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4장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2009년 2학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상심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4장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2009년 2학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상심리."— Presentation transcript:

1 4장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2009년 2학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상심리

2 목 차 제1절 범불안장애 제2절 공포증 제3절 공황장애 제4절 강박장애 제5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3 불안장애 불안의 순기능 병적 불안 불안장애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전 자신을 보호하는 경계태세 취하는 적응 반응
현실위협에서 불안정상적 불안 병적 불안 현실적 위험 없는 상황, 대상에 불안 현실 위험 정도에 비해 과도한 불안 위협요인 사라진 후에 과도하게 지속 불안장애 병적 불안으로 인해 과도한 심리적 고통 현실적응 심각한 곤란 겪는 경우

4 제1절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1. 주요증상과 진단적 기준 다양한 상황에서 만성적 불안, 과도한 걱정 부동불안: 생활 전반에 불안과 과민증상이 옮겨 다님 긴장, 짜증, 화, 피로감, 근육통, 만성 피로, 두통 수면장애, 소화불량,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 신체 증상 동반한 깜짝깜짝 놀라는 과장된 반응 불필요한 걱정으로 우유부단하고 꾸물거리는 지연행동 DSM-Ⅳ 진단기준: p. 158

5 제1절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2. 임상적 특징 핵심증상 과도한 걱정 가족, 직업∙학업적 무능, 재정, 미래 불확실, 관계 등 정상적 불안과 경계 불분명하여 유병률 평가 어려움 평생 유병률: 약 5%, 1년 유병률: 약 3% 전체 불안장애 중 10~12%(증상 모호, 고통 미약) 남성<여성(전체 60%) 10대 중반~20대 초반 발생, 만성화 경향

6 제1절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3. 원인 정신분석적 입장: 강한 원초아(id) 충동 자아(ego) 통제곤란 행동주의 입장: 고전적 조건 형성을 통해 잘못된 학습 인지적 입장: 잠재위험에 예민 위험 확률 높게 평가 부정적 결과 치명적으로 평가 위험 사건 대처 자기 능력 과소 평가 파국화 생물학적 입장: 신경전달물질 GABA 연구, Norepinephrine, Glutamate, 후두엽 연구(Benzodiazepine수용기 분포↑)

7 제1절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4. 치료 약물치료: Benzodizepine 계열 과민성 차단, 사고 행동 감소의 진정 효과 다량복용 시: 인지적, 행동적 기능 저하 인지행동적 치료 걱정이라는 내면적 사고과정 자각, 관찰 격려 걱정사고기록지 작성 현실성, 효율성 구체적 논의 대응생각 되뇌기, 걱정시간 정하기, 복식호흡, 심상법 등

8 제2절 공포증(phobia) 1. 특정공포증(specific phobia) 1) 주요증상 및 임상적 특징
특정 대상, 상황에 현저하고 지속적 공포 공포자극 노출 시 예외 없이 즉각적 불안반응 공포가 과도하고 비합리적이라는 점 인식 공포자극 회피 상황형: 교통수단, 터널, 다리, 폐쇄공간 등 자연환경형: 천둥, 번개, 높은 곳, 물 등 혈액-주사-상처형: 피, 주사, 신체적 상해나 고통 등 동물형: 뱀, 거미, 지네, 바퀴벌레 등 평생 유병률: 10~11.3%, 1년 유병률: 약9%, 남성<여성×2

9 2-1. 특정공포증(specific phobia)
2) 원인과 치료 행동주의 입장: 고전적 조건 형성을 통해 잘못된 학습 대리학습, 정보전이 공포 회피 자극 공포 F 2요인 이론 조작적 조건형성 공포 유지, 강화 고전적 조건형성 공포형성 체계적 둔감법, 노출치료, 참여적 모방학습법, 이완훈련 등 정신분석적 입장: 방어기제에 의해 특정 외부 대상에 불안 투사 (예. Little Hans)

10 제2절 공포증(phobia) 2.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1) 주요증상과 진단기준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상황 두려워 회피 사회적 상황, 과제 수행 시 현저하고 지속적 공포 위 상황 노출 시 즉각적 불안반응(신체반응, 정신 혼미 등) 자신의 공포 과도하고 비합리적이라는 점 인식 사회적 상황, 수행 상황 회피 평생 유병률: 3~13%, 대학생 약 40% (Pilkonis&Zimbardo,1979) 동북아 3국(한,중,일): 가해의식형 사회공포증 다른 사람 불편하게 해 피해 주어 사회적 상황 두려워 회피

11 2-2.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2) 원인과 치료 정신분석적 입장(대상관계이론): 불안정하고 거부적 관계 시 부적절한 자기상, 비판적 타인상 형성 인지적 입장(Clark & Wells, 1995) 사회적 수행에 대한 과도한 기준 사회적 평가에 대한 조건적 신념 자기와 관련된 부정적 신념  신체∙인지적 변화 안전행동자기초점주의 유발 인지행동적 치료: 집단치료, 인지적 재구성, 반복 노출, 역할연습, 긴장이완훈련 약물치료: 베타억제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12 제2절 공포증(phobia) 3. 광장공포증(agoraphobia) 특정 장소, 상황에 대한 공포 공황발작 동반
임소공포증으로 불리기도 함 광장공포증 유발 심리적 요인 공포에 대한 공포이론: 신체감각, 공포 결과 부적응 사고 불안 유발 선행 사건 잘못 해석 공황장애 하위유형으로 간주하는 경향 평생 유병률: 0.6~6%

13 제3절 공황장애(panic disorder)
갑자기 엄습하는 강렬한 불안, 공황발작 반복적 경험 장애 1. 진단기준 및 임상적 특징 공황발작(panic attack): 예상치 못한 상황 갑작스런 극심한 공포, 곧 죽을 것 같은 강렬한 불안 피곤, 흥분, 성행위, 정서적 충격 후 흔히 첫 경험하는 경향 발병 후 예기불안 수반 평생 유병률: 1.5~3.5%, 남자<여자×2~3배 환자 약 50% 증상 경미, 10~20% 심함, 40~80% 우울증 경험

14 제3절 공황장애(panic disorder)
2. 원인과 치료 생물학적 입장 다양한 신체증상 수반  생물학적 원인과 깊은 관련 추정 과잉호흡이론: 호흡기능 관련 자율신경계의 생물학적 결함 생화학적 물질로 유발: 항우울제 Imipramine 특히 반응 질식오경보 이론: CO2 수준에 과도하게 예민 정신분석적 입장 불안 야기하는 충동에 방어기제 작동 실패 분리불안과 관련(유아기 분리불안 재현) 무의식적 상실 관련(환자 50% 의미 있는 타인 상실 후 경험)

15 제3절 공황장애(panic disorder)
2. 원인과 치료 내∙외적인 촉발자극 위협지각 신체감각에 대한 파국적 오해석 걱정과 염려 신체감각 고양 인지적 입장 : 파국적 오해석 약물치료: benzodizepine 계열,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인지행동치료: 복식호흡훈련, 긴장이완 훈련, 인지적 수정, 점진적 노출

16 제4절 강박장애(obssesive-compulsive disorder)
1.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외현행동 청결, 확인 반복, 정돈 수집, 지연 내현행동 숫자세기, 기도, 속으로 반복 강박 사고 강박 행동 음란, 근친상간 공격, 신성모독 오염, 반복의심 물건정리충동 유형 : 순수한 강박사고형 내현적 강박행동형 강박사고+강박행동 평생 유병률: 2.5%, 1년 유병률: 1.5~2.1%

17 제4절 강박장애(obssesive-compulsive disorder)
2. 원인과 치료 인지적 입장 침투적 사고: 우연히 의식 속 떠오르는 원치 않는 불쾌 사고 자동적 사고: 침투사고에 대한 사고가 자동적으로 떠오름 사고억제의 역설적 효과: 억제할수록 더 잘 떠오름 사고-행위 융합: 도덕성 융합, 발생가능성 융합 불안사고 감소 위한 대처행동  강박행동으로 발전 정신분석적 입장: 항문기 억압 욕구, 충동 재활성화로 간주 생물학적 입장: 전두엽, 기저핵 기능손상, 세로토닌 관련 약물치료 Clomipramine, 세로토닌 재흡후 억제제 주로사용 심리치료: 노출 및 반응방지법

18 제5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 주요증상과 진단기준
제5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 주요증상과 진단기준 충격적인 사건 경험 후 불안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외상: 죽음, 심각한 신체 손상 초래하는 충격적 사건 외상적 사건 지속적으로 재경험 외상 관련 자극 회피, 정서적 무감각해짐 예민한 각성 상태 지속 제2차 세계대전 후 연구 시작, 베트남전 참전 군인 남15.2%, 여8.5% 강간, 범죄 등 치명사건 경험 7.5% 급성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 새로 포함 외상 경험 후 해리성 증상 특징, 2일~4주이내 단기간 발생

19 제5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 원인과 치료
제5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 원인과 치료 유전∙체질 취약성 아동기 외상 경험 성격특성(의존성∙정서불안) 통제소재의 외부성 외상 전 PTSD 개인적 요인 Davidson & Foa(1991) 외상 후 사회적 지지체계 부족 최근 생활 스트레스, 변화 최근 심한 음주 생물학적 입장: 유전적 요인, 신경전달물질 이상 정신분석적 입장: 유아기 미해결된 무의식적 갈등 행동주의적 입장: 외상 관련 단서-불안반응 조건형성 인지적 입장: 안정성, 세상 의미, 자기 가치 신념 붕괴

20 제5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 원인과 치료
제5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 원인과 치료 정보처리이론(Horowitz, 1986): 대량극단적 정보 과부하 외상 사건 경험한 사람 충격  회피  동요  전이  통합 단계 거침 약물치료: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삼환계 항우울제 사용 약물치료 효과 확립은 미약, EMDR 기법 연구 활발 인지행동치료 지연된 노출법(불안 기억 반복 노출) 불안조절 ∙ 긴장이완 ∙ 호흡훈련, 인지적 재구성, 역할연습


Download ppt "4장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2009년 2학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상심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