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고열과 한랭 고 원 경.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고열과 한랭 고 원 경."— Presentation transcript:

1 고열과 한랭 고 원 경

2 서 론 온열 요소 1) 기온(Temperature) : 최적의 온도는 17~21℃.
17~24℃까지 안락한 온도의 한계, 17℃미만과 24℃이상을 불쾌한계 2) 기습(Humidity) : 습도는 포화습도, 절대습도, 상대습도 등으로 구분 포화습도 : 일정한 온도에 있어서 공기 1m3 중 포함되어있는 최대 수증기량 절대습도 : 현재온도에 공기 1m3 중에 함유된 실제 수증기량 상대습도(%) = 일상생화에서 사용하는 습도. ( 절대습도(%) / 포화습도(%) )× 100 최적의 습도는 40~70%이다 3) 기류(Air movement) : 실내 사무실의 환경위생상의 중요한 역할. 실내의 경우 0.5m/초 정도의 기류. 4) 복사열(Radiant heat) : 물체에서 방출하는 전자기파를 직접 물체가 흡수하여 열로 변했을 때의 에너지.

3 고열과 한냉의 생체작용 체온조절 생체와 환경 사이에서 열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4개 요인 : 기온, 기류, 기습, 복사열
: 기온, 기류, 기습, 복사열 체열생산&방산의 평형상태 여부에 따라 불쾌 또는 유해한 작업환경 조성. 생체와 환경 사이의 열교환 관련 열역학적 관계식. ΔS = M - E ± R ± C ΔS : 생체열용량의 변화 M : 체내 열생산량 E : 증발에 의한 열방산 R : 복사에 의한 열의 득실 C : 대류에 의한 열의 득실

4 고열과 한냉의 생체작용 정상체온 체온조절의 기전 체표온도 : 환경온도의 영향 심부온도: 환경온도와 관계없이 대체로 일정.
심부온도(深部溫度 : Core temperature)와 체표온도(體表溫度)로 구분. 체표온도 : 환경온도의 영향 심부온도: 환경온도와 관계없이 대체로 일정. 장관 내의 온도 37.0℃±0.21℃, 구강온도 36.7℃±0.21℃. 하루에도 측정시간, 기온, 식품섭취, 육체적 또는 정신적인 노동의 정도, 연령등에 따라 변화. 성인 여자는 배란기에 1.0℃ 이상의 온도변화. 체온조절의 기전 체온은 체내에서의 열생산량, 체외로의 방출열량의 균형으로 유지. 열생산은 에너지 소비량과 환경 조건에 의하여 좌우. 열방출은 피부표면과 환경사이의 온도 및 수증기압의 차이에 따라 좌우.

5 고열과 한냉의 생체작용 체온조절의 기전 ㈎ 혈관운동 조절(血管運動 調節)
⑴ 생리적 조절 ㈎ 혈관운동 조절(血管運動 調節) : 환경온도 26~30℃인 따뜻한 기후에서는 피부표면에 흐르는 혈액량이 조절. 복사와 대류에 의한 체열방산과 대사에 의한 열생산 사이에 평형 체온 유지. 환경온도 범위를 혈관운동조절범위. ㈏ 증발조절(蒸發調節) : 환경온도가 30℃ 이상으로 상승 사람의 발한량(發汗量)이 증가, 체온조절이 증발에 의하여 이루어짐. 증발조절범위. ㈐ 대사조절 또는 냉각(代謝調節, 冷却) : 환경온도가 26℃ 이하로 내려갈 때, 신진대사에 의한 열생산 증가. 열생산은 의도적인 육체노동과 비의도적인 전율에 의하여 발생, 근육운동과는 관계없이 내분비계와 자율신경계의 상승작용을 대사율이 촉진. 

6 고열과 한냉의 생체작용 체온조절의 기전 ⑵ 각 장기(Organ)의 조절 기능
: 체온조절중추(體溫調節中樞)는 시상하부(hypothalamus)에 위치. 체온조절중추는 뇌를 순환하는 혈액의 온도 변화에 의해 직접 자극되기도 함. 혈관운동과 한선의 발한작용은 척수신경의 반사궁을 통하여 이루어짐. ㈎ 혈액순환의 역할 : 환경온도 하강시 혈관 수축 => 대류, 복사로 인한 체열 방산 저하. 환경온도 상승시 피부혈관이 확장 => 순환혈액량 증가. 말초혈류량이 급격하게 늘어나면, 내장혈관은 대사성으로 수축 신체 심부의 열을 체표면으로 이동시키는데 지장을 초래(순환부전증). ㈏ 한선(땀샘)의 역할 : 한선 - 대한선(apocrine gland)과 수액선(eccrine gland). 체온조절에 관여하는 한선은 전신에 분포하는 수액선. 발한현상은 땀이 증발-> 체열을 탈취 ->신체 냉각. 1일 평균 850~950g의 수분이 땀으로 증발시 450~500㎉의 기화열 상실. 땀이 나지 않더라도 피부표면과 호흡기를 통하여 수분이 증발(불감발한) # 손바닥, 발바닥에 수액선은 열에 반응하지 않고 심리적 또는 정신적 자극 반응. ㈐ 내분비계의 역할 : 다량의 땀에 의해 탈수상태에 빠지면 항이뇨호르몬(ADH)의 분비량이 증가, 신세뇨관에서의 수분의 재흡수에 영향, 부신피질기능이 상쇄되어 땀으로 배설되는 염분량을 줄이고, 신장에서 식염의 재흡수를 증가.

7 고열장해 고열장해의 발생률은 환경의 기후조건, 고온순응의 정도, 건강상태, 작업량 등에 좌우.
⑴ 작업환경의 기후조건 : 기온이 30℃이상이면 열중증이 일어나기는 하지만 33~40℃일 때 많이 발생. 환경온도가 29℃(84.2℉) 이하일 땐 열중증(熱重症)과 상관없음. ⑵ 계절 : 고열작업에서는 여름철에 많이 발생, 광산의 갱내에서는 1년 중 온도 차이가 적으므로 겨울철에도 상당수가 발생. ⑶ 발생기간 : 고열작업으로 열중증이 발생하는 것은 옥외작업 경우 11시 30분에서 15시 30분 사이에 많이 발생. ⑷ 근육작업량 : 동일한 온도조건이라도 급성 열중증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은 작업강도가 클수록 빠르다. ⑸ 발한량 : 8시간 동안의 발한량(또는 몸의 수분 상실량)이 6ℓ를 넘으면 소변양이 감소하고, 소변의 Na 및 Cl의 배설량도 감소한다. ⑹ 신체조건과 숙련도 : 체격이 빈약, 피하지방이 두꺼운 사람, , 위장장해, 설사, 과음, 과식, 잠재성 각기증, 비타민 부족증, 신경통.

8 고열장해 고열환경에서 생리적인 체온조절 작용과 신체장해 발생과의 관계

9 고열장해 고열장해 증상 1) 열성발진(Heat rash) 2) 열경련(heat cramp)
고열장해의 발생양상은 두 가지 이상의 장해가 겹치는 경우가 있다. 1) 열성발진(Heat rash) : 통풍이 잘 되지 않고 고온다습(高溫多濕)한 작업환경에 장시간 동안 노출될 경우. 땀을 많이 흘려 피부 한선(汗腺)의 개구부가 땀에 불은 피부의 keratin층이 막히고 한선에 염증이 일어나는 현상을 총칭. 열성발진은 한진(heat rash) 또는 홍색속립진(miliaaria rubra)이라고도 한다. 2) 열경련(heat cramp) : 고온환경에서 장시간 심한 육체노동을 함으로써 다량의 염분상실을 동반한 발한과다(發汚過多)로 인하여 수의근에 유통성 경련을 일으키는 것. 복부와 사지 근육에 강직과 동통 발생. 일시적으로 단백뇨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10 고열장해 3) 열피비(Heat exhaustion) 4) 열사병(heat stroke and hyperpyrexia)
: 고온환경에서 육체노동에 종사할 때 땀을 과다하게 흘릴 경우 나타나는 증상. 탈수로 인해 혈장량이 감소할 때 발생 (표5-4). 임상증상 + 근육경련. 임상증상의 선행증상- 현기증, 귀울림, 두통, 구역질 및 구토증, 호흡곤란 등. 4) 열사병(heat stroke and hyperpyrexia) : 일명 일사병(sun stroke), 일종의 중증형 직업병. 발병요인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 비교적 장기적인 육체노동시. 발한 증발에 의한 체온 방산 장해가 발생, 체내에 열이 축적, 뇌막혈관의 충혈과 뇌온도가 상승되어 발생. 체온조절장해. 중추신경계통의 기능장해로 발생. 전신의 발한정지, 체온상승(장관내온도 40.6℃ 이상) 등을 유발. 5) 열허탈증(heat collapse) : 열실신(heat syncope), 열쇠약 (Heat prostration), 운동에 의한 열피비(exercise induced heat exhaustion), 고열에 의한 만성 체력소모를 의미. 오랫동안 서 있거나 별안간 자세를 바꾸었을 경우, 과격하고 익숙하지 않은 작업하는 경우 또한 온습도가 갑자기 상승하는 경우 발생. 만성형 건강장해. # 직업병 여부의 인정 요건

11 고열장해 이학적 소견 질 환 주증상 치료의 착안점 피부 체온 혈중 C l농도 혈액 농축 열경련 경련. 발작 습. 온 정상
약간 상승 현저히 감소 현저 수분 및 NaCl보충 열피비 실신. 허탈 습. 온 또는 냉 정상 범위 휴식. 강심, 5% 포도당 열사병 혼수. 섬망 건조. 습 현저히 상승(41~ 43 ℃) 체온의 급속한 냉각

12 한랭장해 한랭장해 증상 사지의 말초혈관이 수축해서 피부온도 저하, 외부환경을 향한 체열 방산이 감소.
사지의 말초혈관이 수축해서 피부온도 저하, 외부환경을 향한 체열 방산이 감소.  체표온도가 15℃ 가까이 하강, 손이나 손가락은 지각능력을 잃어 작업행동상의 오류나 재해발생의 가능성 높음. 한랭환경에서의 열평형식은 ΔS = M - E- R -C 1) 전신체온강하(General hypothermia) : 장시간 동안 한랭환경에 노출 체열방산이 체열생산을 상회, 체열을 상실함으로 발생하는 급성 중증장해. 진정제 복용과 음주는 체온하강의 위험을 증대하는 위험 요소. 2) 국소 한냉 장해 : 강렬한 한랭으로 조직장해가 오거나 심부혈관의 변화를 초래하는 장해, 또는 조직동결로 인한 장해가 있을 경우. 피부동결은 0~-2℃에서 발생. 피부가 동결되면 창백, 감각이 둔해지며, 황백색으로 변색. 동상은 수족과 안면에 발생, 발가락은 12℃에서 시린 느낌 발생, 6℃에서 통증. 표면적이 크고 순환혈액량이 적은 손과 발이 냉각되기 쉽다.

13 한랭장해 한랭장해 증상 - 국소장해 가. 급성일과성 염증반응
나. 참호족(trench foot), 침수족(immersion foot) : 사지가 습기가 많고, 추위에 노출되면 심한 장해 발생. 초기증상은 말초소동정맥의 경련을 동반한 급성일과성 염증 반응, 이어서 모세혈관의 확장, 부종 등, 조직과 신경의 퇴화가 계속 발생. 다. 동상(frostbite) : 조직장해가 오거나 심부 혈관의 변화를 초래하는 장해 또는 조직동결로 인한 장해를 의미. 피부동결은 0~-2℃에서 발생. ⑴ 발적이 생긴다 (제1도 동상). ⑵ 수포를 가진 광범위한 삼출성 염증이 일어난다 (제2도 동상). ⑶ -15~-20℃의 환경에서 심부조직까지 동결하면 조직의 괴사와 괴저가 일어난다 (제3도 동상). 3) 기타의 한냉 장해 : 알레르기 반응, 호흡기 장해, 피로촉진, 작업능률의 저하 등. 4) 직업성 질환의 인정 요건

14 온열조건의 측정 온습도 측정 (그림 5-1) * 아스만 통풍건습계
환경을 평가하는 데에는 아스만(Assmann) 통풍건습계가 흔히 쓰임. * 아스만 통풍건습계 : 온․습도를 측정하는 기구. 두 개의 같은 눈금을 가진 봉상 수은 온도계를 사용. 하나는 건구, 다른 하나는 습구. 복사열에 직접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음. 면포(거즈)로 싼 습구는 사용 시 물로 적셔야 하며 Fan을 돌려서 구부에 2.5~3 m/sec 의 기류를 일으키게 한다 (습구 거즈에만 물을 묻히고, 습구 Tube에는 물을 적시지 않음). 측정결과는 건구의 눈금이 기온이 되며 습구온도는 상대습도의 산출에 이용. 건구와 습구온도 차이를 가지고 환산도표에서 상대습도(%)를 구함. (환산도표 : 가로 = 건구 - 습구 (℃), 세로 = 습구온도) #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를 측정할 경우에는 봉을 손으로 잡으면서 측정하면 안 되며, 온도는 2~3분 후에 읽고, 기계는 50~150cm 높이에 설치.

15 온열조건의 측정 기류의 측정 가. 풍차 풍속계(Van Anemometer)
: 1.5 m/sec 단위 사용, 1~150m/sec 범위의 풍속 측정, 옥외용. 나. Kata 온도계 다. 열선 풍속계(Heat Wire Anemometer) : 환기시설의 점검에 유효. 측정범위가 수십 m/sec 까지 넓다. 부식성 가스등 측정 시에는 백금선의 부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요. 라. 가열 온도 풍속계(Heated Thermometer Anemometer) : 온도계의 구부에 저항선을 감아 일정한 전류가 흐르게 하여 구부를 덮힌 후 이것이 바람에 의해 식어서 어느 정도 평형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의 온도와 기온과의 차이는 그 때의 풍속에 의해서 결정.

16 온열조건의 측정 복사온도의 측정 H. M. Vernon(1930)이 고안한 Vernon 흑구(Black Globe)를 사용한 측정과 광전관을 이용하는 방법. 현재로서는 환경평가의 표준방법으로서 흑구온도계를 사용. 이 온도를 흑구온도(globe temperature)라고 함. 이 Vernon흑구온도계는 ½㎜ 동판 사용, 그 구조는 표준형 직경이 15㎝, 황화동(CuSO4)이 주성분인 무광택의 흑색도료로 검게 도색.  흑구온도계로 작업환경에 약 30분간 정치(복사에 의한 열흡수와 대류에 의한 열손실이 평형). 이 때 온도계의 온도를 흑구온도. 흑구온도와 기온과의 차 : 실효복사온 (감각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실제 작업환경의 복사온도를 평가할 때에는 평균복사온도가 이용, 측정치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식을 산출한다. Tw = Tg √V(Tg - Ta) Tw = 평균복사율(0K) , Tg = 흑구온도(0K) V  = 기류속도(m/sec) , Ta = 기온(0K)

17 온열조건의 측정 기타온도의 측정 가. 유효온도 (Effective Temperature : ET)
: 상대적인 쾌적함을 나타내는 지수. 온도와 습도 및 공기의 흐름을 상호 연관시켜 구한다. 유효온도의 의미는 어떤 공간에 들어가는 순간에 각각의 사람들이 느끼는 상대적인 기분을 나타내는 것. 유효온도는 건구온도와 습구온도 및 실내공기의 유속을 측정하여 이미 작성된 도표에서 비교하여 구한다. ( 땀을 흘리고 복사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되는 기준 ) 나. 수정감각온도(Corrected Effective Temperature: Corrected ET) : 복사선에 의한 열부하 등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건구온도계와 습구온도계 및 흑구온도계를 이용하여 구한다. ① 습구온도와 건구온도 및 습도표를 사용하여 작업환경내 공기의 절대습도를 산정 ② 절대습도와 흑구온도 눈금이 나타나는 유사 습구온도를 산정 ③ 유효온도 차트를 사용하여 유사 습구눈금과 흑구온도계의 눈금이 나타나는 유효온도를 산정 다. Heat Stress Index(HSI)

18 허용기준 지적 온도의 정의 체열의 발산량이 생산량과 같을 때는 춥지도 덥지도 않고, 적당한 온감과 더불어 쾌적감을 느낀다.
이때의 환경온도를 감각온도로 표시한 것을 지적 온도(optimum temperature)라고 함. ① 주관적(쾌적) 지적온도 ․․․ 감각적으로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 ② 생리적(건강) 지적온도 ․․․ 생리적으로 인체에 부담을 가장 적게 주는 온도 ③ 생산적(노동) 지적온도 ․․․ 노동할 때 생산능률을 가장 많이 올릴 수 있는 온도 지적 온도를 좌우하는 인자 ⑴ 작업의 종류와 작업량 ⑵ 계절 : 여름철의 쾌적범위는 겨울철보다 높다. ⑶ 민족 : 미국인이 구라파인 보다도 지적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⑷ 의복 ⑸ 연령 : 젊은 사람들이 노인들에 비해 높다 ⑹ 음식물 : 배가 고프면 높아지고 배가 부르면 낮아지고, 더운 음식물, 알코올 성분이 든 음료 및 기름진 음식에 의해서도 지적온도가 낮아진다 ⑺ 성별

19 허용기준 허용기준 : 근로자가 작업할 경우 작업환경온도는 인체가 쾌적하게 느낄 수 있는 지적 온도를 유지하도록 허용기준을 지키도록 노력한다 1) 맥박수 : 안정을 취하고 있을 경우 맥박수가 매분 당 135를 넘으면 불쾌감 유발. 고열환경 작업에서는 맥박수가 매분당 160에서 심한 고통, 맥박수가 매분 당 180에서 허탈상태. 따라서 맥박수를 허용기준의 지표로 할 경우에는 매분 당 150을 한계로 한다. 2) 습구흑구온도지수 (Wet bulb globe temperature index; WBGT) 수정감각온도를 간략화한 지수이며 산출 수식. WBGT = 0.7WB + 0.3GT(옥내) WBGT = 0.7WB + 0.2GT + 0.1DB(옥외) * WB : 습구온도, GT : 흑구온도, DB : 건구온도 # 고열작업 허용기준 (표 4-6 ) 참조

20 허용기준 구 분 경작업 중등작업 중작업 계속 작업 30.0 26.7 25.0 매시간 75% 작업, 25% 휴식 30.6
구 분 경작업 중등작업 중작업 계속 작업 30.0 26.7 25.0 매시간 75% 작업, 25% 휴식 30.6 28.0 25.9 매시간 50% 작업, 50% 휴식 31.4 29.4 27.9 매시간 25% 작업, 75% 휴식 32.2 31.1 ㅇ경작업 : 200Kcal/시 열량이 소요되는 작업 -기계의 조정 등 손, 팔을 가볍게 쓰는 일 ㅇ중등작업 : 200~350kcal/시 열량이 소요되는 작업 -물체를 들거나 밀면서 걸어다니는 일 ㅇ중작업: 350~500Kcal/ 시 열량이 소요되는 작업 - 곡괭이질, 삽질

21 고열에 대한 대책 고열 발생원에 대한 대책 ⑴ 대류에 의한 열흡수의 경감
㈎ 방열(防熱: insulation) : 가열체(加熱體)의 표면을 방열제(防熱製 : insulator)로 둘러싸며, 작업환경에서 열의 대류와 복사열(輻射熱)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막아 준다. ㈏ 일반환기(General ventilation) : 고열작업장의 열을 제거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 실내공기(室內空氣)의 환기. 이상적 일반환기를 위하여는 복사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공기의 진입구를 가능한 한 바닥에 가깝게 낮추고, 밖에서 들어오는 시원한 바람이 실내공기와 섞이거나, 작업자에게 불어 주도록 한다. 그 후, 위로 올라가 천정의 환기통을 통해 밖으로 나가게 된다. ㈐ 국소환기(Local exhaust ventilation)와 냉방(cooling) : 고열작업장 내의 열을 전반적으로 허용한계 이하로 낮추기 경우 특정한 작업장 주위에만 국소환기를 하여 열을 덜어 준다. 국소 냉방시 기류의 속도는 대류에 의한 열의 흡수 감소, 증발에 의한 체온방산을 증가, 체온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한다. 공기온도가 피부온도보다 높을 때, 기류속도가 너무 빠르면 증발에 의한 체온방출보다도 대류에 의하여 체내로 열이 흡수되는 수가 있다는 것을 명심. 천개형 후드를 씌워서 자연적 또는 기계적으로 옥외로 제거.

22 고열에 대한 대책 고열 발생원에 대한 대책 ⑵ 복사열의 차단
: 복사열 발생시키는 열원에는 방향성이 있기 때문에 한 방향의 복사열을 차단시키는 것은 비교적 쉽다. 광로, 가열로 또는 압연기(rolling mills)등 고열작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은 차열판(radiation shields)으로 차단 가능. 열차단판으로서 열을 99%를 반사시키는 알루미늄으로 만든 알루미늄박판(foil), 또는 알루미늄칠(paint)을 한 금속판이나 방열성이 낮은 판을 사용. 그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반사면에 기름 먼지가 묻지 않도록 청결 유지. 감시작업에서 시야(視野)가 방해되어서는 안 될 때에는 적외선(赤外線)을 반사시키는 유리판을 사용하거나, 방열망(放熱網: chain linking)을 사용. 작업장에서 복사열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집 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근로자가 복사열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방향에 차열판을 놓도록 한다.

23 고열에 대한 대책 고열 노출 근로자에 대한 대책 고열에 노출된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다음과 같다.
⑴ 냉방 장치 : Ex) 천정 주형기중기에 냉방장치, 광산에서 발전용 수로 이용 ⑵ 냉방복 : 냉기를 불어넣어 주는 방법. ⑶ 근육작업의 경감 : 작업의 자동화와 기계화 ⑷ 근무제의 합리화 : 근무시간의 단축, 작업 강도의 제한, 휴식시간의 적정화 및 근무 교대제의 합리적인 실시를 도모해야 한다(표 4-6). ⑸ 휴게실 : 냉방장치를 설치한 휴게실을 별도로 마련한다. 대체로 실내온도 26℃, 습도 50~60%를 기준하거나 외부 환경온도보다 5~6℃ 낮은 정도를 유지시켜주면 충분하다. ⑹ 개인 관리 : 고혈압증, 소화관궤양, 심장질환, 내분비질환, 무한증(無汚症)이 있는 사람은 고열작업장에 취업을 금지. 근로자에게 0.1% 식염수를 공급한다. 건강교육을 실시, 정기적 체중 측정&점검, 비타민 B1, 비타민 C, 우유를 공급한다. ⑺ 방열 보호구의 착용 : 방열보호구를 착용하는 목적은 고열에 의한 생리적 부담을 덜어 주고, 작업능률의 저하를 막기 위함이다. 공급된 보호구를 근로자들이 잘 이용하고, 또 사용 이후 관리하여야 한다.

24 고열에 대한 대책 보건관리 측면에서의 고열 대책
가. 근로자의 적성 배치 : 고열에 적응하는 능력은 연령이 많아질수록 급격하게 떨어지기는 하지만, 경험이 많은 나이 든 사람이 젊은 사람들보다 많기 때문에 작업량을 조절하고,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을 안배하여 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음 사람은 고온작업에 종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① 비만자 ② 심장혈관계에 어떤 이상이 있는 자 ③ 피부질환을 앓고 있거나 소질이 있는 자 ④ 고령자 ⑤ 발열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회복기에 있는 자 나. 고온 순화(Acclimatization) : 고온에 순화되지 않은 사람이 처음으로 고온작업에 종사하면 약 2주 동안은 충분히 작업능률을 발휘하지 못한다. 고온에 순화되도록 하는 경제적인 방법은 오전에는 시원한 곳에서 일하게 하고, 오후에만 고열작업을 시키는 것이다. 더욱 효과적인 방법은 앞으로 일하게 될 정상적인 작업을 하루에 2시간씩만 시키는 것이 실용적인 방법이다. 완전히 순화된 작업자가 고열작업을 며칠 내지 몇 주 동안 쉬면 순화효과는 부분적으로 사라지며, 다시 완전히 순화되기까지 2~3일이 걸린다. 3주 이상 고열작업장을 떠난 사람은 전혀 순화되지 않는 사람으로 취급하여야 한다.

25 고열에 대한 대책 보건관리 측면에서의 고열 대책 ⑴ 고온순화의 생리적 변화 ① 한선의 증가
② 수분과 염분대사 : 더위에 노출되면 심한 발한으로 수분부족상태, 혈중 염분량이 현저하게 감소. 고온에 순화된 사람에 있어서 땀 속의 염분농도가 정상인에 비해 희박, 염분의 배설량이 억제. 뇨량이 1500ml/24hr에서 300ml/24hr로 현저하게 감소. 때로는 단백뇨 증상 발생. ③ 체온 · 호흡 및 순환 : 발한과 호흡은 활발해지며, 피부온도가 현저하게 상승하며, 장관내의 온도가 하강하고 맥박수는 감소한다. 심박출량은 처음에는 증가하나 후에는 정상으로 돌아오고, 말초순환 혈류량이 증가한다. ④ 에너지 대사 : 처음에는 에너지 대사량이 증가하고 체온이 상승하지만, 후에 근육이 이완되고 열생산도 정상이 된다. ⑤ 간 기능 : 간기능이 저하된다 ⑥ 위의 산도 : 위액분비가 줄고 산도가 감소된다.식욕부진과 소화불량

26 고열에 대한 대책 보건관리 측면에서의 고열 대책 ⑵ 고온 순화의 특징
고온순화는 고온에 노출된 지 4~7일부터 시작되어 12~14일에 거의 완성. 순화방법으로는 하루 100분씩 노출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하루의 고온 노출시간이 길다고 하여 고온순응이 빨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일단 고온에 순화된 후 고온에의 노출을 중단시키면 순화효과는 보통 2주간 지속되고, 그 후에도 1개월 동안 지속된 후 완전히 없어진다.

27 고열에 대한 대책 보건관리 측면에서의 고열 대책 다. 작업주기와 휴식관리
⑴ 작업 주기 : 고열작업장에서 고열작업을 먼저 시키고, 이어 시원한 일을 시키는 경우에 맥박수의 회복은 빠르고 심장의 부담과 체온상승이 훨씬 적다. 이러한 현상은 고열작업 후에 체온방산이 시원한 곳에서 일할 때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 따라서 작업계획을 세울 때 고열작업-시원한 작업-휴식의 순으로 ⑵ 휴식 시간 : 휴식시간은 작업 후의 생리변화가 거의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충분히 취하면, 지나치게 피로함이 없이 하루의 작업을 할 수 있다. 라. 물과 소금의 공급 ⑴ 물의 공급 : 수분 및 염분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은 고열작업을 하는 데 아주 중요한 일이다. 근로자들이 이용하기 쉬운 곳에 충분히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한다. 소량씩 자주 마시도록 한다. ⑵ 소금의 공급 : 하루에 5~15g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처음 7~10일 동안 10~15g의 비교적 많은 소금을 공급, 점차로 양을 줄여 간다. 소금만을 섭취할 때에는 위경련, 구토증 등 위장장애를 일으켜, 조직액이 삼출(滲出)되어 탈수현상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탈수시 수분과 염분을 보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0.1% 생리적 식염수를 공급하는 것이 좋다.

28 한랭에 대한 대책 한랭에 대한 대책 작업장의 대책 가. 난방 방법
사업장에서의 한랭대책은 각종 난방시설로 작업장을 덮여주고 각자 근로자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여 한랭으로부터 피해를 예방. 또한 다른 대책으로는 피복에 의한 보온. 외피는 통기성이 작고 함기성이 큰 것을 체택. 신이나 구두는 압박해서 혈액순환장해를 일으켜서는 안되며 또 습기가 없어야 한다. 또 바람이 부는 장소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임시 방풍벽을 설치. 건강관리 면에서는 고혈압, 심장혈관장해, 간장해, 위장장해, 신장장해가 있는 자는 가급적 한랭작업에서 제외하는 것이 좋다. 작업장의 대책 가. 난방 방법 ⑴ 수증기 및 온수 난방 : 작업장 내에 방열기를 설치, 배관을 통하여 증기 혹은 온수를 보내어 직접적인 열원으로 할 때 온수난방. 증기난방의 경우, 포화수증기가 방열기를 통과할 때의 응축열에 의하여 난방이 가능. ⑵ 온풍 난방 : 가열면으로부터 실내공기에 직접 열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 모든 난로가 온풍가열기. 중력식 온풍난방, 열순환식 온풍난방은 가열된 공기가 자연대류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뜻한다. 순환은 찬 공기와 더운 공기의 온도차에 비례적.

29 한랭에 대한 대책 근로자의 관리 가. 한냉 순응 : 한랭에 대한 순응은 고온순응보다도 더디며, 그 기전도 확실하지 않으나 대략 다음의 5가지로 요약. ⑴ 열생산의 증가 : 추위에 노출된지 처음 2~3주 동안에는 갑상선의 기능이 상쇄되고 조직에서의 대사율이 상쇄되어 열생산이 많아지지만 4~5주가 지나면 갑상선 기능은 정상으로 되돌아오고, 열생산은 계속 많아지게 된다. ⑵ 체열보존능력의 증대 : 피하지방이 많이 축적되어 신체내부의 온도가 차가운 피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해한다. ⑶ 체온조절기능의 강화 : 신체 말단부에서 체열이 방산되지 않도록 하고, 체온조절에 관여하는 조직의 기능장해를 막는다. ⑷ 혈관운동기능의 향상 : 신체 말단부위의 극심한 온도 손실로 인하여 말초조직의 기능에 파탄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하여 혈관수축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서 피부온도가 내려간다. ⑸ 추위에 대한 내성 증가 : 기온이 내려가면 조직이나 조직기능에 내성이 생기는 것인지는 아직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심리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듯하다.


Download ppt "고열과 한랭 고 원 경."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