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한국 전쟁사 제 2장 6.25전쟁의 발발 원인 및 대비태세
2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제 2차 세계대전 중의 회담 카이로회담 한반도의 독립에 관하여 국제사회에서 논의된 최초의 사례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제 2차 세계대전 중의 회담 카이로회담 -미국, 영국, 중국의 정상이 참석했음 -제2차 세계대전의 전후 처리 문제와 한반도의 독립문제 등이 논의됨. 한반도의 독립에 관하여 국제사회에서 논의된 최초의 사례
3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제 2차 세계대전 중의 회담 테헤란 회담 -미국, 영국, 소련의 정상이 참석했음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제 2차 세계대전 중의 회담 테헤란 회담 -미국, 영국, 소련의 정상이 참석했음 -루즈벨트(미국)가 한반도의 신탁통치에 대해 언급 스탈린(소련)이 이에 동의 →한반도에 대한 신탁통치가 잠정적으로 결정됨
4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제 2차 세계대전 중의 회담 얄타회담 -미국, 영국, 소련의 정상이 참석했음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제 2차 세계대전 중의 회담 얄타회담 -미국, 영국, 소련의 정상이 참석했음 -패전국 처리문제, 전후 이권 배분문제 논의 -소련 대(對)일전 참전 유도 -한반도의 신탁통치 최종합의
5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제 2차 세계대전 중의 회담 포츠담 회담 -미국, 영국, 중국의 정상이 참석했음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제 2차 세계대전 중의 회담 포츠담 회담 -미국, 영국, 중국의 정상이 참석했음 -일본에게 항복 권고 -소련 대(對)일전 참전 약속 준수 요구
6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2) 38도선 분단 및 고착화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동시에 한반도의 분할이 결정 미국의 본스틸(Bonesteel) 대령이 한반도 분할에 대한 초안을 맡음 1945년 8월 16일 소련의 묵시적인 동의와 함께 확정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쪽엔 미국의 하지 중장, 북쪽엔 소련의 치스차코프 대장이 각각 군정을 맡음 본스틸 대령 하지 중장 치스차코프 대장
7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38도선 분단 및 고착화 ★모스크바 3상회의★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38도선 분단 및 고착화 ★모스크바 3상회의★ 소련의 모스크바에서 열린 미국 · 영국 · 소련 3국의 외상회의(外相會議) 한국에 미·소 공동위원회를 설치하고 일정기간의 신탁통치에 관하여 협의한다는 내용이 결정 이 회의에서 5년의 신탁통치가 과도기의 정치로써 요구되었는데, 남한의 우익정당과 사회단체가 신탁통치를 반대 북한은 처음에는 반대하였으나 소련의 사주를 받고 이후 찬탁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미국과 소련의 의견 대립으로 한반도 문제는 유엔(UN)에 이관
8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38도선 분단 및 고착화 유엔(UN)은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을 결성하여
1. 한반도, 왜 분단되었는가? 38도선 분단 및 고착화 유엔(UN)은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을 결성하여 남북한의 선거를 통한 정부수립을 지원하고자 했지만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의 북한 방문이 소련에 의해 저지당하면서 유엔 총회의 결정에 따라 1948년 5월 10일 남한의 단독 총선거가 실시 1948년 8월 15일 남한에서‘대한민국’ 정부를 수립 1948년 9월 9일 북한에서‘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 수립 결국 한반도가 남한과 북한으로 분단
9
전쟁 발발 요인 국제적 요인 국내적 요인
10
전쟁 발발 요인 1)국제적 요인 -2차 세계대전 종결 ☞소련의 팽창정책+미국의 봉쇄정책 결과: 냉전체제의 구축
11
2. 6.25전쟁 발발 요인 ★애치슨 선언(라인) 1)국제적 요인 -미국의 2차 세계대전 전후 외교정책의 일환
-공산주의 국가들의 영토적 야심을 막기 위한 태평양 정책 -『극동방위선』이라고도 함 -한국과 대만을 극동방위선에서 제외 -6.25전쟁 위험성을 묵인하였다는 비판을 받음
12
2. 6.25전쟁 발발 요인 1)국제적 요인 소련,북한,중국의 협력 ☞소련의 ‘팽창 정책’ 중국의 ‘대만 통합’
북한의 ‘해방 전쟁’ 결과: 한반도를 둘러싼 각 나라의 이해관계로 인하여 전쟁 발발 ◆
13
2. 6.25전쟁 발발 요인 2) 국내적 요인 ▷남북한의 군사력 불균형 무기를 비롯한
장비분야의 양,질적 차이와 부대 훈련 정도, 실전경험 및 지휘관의 지휘 능력 → 북한의 남침에 결정적 영향을 줌
14
2. 6.25전쟁 발발 요인 2) 국내적 요인 ◆ 국내 정세의 혼란 광복 직후의 48개 정당 난립
정부의 화폐 과다 발행으로 인플레이션 발생 북한의 남한 교란 목적으로 인민유격대 남파 남로당 및 무장공비의 활동 38도선에서의 북한의 불법 도발 내부 좌익 세력들에 의한 하극상 등 병영문제 전단 살포, 대남방송, 평화통일 서명운동 등→전쟁준비
15
전쟁 발발 요인 2) 국내적 요인 ◆여순 10.19사건 1948년 10월 19일 전남 여수 순천에서 국방군 제 14연대 좌익 일부 군인들이 제주 4.3사건 진압출동을 거부하고 대한민국 단독정부 저지 목적으로 무장봉기해 반란을 일으킨 사건 반란폭도와 양민을 가려내기 위해 주민들을 한곳에 모아둔 모습
16
3. 북한의 남침계획과 남한의 대비태세 1) 북한의 남침 계획 2) 북한의 전쟁준비 3) 남한의 전쟁대비상황
4) 한국군, 대규모로 지휘관을 교체 5) 남침 징후 무시 6) 양 진영의 작전계획
17
1) 북한의 남침계획 * 얄타회담 1945.8.8 소련 일본에 대한 선전포고, 태평양 전쟁에 참전 일본의 항복으로 인해
소련 일본에 대한 선전포고, 태평양 전쟁에 참전 일본의 항복으로 인해 미국과 소련의 신탁통치가 잠정적으로 확정되면서 한반도에 대한 소련의 영향력이 커짐 <얄타회담 > 왼쪽부터 영국 처칠 미국 루즈벨트 소련 스탈린
18
1) 북한의 남침계획 이해관계일치! *소련 중공 북한의 삼각 협력관계 소련 : 주한미군의 철수
팽창정책의 하나로써 한반도전체공산화를 통한 영향력확대 및 전진기지 확보 중국:미군의 한국지원으로 인한 적대관계와 대만통합을 위한 소련의지원 필요 북한: 무력공산화를 통한 통일 이해관계일치!
19
1) 북한의 남침계획 북한의 남침 계획 Ⅱ. 작전명칭 변경
Ⅰ. 김일성의 지시로 북한군 총 참모장 강건과 고문단장 바실리에프가 계획완성, 스탈린에게 보고 후 6.25공격개시확정 Ⅱ. 작전명칭 변경 선제타격공격 -> 조선인민군반격/조선인민군 배치 및 반격계획 Why? = 스탈린의 영향으로 ‘남측공격에 대한 반격이다’ 라는 명분을 만들어 놓기위함
20
2) 북한의 전쟁준비 • 소련의 북한 지원 직접적으로 북한의 전쟁 준비 관여 -전쟁물자와 장비 지원
-군사 고문단 파견 (북한군 훈련과 군 간부 육성교육 지원) -북한군 전투력이 향상 되자 소련은 군사고문단 규모를 줄이고 군사 사절단 파견 직접적으로 북한의 전쟁 준비 관여
21
2) 북한의 전쟁준비 • 중공의 북한 지원 -한인계 중공군을 북한군으로 전환시킴 →북한의 병력 증강
Ex)-김창덕이 이끄는 중공군 제 164사단이 북한군 제 5사단으로 개편 -방호산이 지휘하는 중공군 제 166사단이 북한군 제6사단으로 편입
22
3) 남한의 전쟁대비상황 한국군의 경계태세가 허술했던 원인 -38도선은 남한과 북한이 유리한 진지를
차지하기 위해서 충돌이 잦았던 곳. →한국군에는 비상경계령이 수시로 발령됨 한국군의 경계태세가 느슨해지는 결정적 원인
23
3) 남한의 전쟁대비상황 애치슨 라인 탄생 -대한민국 정부는 재정난 극복 및 군사적 증강을 위해 북한의 남침 가능성을 미국에 호소함 →하지만 미국은 ‘한국군을 증강시킬 경우 한국군의 북침이 우려된다’는 판단내림 이는 애치슨 라인을 탄생시키는 계기가 됨
24
3) 남한의 전쟁대비상황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차이는 매우 커짐. 한국군과 북한군의 차이
-한국군 : 미국의 안일한 판단에 기대어 북한의 위협에 대해 경계를 풀고 있는 상태 -북한군 : 지속적인 전력증강 한국군과 북한군의 전력 차이는 매우 커짐.
25
제 2대 민의원 총선거에서 여당 패배 군 창설 이래 최대규모의 인사이동 실시
4) 한국군, 지휘관 교체 제 2대 민의원 총선거에서 여당 패배 군 창설 이래 최대규모의 인사이동 실시
26
4월 4) 한국군, 지휘관 교체 제 4대 육군 총참모장으로 채병덕 소장 부임 당시 인사이동 내역
참모부장이였던 정일권 준장 해임 작전 참모부장에 김백일 대령 부임 제 1사단장에 백선엽 대령 부임
27
6월 4) 한국군, 지휘관 교체 당시 인사이동 내역 당시 육군 본부의 군수국장, 정보국장만 빼고 나머지 육군 본부의
전체 참모, 전국 사단장 인사이동
28
4) 한국군, 지휘관 교체 6월에 진행된 대규모 교체의 문제점 ☞전쟁 발발하기 불과 15일 전에 이루어짐
(많은 병력들을 관리, 통솔하는 업무 인계인수 시간이 짧았음) 전쟁 직후 초기 전투에서 한국군이 패퇴를 거듭하게 되는 큰 요인이 됨
29
5) 남침 징후 무시 ① 남침의 징후 1. 남북간의 잦은 군사적 충돌
-1949년부터 38도선 부근에서 잦은 교전 ex)송악산 전투(1949년 5월 송악산을 탈환하기 위해 한국군 제1사단 11연대의 10명의 특공대가 육탄 돌격하여 북한군 진지를 모두 파괴하고 산화) 2. 남침이 있을 거라는 소문이 무성하였을 정도로 북한의 남침 징후 농후
30
5) 남침 징후 무시 ② 남침 징후 무시 1. 전쟁 발발 직전 북한이
북한(조만식 선생) ↔ 남한(억류중인 A급 간첩)을 교환하자는 일종의 평화공세를 취함 남한 쪽에서 위의 제의를 속임수로 생각하고 6월 11일 비상경계령 발령
31
5. 남침 징후 무시 2. *6월 24일 00시를 기해 효율성 약화를 우려하여 비상 경계령을 해제→ 밀려 있던 휴가 및 외출 외박을 보내서 병력의 1/3이상이 부대를 이탈 *6월 24일 밤에 ‘육군 장교구락부’의 개관식이 열림→군의 주요 수뇌부들이 참여하여 각 부대의 지휘에 공백이 생김 결과적으로 최악의 상황을 맞이함
32
6) 양 진영의 작전계획 북한 1. 주공인 제1군단을 서울 북쪽 방면에 위치하여 서울을 공격하고자 함.
2. 조공인 제2군단은 춘천을 돌파한 후 그 일부 병력을 서울 동남쪽 방면으로 이동시켜 한국군 주력 병력의 퇴로를 차단함. 3. 한강 북방 일대에서 퇴로가 차단된 한국군을 포위,격멸함. 상황에 따라 다시 일부를 대전 혹은 대구 방향으로 이동시켜 한국군을 소백산맥 이북에서 포위,섬멸함. 4. 나머지 일부 병력은 동해안을 따라 신속히 부산으로 진격하여 주공의 진출에 기여함.
33
6) 양 진영의 작전계획 남한 1. 방어의 중심을 의정부 정면에 두고 38도선을 기준으로 경계진지,주진지,예비진지로 나누어 구분 편성함. 2. 북한군이 주진지를 돌파하였을 경우 사단 자체 역습으로 방어지대를 확보하는 것이 기본적인 방어개념. 3. 예비진지는 최후저항선으로서 반드시 확보해야 함. 4.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사단은 예비 전력으로서 위급한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역습을 실시하여 방어지대를 확보한다는 임무를 가지고 있음.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