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세계의 다양한 문화 이해의 필요성 1. 다문화 이해의 필요성 2. 서로 다른 자연과 문화.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세계의 다양한 문화 이해의 필요성 1. 다문화 이해의 필요성 2. 서로 다른 자연과 문화."— Presentation transcript:

1 세계의 다양한 문화 이해의 필요성 1. 다문화 이해의 필요성 2. 서로 다른 자연과 문화

2 1. 다문화 이해의 필요성 다른 문화권 미술에 대한 이해와 감상 능력 신장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정체성 발견
인간 삶에 대한 인식을 넓힘 다른 문화권 미술에 대한 이해와 감상 능력 신장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정체성 발견

3 2. 서로 다른 자연과 문화 자연의 형과 색은 엄격한 질서와 조화를 이루며 자연의 아름다움은 인간에 의해 창조된 조형미의 근원이 된다. 사계절 변화가 뚜렷하고 풍경이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서 생활해 온 우리 선조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조형물을 창조하였다. 기와의 선이나 청자, 백자의 형과 색, 한복 등에서 우리는 자연과 동화된 은근한 곡선의 미과 실용성에 바탕을 둔 자연스러운 멋을 느낄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광활한 대지와 거칠고 험준한 산등의 자연환경을 지닌 나라에서는, 자연을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에 규모가 장대하고 강한 직선을 주로 사용한 조형물을 찾아볼 수 있다.

4 o 남아메리카의 자연과 조형물 o 북유럽의 자연과 조형물
고산지대, 거친 사막, 긴 해안선의 자연조건과 원시 종교에 영향을 받은 치장과 의상은 남아메리카의 자연과 조형미의 일면을 보여준다. 강렬한 색채와 무늬로 용맹과 우수성을 표현하고 있다. o 북유럽의 자연과 조형물 얼음, 눈, 호수, 거대한 침엽수림이 이루는 자연조건과 이러한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는 아름다움을 응용하여 조형미를 재창출하고 있다.

5 풍토와 관련된 조형물의 예 (정원) 서양에서는 바티칸이나 베르사이유 궁전의 정원처럼 정형화된 조형미를 추구하였지만, 한국은 숲과 어우러진 자연미를 추구하였다. 한국인은 높고 낮은 언덕의 자연환경을 그대로 이용하여 집을 짓고 정원을 가꾼다. 구릉의 맥에 따라 무리 없이 담장을 쌓고, 나무는 전지를 하지 않아 자유롭게 위로 뻗게 하고 물은 밑으로 흘러내리게 한다. 애련지나 소쇄원 등에서 그 예를 잘 보여준다.

6 예1) 한국의 정원 – 담양 소쇄원(瀟灑園-사적 제304호)

7 담양 소쇄원(瀟灑園-사적 제304호) 건립시기 : 1530년(중종 25) , 조광조의 제자 소쇄 양산보 건립 위 치 :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 건물특징 : 전체 건평 92.4㎡ (제월당 등 10여 동 위치) - 제월당 :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집 - 광풍각 : 정면 3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집

8 예2) 서양의 정원 – 베르세이유 궁전

9 베르세이유 궁전 루이 14세에 의해 1661년~1710년에 걸쳐 진행된 대규모 공사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세계적인 조경가 노트르(Andre Le Notre)의 계획으로 조성됨. 이 공사를 위해 군대가 동원되기도 하였으며, 정부의 총예산 10%정도가 비용으로 사용되었다고 함.

10 세계의 다양한 민예품 감상 여러 나라의 민예품 아프리카의 민예품 민속 의상 민속 악기 생활용품 가면 조각상 생활용품

11 여러나라의 민예품 민속 의상 민속 악기 생활용품

12 민속의상 ① 중국의 용포 (섬유) 의복은 기후나 풍토 문명의 발달 및 민족의 전통 문화에 따라 의복의 형태와 색, 기능에
차이를 보인다. 중국의 용포 (섬유)

13 민속의상 ② 아프리카 말리 민속의상

14 민속의상 ③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의 민속의상

15 민속의상 ④ 인도 라다크의 민속의상

16 민속의상 ⑤ 모로코 페스의 전통의상

17 민속악기 ① 세케레 아프리카 가나 (지름 28* 높이 36cm) 'Axatse'라고 불리는 칼라바쉬박의 단단한 외면에
식물의 씨로 짠 그물을 덮어서 래틀로 다른 벨의 리듬에 따라 다양하게 연주되는데 쿠바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18 민속악기 ② 북 아프리카 가나 (가죽, 나무, 44*68cm) 서아프리카의 Peg Drum인데
Conga보다 조금 작지만 비슷한 형태와 사운드를 낸다. 가나의 수도 주변 Ga 종족들로부터 유래한 독특한 연주리듬과 춤은 1950년대 가나의 독립기간 중 젊은이의 춤으로 자유와 새로운 삶을 상징하는 춤으로 유명해졌다.

19 민속악기 ③ 레인스틱 칠레 (선인장, 조약돌, 노끈, 5.7*77cm) 콜롬비아등 중남미에서 애용된 악기
악기내부에 작은 구슬이나 모래 등으로 채워져 좌우로 기울이면 비가 오는 소리를 만들어낸다. 구슬들은 양끝으로 떨어지면서 빗방울이 떨어지는 소리나 파도가 밀려오는 소리가 나기도 한다. 원래 칠레 북부지역 원주민이 비 오는 날씨를 만들기 위해 고안해 냈다는 전설이 있다. 민속악기 ③

20 민속악기 ④ 싱잉볼 티벳 (금속 , 20*7cm) 7가지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진 그릇형의 종 강하고 조화로운 반향음을 냄.
연주할 때 각각의 Bowl 독특한 성문(Voiceprint)을 내며, 울리는 금속 사발의 음의 진동상태(Sonic Bath)는 명상의 길로 안내한다. 싱잉볼 티벳 (금속 , 20*7cm) 7가지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진 그릇형의 종

21 민속악기 ⑤ 북 아프리카 세네갈 (가죽, 나무, 지름43* 높이60cm) 서아프리카에서 널리 사용되는
악기로, 특히 세네갈의 Wolof민족, Serer민족이 사용했다. 연주법은 왼손은 염소가죽으로 만든 헤드부분을 두드리고 오른손은 작은 막대를 들고 당김음을 낸다.

22 민속악기 ⑥ 북 인도 (가죽, 나무, 33*49cm) 인도 북동부의 민속악기. 몸통은 Clay로 만든 드럼인데
특히 벵갈 지역에서 유명.

23 민속악기 ⑦ 오게네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나무, 금속, 38*10cm) 나이지리아 동부지역에서 유래한 Gong(징)종류의 종.
다양한 종류의 형태와 크기 있음. 큰 더블 오게네는 사회적 행사에서 음악가가 무대에서 박수 갈채를 보낼 때 사용되기도 하며, 약초 채집자들의 행사 시, 가면무도회 때 다른 드럼과 같이 사용되거나, 시간을 알려주는 역할도 한다.

24 민속악기 ⑧ 민속악기 실로폰 아프리카 베닌 (나무, 금속, 1600년대 64*21cm) 나무와 금속을 주재료로 사용한,
사람 형상을 따서 만든 민속악기.

25 생활용품 ①

26 생활용품 ② 눈썰매 알래스카 , (금속, 나무, 16*80cm)

27 생활용품 ③ 골제 능화형 부채 중국 한대 (뼈, 30cm)

28 생활용품 ④ 공작 무늬 창문 네팔 (목제, 71*62*31cm) 햇빛이 비치면 공작새 문양이 아름답게 나타남.

29 생활용품 ⑤ 서수문 퇴침 파푸아뉴기니아 (나무, 10*46cm)

30 화장함 독일 (도기, 4*7.5cm) 생활용품 ⑥ 철제 다리미 영국 (금속, 나무, 112cm)

31 생활용품 ⑦ 청동 용무늬 주전자 인도네시아 (청동, 15cm)

32 목제 집모양 등 태국 (18세기, 나무, 64cm) 생활용품 ⑧

33 대나무마디국화무늬주전자 영국 (도자기, 1300년대) 생활용품 ⑨ 도자기 은가공 주전자 모로코 (금속, 도자기, 70cm)

34 생활용품 ⑩ 청동 주전자 터키 (청동, 25cm)

35 생활용품 ⑪ 금속제 촛대와 시계 독일 (금속, 48cm)

36 생활용품 ⑫ 당삼채 묘수 중국 당대 (도자기, 36*10cm) 금속제 병 인도네시아 (금속, 1700년대)

37 생활용품 ⑬ 청자사자모양 소변기 중국 진대 (도자기, 19*23cm)

38 생활용품 ⑭ 코끼리 발로 된 바구니 라오스 (27*17*27cm)

39 아프리카 가면 조각상 생활용품

40 가면 ① 요루바 머리탈 나이지리아, 요루바 부족 성인식, 장례 , 농경의식 때 사용, 나이지리아와 베닌
(조개, 나무, 가죽, 20C초, 40㎝) 성인식, 장례 , 농경의식 때 사용, 나이지리아와 베닌 공화국간 교류를 원만하게 해준 무명선조를 기림. 요루바 부족은 이 조각을 “ 아원이야와” 우리의 어머니라고 부른다. 가면 ①

41 가면 ② 은토모 가면 말리, 밤바라 부족 (나무, 알루미늄, 20C초, 42㎝) 직위식, 계급승급의식에 사용.
가면뿔은 계급을 상징함. 가면 ②

42 가면 ③ 단 가면 아이보리코스트, 단 부족 다양한 종류의 행사에 사용 무 희 : 행사의 분위기를 띄워 주는 역할
(나무,야자나무 섬유,철, 19C말, 30㎝) 다양한 종류의 행사에 사용 무 희 : 행사의 분위기를 띄워 주는 역할 재판관 : 공정한 법 집행 가능 하게하는 힘 생김 장례식 : 사자의 영혼을 신에게 인도하는 역할

43 가 면 ④ 세누포 헤드드레스 아이보리코스트 부족 (나무, 20C 초, 30㎝) 농경의식 시 무희가 사용.

44 가 면 ⑤ 세누포 와뉴고 머리탈 아이보리코스트, 세누포 부족 (나무, 19C 말, 50㎝)
와뉴고라 불림. 악어 턱, 영양 뿔을 지니고 있으며, 상단부에 새와 카멜레온이 조각. 여러 종류 동물의 결합은 우주 기원의 혼동을 상징. 장례의식에 사용.

45 가 면 ⑥ 바디 가면 탄자니아, 마콘테 부족 (나무, 19C 말, 54㎝) 순산, 다산의식에 사용. 오랜 야영생활을 마친
소년들이 마을로 다시 돌아올 때 반겨 주는 환영 의식에 사용함. 가 면 ⑥

46 가 면 ⑦ 바울레(고리) 가면 아이보리코스트, 바울레 부족 (나무, 19C 말, 100㎝) 악마를 상징하며 사악한 정신들을
쫓아내기 위함. 농경축제, 장례식에서 젊은이들이 가면을 쓰고 음악에 맞춰 춤을 춤. 악마라는 의미의 ‘고리’가면 이라고도 불림.

47 가 면 ⑧ 부움 가면 자이레, 쿠바 부족 쿠바부족 가면 중 유일하게 추장에게만 소유권이 있음. 추장 권위의 상징물이다.
(청동, 천, 구슬, 조개, 가죽, 19C) 쿠바부족 가면 중 유일하게 추장에게만 소유권이 있음. 추장 권위의 상징물이다. 할례의식, 다신 기원 의식 등 각종 의식과 축제에 사용함.

48 송애 가면 자이레, 루바 부족 (나무, 20세기 초, 60㎝) 장례의식에서 사용된 가면 가 면 ⑨

49 가 면 ⑩ 구루 가면 아이보리코스트, 구루 부족 (나무, 섬유, 19C, 60㎝) 장례식과 혼례식 등의 다양한 의식에 사용함.
눈을 크게 뜨고 있는 가면은 현실 세계의 사물을 직시한 다는 의미가 담겨 있음.

50 조각상 ① 응키시 응콘디 자이레, 콩고 부족 (나무, 못, 칼 파편, 19세기, 65㎝) 콩고 조각상 중 가장 많이 알려진
이 조각상은 일명 ‘사냥꾼’ 이라 함. 이 조각상은 주술사가 사회 규범을 어긴 이들을 선별하거나 벌을 주는데 사용함.

51 조각상 ② 선조들의 조각상 아이보리코스트, 세누포 부족 (나무, 19C 말, 130㎝) 과거에 존재했던 주술사, 추장,
전사의 모습을 형상화 한 조각. 부족과 후손을 위한 수호신 역할. 조각상 ②

52 조각상 ③ 마콘데 여인상 탄자니아, 마콘데 부족 (나무, 18세기 중, 96㎝) 마콘데 부족 최초의 선조
여인을 기리기 위한 조각상. 다산과 순산 기원하는 형상.

53 조각상 ④ 젠 진흙상 말리, 젠 부족 (진흙, 19세기 초, 35㎝) 테라코타로 유명한 젠 부족 인물상. 불균형한 사람 형상은
현대 추상미술을 보는 듯함. 테라코타상은 부적으로 이용. 조각상 ④

54 조각상 ⑤ 바마나 볼리 말리, 바마나 부족 (흙, 나무껍질, 코코넛, 닭과 염소피, 도물뼈, 19C 말, 60㎝)
신성시 여기는 동물(하마, 버팔로)을 결합한 형상으로 추측. 올바른 사회규범 실현 과 정의구현을 위해 제작. 주술사는 성스러운 힘을 불어 넣어 부족을 무단이탈 하거나 규범을 어기는 이들을 선별하고 재판하였다고 함. 조각상 ⑤

55 조각상 ⑥ 말리 기마 2명 말리, 밤바라 부족 (나무, 19C 말, 130㎝)
부족 조상(주술사, 추장, 전사)의 모습을 형상화한 조각으로, 부족과 후손을 보호해 주는 수호신 역할을 한다.

56 조각상 ⑦ 기마상 말리, 바마나 부족 (나무, 19세기 말, 110㎝)

57 조각상 ⑧ 마리오네테 말리, 바마나 부족 (나무, 청동, 실, 20C초, 95㎝) 작은 바오밥 나무를 연상
시키며, 다산을 기원. 부족혈통이 이어지기를 기원하며 제작되어 짐.

58 생활용품 ① 세누포 종자 보관함 아이보리코스트, 세누포 부족 (나무, 20C초, 120cm) 세누포 부족이 사용하는
곡식의 종자 보관함임.

59 생활용품 ② 세누포 옆 북 아이보리코스트, 세누포 부족 (나무,가죽,18C말,54㎝) 농경의식,축제,장례식에 사용.
네발 옆 북을 연주 시 태크파란 비밀집단에서 드럼연주와 의식을 관장. 부족의 존경 받는 여성의 책임 하에 의식 이루어짐. 네발 옆 북은 여성의 지위와 힘을 상징함. 생활용품 ②

60 생활용품 ③ 밤바라 용의 형상 뚜껑 말리, 밤바라 부족 (나무, 청동, 20C 중, 110㎝)
이와 같은 용 형상 조각은 (북부 이슬람권)에서 전해진 조형기술로 추측. 용 형상 함은 왕이 소중하게 여기는 물건들 보관하는데 사용함.

61 생활용품 ④ 세누포 의자 아이보리코스트, 바울레 부족 (나무,20c 중,150㎝) 추장이 사용하는 의자로
실외에서 사용. 의자의 동물형태 조각은 추장 권위를 상징. 남녀 인물 조각은 다산과 풍요 상징. 생활용품 ④

62 생활용품 ⑤ 팔찌 중부 베닌, 베닌 부족 (청동, 17세기 말, 20㎝) 팔찌와 반지들은 장신용과 호신용으로 쓰이며,
종교적이고, 상징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 아프리카 장신구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문양과 형태는 아프리카인의 뛰어난 예술성을 보여 준다. 팔찌 중부 베닌, 베닌 부족 (청동, 17세기 말, 20㎝)

63 팔찌 나이지리아, 아칸 부족 (청동, 19세기, 11㎝) 생활용품 ⑥

64 생활용품 ⑦ 니얌위지 추장 의자 탄자니아, 니얌위지 부족 (나무, 19C 말, 93㎝) 지위가 높은 사람들이 사용함.
뒷면의 사람모양은 권위상징. 입회의식 시 의견 차이나 논쟁이 생길 때, 올바른 결정을 내리도록 하는 마력이 있다고 함.

65 생활용품 ⑧ 세누포 북 아이보리코스트, 세누포 부족 (나무,가죽, 19C초, 1m) 북의 윗부분이 평평하게 쐐기로
박아 보이지 않게 접합. 몸통조각 문양들은 추수, 사냥,축제를 상징. 아프리카의 전통 문화, 풍습을 엿볼 수 있음. 생활용품 ⑧

66 활 동 지 자연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조형물 찾아보기 2. 여러 나라 민예품 조사하기

67 감사합니다

68 자연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조형물 찾아보기
학년/ 반 성 명 구분 1. 우리나라 – (초가집) 2- 터키 – (동굴집) 조형물 사진 자연 환경 오래 전부터 농사를 생업으로 살아왔기에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집단과 흙을 이용하여 초가집을 지었다. 산악 지형이 많은 나라이기 때문에 이런 지형의 특성을 활용하여 산악에 동굴집을 많이 지었다. 3. 몽고 – (몽고 전통가옥) 4. 아프리카 – (흙집) 유목민족은 이동에 알맞은 천막을 이용한 이동 가옥을 많이 지었다. 쉽게 구할 수 있는 흙과 나무, 풀 등을 사용하였다. 종합의견 자연환경과 기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주거 형태를 보고 자연환경과 문화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참고서적 및 인터넷 사이트 주소 기재>

69 여러 나라 민예품 조사하기 학년/ 반 성 명 사이트 주소 www. 자 연 환 경 과 조 형 물 구분 민예품 1 ( 명 칭 )
성 명 사이트 주소 www. 구분 민예품 1 ( 명 칭 ) 민예품 2 ( 명 칭 ) 사진 설명 민예품 3 ( 명 칭 ) 민예품 4 ( 명 칭 ) 종합의견


Download ppt "세계의 다양한 문화 이해의 필요성 1. 다문화 이해의 필요성 2. 서로 다른 자연과 문화."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