30일경(엽수 10~12매)부터 수요에 따라 수시로 겉잎부터 수확하거나 큰 것부터 솎아서.. 결구상추는 충분한 크기에 도달하는 정식 후 40~50일경이 적기이다. 수확 선별 포장 및 출하 품종 고유의 색과 결구형태 등에 기준을 두고 외적으로 깨끗하고 신선하며 결구가 잘되고, 병해, 충해, 서리해 및 물리적인 피해가 없어야 한다.

56 저장 및 가공 생식하는 작물이므로 최대한 신선도를 유지해야 한다. 0~5℃, 상대습도 90~95%에서는 무포장시 1~2주일, MAP에서는 2~3주간 .. 가정용 냉장고에서는 무포장시 4~5일, PE포장시 7~10일간 유지할 수 있다.

57 18.7 병충해 및 생리장해 노균병 – 배수와 통풍 도모, 야간온도 하강 방지 균핵병 – 배수도모, 심경
배추등 엽채류에 주로 발생한다. 지제부가 담갈색으로 물러썩고 흰 균사가 자라면서 그루 전체로 잿빛곰팡이병 – 노엽 및 동상해를 입은 잎 제거 무름병 – 배수도모, 동상해 방지, 작물상처주의 바이러스 - 건전 주 채종, 감염 주 조기제거 진딧물 구제 분별하기 어려우나 이병주는 건전주에 비해 생육이 떨어지고 황색을 띤다.

58 밑(둥)썩음병 – 토양접촉 방지, 역병 – 초기에는 생육이 불량하다가 뿌리가 썩고 잎이 시든다. 무름병과 달리 악취가 없다. 주로 수경재배시 발생되며 수경재배의 경우 병원체가 시스템으로 유입되면 빠르게 전이된다. 양액온도가 20℃ 이상일때 식물체가 연약해지면 발병이 많아진다.

59 생리장해 끝마름병 (tip burn) – 칼슘결핍증으로 칼륨 등의 다른 양이온의 과다시비 등이 원인이 된다. 칼슘엽면살포로 방제할 수 있다. 잎부패현상 – 뿌리의 활성저하와 칼륨 질소과다시용으로.. 시설내 고온 저온 및 건조 예방, 과잉시비삼가 심부패현상 – 칼슘결핍증으로 생장점부근의 어린 잎에 나타난다. 이상결구 – 고온 건조시 생장점이 둘 이상으로 나누어져 결구가… 붕소결핍과 불량종자가 원인 조기추대 - 5℃ 이상의 적산온도가 1400~1700 ℃일때 즉 고온 장일에서 촉진된다. 여름재배시 주의

60 Spinacia oleracea L. spinach 菠稜菜 명아주과
제 19 장 시금치 Spinacia oleracea L. spinach 菠稜菜 명아주과

61 19.1 명칭 Spinacia는 spine 이라는 뜻으로 종자가 뿔을 가지고 있어서 oleracia는 채소라는 뜻이다. 영명으로 여러 spinach가 있는데 이들은 명아주류로 시금치와는 전혀 다르다. 19.2 재배 내력 아프가니스탄 주변의 중앙아시아가 원산지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회교도들에 의해 동서양에 전파되었는데 유럽에는 11~16세기에 동양으로는 7세기경에, 일본에는 300년전에 우리나라에는 1527년 최세진의 훈몽자회에 소개된 채소류에 포함되어 있다.

62 명아주과 1년생 식물로 포기전체에 털이 없고 자웅이주로 성비는 1:1이다. 암그루는 …
명아주과 1년생 식물로 포기전체에 털이 없고 자웅이주로 성비는 1:1이다. 암그루는 …. 잎은 긴 자루가 있고 정삼각형인 것부터 타원형까지 다양하고 잎줄기가 짧은 편이고 뿌리는 대체로 붉다 종자는 품종에 따라 둥근것과 모난 것이 이고 결각이 있는 것과 없는것이 있다. 19.3 식품가치 및 이용 각종 비타민, 철, 칼슘이 많이 들어있는 알칼리성 채소이다. 통풍, 루마티즘, 신장병 등과 어린이들의 골반 발육에 효과가 있으며 변비나 괴혈병의 예방의 효과가 있다. 폐암예방효과가 있다는 엽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수산(oxalic acid, 칼슘과 결합하여 결석을 일으킨다)이 많으면 인체의 신진대사과정에서 칼슘흡수를 저해하고 당뇨병의 발생과 산모의 칼슘대사에 큰 영향을 끼친다. 또한 재배시 질소질 비료의 과다시비는 청색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63 전체 2000 년 2001 년 2002 년 2003 년 2004 년 전국 7,441 7,884 6,810 6,625 7,145 서울 116 114 178 70 부산 154 200 94 146 270 대구 174 143 175 193 148 인천 173 190 164 90 172 광주 45 52 32 30 43 대전 48 25 22 26 울산 103 77 58 경기 2,571 2,309 2,119 2,169 2,016 강원 236 191 142 112 충북 91 217 137 134 충남 128 233 315 237 229 전북 226 351 168 185 222 전남 1,802 1,754 1,656 1,524 1,674 경북 460 552 508 569 594 경남 1,034 1,408 1,010 1,049 1,205 제주 80 62 75 126 단위 : ha

64 노지 2000 년 2001 년 2002 년 2003 년 2004 년 전국 4,169 4,598 3,483 3,411 3,933 서울 25 59 124 38 54 부산 152 172 57 126 231 대구 114 65 104 72 인천 128 108 70 30 37 광주 41 17 14 21 대전 6 15 울산 82 36 52 58 경기 431 369 213 185 245 강원 175 137 103 47 62 충북 27 71 34 35 28 충남 66 123 86 전북 157 199 105 165 전남 1,276 1,325 1,144 1,104 1,214 경북 368 393 316 391 335 경남 1,021 1,388 995 1,029 1,184 제주 80 60 75

65 시설 2000 년 2001 년 2002 년 2003 년 2004 년 전국 3,272 3,286 3,327 3,214 3,212 서울 91 55 54 32 62 부산 2 28 37 20 39 대구 60 86 110 89 76 인천 45 82 94 135 광주 8 11 15 16 22 대전 18 울산 21 5 12 경기 2,140 1,940 1,906 1,984 1,771 강원 61 30 50 충북 64 146 80 102 106 충남 211 167 143 전북 69 152 40 57 전남 526 429 512 420 460 경북 92 159 192 178 259 경남 13 제주 1

66 지역 2004년 - 전체 재배면적(ha) 10a당 수량(kg) 생산량(톤) 전국 7,145 1,661 118,684 서울 116 2,209 2,562 부산 270 1,600 4,321 대구 148 2,174 3,217 인천 172 1,584 2,725 광주 43 1,309 563 대전 26 1,754 456 울산 58 1,626 943 경기 2,016 1,913 38,559 강원 112 1,703 1,907 충북 134 1,887 2,529 충남 229 1,924 4,407 전북 222 1,683 3,737 전남 1,674 1,498 25,082 경북 594 1,558 9,253 경남 1,205 1,414 17,037 제주 126 1,100 1,386 2004년 - 노지_시금치 재배면적(ha) 10a당 수량(kg) 생산량(톤) 3,933 1,404 55,218 54 1,815 980 231 1,651 3,814 72 1,518 1,093 37 1,393 515 21 1,382 290 15 1,604 241 58 1,626 943 245 1,361 3,334 62 1,787 1,108 28 1,298 363 86 1,220 1,049 165 1,543 2,546 1,214 1,339 16,255 335 1,368 4,583 1,184 1,412 16,718 126 1,100 1,386 2004년 - 시설_시금치 재배면적(ha) 10a당 수량(kg) 생산량(톤) 3,212 1,976 63,466 62 2,552 1,582 39 1,300 507 76 2,795 2,124 135 1,637 2,210 22 1,239 273 11 1,950 215 1,771 1,989 35,225 50 1,597 799 106 2,043 2,166 143 2,348 3,358 57 2,089 1,191 460 1,919 8,827 259 1,803 4,670 21 1,518 319

67 19.4 재배환경 각종자는 동양에서 개화기가 빠르고 내한성이 강하여 겨울시금치라고 하는데 가을에 파종하여 가을, 겨울에 재배한다(조기추대성). 환종자는 서유럽의 여름철 냉량한 기후와 일장에서 개화가 늦은 여름시금치로 여름철 재배에 알맞다(만추대성). 온도적응성 발아적온은 15~20℃이지만 4℃에서도 발아.. 그러나 25℃에서는 발아가 나빠져 고온에서 발아장해가 있다. 30℃이하에서는 발아율이 50%이하이다.

68 일장적응성 대표적인 장일식물로 일장 12시간 이상이면 추대가 촉진된다. 꽃눈이 분화하여도 단일조건에서는 잎만 자란다. 낮의 길이 12시간을 기준으로 본엽이 2~3매일 때에 고온 장일에서 쉽게 추대한다. 최근 장일에서 수산함량이 많다고 한다. 토양적응성 산성에서 극히 생육이 저조한대 흡수근이 지하 30cm내외에 분포한다. 건조에 매우 약하나 과습하면 잘록병이 발생하기도 pH 5.5~6.0 이하 인곳에서는 경제적 재배가 불가능하다.

69 생육특성 잎의 발육 – 봄~여름재배에서는 파종후 25~30일에 수확기에 달한다. 수확기는 봄~여름파종에서는 8~10매, 가을파종은 15~20매이다. 시금치의 광합성 작용의 적온은 18~20℃이다. 광포화점은 370~460 μmol/m2/s 이다. 비교적 약광에서도… 뿌리의 발육 – 저온성 작물로서 -10℃이하의 저온에서도 견디고 신장 최저온도는 0℃, 최적온도는 24℃, 최고온도는 34℃이다. pH 5.5이하에서는 뿌리 선단이 피해를 입어 갈변하고 생육이 정지되고 차차 고사한다.

70 19.5 품종 및 육종 품종의 분류 서양계 품종 – 14~16시간 일장 하에서 꽃눈분화가 유기되는 만추대성 동양계 품종 – 극동지방에서 발달한 품종으로 12~13시간에서 화아분화된다. 교배종 품종 – 일본육성 품종으로 동양계와 서양계의 중간특성을 발현. 봄재배와 가을재배용으로 이용된다. 표 19-3

71 육종과 유전양식 시금치의 성별과 발현 저온 단일조건(가을재배)은 자화(암꽃), 고온 장일조건(봄,여름재배)에서는 웅화(숫꽃)의 많이 출현한다. 시금치의 영양웅주와 자주의 비율은 1 : 0.76인대 에세폰을 처리하면 1 : 2.39로 증가한다. (2) 꽃눈분화와 추대 시금치의 화아분화는 장일, 저온에 의해 유기되고 분화 후 장일 고온에 의해 추대가 촉진된다. 동양계 12~13/서양계 14~16시간의 장일.. 광중단으로 개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유묘기의 생육온도가 낮을수록 추대가 빨라지고 이후 온난조건에서 촉진된다. 일장과의 조합은 장일하에서 15~21℃ / 단일하에서는 5~10℃

72 19.6 재배양식 및 기술 늦은 봄부터 여름철 고온에 의한 생육장해와 장일에 의한 조기추대가 가장 큰 문제점이었는데 최근 고냉지 여름재배, 난지의 늦가을과 늦은 봄의 수확등으로 주년생산되고 있다. 재배양식 봄재배 : 2~3월파종 3월하순~5월하순 수확(30~45일 재배기간) 여름재배 : 6~8월파종 7~10월 수확(재배기간 30~40일), 내서성, 내병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하여 800m이상의 고냉지에서, 혹은 비가림하우스에 차광과 관수설치하고 단경기인 여름철에 생산

73 (3) 가을재배 : 9~11월 파종, 10월~이듬해 3월에 수확 (생육기간 45~100일)
(3) 가을재배 : 9~11월 파종, 10월~이듬해 3월에 수확 (생육기간 45~100일). 저온 단일로 시금치 생육이 가장 적기, 수량과 품질이 우수, 겨울철 농한기의 노력과 휴한지 이용이 가능 (4) 겨울재배 : 12월~이듬해 2월 파종, 1월~4월 수확(60~100일 재배기간). 발아유도가 재배에 관건 터널 및 소형하우스 이용 (5) 멀칭재배 : 이른봄이나 늦은 가을 발아와 생육 촉진을 위해 구멍 1개당 5~6립을 파종하나 월동재배는 10립으로 밀식한다(병해가 적어 다수확 가능). (6) 비가림재배 : 지붕만 플라스틱필름으로 피복하고 측면은 개방한 형태로 강우를 차단하는 작형이다. 병충해 경감(노균병, 잘록병), 품질향상(토양수분유지로 도장방지, 진한엽색, 두꺼운 엽육), 작기 확대, 기상재해 회피, 작업능률 향상 및 생력화의 장점이 있어 주로 여름철재배에 이용된다.

74 재배기술 파종 파종은 흩어뿌림(散播)나 줄뿌림(條播)을 한다. 시금치는 종자는 종피가 두꺼워 최근 박피종자(진정종자)가 판매되기도 하는데 파종전 24시간 물에 담갔다가 파종하거나 최아하여(25℃ 전후로 3~4일간) 파종한다. 시금치는 채종 후 2~3개월 휴면하는데 고온기에는 하룻밤 침지한 후 5℃ 정도에 보관하여 최아시키는 것이 좋다. 시비는 밑거름 중심으로 하지만 덧거름도 1~3회 준다. 특히 토양산도를 pH 6.5~7.0으로 유지해야.. 시설재배의 비중이 50%이므로 염류집적의 피해가 올 수 있어 토양 EC 를 측정하여 0.8mS/cm 이상이면 무시비가 권장한다.

75 19.7 수 확 재배기간이 작형에 따라 다른데 봄파종은 40일정도, 여름은 30~35일, 가을파종은 50~60일 내외이다. 가격이 재배시기 및 수확시기에 따라 큰 차이가 나므로… 수확기가 늦어지면 노엽이 증가하고 줄기의 마디사이가 신장하여 잎자루가 굳어져 상품가치가 낮아진다. 19.8 경영상의 특성 봄재배도 재배기간이 짧아 여름채소 나 벼의 전작으로 혹인 다른 작물의 간작을 이용되어 토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재배가 곤란한 여름철 가격이 좋은데 세밀한 계획과 관리가… 운송력과 저장력이 나쁘므로 도시 근교에서 가을철에도 과채류, 근채류, 감자의 수확 후 가을 김장용배추를 재배할 때까지의 6~7월 사이에 밭이 비는 시기에 재배할 수 있다. 가을부터 겨울 이른봄까지 휴경지에다 농한기에 재배하므로 유리하다. 그밖에 비가림, 터널, 차광, 멀칭 재배 등으로 연중 생산이 가능

76 19.9 병충해 병해 묘잘록병(苗立枯病) – 묘가 어릴때 고온조건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Rhizoctonia에 의한 토양병해로 뿌리에… 토양과습을 피하고 종자를 벤레이트로 소독한다. 노균병 – 잎에 담황색, 청백색 병반이 생기고 잎 뒷면에 곰팡이 균사가… 포자가 공기를 통하여 전염한다. 시들음병 –사상균에 의한 토양전염병으로 여름철에 많이 발생한다. 외엽부터 황화되는데 균이 침입한 원뿌리의 내부는 갈변한다. 모자이크병 충해 응애 – 잎 뒷면에 붙어 엽록소를 파괴하여 피해을 입은 부분이 하얗게 변한다.

77

78 제 20 장 미나리 Oenanthe stolonifera DC., O. javanica DC.
제 20 장 미나리 Oenanthe stolonifera DC., O. javanica DC. Water dropwort, dropwort, water celery 水芹 미나리과

79 20.1 명칭 수생식물로 water dropwort, water celery로 불리우는데 Oenanthe는 oinos 술과 anthos 꽃를 상징하는 것으로 javanica는 Jaba지방을 의미한다. 야생종으로 산미나리, 돌미나리 등이 있다. 20.2 재배 내력 인도차이나가 원산지로 동남아시아와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 또는 그 이전부터 재배된 것으로 추측된다.

80 미나리는 적응력이 크고 재배하기 쉬운데 독특한 향기로 김장의 양념과 매운탕, 해물탕, 오리탕 등에 필수적인 조미채소이고 그 외에 여러요리에 이용된다.
대표적인 약용식물로 11종의 필수아미노산과 choline, lecithin 및 정율 등이 함유되어 있다. 예부터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81 < 국내 미나리 재배면적 및 생산량 변화 >
구분 '60 '70 '80 '90 '95 '00 '02 재배면적(ha)   589   799   1,256   1,105   1,865   875   1,265 수량(kg/10a) 1,232 1,223   1,589   2,674   3,619 2,860   3,001 생산량(톤) 7,259 9,775 19,958 29,546 67,495 25,029 37,957 < 작형별 출하시기 > 작 형 파종기 정식기 수확기 성출하기 가을재배 봄재배 3하∼4상 5상∼5중 8하∼9하 9상∼9중 11하 2하∼4상 12상 3상

82 20.3 식물학적 특성 형태적 특성 호수성 다년생 초본으로서 저온 단일에서 키가 작고 근출엽이 많이 나오지만 고온 장일에서는 줄기가 30~80cm로 자라고 30~130cm 포복지가 나와 번식한다. 여름철 고온 장일에 추대하는데 7월 중순부터 가을까지 작은 꽃이 우산모양으로 개화 결실한다.

83 생리 생태적 특성 다습한 땅이나 흐르는 물속에서 잘 자란다. 줄기 속에 통기조직인 공동이 있어서 끝까지 물을 채우면 물위로 다사 자라 올라와 초장이 길어진다. 수온이 높으면 용존 산소의 감소로 생육이 나빠진다. 각마디에서 새눈과 뿌리가 나오는 습성이 있다. 흐르는 물을 좋아하고 토심이 깊고 거름기가 많을수록 잘 자란다. 도시 오수에서도 잘 견디며 오폐수 정화능력도 뛰어나다. 강산성에서 생육이 나쁘며 pH 6.8정도의 중성토양이 좋다. 생육적온은 15~27℃이지만 물을 채워주면 겨울철 저온기에도 장해없이 자란다. 질소성분중 질산태 질소를 선호한다(그림 20-1).

84 20.4 품종 및 작형 20.4.1 품종 대개 산지별 지방종계통들이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다. 20.4.2 작형
논을 활용하는 답리작형태의 재배가 주를 이룬다. 봄부터 육묘하여 8월 중하순경에 채취하여 맹아 발근시켜 정식하고 노지상태에서 11월~이듬해 3월까지 수확하는 가을재배 1월경 하우스에서 길러 음력설부터 4월까지 출하하는 봄재배 9월하순경 묘상을 만들고 노지상태에서 이듬해 3월까지 육묘하여 4월경 대묘를 정식하고 6~8월에 단경기에 수확하는 여름재배 최근 영양번식묘 또는 실생묘의 양액재배가 이루어진다.

85 20.5 재배관리 파종 및 육묘 성숙한 줄기를 잘라 발근, 맹아시키는 영양번식방법과 실생묘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육묘는 본포 재식 1주일 전에 기부에서 절단하여 30~40cm로 구부려 지름 20~30cm단으로 묶어 2~3층으로 쌓고 거적을 씌운 다음 매일 충분히 관수하여 발효시킨다. 3~4일 후 줄기가 누렇게 되고 열이 나면 바꿔 쌓고 물을 주면서 4~5일이 지나면 뿌리가 나고 7일 정도면 1cm정도 자라는데 이때 물로 씻어 6~9cm로 잘라 본포에 흩어 뿌린다.

86 실생묘- 미나리를 씨앗을 뿌려 육묘할 경우 정식하기 알맞은 모종의 규격은 본엽이 4-5매 가량 나온 것이 좋다
실생묘- 미나리를 씨앗을 뿌려 육묘할 경우 정식하기 알맞은 모종의 규격은 본엽이 4-5매 가량 나온 것이 좋다. 이 정도의 생육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묘 기르는 기간은 보통 1개월 가량 소요된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아무래도 해가 짧고 온도가 낮기 때문에 육묘기간이 다소 길어져서 45일 가량 소요되기도 하지만 그 이외의 기간에는 육묘기간은 1개월이면 된다. 이것은 스펀지로 수경 육묘를 하거나 플라그 육묘를 하나 묘 기르는 기간은 똑같다.

87 정지 및 정식 겨울철에 물을 깊게 대기 위해 남전주지역의 대단위 재배지에서는 80~100cm의 논둑을 만들어 쓴다. 정식 후 물을 얕게 대면 4~5일 후에 활착하고 10일 정도면 새싹이 녹색이 된다. 활착 후 도복될때까지는 습윤상태만 유지하고 이후 미나리 키의 절반, 서리가 오는 시기에는 2/3 그리고 겨울엔 3cm만 남기고 물을 채워 동해를 막고 연백시킨다. 추비는 물을 뺀 다음 저녁이 하고 24시간 후 물을 댄다.

88 수막 재배의 경우 노지재배와 같은 시기에 정식하여 재배하다가 첫얼음이 얼 무렵 하우스피복을 하고 겉잎 등 잡물 제거한 후 질소질비료를 추비하고 보온하여 연하고 질 좋은 미나리를 음력 설 전후로 생산한다. 20.6 수확 및 저장 11~2월에 생산된 것이 향기와 맛이 좋아 김장철과 구정 전후에 소비량이 많고 가격이 좋은 시기이다. 20.7 병충해 및 생리장해 겨울과 봄에 출하하는 작형으므로 병충해가 적은 이점이 있다.

89 Allium sativum L. Garlic 蒜 백합과
제 21 장 마 늘 Allium sativum L. Garlic 백합과

90 21.1. 명칭 한자로는 산, 대산이라 하였으며 소산은 달래를 뜻한다.
고려시대 발간하고 조선 태종에 중간한 향약구급방에서 마늘이란 우리말 명칭을 찾아볼 수 있다. 속명인 Allium은 all –약용, halium – 매운 냄새의 합성어, sativum은 재배종을 뜻한다. 영명 garlic은 gar - 창 leac – 리크의 합성어로 창모양의 서양파라는 의미이다.

91 21.2. 재배내력 원산지 및 전파경로 이집트의 피라미드의 벽화에 등장, 원산지는 1차 중심은 중앙아시아, 2차중심은 지중해 연안으로 … 중앙아시아에 야생종이 발견된다. 동양에선 인도를 거쳐 BC 122년 중국으로 일본은 일본서기 720에 등장하여 우리 나라를 거쳐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 나라에서의 재배내력 단군신화에 등장하지만 이것은 달래나 산마늘로 추정된다. 마늘재배는 통일신라시대인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난지형과 한지형으로 재배되었는데 최근 외국산 품종이 유입되고 있다. 재배면적 연평균 4만 ha, 약 44만톤이 생산된다. 노지채소 중 가장 고소득 작물이다. 최근 중국산 마늘의 수입으로…

92 식품가치 및 이용 마늘의 인편은 다른 채소에 비해 수분이 적고 단백질과 당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fructosan형태의 탄수화물이 저장된다. 식용과 약용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마늘의 독특한 냄새와 맛은 여러 가지 황화물에 의한 것인데 이중 alliin이라는 배당체가 중요한 성분이다. 알리인은 조직이 파괴되면서 allinase에 의해 allicin, pyruvic acid, 그리고 암모니아로 분해되는데 알리신이 마늘의 향과 살균작용을 한다. 알리신은 단백질 이용률을 높이고 노화를 방지하며 기타 여러 약리효과를 보이는데 미국국립암연구소에서 가능 우수한 항암식품으로 발표하였다.

93 지역 1999 년 2000 년 2001 년 2002 년 2003 년 전국 42,416 44,941 37,118 33,153 33,140 서울 8 7 1 3 부산 30 32 25 16 13 대구 362 359 329 320 290 인천 202 199 162 134 108 광주 45 54 48 47 40 대전 42 21 12 울산 39 36 38 경기 1,001 1,072 909 748 663 강원 581 661 564 445 357 충북 1,096 1,029 863 681 602 충남 3,634 3,919 3,315 2,764 2,580 전북 913 974 739 621 589 전남 20,349 20,787 15,869 13,963 14,055 경북 4,964 5,287 4,578 3,951 3,937 경남 6,292 6,736 6,095 5,801 5,649 제주 2,868 3,741 3,564 3,613 4,203

94 년도 10a 당 수량(kg) 생산량(톤) 1981 586 153,537 1983 658 220,183 1985 657 256,201 1986 767 369,846 1988 820 303,304 1990 955 416,774 1991 977 480,513 1992 1,068 464,649 1994 1,036 362,344 1996 1,086 455,955 1997 1,085 393,834 1998 1,055 393,903 1999 1,141 483,778 2000 1,056 474,388 2001 1,095 406,385 2002 1,190 394,482 2003 1,143 378,846

95 지역 2004년 - 마늘 재배면적(ha) 10a당 수량(kg) 생산량(톤) 전국 30,237 1,183 357,824 서울 3 667 20 부산 17 753 128 대구 271 1,333 3,612 인천 111 973 1,080 광주 45 1,113 501 대전 14 557 78 울산 29 783 227 경기 708 657 4,652 강원 345 673 2,322 충북 605 638 3,860 충남 2,631 1,089 28,661 전북 614 1,031 6,330 전남 12,276 1,178 144,611 경북 3,512 1,152 40,459 경남 5,036 1,243 62,591 제주 4,020 1,460 58,692

96 21.3. 식물학적 특성 형태적 특성 백합과 파속에 속하는 2~다년생 초본식물로 엽색체수가 2n=16이다. 줄기는 단축경으로 지하부에 위치하며 잎은 단축경에 서로 밀생하고 엽초와 엽신으로 구분된다. 마늘의 주 이용부위는 단축경의 액아에 착생하는 인편인데 일종의 저장엽으로 측구, 인엽, 쪽 등으로 불리며 이들이 모여 구를 이룬다(그림 21-2). 마늘은 추대종과 불추대종으로 구분하는데, 추대종은 인편분화와 동시에 화서가 분화되고 화경이 발달한다. 화경의 선단에는 화기와 주아가 발달하는데 이 둘이 혼생하므로 발육이 억제된다.

97 화기는 파꽃과 같은데 우리 나라 자연조건에서는 화기발달이 불량하지만 혼생하는 주아를 제거하면 발달이 촉진된다.
마늘 꽃은 대부분 불임성(꽃가루의 퇴화로)이나 최근 가임계통이 발견되어 교잡육종이 가능해졌다. 주아는 인편과 같은 구조이며 화경과 함께 주아를 제거하면 인편비대가 촉진된다. 보통 마늘은 종자가 맺히지 않아 주아나 인편으로 번식하게 된다.

98 생리 생태적 특성 환경과 생육 호냉성 월동채소로 내서성이 약하고, 내한성도 강하지는 않다. 맹아 25℃, 생육적온 18~20℃. 구형성 조건-인편과 화서는 5~10℃의 저온에서 1~2개월 경과 인편비대와 추대- 20℃이상의 온난한 기온과 장일조건에서 알맞은 토양산도가 pH 5.5~6.0로 산성에 강하다. 토질은 점질토양에서 생육은 다소 떨어지나 구가 단단하고, 열구가 적으며, 저장성이 양호해 진다.

99 (2) 구의 형성생리 일정기간 저온에 경과되면 인편이 분화되고, 온난 장일조건에서 비대한다. 인편분화 적온은 5~10℃이고, 0~5℃에선 분화는 빠르지만 작아지고, 15℃이상에서는 분화되지 않는다. 극단적인 장일(24시간)에서는 온도에 관계없이 분화되고, 충분한 저온에서는 일장에 관계없이 분화된다. 인편비대적온 20℃전후이며 온난 장일에서 촉진된다.

100 구 형성기작에는 체내 생장조절물질(중 GA)과 탄수화물의 대사가 관여한다
생장촉진물질은 구의 비대를 위한 저장조직을 확장시키고, 영양생장이 불리한 고온 장일이 되면 ABA와 같은 생장억제물질이 증가하여 휴면을 유도하며 질소화합물이 감소되고 호흡이 억제되면서 상대적으로 광합성이 활발해서 인편의 비대 구의 형성이 촉진된다.

101 (3) 휴면생리 마늘에 있어 휴면은 내서성이 약한 마늘이 고온 극복수단으로 일시적인 생장의 정지현상이다. 마늘은 모식물체의 생육정지 및 휴면도입과 함께 구가 형성된다. 즉 수확 전 인편이 분화되면서부터 서서히 휴면에 돌입하는 것으로… 휴면 중 ABA의 함량이 많고 저온처리 등에 의해 휴면이 타파되면서 점차 GA의 함량이 증가한다. 휴면이 깊은 한지형 마늘로 0℃나 35℃에서 타발휴면을 연장시키면 그만큼 저장성이 향상된다.

102 21.4 품종 및 작형 21.4.1 품종의 발달 및 주요 품종의 특성 종자가 맺히지 않아 품종의 분화가 적다.
구가 크고 추대하지 않는 서양종(미국종)과 구가 작고 추대하는 동양종(한국종)으로 구분되고 동양종은 다시 6쪽 대형 마늘인 한지형과 소형 다쪽인 난지형으로 구분된다. (1) 난지형 마늘 – 인편이 10~12쪽으로 덜 맵고, 저장성이 떨어진다. 주로 남해안, 제주에서 8~9월에 재식하여 이듬해 6월 상순에 수확하는데, 중국에서 도입된 상해조생이 남도종으로 정착하여 전체 80%를 차지한다. 휴면이 짧아 재식후 바로 맹아 발근..

103 (2) 한지형 마늘 – 6쪽으로 크고 난지형보다 맵고 저장성이 높은데, 휴면이 길어 가을이 재식하여도 맹아 없이 발근상태에서 월동하여 불완전 추대인 것이 많다. 의성, 단양, 서산, 삼척 마늘 작형 보통재배 – 9~10월에 파종하여 6~7월에 수확한다. 남해, 의성은 주로 답리작으로 단양, 무안, 서산은 밭마늘로 재배한다. 조숙재배 – 난지형 극조생종을 8~9월에 파종하여 12월에 멀칭, 터널로 재배하여 4월 하순에 수확하며 일부는 생육중 풋마늘로

104 (3) 풋마늘 – 제주도, 남부해안에서 난지형 조생종을 8월~9월에 밀식하여 1월하순부터 출하한다
(3) 풋마늘 – 제주도, 남부해안에서 난지형 조생종을 8월~9월에 밀식하여 1월하순부터 출하한다. 중부지방은 역시 난지형 남도마늘을 9월상순에 밀식하여 11월상순부터 수확한다. 종구를 5℃ 이하에서 3주 이상 저장하여 휴면을 타파시킨 후 파종하며 풋마늘 가격이 좋지 않으면 솎아주면서 출하하다가 나머지는 일반마늘로 출하 (4) 봄마늘 재배 – 가을 파종이 어렵거나 겨울이 춥고 건조한 경우 땅이 녹으면 바로 파종하는 방식(3월 중 하순)으로 보통재배의 70%수확이 가능하다. 춘파용 종구의 장기 저온저장시 2차생장(분화된 인편이 정상적으로 肥大하지 못하고 다시 자라는 것)이 많아진다.

105 21.5. 재배관리 파종 및 육묘 종구의 준비 – 마늘재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종구의 선택이므로 무병 특히 바이러스가 없는 조직배양 종구를 사용한다. 난지형과 한지형을 지역에 맞게 선택한다. 파종 1일전에 벤레이트 500배+디메토유제 1000배에 1시간 침지 후 그늘에 말려 파종한다. 종구의 파종 – 파종 시기가 월동과 그 후 생육에 큰 영향을 끼친다(그림 21-6). 파종기가 빠르면 고온기의 부패, 바이러스 감염, 2차 생장의 문제점이, 늦으면 발근이 나빠 월동 중 건조나 추위에 약하다. 특히 답리작재배에서 벼수확후 즉시 파종해야

106 월동관리와 멀칭 겨울철 건조는 월동중 고사의 원인이다. 따라서 토양수분 유지와 동해방지를 위해 한지형 마늘은 필히 플라스틱 필름, 짚, 왕겨, 등으로 덮어주고 논은 배수로를 만들어 습해를 방지한다. 토양수분유지와 지온상승을 위해 투명비닐을 주로 이용하는데, 이듬해 늦봄부터는 지나친 고온과 잡초발생으로 생육이 오히려 불량해서 4월 중순경 걷어내거나 흙을 덮어준다. 멀칭시기는 난지형은 파종 후 10월상순경, 한지형은 웃자람을 막기위해 11월 중, 하순경에 짚멀칭과 병행한다.

107 시비 및 관수 시비 – 월동재배이므로 추비(덧거름)가 중요한대 멀칭시 1:1, 보통재배시 추비를 전체 60~70%로 2~3회 준다. 내비성이 강해 시비량이 많으면 수량이 많아진다. 질소질비료가 지나치게 많으면 도장과 함께 2차생장이 많이 발생한다. 황성분이 중요하므로 염화칼리보다 황산칼리를 시용한다. 관수 – 파종기에 수분부족은 발근이 늦어져 동해를 입기 쉽고 봄가뭄은 생육이 억제되어 수량이 크게 감소한다. 또한 4월~5월 구 비대기에 가장 수분요구가 많아 10일간격으로 30mm 정도 관수하면 증수효과가 크다 (그림 21-7).

108 제초와 화경제거 잡초방제를 위해 멀칭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은 화서분화와 인편분화 시기가 일치하므로 화경제거가 그만큼 구 비대를 촉진한다. 주아를 채취할 목적이 아니면 화경 즉 마늘종이 나오는 즉시 뽑아주는 것이 좋고 마늘종은 판매가 가능하다. 뽑을때 주의한다. 주아재배 – 주아를 채취하여 1년차에는 중심구를 생산하고 2년차에 이 중심구를 종구로 하여 정상적인 구를 생산하는데 장점은 300평당 46만원이 소요되는 종구비를 70% 절감한 14만원으로 줄일 수 있으며, 일반 종구에 비해 상품성 높은 마늘이 10∼30% 증수되고 생육이 왕성해 잎마름병, 흑색썩음균핵병 등 병해 저항성이 높다. 0.5g 이상의 주아는 당해 통마늘로 수확이 가능하기도 하다.

109 21.6 수확 및 저장 수확 대체로 5~6월에 수확하는데 적기는 지상부의 잎이 50~70% 황변했을때, 조기수확은 수량감소와 함께 외피가 잘 마르지 않아 저장 중 부패, 늦어지면 외피가 노화되고 얇아져 열구발생과 저장력이 감소. 수확 후 건조시킬 때 경엽을 그대로 두면 건조중에 광합성으로 인편의 무게가 증가한다. 저장 한지형과 점질토양 재배마늘이 저장성이 좋고 질소질비료 추비를 늦게 하거나 플라스틱 멀칭이나 병충해는 저장성을 떨어뜨린다. 저장전 예건으로 수확직후 80%의 수분함량을 65%까지 낮춘다 자연건조는 통풍시 2~3개월, 열풍건조는 42℃ 2~3일간 건조시킨 후 본저장을 한다.

110 저장 중 맹아 억제를 위해 휴면이 끝날 무렵 코발트감마선의 방사선를 처리하면 효과적이다
저장 중 맹아 억제를 위해 휴면이 끝날 무렵 코발트감마선의 방사선를 처리하면 효과적이다. 그밖에 항옥신계 생장억제제인 MH(maleic hydrazide)를 수확 전 15일경에 경엽에 살포한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안전성 문제로 실용화에 문제가 있다. 맹아가 늦은 한지형 마늘을 저장하거나 열처리, MM-30, CIPC(3-chloro-isopropyl-N-phenyl carbamate, Chloropropham). 저장은 상온, 저온, 플라스틱 밀봉저장 등이 있는데 종구용은 2차생장의 억제를 위해 실온저장이 좋다. 저온저장은 -3℃가 가장 효과적이난 3-5℃에서 60~70% 상대습도로 저장한다.

111 21.7 병충해 및 생리장해 병해 잎마름병 - 병반위에 검은곰팡이가 밀생하는데 생육후기에 강우가 많고 기온이 높을 때 종구 소독이 철저해야 노균병 – 불규칙한 흰색 곰팡이가 진전되어 잎이 담황록색으로 진전, 상대습도가 높을때 포자가 발아하고 기공을 통해 병원균이 침투한다. (3) 녹병 – 잎에 황색 반점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적황색으로 그 후 감염부위에 적황색 분말이 나온다. 생육후기 6월에 강우가 많고 기온이 내려가면 (4) 흑부균핵병 (5) 바이러스병 – 심하지 않으면 분간이 어렵고 영양번식하므로 거의 대부분이 감염된 것으로

112 충해 고자리파리 – 유충이 엽초부와 인편을 파먹어 2차감염의 피해를 일으킨다. 응애류 – 성충이 0.7mm로 매우 작으며 연간 수십회 발생하는데 고온, 다습에서 만연한다. 뿌리응애와 혹응애가 피해를 주는데 종구와 토양의 소독을 철저히 하고 생육중에 발생하면 살충제를 관주하며 심하면 윤작한다. 마늘구근선충 – 뿌리에 기생하면서 흡즙하여 영양결핍증 등을 일으킨다. 선충이 기생하면 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되는데, 다습한 사질계 토양에서 많고 유충이 월동한다.

113 생리장해 2차생장 – 지하부의 잎겨드랑이에 착상한 곁눈이 인편으로 비대 발육하지 못하고 생장하여 모식물체의 엽초부를 뚫고 나오는 현상으로 벌마늘이라고도 한다. 이는 다소의 소인편을 착생시켜 상품가치를 하락. 발생원인은 이상난동, 인편분화기의 단일, 건조 후의 강우, 종구의 지나친 저온처리, 질소질 비료 과용, 늦은 덧거름 시용, 지나친 관수, 이른 파종, 화경과 주아의 조기제거, 사질토양재배 큰 종구파종, 멀칭 등 중심구 – 통마늘이라고 부르는데 인편이 분화하지 못한 상태로 주아재배시 1년차에, 봄 파종시, 종구가 너무 작을때, 저온처리가 짧고 약할때, 화서분화에 필요한 엽수가 충분하기 전에 구가 형성될때

114 (3) 열구 –인편의 겉잎이 노화되고 얇아져 터지는 현상
(3) 열구 –인편의 겉잎이 노화되고 얇아져 터지는 현상. 난지형 마늘에서 주로 발생하고 수확기가 늦어질 때, 사질토양에서, 얕게 심을때 (4) 파마늘 –인편이 분화되지 않고 파처럼 잎만 분화될때 이산난동, 단일환경, 종구관리 소홀로 발생 (5) 잎선단 고사 – 생육 후기에 고온으로 잎의 끝부분이 심하게 말라는 현상, 토양이 건조하거나, 칼륨, 마그네슘, 칼슘의 흡수 억제로 발생. 퇴비 증시, 석회 인산질 비료 시용, 관수철저로 발생 억제가능


Download ppt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Cabbage 甘藍"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