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2조 연안실습 보고 *이장한 이선은 이수정 이지혜 이호준 황희수 2조
2
목차 지질 실험실 화학 실험실 생물 실험실 환경 실험실 물리 실험실
3
지질 실험실 연안실습 보고
4
발표 차례 •서론 실험목표 •본론 측정기기와 주요개념 연안실습 자료수집(자란만) 실험과정(학교) •결론 실험결과 및 토의
느낀점
5
해양시스템과학과의 일원으로 직접 바다를 체험해보며 물리, 지질, 환경, 생물, 화학분야의 교과서의 내용을 실험함으로써 더 바다에 친근하게 다가가고 자세히 알기 위함으로 2 박 3 일(2010년 4월 28일~30일)의 일정으로 3학년 전원이 참석한다. 장소는 경남 고성군 하일면 부경대학교 수산과학 기술센터 앞에 있는 자란만이고 지질 실험실에서는 4곳의 정점에서 Grab을 바다 속 퇴적물에 떨어뜨려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하여자란만의 환경적 특성을 알아 보려 한다. 실험목표 고성 자란만 G2 시료 입도 분석 실험 ※ 자료참고 –
6
정밀 입도 분석기(sedigraph) Stoke's law를 적용하여 X-ray를 통해 질량입도를 분석하는 기계이다. 현재 알려진 방법 중에서 가장 정밀한 퇴적 낙하법을 사용하여 퇴적물의 입자의 크기, 분포 및 통계적 수치를 측정한다. Stoke’s law 입자의 형태가 구형이라는 가정 하에서 구형입자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매질 속을 통과할 때 구형입자의 입경은 침강속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Lambert-Beer's law 투과도와 농도 및 광경로 길이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법칙으로 물질의 농도가 커지면 투과도 작아지고 투과도가 작아지면 광경로가 길어진다.
7
연안실습 자료수집 1. Grab을 이용하여 퇴적물을 뜬다.
2. 뚜껑을 열어 퇴적물을 모종삽으로 긁어 담는다. (주의!! 손가락이 고리에 걸릴 경우 많이 아픔)
8
실험과정(학교) 1. 500ml 비커에 일정량의 퇴적물을 넣어준다.
2. 퇴적물에 과산화수소 넣고 끓이면서 7% 유기물을 처리한다.
9
실험과정(학교) 3. 유기물 처리 후 물로 희석하고 물 빼기 작업을 반복한다.
4. 4pi sieve를 이용하여 퇴적물을 세립질과 조립질로 분리한다.
10
실험과정(학교) 5. 세립질 퇴적물 : 100ml의 세립질 퇴적물을 교반기에 올려 magnetic bar를 넣고 충분히 혼합시킨 후 피펫으로 25ml 빼내어 준다. 25ml를 건조기에 넣고 건조하여 무게를 잰다. sedigraph를 이용하여 5pi~13pi까지 분리한다. 6. 조립질 퇴적물 : 체 진동기를 이용하여 0pi~4pi를 분리 하고 무게를 잰다.
11
실험결과 Gradistat를 이용하여 평균값, 분급, 왜도, 첨도 데이터 얻는다.
12
실험결과 ⑦ G1 - 1조 ⑥ G2 - 2조 ⑤ G3 - 3조 ④ G4 - 4조
Gradistat를 이용하여 평균값, 분급, 왜도, 첨도 데이터 얻는다.
13
실험결과 세립질 무게를 입도별로 나타내 보면 파이(phi) % 13 1.7 12 7.3 11 13.8 10 28.4 9
25.9 8 14.6 7 3.5 6 0.3 5 1.8
15
실험결과 G2정점의 입도를 GRADISTAT으로 계산해보면 SAND가 0.2%, MUD가 99.8% 이고, V FINE SAND가 0.1%, COARSE SILT가 2.1%, MEDIUM SILT가 3.1%, FINE SILT가 43.8%, CLAY가 50.8%의 입도를 보이고 있다. 위에 각 조의 4정점의 평균, 분급, 왜도, 첨도를 한 그래프에 비교해보면 특징을 알 수 있는데 평균은 모든 정점에서 대체적으로 8.4(Phi)~9.1(Phi)정도로 clay(점토)의 성질을 띈다.
16
분급은 1조와 4조의 값이 2.1과 2.3으로 very poorly sorted로 분급이 매우 나쁘고 2조와 3조 또한 poorly sorted로 분급이 나쁜 편이였다.
왜도는 4조의 물질이 조립질이고 나머지 1,2,3 조는 거의 대칭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첨도는 분급과 연관이 있는데 4조의 값이 제일 높아 평균값에 가까운 입자들이 많이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Y(세립입자)가 많은 것으로 보아 자란만 G2 지점은 유속이 느려 세립퇴적물이 많이 쌓이는 것으로 유추 할 수 있다.
17
토의 및 느낀 점 심화과정이 아닌 학생들은 처음 해보는 지질 실험이지만 조교님들의 지도와 조원들 모두 열심히 참여해주어서 실험이 큰 실수 없이 잘 마친 것 같습니다. 새로운 경험 이였습니다.
18
화학 실험실 연안실습 보고
19
화학해양실험 모의생물환경실험 실험 티오황산나트륨 이용 DO측정
20
실험1. 티오황산나트륨 이용 DO 측정 해수 용존산소는 해수 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농도를 말하며, 산소는 영양생물의 광합성결과로 생긴 산물이므로 산소의 농도로 광합성의 정도와 해수 속에 서식하는 어패류 및 종속영양생물은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를 이용하여 생명을 유지한다. 따라서 용존산소의 측정을 통해 해수 속 호기성생물의 활성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용존산소 측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티오황산나트륨을 이용한 용존산소 측정을 통해서 용존산소의 양을 구하는 방법에 있어 화학적 방법으로 측정실험을 하였다.
21
실험결과 티오황산나트륨용액의 표정실험과 바탕값 결정과정 실험의 결과 티오황산나트륨용액의 표정실험 결과 진한 보랏빛이 사라질 때 까지 들어간 티오황산나트륨용액은 0.07ml 바탕값 결정에 들어간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은 0ml 였다.(아무 변화가 없었다.) 우리 조는 횟수 측정한 해수의 번호 47번~50번까지의 시료를 측정 하였는데 아래 표와 같은 결과값이 나왔다. 시료번호 1 2 3 평균 티오황산나트륨의 양 0.70ml 0.60ml 0.67ml
22
실험결과 앞의 결과값을 이용하여 산소의 농도를 구하려면 밑의 식을 이용한다. 각각의 계산을 위한 각각의 값들은 다음과 같다.
Rblk = 0ml Rstd = 0.07ml VIO3 = 10ml Vb = 100ml Vreg = 2 ml NIO3 = 0.01 equivalents/liter E = 5,598 ml O2/equivalent DOreg = ml
23
실험결과 앞의 값들을 이용해서 나온 결과값, 즉 시료의 용존산소량은 다음과 같다. 59번 시료-62ml/liter
24
검토 및 토의 실험을 하고 보고서를 쓰고 발표를 하면서 용존산소의 측정 방법에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쓰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위와 같이 티오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은 기계로 측정하는 방법에 비해서 오차의 범위가 크고 눈으로 색깔을 관찰한다는 점에서 주관적인 측면이 내제되어 있다는 것은 당연한 사실일 뿐만 아니라 번거로움까지 있다. 이 실험으로써 우리는 화학적 방법으로 인한 해수의 용존산소를 측정하는 원리와 방법을 잘 알았다.
25
실험2. 모의 생물 환경 실험 가상의 해양환경을 만들어 준다면 해양생물들이 잘살아 갈수 있을까? 가상의 해양환경에서 해양생물들의 상호작용으로 호흡과 광합성을 하면서 용존산소의 양과 PH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면서 24시간 동안 가상환경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한다.
26
표와 그래프는 측정한 시간에 따른 DO와 PH값을 나타낸 것이다
표와 그래프는 측정한 시간에 따른 DO와 PH값을 나타낸 것이다. 시간이 가면 갈수록 DO와 PH값은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실험결과
27
검토 및 느낀점 우리 조는 페트병 안의 DO와 PH의 양이 감소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페트병속의 생물을 추가적으로 넣을 때 광합성 위주의 생물로 더 넣었다. 하지만 동시에 고동과 게 등 호흡생물도 동시에 넣어서 추가적으로 생물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DO와 PH가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모의 환경을 만드는데 실패를 했지만, 예상보다 광합성 생물을 더 많이 넣었으면 괜찮았을 거라는 것이 아쉬웠다. 하지만 조원들끼리 모의 생물을 만들면서 채집한 게, 고둥 해조류를 잡는 것은 재미 있었고, 잊지 못할 추억이 될 것 같다.
28
생물 실험실 연안실습 보고
29
실험. 플랑크톤 채집 및 종 동정 실험목적 실험방법
고성 앞바다의 플랑크톤을 채집함으로써, 얼마나 다양한 플랑크톤 종들이 있는지 형태적으로 관찰한다. 실험방법 플랑크톤 네트로 플랑크톤을 채집한 후, 루골 용액으로 고정한 후 현미경을 통 해 생태학적 플랑크톤을 동정한다.
30
Plankton 1. chaetoceros danicus cleve 2. eucampia zoodiacus ehrenberg
3. bacteriastrum delicatulum cleve 4. rhizosolenia setigera 5. ceratium furca 6. thalassionema nitzschioides 7. skeletonema_costatum 8. arochinoidiscus orantus 9. odontella sinensis grunow 10. hemiaulus sinensis 11. hyalodiscus scoticus 12. rhizosolenia bergonii 13. ditylum brightwellii 14. chaetoceros pendulus 15. Thalassiosira hyalina 16. pleurosigma angulatum 17. nitzschia longissima 18. protoperidinium conicum 19. oxyphysis oxytoxoides 20. corethron criophilum
31
Ceratium furca 나조식물문 – 케라티움과 모든 종이 온수종이며 해양보다는 연안에 많이 분포한다.
북 온대해역에 분포한다.
32
Thalassionema nitzschioides
황금색조식물문 - 우상규조목 – 돌말과 세포들은 모서리로 결합하여 별 모양 또는 지그재그 모양의 군체를 형성한다. 우리나라 근해에 많이 분포한다.
33
느낀점 처음에는 현미경으로 초점도 맞추지 못했지만 적응이 되고 난 뒤론 플랑크톤을 찾기 쉬웠다. 다양한 크기와 모양이 있어 찾는데 시간이 가는 줄 몰랐다. 도감에 비슷하게 생겼지만 다른 종이라고 하여 놀라기도 했다. 바다엔 눈으로 보이지 않지만 놀라운 생태계가 있다.
34
환경해양학 실험실 연안실습 보고
35
환경해양학 실험실 1. 생물 채집과 종 동정 - 실험 과정 ① 암반 조간대 지역을 돌아다니며 다양한 종의 생물을 채집하였다.
② 채집한 동․식물을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후 봉하여 학교 실험실로 가져왔다.
36
환경해양학 실험실 ③ 체를 이용하여 포르말린으로 고정한 생물들을 흐르는 물에 씻었다. (처음 씻어낸 물은 포르말린 농도가 높으므로 폐시약통에 따로 버렸다.) ⑤ 포르말린이 거의 제거된 생물들을 다시 포르말린 농도가 더 옅어질 때까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었다. (Fig. 5) ⑥ 씻은 생물들을 tray에 옮겨 담아 동물과 식물로 구분해서 놓았다. ⑦ 구분한 동물들과 식물들을 비슷하거나 같은 종끼리 다시 구분해서 놓았다. (생물들이 마르지 않게 물을 적셔가면서 진행하였다.) (Fig. 6) ⑧ 구분한 생물종들을 생물도감과 기타 자료(인터넷)를 이용하여 동정했다.
37
환경해양학 실험실 1.동물 종 동정 1)납작 배무래기
특징:패각은 다소 높은 삿갓형으로 각정은 뒤로 치우쳐 있고 뾰족하게 솟아있다. 표면은 녹갈색이다. 각정으로부터 조밀한 방사륵이 나타나고 가는 성장맥과 교차하여 과립상을 이룬다. 패각 내면은 광택이 나는 청백색이고 각구 주연에는 황갈색 띠로 둘러져 있다. 근흔의 뒤쪽은 진한 황갈색을 띤다. 조간대의 암반지대에 서식한다. 분류:복족강-원시복족목-흰삿갓조개과
38
환경해양학 실험실 2)무늬발게 분류 : 갑각강-십각목-바위게과
특징 : 갑각은 뒷부분이 좁은 사각형이며 모서리에 알갱이모양 돌기가 있다. 이마는 넓어서 갑각너비의 2분의 1 정도이고 챙모양으로 약간 튀어나온다. 앞가장자리는 거의 곧다. 옆가장자리에 눈뒷니를 포함해서 3개의 이가 있다. 갑각 윗면은 털이 없이 매끈한데, H자모양 홈이 뚜렷하고 오목한 점무늬가 아치모양으로 늘어선다. 양 집게다리는 대칭이다. 걷는다리는 잘 발달하였으며 표면에 붉은빛을 띤 보라색 점이 모여서 된 가로무늬가 있다. 배는 암수 모두 7마디이다. 물이 맑은 조간대의 바위 또는 자갈지대에 산다. 뱃속에 구름무늬주머니벌레가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컷은 7~8월에 알을 품는다.
39
환경해양학 실험실 3)개울타리고둥 분류:복족강-원시복족목-밤고둥과
특징:패각은 난원형, 나탑은 낮은 원추형, 나층은 7층, 각 층은 팽윤되어 있다. 체층의 견각과 주연은 약한 각을 이룬다. 패각 표면의 나륵은 체층에는 7줄, 차체층에는 5줄, 그리고 각저에는 7줄이 있다. 체층의 나륵에는 흑생 또는 황갈색이나 적갈색 돌기들이 불규칙하게 섞여 배열하고 있다. 각구는 둥글고 외순의 가장자리는 얇으며 표면의 나구에 의해 굴곡 지어져 있고 안쪽 끝에는 흑록색 띠로 둘리어져 있다. 내순은 넓고 백색 활층 4개의 치상돌기가 있다. 제공은 없고 각저는 부풀어져 있다. 뚜껑은 원형, 다선형이다. 나구는 깊고 종구는 울타리고둥보다 멀리 있어 과립은 직사각형의 긴 벽돌모양을 이룬다.
40
환경해양학 실험실 4)진주담치(지중해담치) 분류:이매패강-홍합목-홍합과
특징:대형종으로 배 부분은 직선에 가깝고 표면에는 많은 성장맥(成長脈)이 있다. 껍데기는 흑청색의 각피로 덮여 있고 광택을 낸다. 어릴 때에는 각피에 털이 있다. 홍합과 유사하게 생겼으나 껍데기가 얇고 나비가 넓으며 안쪽이 푸른색이어서 구별된다. 한류성으로, 조간대에서 수심 20m 사이의 바위에 족사(足絲)를 내어 붙어 산다. 족사는 강도가 매우 강해 어른의 힘으로도 떼어내기 힘들다. 방파제나 어망, 부두의 다리 등에 많이 달라 붙는다.
41
환경해양학 실험실 5)산팥알고둥 분류:복족강-원시복족목-소라과
특징:패각은 소형의 긴 난형이다. 나층은 5층이며 껍질은 단단하고 흑갈색이다. 각 나층은 약하게 부풀어 있고 봉합은 깊고 뚜렷하다. 각 나층에는 굵은 나륵이 있고 각저에는 약하게 7∼8줄 나타난다. 각구는 둥글고 순연은 두꺼은 편이다. 축순은 약한 활층으로 덮이고 제공은 없다. 팥알고둥과 유사하나 본 종은 나탑이 뽀족하고 나륵과 봉합이 뚜렷한 점으로 구별된다. 조간대의 해조류 사이에 서식한다
42
환경해양학 실험실 6)애기삿갓조개 분류:복족강-원시복족목-삿갓조개과
특징:패각은 낮은 삿갓형이고 얇다. 각구는 난형이며 각정은 앞쪽에 위치하고 각폭은 뒤쪽이 넓다. 표면은 회백색 또는 회갈색이고 개체에 따라 불규칙한 방사상의 갈색 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조밀한 방사맥이 있으며 성장맥은 뚜렷하지 않다. 내면은 광택이 있는 백색 바탕에 표면의 방사상의 무늬가 나타나는데 주연부에 특히 뚜렷하게 나타난다. 근흔은 무광택의 백색으로 나타난다. 조간대의 암반 지역에 서식한다. 서식지에 따른 개체변이가 심하다.
43
환경해양학 실험실 2.식물 종 동정 1)납작파래 분류:녹조강-갈파래목-갈파래과
특징:길이 약 40cm, 지름 1∼5cm이다. 몸은 원통형으로 약간 납작하고 때로는 잘록하다. 가지는 보통 하나로 하부에서 갈라지고 상부는 갈라지지 않고 넓게 부푼다. 세포는 지름이 10~15㎛이며, 일정한 순서없이 배열되어 있고 두껍지 않은 막을 가지고 있다. 크기는 개체에 따라 차이가 많다. 클로로필, 카로틴, 젠토필 등의 녹색소와 피로신등의 색소단백질이 있어 녹색을 띤다. 조간대 상부의 민물이 흘러 들어오는 곳에서 바위나 돌, 말뚝 등에 붙어 서식하며, 김발에도 잘 붙는다.
44
환경해양학 실험실 2)잎파래 분류:녹조강-갈파래목-갈파래과
특징:조간대 상부의 바위 또는 만(灣) 내의 목공사물 등에서 자란다. 식물체는 조그마한 기부에서 여러 개체가 모여서 나고, 길쭉하며 편평한 엽상체를 이룬다. 각 개체는 피침상 ·선상 또는 신장형이고 기부는 매우 가늘다. 보통 길이는 10∼20cm, 나비는 넓은 부분이 0.5∼10cm이고, 표면에 다소 주름이 생긴다. 밝은 녹색을 띠며 부드럽다.
45
환경해양학 실험실 3)구멍갈파래 분류:녹조강-갈파래목-갈파래과
특징:몸은 단독 또는 2~3 뭉쳐서 나고 높이 10~30㎝ 또는 그 이상에 달한다. 거의 줄기가 없고 몸의 하부는 매우 두껍고 부착부 부근은 두께가 0.5㎜쯤 된다. 그보다 상부는 엷고 두께는 적어도 125㎛쯤 된다. 좀 단단하고 가장자리는 엷은 막상이며 그 부분은 두께 40~50㎛ 쯤 된다. 모양은 불규칙하여 일정하지 않고 다소 불규칙하게 째어졌으며 큰 주름살이 좀 있고 가장자리는 다소 파상으로 출입한다. 엽면에는 대소 부동인 동형의, 또는 불규칙한 구멍이 있고 이 구멍은 서로 연결되기도 한다. 겨울에서 늦은 봄까지 번무한다. 분포:우리나라 전 연안, 일본 등
46
환경해양학 실험실 4)잔가지말 분류:갈조강-잔가지말목-잔가지말과
특징:높이 20~25CM 가지의 직경은 2~3MM 동해연안의 간조선부터 조하대에 걸쳐 널리 분포. 돌이나 모자반 위에 붙어서 서식한다. 다른 해조 위에서 서식하는 것을 풀큰실말이라해서 다른 종으로 분리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현재는 같은 종으로 되어있다.
47
환경해양학 실험실 5)불등풀가사리 분류:홍조강-돌가사리목-풀가사리과
특징:줄기는 원주형이다. 불규칙하게 Y자형으로 가지가 분지하며 몸 곳곳이 잘록하여 관절처럼 보인다. 줄기는 짧고 형태변이가 심하다. 분기점에서는 가늘고, 꼭대기는 둥글거나 뾰족하다. 질은 얇은 가죽처럼 질기고 점액질이 풍부하며 건조하면 대지에 잘 붙는다. 풀가사리와 외형상 유사하나 줄기의 속이 비어 있어 구분가능하다. 조간대 상부에서 바위나 돌 등에 부착하여 자란다. 한 군데에서 여러 개의 개체가 발생하여 군락을 이루어 서식한다.
48
환경해양학 실험실 실험 목적 고성 자란만 암반 조간대 지역의 고둥들의 밀집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4개 조의 실험과 통계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과정 ① 17cm X 17cm 사이즈의 방형틀을 조사 지역 내에 무작위로 던진 후, 방형틀 속에 포함된 고둥의 수를 셌다. ② ①을 20회 반복하여 값을 기록하였다. ③ 기록한 값을 통계 프로그램(SPSS)의 집단별 평균 분석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중위수를 구하였다. ④ ③에서 구한 값을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49
환경해양학 실험실
50
환경해양학 실험실 <집단별 평균분석>
51
환경해양학 실험실 <일원배치 분산분석>
52
환경해양학 실험실 <문제점, 결과>
1. 일원배치 분산 분석에서도 유의수준이 0.000으로 나타나 0.05보다 작아 각조별로 측정한 고동수의 차이를 확실하게 보여준다. 2. 고성 자란만의 전체 지역이 아닌 일부 지역을 선정하였다. 3. 던진 방법도 각기 달랐다.
53
<결론> 신뢰할 만한 값을 얻으려면 정확한 측정면적을 정하고 20회의 횟수가 아닌 최소한 100회 정도의 횟수로 측정하고 방향틀의 크기도 크게 만들어 한번에 측정할 때 좀 더 큰 면적당 고둥수를 측정하게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54
환경해양학 실험실 3. 표층 해수 Chlorophyll 농도 변화와 조석의 상관관계 조사 실험 목적
실험 방법 및 과정 (1) 실험 방법 하루 중 12시간 동안 Fluorometer를 이용하여 5분 간격으로 Chlorophyll 농도를 측정한 값과, 동일한 12시간 동안 표척을 이용하여 측정한 조석 값을 모두 그래프로 나타낸 후, 두 개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표척 실험에서 표척이 조석 데이터를 기록하지 못한 관계로 통영 관측소에서 측정한 조위 값으로 대신하기로 하였다.
55
환경해양학 실험실 실험 과정 ① 2010년 4월 29일 07시 04분부터 19시 04분까지 12시간 동안 4개의 조가 3시간씩 5분 간격으로 Fluorometer를 이용해 표층 해수의 Chlorophyll 농도를 측정하고 기록하기로 하였다. ② 우리 조는 16시 04분부터 19시 04분까지 Chlorophyll 농도를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③ 12시간의 측정을 모두 마친 후 다른 3개 조로부터 각 조의 측정값을 건네받았다. (Table 1) ④ 총 12시간 동안 기록한 Chlorophyll 농도 자료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⑤ 동일한 12시간 동안 기록된 조위 자료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⑥ ④, ⑤의 그래프를 비교하였다.
56
환경해양학 실험실 <시간별 클로로필 A 의 농도와 조위>
57
환경해양학 실험실
58
환경해양학 실험실
59
환경해양학 실험실 5.경사도 측정 (1) 실험 원리 우리가 알고자 하는 암반 조간대의 경사도는 위그림
에서 표시된 θ(theta)를 계 산함으로써 알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 그림 에 표시된 직각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와 삼각함수 를 이용해야 한다. 길이 D를 측정하기 위해 우리는 A와 C의 길이와 A와 C사이의 경사진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경사진 거리를 B'라고 하면 B'sinθ=D 임을 이용하여 θ를 알아낼 수 있다.
60
환경해양학 실험실 (2) 실험 과정 페트병과 줄자를 사용하여 그림 1과 같은 방법으로 경사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페트병 속에는 물을 담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파란색 실선으로 표시된 구간의 길이를 줄자를 이용해 모두 측정하였다.
61
물리 실험실 연안실습 보고
62
물리해양학 실험실
63
물리해양학 실험실 ① BATHMATRY 아쿠아룰러 DGPS
64
물리해양학 실험실 배에 sonar와 gps를 설치하여 자란만의 동일 위도를 따라가면서 수심을 측정하였다. 따라가는 도 중 양식장이 있어 정확히 가지 못 하였으나 최대한 비슷한 경로로 가면서 수심을 측정하였다.
65
② 계류관측(CTD, RCM, ADCP) 각 정점에 표층과 저층에 설치를 하였다.
물리해양학 실험실 ② 계류관측(CTD, RCM, ADCP) 각 정점에 표층과 저층에 설치를 하였다.
66
물리해양학 실험실 CTD M1,M2,M3 정점에 계류하여 필요한 자료인 :00 ~ :00 까지의 자료만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정점의 수온, 염분, 압력 그래프를 그렸다. RCM M2의 정점의 표층에 계류 하여 29일 18:00시부터 시간에 따른 조석에 대한 유속, 방향, 수온변화의 자료를 추출하여 그래프를 그렸다. ADCP M4 정점의 표층에 계류하여 29일 09:00시부터 시간에 따른 수심 1m 간격으로 유속과 방향의 자료를 추출하여 그래프를 그렸다.
67
물리해양학 실험실 ③ METEO 연구소 앞 평평하고 넓은 마당에 설치하였다.
68
④ 표척 수심변화가 있는 곳을 선정하여 설치 하였으나 기상악화로 제대로 설치되지 않아 근처 조석자료로 대신한다.
물리해양학 실험실 ④ 표척 수심변화가 있는 곳을 선정하여 설치 하였으나 기상악화로 제대로 설치되지 않아 근처 조석자료로 대신한다.
69
물리해양학 실험실 ② 계류관측(CTD, RCM, ADCP) 정점 -M1 : CTD를 계류 (저층)
70
물리해양학 실험실 CTD - 수 온 - 시간에 따른 정점의 수온그래프
71
물리해양학 실험실 <자료해석및 결과>
그래프를 보면 대체적으로 표층의 수온이 저층보다 높은 온도 이다. 표층에서 태양 빛 에너지를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M3지점에서는 자정으로 갈수록 표층은 수온이 내려가지만 저층은 조금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약 8시가 되면 표층보다 저층에서의 수온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수온이 태양복사에너지 뿐만이 아니라 표층에 영향을 끼치는 바람과 해류도 수온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72
물리해양학 실험실 - 압 력 - 시간에 따른 정점별 압력그래프
73
물리해양학 실험실 <자료해석 및 결과>
표층의 수압은 대기압으로 일정하나 저층의 수압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저층의 수심에 따라 기본적인 수압의 차이는 나지만 주기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심이 가장 깊은 곳은 M1이고 다음으로 M2, M3이다. 주기는 12시간 간격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밀물일 때 수압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74
물리해양학 실험실 - 염 분 - 시간에 따른 정점별 염분그래프
75
물리해양학 실험실 <자료해석및 결과>
염분은 변화 하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일정하다가 주기성을 가지고 급격한 변화를 보인다. 같은지점의 M3를 보면 표층의 염분이 저층보다 더 높게 나타난다. 표층의 증발로 인한 순수한 물의 손실이 높은 염분을 나타내는 이유인 것 같다. 특히 염분이 낮아지는 곳을 보면 밀물 때와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장 급격한 차이를 보이는 곳은 M2이고 다음으로 M3, M1이다. M2는 만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76
만의 안쪽은 강물유입에 의한 염분 변화가 심한 곳이다. 전 날 비가 많이 왔었고 만의 바닷물은 염분이 낮아졌을 것이다
만의 안쪽은 강물유입에 의한 염분 변화가 심한 곳이다. 전 날 비가 많이 왔었고 만의 바닷물은 염분이 낮아졌을 것이다. 또 밀물로 만 안쪽으로 더 많은 물이 들어와서 염분은 더 낮아지는 추세를 보인다.
77
물리해양학 실험실 RCM 29일 18:00시부터 시간에 따른 조석에 대한 유속, 방향, 수온변화 그래프
78
물리해양학 실험실 ADCP 29일 09:00시부터 시간에 따른 4~20m 수심의 유속과 방향 그래프
79
물리해양학 실험실 ③ METEO 대기압 풍향 풍속 기온 지온
80
물리해양학 실험실 ④ 조석 28일 0:00~ 30일 23:59분 까지의 자료
81
<결론> METEO의 풍향 자료와 RCM의 유속 유향 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바람이 북동 방향으로 불 때 표층에 해수가 남동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2
보고서를 마치면서 실험한 내용은 강의내용을 듣는 것만이 아닌 직접 실험하여 몸소 체험하고 조원들끼리의 토의를 통해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조원들 모두 해양시스템과학과에 전공을 하고 있으면서 바다에 대해서는 그저 피서지정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해서 눈에 보이는 바다가 전부가 아니라 좀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바다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환경을 파악하는 것이 해양학전공을 하면서 중요한 임무라는 것을 깨달았다.
83
실험 및 보고서가 미흡한 점이 있지만 이번 실습과 실험을 통해 앞으로의 해학전공 학업에서 큰 도움을 줄 것이고 바다를 좀 더 세밀하고 과학적으로 바라볼수 있는 눈이 생겨서 더 큰 도움이 된것같다.
84
참고 문헌
85
THANK YOU!
Similar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