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Presentation transcript:

1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김홍도(金弘道) ·김득신(金得臣)과 더불어 조선 3대 풍속화가로 지칭된다. 그는 풍속화뿐 아니라 남종화풍(南宗畵風)의 산수(山水)와 영모(翎毛) 등에도 뛰어났다 직업화가로, 당시 수요에 따른 많은 풍속화를 그렸을 것으로 보인다. 남녀 사이의 은은한 정을 잘 나타낸 그림들로 동시대의 애정과 풍류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관: 고령(高靈) 호: 혜원(蕙園) 별칭: 자 입부(笠父) 주요작품: 《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 《미인도(美人圖)》 《탄금(彈琴)》 본관 고령(高靈). 자 입부(笠父). 호 혜원(蕙園). 김홍도(金弘道) ·김득신(金得臣)과 더불어 조선 3대 풍속화가로 지칭된다. 그는 풍속화뿐 아니라 남종화풍(南宗畵風)의 산수(山水)와 영모(翎毛) 등에도 뛰어났다. 속화(俗畵)를 즐겨 그려 도화서(圖畵署)에서 쫓겨난 것으로 전해지며, 그의 부친 신한평(申漢枰)과 조부는 화원이었으나 그가 화원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전해진 작품에 남긴 간기(干紀)로 해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처네를 쓴 여인》에 있는 1829년이 가장 하한인 바 대체로 19세기 초에 활동한 것으로 짐작된다. 화원이었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해도 직업화가로, 당시 수요에 따른 많은 풍속화를 그렸을 것으로 보인다. 대표작으로는 국보 제135호로 지정한 《혜원전신첩(蕙園傳神帖)》이 전한다. 모두 30여 점으로 이루어진 이 화첩은 간송미술관 소장품으로 국내뿐 아니라 해외 전시를 통해 외국에도 잘 알려진 그림이다. 사회 각층을 망라한 김홍도의 풍속화와 달리 도회지의 한량과 기녀 등 남녀 사이의 은은한 정을 잘 나타낸 그림들로 동시대의 애정과 풍류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외에도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탄금(彈琴)》 등 6점으로 된 화첩 또한 명품(名品)이다. 아울러 초상기법으로 그린 《미인도(美人圖)》는 조선 여인의 아름다움을 잘 드러낸 걸작으로 손꼽힌다

2 미인도 비단에 채색 *45.7cm 간송미술관 풍속화와 함께 신윤복의 사실주의적 미의식을 엿볼 수 있는 그림 신윤복의 작품 가운데 대작이기도 하려니와 비단 바탕에 고운 필치로  인물화 실력을 한껏 뽐낸 작품이다. 배추잎처럼 부푼 담청 치마, 단이짧은 저고리, 고개를 숙인 앳된 얼굴, 가느다란 실 눈썹의 고운 눈매, 다소곳한 콧날, 좁은 입 등 조선후기 미인의 조건을 여실히 보여준다.   치마 아래로 한쪽만이 살포시 드러나는 외씨 버선은 절묘한 느낌을 준다.    얼굴의표정은 마음까지 드러내 보여 주어 초상화를 방불케 한다.   쪽물을 들인 회청색 치마에 받쳐 입은 삼회장 저고리, 그에 조화된   자주색 댕기와 옆구리의 붉은 띠치장은 그 미모를 돋보이게 할 뿐   아니라 우리 옷맵시의 아름다움이 한껏 배어 나온다.   여인의 복장과   더불어서 붉은 삼작 노리개를 만지작거리는 자연스러운 자태는  풍속화로서 손색이 없다.   그러면서도 기존 왕공 사대부의 권위적   초상화에서는 볼 수 없는 인물화로서의 예술성이 충만하다

3 단오풍정 (端午風情) 28. 2. 35cm. 간송미술관 화첩 종이에 채색 신윤복의 그림 중 특히 뛰어난 작품이다

4 월야밀회 (月夜密會)   종이에 채색 28.2*35.3cm 간송미술관   장안의 인적이 끊어지고 보름달만 휘영청 밝게 비치는 야밤중에 골목길 후미진 담그늘 아래에서 남녀가 어우러져 깊은 정을 나누고 있다. 남자의 차림새는 전립(氈笠)을 쓰고 전복(戰服)에 남전대(藍纏帶)를 매었으며 지휘봉 비슷한 방망이를 들었으니 어느 영문(營門)의 장교일시 분명한데, 이렇듯 노상에서 체면없이 여인에게 허겁지겁 하는 것은 필시 잠깐밖에는 만나볼 수 없는 사이인 때문일 것이다. 이쪽 담모퉁이를 도는 곳에 비켜서서 동정어린 눈길로 이들을 지켜보는 여인은 사람의 기척에 무척 신경 쓰면서 가슴을 졸이고 있는 듯하니, 바로 이 여인이 밀회를 성사시킨 장본인인 것 같다.

5 소년전홍(少年剪紅) -젊은이가 진달래꽃을 꺽는구나

6 춘의만원 (春意滿園) 『혜원전신첩』종이에 옅은 색, 28. 2× 35
춘의만원 (春意滿園) 『혜원전신첩』종이에 옅은 색, 28.2× 35.6㎝, 간송, 국보 135호 물이 오른 파릇한 새싹들이 삐죽 잎을 내민 봄빛이 가득한 어느 날, 나물 캐러 들로 나간 여인의 바구니를 덥석 잡은 저 남자는 누구일까? 띠를 맨 부분에 주름이 잡힌 것으로 보아 철릭을 입었다. 철릭은 원래 웃옷과 아랫부분을 따로 재단해서 허리에서 붙인 옷으로 군복의 일종이었다. 철릭은 악기를 연주하는 악공과 무당들, 왕이 밖으로 행차할 때 옆에서 호위하는 무관이 입었다.

7 기다림 손에는 스님들이 입고 다니는 옷과 모자가 들려있다. 아마 스님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라고 추측을 하고 있다
기다림 손에는 스님들이 입고 다니는 옷과 모자가 들려있다. 아마 스님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라고 추측을 하고 있다. 신윤복의 그림은 배경의 물체 하나하나에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주의깊게 살펴야 하는데, 드리어진 버드나무가 고개돌린 여인의 애타는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8 연소답청 (年少踏靑)   종이에 채색 28.2*35.3cm 간송미술관  진달래꽃 피는 봄철이 되자 협기 만만한 반가(班家)의 자제들이 장안의 기녀들을 대동하고 간화답청(看花踏靑)의 봄나들이에 나섰는데 이들의 옷차림은 장안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만큼 온갖 멋을 부리고 있다. 보라색과 옥색 천으로 굵게 누빈 저고리에 향낭(香囊)을 달아 차고 홍녹의 갖은 주머니를 긴 띠 매어 치레하며, 행전은 짧게 치고, 중치마의 앞 두 폭을 뒤로 잡아매어서 뒤폭만 꼬리로 늘이어 걸음마다 나풀거리게 하고 있다. 장안 명기들의 미태(美態)에 홀딱 빠진 양반자제들은 체면 불구하고 말 탄 기생에게 시중드느라 담뱃불을 붙여 대령하며, 구종되기를 자원하여 갓을 벗어 마부 벙거지를 제가 쓰고서 검은 띠를 허벅 대님으로 매고 말고삐를 잡고 있다. 암벽에는 진달래나무인 듯 분홍꽃을 가득 피운 나무들이 군데군데 있고, 구름 같은 기생의 트레 머리에도 그 꽃가지가 꽂혀 있다. 물빛으로 갈라 놓은 삼거리 주변의 청태점(靑苔點)이 분분하여 답청이 실감된다.

9 주사거배 기방풍경


Download ppt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