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2. 칸트 철학 3. 헤겔철학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2. 칸트 철학 3. 헤겔철학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Presentation transcript:

1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2. 칸트 철학 3. 헤겔철학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경험론과 관념론, 칸트와 헤겔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2. 칸트 철학 3. 헤겔철학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2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계몽주의시대 영국의 명예혁명(1688)에서부터 프랑스혁 명(1789)까지의 시기임.
계몽주의란 인간을 미신이나 권위로부터 해방하여 인간 이성의 자율성 수립하려는 경향, 또는 그 운동을 말함. 그런 의미에서 F.베이컨이 모든 우상을 타파하고 R.데카르트가 모든 의심스러운 것을 배제한 것도 계몽주의시대를 위한 준비작업이었음. 이 시기는 대륙의 합리론과 영국의 경험론이 서로 대립 하는 시기임.

3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종족의 우상: 모든 사물을 인간 본위로 해석하려는 맹목적인 습관, 감정, 신앙의 편견
베이컨의 4대 우상론(The four idol of Francis Bacon) 종족의 우상: 모든 사물을 인간 본위로 해석하려는 맹목적인 습관, 감정, 신앙의 편견 (예 : 새가 노래를 하고 나비가 춤을 춘다.) 동굴의 우상: 개인적인 취미, 성격, 환경, 교육, 습관에서 오는 편견 (예 : 가장 맛있는 빵, 최고로 아름다운 바다, 우물안개구리) 시장의 우상: 인간의 교제와 접촉, 언어의 불완전성과 오류로 의하여 나타나는 편견 (예 : 행운, 귀신, 국민을 위함, 테러와의 전쟁) 극장의 우상: 전통, 역사, 종교, 전설의 권위를 무비판적으로 믿는 편견, 독단적 해설 (예 : 언론 보도, 목사의 설교, 유명인의 말을 무조건 믿음)

4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1) 합리론 Rationalism
합리론은 사유에 수학적인 방법, 더 좁게는 기하학적 방법을 도입하는 것임. 합리론의 시조, 데카르트는 직관과 연역이라고 표현함 공리를 직관에 의해서 파악하고 거기서부터 모든 진리를 연 역적으로 추리해 가는 방법. 공리란 자명한 진리인데, 이 자명한 진리는 다른 모든 진리가 거기서부터 도출되는 최초의 진리를 말함. 이 제 1 원리를 찾기 위해서 데카르트는 우리의 지식을 모조 리 의심해 보았음.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결론에 이름. 이것은 생각하는 나, 즉 이성적 자아가 가장 궁극적인 진리의 근거라는 뜻임.

5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합리론 사상의 특징은 본유 관념설로 인간은 본래부터 진리를 보유하고 있다는 주장임.
합리론 사상의 특징은 본유 관념설로 인간은 본래부터 진리를 보유하고 있다는 주장임. 다시 말하여 인간은 경험에 앞서서, 선천적(a priori)으로 진리를 간직하고 있다는 사상. 데카르트는 우리의 본유 관념으로서 신의 관념, 모순율 등 논리학의 원리, 선악의 기준 등 윤리학의 원리, 그리고 자아의 존재 등을 든다. 합리론은 이런 본유 관념을 직관에 의해서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논리적으로 추리해 가면 진리에 이른다고 함. 합리론의 방법은 거미의 방법이라고 비유되기도 함 대표적 학자 :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볼프

6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2) 경험론 Empiricismus 17~18세기 영국의 베이컨, 로크 등이 이 입장을 대표
이성보다 경험이 지식의 원천이라는 이론, 합리론과 대립. '경험'이라는 말의 가장 좁은 의미는 색깔, 소리, 냄새 등에 대한 감각 지각이며, 보다 넓은 뜻으로 이해될 경우 사실이나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을 의미함. 때로는 경험이 우리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 어떤 상황에 대한 체험을 뜻하기도 함.

7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영국의 경험론은 바로 이러한 특정한 입장을 나타냄.
경험 이외에 인간 지식의 다른 원천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의 모든 지식은 경험에 대한 직접적인 보고이거나 그로부터의 추론에 의거해서 그 진위가 판명되는 것이라고 주장함. 나아가서 경험론은 밀(J.S. Mill)과 같이 수학적 명제까지도 경험으로부터 고도로 확증된 일반화에 불과하다는 극단적인 경험론으로 전개되기도 함 경험론은 감각 경험에 의거함이 없이 이성만으로 지식이 성립한다는 가정을 거부하는 점 에서 뿐만 아니라, 지식의 확실성에 도달하는 대안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점에 서도 합리론 에 대립하는 것임

8 2. 칸트 철학 1) 칸트의 생애 1742년 독일의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생, 28세에 교수가 되 고 결혼 아니한 채 1804년, 80세로 생애를 마침. 2) 비판철학 (칸트의 3대 비판) 경험론의 장점인 경험(인식의 대상)과 합리론의 장점인 이성(인식의 주체)을 비판적으로 종합함으로써 새로운 비 판철학의 체계를 수립 완성함. 그는 경험론의 산만성과 합리론의 공허함을 동시에 비판 함. 인식의 내용면에서는 객관적 인 경험론을 수용하고, 인식의 형식면에서는 보편적 합리론을 취함. "내용 없는 사상은 공허하고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이다."

9 2. 칸트 철학 ⑴ 순수이성 비판 참된 인식(진리)이 어떻게 성립하는가를 밝히기 위해 인간의 인식능력을 셋으로 나눔
참된 인식(진리)이 어떻게 성립하는가를 밝히기 위해 인간의 인식능력을 셋으로 나눔 첫째 감성(感性)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받아들이는 수동적 수용 둘째 오성(悟性) 감성이 받아들인 지각에 대해서 사유 셋째 이성(理性) 초감성적인 것에 대해 사유하는 능력 인식은 감성과 오성의 두 단계의 협력으로 이루어지며, 이 두 단계를 거쳐서야만 대상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다. 경험은 결코 우리의 오성을 한정시킬 수 있는 유일한 분야가 될 수 없다.

10 2. 칸트 철학 ⑵ 실천이성비판 실천이성은 스스로 보편타당한 도덕법칙을 세우고, 이에 따라 자율적으로 행위하도록 명령하는 도덕적 의지규정의 능력이다. 실천이성은 인간에게 무한한 가능성, 당위적인 규범법칙, 목적과 이상을 마련해 주고, 여기에 접근하도록 이끌어 주는 최고의 능력이라고도 할 수 있음. 그러므로 실천이성은 순수이성보다 우위에 있다고 보고, 자유, 영혼불멸, 신의 존재의 필요성을 요청하기 마련이 라고 생각함. 실천이성을 자율적인 실천의지라고 보았음. 자율은 칸트 윤리학의 기본으로 그는 "자율은 곧 자유다!"라고 하였음.

11 2. 칸트 철학 ⑶ 판단력 비판 순수이성비판과 실천이성비판에서 현상과 물(物)자체, 현 상계와 가상계, 필연과 자유를 엄격히 구별함 경험할 수 있는 현상의 세계와 생각할 수 있는 물(物) 자체 의 세계인 가상의 세계 현상의 세계는 인식의 대상으로 학문의 무대이며 가상의 세계는 인식의 범위 밖으로 도덕의 무대가 됨 인간이 희망할 수 있는 바는 이 세계가 아름답고 조화로운 합목적적 질서를 가진 세계 제 1비판서『순수이성비판』인간은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제 2비판서『실천이성비판』인간은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제 3비판서『판단력비판』 인간은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12 2. 칸트 철학 3) 인간관 인간은 자연의 산물이기 때문에 다른 동물과 같이 욕구 에 의하여 지배를 받지만, 자유의지를 가지고 자신의 행 동에 책임을 져야 하는 이중적 존재임. 그리고 인간은 자신이 내면에 가지고 있는 도덕률을 따 를 때에 비로소 인간다운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함. ※ 선의지 ; 선의지란 실천이성이 명령하는 행위를, 그 행위의 결과가 어떤 것이든 관계 없이 단지 그것이 절대 적으로 옳다는 이유만으로 선택해야 되는 의지. 칸트는 도덕률을 준수하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절대 적인 의무라고 생각하고, 이러한 의무의식에서 의무를 이행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리켜 '선의지'라고 하였다.

13 2. 칸트 철학 ① 네 의지의 준칙이 모든 사람에게 언제나 옳다고 인정 받도록 행동하라.
5) 정언명법(定言命法) ① 네 의지의 준칙이 모든 사람에게 언제나 옳다고 인정 받도록 행동하라. ②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은 너의 인격과 다른 모든 사람 의 인격에 있어서 인간성을 언제 나 동시에 목적으로서 대우하고 결코 단순한 수단으로서 대우하지 않도록 행동 하라. ③ 스스로 도덕적 법칙을 만들고 그 법칙에 따라 행위하 는 단체(도덕적 국가)의 일원이 되는 것 – 스스로 입법자 이자 그 법에 순종하는 신민이 됨(인간 존엄성의 근거) * 가언명법(假言命法): 조건부적 명령. 다른 더 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명령. 이 러한 조건부적 명령은 도덕적 의무를 함축시키지는 못함.

14 3. 헤겔 철학 1) 생애(1770년 ~ 1831년) 독일 관념론 철학을 완성시킨 근세의 체계적 형이상학자. 베를 린 대학 교수. 2) 칸트철학의 비판적 수용 칸트가 자연적 존재 또는 역사적 사실 아닌 인간 스스로의 자율 적 의지에서 지식의 근본적 원리를 도출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 초인간적인 신(神)이나 대상(對象)으로서 자연으로부터 객관적 지식을 찾았던 철학적 전통 에서 벗어나, 사고하는 주체로서 인간의 주관성(Subjektivität)에 바탕을 둔 보편적 지식을 역설했던 칸트의 관념론을 받아들인 것임. 반면 헤겔은 칸트가 사물과 지식을 엄격하게 구분함으로써 ‘절대적 진리’(absolute Wissen)를 파악하는 데는 궁극적으로 실패 했다고 봄.

15 3. 헤겔 철학 3) 절대지(絶對知) 절대정신을 향한 노력
헤겔은 ‘지식이 사물의 본질과 일치하는’ 진정 객관적인 지식을 파악할 수 있다고 봄 칸트에 대한 비판을 통해 헤겔이 의도한 바는 초인간적 신(神) 또는 초월적 자연과의 합일을 통해 서라도 지식의 궁극적인 근원을 찾고자했던 전통적 형이상학의 요구 를 완전히 폐기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설득하는 것이었음. 따라서 그는 선험적 인식이, 경험된 바에 의해 제한 되는 주관주의의 근원적 한계를 넘어, 절대적 진리의 근원인 절대자(Absolutes)를 찾고자 함.

16 3. 헤겔 철학 ‘그 자체로 존재하는 시원(始原)이며 외부 실재에 의존 하지 않으면서도 스스로를 매개해서 보편성을 드러내 는 존재,’ 곧 ‘즉자대자(卽自對自)적’(an und für sich) 존재 로서 절대자를 헤겔은 ‘절대정신’(Geist)으로 표현함. 4) 절대정신의 변증법 절대정신은 ‘자기(自己)를 부정해서 타자(他者)화하고, 이 타자 속에서 자신을 발견 하고 새로운 주체로 합일되 는 의식(Bewusßtsein)의 반복적 운동’을 통해 축적된 객관 적 진리의 총합이며, 이러한 총체적 진리는 의식이 대상 을 파악하는 척도로 사용하는 ‘앎’(Wissen)을 수정하는 지난한 과정을 통해 경험되며, 의식이 마침내 포착한 자 기 스스 로의 본질이자 절대정신에 대한 학문이 곧 ‘절 대적 진리’ 또는 ‘절대지’(絶對知)임.

17 3. 헤겔 철학 5) 변증법 헤겔은 인식이나 사물은 정(正)·반(反)·합(合)(These · Antithese · Synthese)의 3단계를 거쳐서 전개된다고 생각함 이 3단계적 전개를 변증법이라고 함. 정(正)의 단계란 그 자신 속에 실은 암암리에 모순을 포 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모 순을 알아채지 못하고 있는 단계이며, 반(反)의 단계란 그 모순이 자각되어 밖 으로 드러나 는 단계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모순에 부 딪침으로써 제3의 합(合)의 단계로 전개해 나간 다. 이 합의 단계는 정과 반이 종합 통일된 단계이며, 여기서는 정과 반에서 볼 수 있었 던 두 개의 규정이 함께 부정되 면서 또한 함께 살아나서 통일된다.

18 3. 헤겔 철학 관념의 변증법적 전개 주관적 관념 : 자아에 대한 생각 (심리학 인류학 생물학)
객관적 관념 : 타자에 대한 생각 (법학 윤리학 정치학) 법 – 도덕 - 인륜(가족 – 시민사회 – 국가) 절대적 관념 : 절대지, 절대정신에 대한 생각(종교, 신학) 6) 국가는 인륜적 공동체 정치와 도덕, 존재와 당위의 구분을 거부하고, 정신의 외현 으로서 현실 세계에서 인간의 도덕성을 확인하려함. 또한 그는 개개인이 삶을 영위하는 터전으로서 국가의 이성 적 근거를 밝히려고 시도함. 이때 개개인이 현실 속에서 스스로를 파악하는 의식의 본질 은 ‘의지’(Wille) 또는 ‘자유’(Freiheit)로 특화되고, 개별적 의지 가 부정되며 개개인의 소망이 공동체의 의지로 보편화되고 법제화된 것이 ‘국가’(Staat)로 정의됨

19 3. 헤겔 철학 헤겔은 개인적 차원의 윤리보다는 사회적·역사적 측면 에서 윤리를 강조함.
그는 공동체의 윤리를 '인륜(人倫)'이라고 부르면서, 인 륜은 가족, 시민 사회, 국가라는 세 가지 단계를 거쳐 변 증법적으로 발전해 간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국가는 가족의 원리와 시민사회의 원리를 결합 시킨 최고의 인륜 형태이고, 개인과 보편적 공동체인 국 가는 서로 대립하지 않고 조화를 이룬다는 것이다. * 만약 개인이 최고의 인륜인 국가에 복종하게 된다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나치즘이나 파시즘같은 전체주의가 헤겔의 국가지상주의에 기인한다고 주장하기도 함.

20 3. 헤겔 철학 7) 역사철학 – 역사는 자유를 향한 투쟁 역사는 이러한 절대정신이 자각하면서 자기 실현해 가 는 과정.
역사의 발전 목적은 '자유'이다. 역사의 주역은 정신이고 정신의 본질은 자유이다. 때로 역사에 있어서 퇴보하는 듯한 불미스러운 일이 있 다하더라도 궁극적으로 역사는 발전하게 된다고 봄. 이성이 역사를 지배하는데 시대별로 자유의 표현이 더 욱 진전이 있 음은 이를 증명한다고 보았음. 즉 과거에는 왕만이 홀로 자유가 있었으나 시대가 흐를 수록 자유의 범위가 넓어져서 궁극적으로 모든 인민이 자유를 누리는 완벽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것임.

21 Thank You!


Download ppt "1. 계몽주의시대의 철학 2. 칸트 철학 3. 헤겔철학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