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현대 사회와 정치 제4강.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현대 사회와 정치 제4강.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Presentation transcript:

1 현대 사회와 정치 제4강.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2 1. 정치문화(political culture)란 무엇인가?
○ 정치문화라는 개념은 1956년 알몬드(Gabriel A. Almond)의 논문 “Comparative Political System”에서 처음으로 사용 - 알몬드는 모든 정치체계가 정치문화라고 부를 수 있는 정치적 행동에 대한 특정 한 행태의 정향 속에 묻혀 있다라고 서술 - 오늘날 정치문화 개념은 행태주의적 접근방법의 발전과 그 맥락을 같이 하여 왔 으며, 특히 심리학과 사회학 등 타 학문분야와의 접변을 통해 태동․발전 ○ 정치문화는 문화(Culture)의 하위개념 - 문화(culture)라는 말의 어원은 고대 라틴어인 컬투라(cultura: 땅을 경작하다) 로부터 파생, 이후 한 사회를 형성하고 보존해 가는 예술, 사상, 제도 등의 총체적 복합물로서 문화를 인식하기 시작 - 문화는 단순히 인간의 삶을 영위하는 방식이나 가치관, 사유체계 등을 규정하는 협의적 개념과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과거와 현재, 미래를 매개하는 유․무형의 광의적 개념으로 이해 - 피레네 산맥의 한편에서 문명인 것이 다른 한편에서는 야만으로 받아들여지듯이 문화는 특정한 시공간과 밀접하게 연관관계 형성

3 - 결국 문화는 주어진 시공간과 자연조건 속에서 사람들이 사회적 가치나 이상을
추구하는 행위와 그러한 노력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물이며, 인간이 사회 구성원 으로서 획득한 일체의 생활방식 그 자체(문화인류학적 개념) ○ 따라서 사회문화 일반에 대해 하위문화(subculture)를 형성하는 정치문화는 어떤 사회구성원이 그 사회가 지니고 있는 문화 속에서 특히 정치에 대해 품고 있는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을 의미 - 정치문화란 사회 속에서 국민이 지닌 정치적 정향 또는 정치적 태도를 나타내며, 특히 국가, 정부, 헌법, 정당 등과 같은 정치적 대상들에 대하여 국민들이 지니고 있는 정치적 정향, 즉 정치에 대한 믿음과 상징, 가치, 태도 등을 의미 - 알몬드(G. A. Almond)는 정치문화를 정치적 대상에 대한 정향의 유형들로 정의, 여기서 정향(Orientation)이란 개인이나 집단이 지니는 일종의 행동 성향을 의미

4 2. 정치문화의 구성요소와 유형 1) 정치문화의 구성요소 (정치적 정향)
○ 알몬드(G. A. Almond)와 버바(Sidney Verba)는 정치적 정향(political orientation)을 통해 정치문화를 설명 - 정치적 대상으로서 ① 전체로서의 정치체계 그 자체와 ② 정치체계로의 투입, ③ 정치체계에서의 산출, ④ 정치체계 내에서의 자아 등을 통해 나타나는 정치적 정향과 태도를 크게 3가지로 구분 ① 전체로서의 정치체계(political system): 정치체계 일반을 얼마나 잘 알고 있으며, 정치체계에 대하여 얼마나 일체감을 형성하고 있는가? 등 정치체계에 대해 지니는 일반적인 인식 수준 의미 ② 정치체계로의 투입(in-put): 정치적 욕구의 흐름(정책형성의 상향적 흐름) ③ 정치체계에서의 산출(out-put): 정치적 욕구의 정책적 반영(정책형성의 하향적 흐름) ④ 정치체계 내에서의 자아(self): 정치체계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는 자아(정치체계의 구성원으로서 권리와 책임, 의무 등)

5 ○ 정치적 정향의 3가지 유형 ① 인지적 정향(Cognitive Orientation): - 인지적 정향은 곧 경험적 신념을 의미, 정치체계 일반과 정치적 역할, 정치체계의 투입 및 산출에 대한 지식과 믿음, 인식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 - 이것은 곧 자신이 당연하다고 믿는 국가관, 정부관, 정치관 등을 의미 ② 감정적 정향(Affective Orientation): - 감정적 정향은 감성적 반응(Affective Response)으로서 정치체계와 정치적 역할, 각종 정치 현상에 대한 느낌(feeling)을 의미 - 즉, 인지된 정치대상과 현상에 대한 좋고 나쁜 감정이 그것이다. ③ 평가적 정향(Evaluative Orientation): - 평가적 정향은 곧 가치의 선호(Value Preference)를 의미 - 자신이 선호하는 정치적 가치의 표현이다.

6 2) 정치문화의 3가지 유형 ○ 정치문화의 구성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정치문화의 세 가지 유형을 유추해 낼 수 있다. 전체적 정치체계 투입대상 산출대상 정치체계 내의 자아 향리형 × 신민형 참여형 ① 향리형 문화(Parochial Culture): - 향리형 문화는 일명 지방형 정치문화 - 즉, 향리형 정치문화는 기본적으로 4가지 정치적 대상에 대해 무관심을 보이거나 적극적이지 못한 정향을 표출하는 상태의 정치문화 - 따라서 이들 대부분은 정치적 대상에 대해 모두 부정적인 정향을 표출 - 향리형 정치문화는 정치적 정향과 종교 등 다른 사회적 정향이 구분되어 나타나 지 않는 아프리카의 원시 부족사회에서 흔히 발견 - 따라서 향리형 정치문화는 원시사회, 봉건사회 등 전통사회에서 나타나는 정치 문화 유형

7 ② 신민형 문화(Subject Culture):
- 신민형 문화는 정치체계의 산출기능에 대해서만 그 정향을 가질 뿐 투입기능이나 정치참여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정치문화 - 신민형 정치문화에서는 정치체계 자체나 정치체계의 산출 기능에 대해서는 잘 알 고 있으나, 자신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투입과 참여자로서의 자아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고 무지 - 신민형 정치문화는 지배자와 피지배자 사이의 관계가 뚜렷하고, 군주와 신민과 같은 무조건적인 복종만이 존재하는 권위주의 사회에서 주로 발견 ③ 참여형 문화(Participant Culture): - 참여형 문화에서는 국민들이 모든 정치대상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정치체계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자신도 정치과정에의 참여를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믿는 태도 - 결과적으로 참여형 정치문화는 국민들이 4가지 정치대상에 대해 모두 긍정적인 관심을 보이며, 그 역할과 경로를 잘 알고 있는 상태 - 국민들은 자신이 정치적으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으며, 정치적 참여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는 상황 - 결과적으로 이러한 정치문화는 주로 민주주의 사회에서 발견

8 ※ 이러한 정치문화의 유형은 각각 이상형이며, 어느 사회의 정치문화도 순수한
하나의 문화형태로 존재하지는 않는다. - 하나의 정치문화는 여러 가지 하위문화들(향리형, 신민형, 참여형)의 복합체로 존재하며, 이들은 서로 다른 모순점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향리형, 신민형 정치문화가 많이 나타나는 사회를 전근대적 혹은 권위주의적 사회라고 지칭하며, 참여형 정치문화가 보다 많이 표출되는 사회를 근대적 혹은 민주주의적 사회라고 지칭하게 된다. 토론 1] 한국의 정치적 정향 혹은 정치문화는 어떤 유형에 속하는가? - 각 개인이 지니고 있는 정치적 정향은 어떤 측면을 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는가? - 한국인에게는 감정적 정향이 많다는 논의가 있는데 학생들의 생각은? - 한국의 정치문화는 어떤 유형에 속하는가?: 구성 요소와 기준에 따른 구분

9 3. 정치사회화(political socialization)란 무엇인가?
○ 메리엄(C. E. Merriam)은 1931년『시민형성』(Making of Citizen)이라는 저서를 통하여 정치적 학습 혹은 정치교육을 통한 정치사회화의 중요성을 강조 - 정치사회화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사회화 개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 사회화(socialization)란 개인이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의 문화적 양식과 가치 를 배워 나가는 것이며, 한 개인이 그가 살고 있는 사회의 문화를 익혀가는 과정 - 따라서 정치사회화는 한 개인이 그 사회의 정치적 가치와 정향, 문화를 익혀가는 과정이라고 이해 ○ 알몬드(Gabriel A. Almond)는 정치사회화란 정치문화로의 유도과정이며, 정치사회화를 통해 사회구성원은 일정한 정치적 정향과 태도를 학습한다 표현 - 결과적으로 정치사회화는 정치체계 혹은 그 하위체계의 구성원들이 정치에 대한 믿음과 가치, 태도와 행동양식을 습득하는 과정 - 즉, 정치사회화는 사회구성원이 정치문화를 학습하고 교육하며 전달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 - 여기서 정치문화라는 것은 정치적 대상에 대한 정향과 태도, 가치관과 신념 등을 의미, 이러한 것들은 정치사회화를 통해 형성

10 ○ 정치사회화의 2가지 의미 ① 개인이 주체성을 깨닫게 함으로써 각 개인의 정치적 정향, 즉 정치적 자아를 발견 하는 학습과정 ② 개인을 기존 정치체계로 융화시켜 그 체계에 적합한 구성원으로 만드는 교육과정 4. 정치사회화의 특징 ① 정치사회화 과정은 그 구성원들의 일생을 통해 계속 이루어진다. - 유아기 때 형성된 정치적 태도는 그 이후 새롭게 형성된 사회적․정치적 경험을 통해 적응되고 강조 - 성인이 되어 다시 사회화 과정을 거치는 것을 정치적 재사회화(political re- socialization)라고 지칭 예] 미국에서는 부모가 공화당원이면, 자식도 공화당원이 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는 어떠한가? (보수 vs. 진보)

11 ② 정치사회화는 사회매체를 통한 직접적 교습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이후
에도 간접적 교류와 접촉, 학습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 정치사회화의 일반적 기관으로는 가정, 학교, 동료집단, 정당, 정부기관, 미디어 등이 있으며, 이러한 직접적 접촉과 교육 이외에도 개인적인 정치적 경험을 통해 개인적으로 터득한 정치문화의 변화도 가능 - 개인의 정치생활과 활동에 있어서 정치적 재사회화는 매우 중요 예] 어렸을 때 배운 반공주의가 대학생이 되어 바뀌는 현상 ③ 특정 사회에 있어서 정치적 사회화의 과정은 통합적일 수도 있고 분산적일 수도 있다. - 다양한 정치문화가 하위문화로서 공존하면서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기도 하며, 이것이 서로 분열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 정치문화의 통합과 분산이 함께 작용

12 5. 정치적 인간(Political Human)의 유형
○ 달(Robert A. Dahl)은『현대정치분석』(Modern Political Analysis)라는 저서를 통해 4개의 카테고리로 정치적 인간을 구분

13 ① 정치적 무관심층(the apolitical stratum):
- 대부분 인간은 정치체계 내에서 정치에 대해 관심이 없으며, 정치에 대한 정보도 제한적: 문제는 지나치게 정치에 대해 무지하고 냉담한 인간 - 흔히 정치적 무관심층은 탈정치적(de-political) 성향과 반정치적(anti- political) 성향으로 나뉘며, 두 가지 유형 모두 문제 - 이들은 정치에 관여하고 관심을 갖는 것이 자신에게 이득이 없으며, 자신이 정치 에 관여하더라도 별 다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다고 믿는다. - 또한 혹자는 정치에 대해 지나치게 반감을 표출하여 정치 자체를 불신하며 정치 의 효능감을 믿지 않는다. 예] 투표에 참여하지 않고 잘못된 정치나 정치인을 비판하는 것은 잘못 ② 정치적 관심층(the political stratum): 정치적 관심층은 정치적 무관심층의 반대적인 경우, 정치적 참여를 통해 자신에게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고 믿는다. ③ 권력추구자(the power-seeker): 같은 정치적 관심층 중에도 보다 더 열심히 정치권력을 획득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그들이며, 이들은 곧 정치인을 의미 ④ 권력자(the powerful): 권력추구자가 모두 권력을 획득하는 것은 아니다. 정치인 중에서도 권력을 획득한 사람이 권력자이다.

14 ··· 6.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의 관계 ○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는 상호 연속과정이며, 순환과정
- 정치문화는 정치사회화의 산물이며, 동시에 정치사회화는 정치문화를 통해 조건 지어지고 영향을 받게 된다. - 정치사회화를 통해 정치문화가 전승되고, 정치문화가 동시에 정치사회화에 영향 을 준다. 정치문화 1 정치사회화 1 정치문화 2 정치사회화 2 ···

15 ○ 정치문화와 관련된 정치사회화의 기능 - 정치사회화는 정치문화를 유지. 변형, 창조한다. ① 유지기능: 구세대의 정치문화를 신세대로 전수하여 정치문화를 유지시킨다. ② 변형기능: 정치사회화를 통해 전수된 정치문화는 실질적인 경험을 통해 조금씩 변화하며, 이렇게 변화하는 과정 또한 정치사회화의 일부분이다. ③ 창조기능: 정치문화는 그것이 전혀 자리 잡혀 있지 못한 신생국가에서 혹은 정치 변동을 거쳐 새로운 국가건설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새로운 정치문화를 창조한다. ○ 중요한 것은 하나의 정치문화가 지속적으로 고착되어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끊임 없는 정치사회화와 재사회화를 거쳐 점진적으로, 단계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발전적 방향으로 나아갈 수도 있고 퇴보적 방향으로 나아갈 수도 있다.


Download ppt "현대 사회와 정치 제4강.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