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자은이: 장성아 1한복의 뜻. 2.한복의 유래 3.한복이 만들어진 과정 4.한복을 지켜야 하는 까닭 등. . .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자은이: 장성아 1한복의 뜻. 2.한복의 유래 3.한복이 만들어진 과정 4.한복을 지켜야 하는 까닭 등. . ."— Presentation transcript:

1 자은이: 장성아 1한복의 뜻. 2.한복의 유래 3.한복이 만들어진 과정 4.한복을 지켜야 하는 까닭 등. . .
자랑스러운 우리 옷 한복 자은이: 장성아 1한복의 뜻. 2.한복의 유래 3.한복이 만들어진 과정 4.한복을 지켜야 하는 까닭 등. . .

2 한복의 뜻! 우리나라의 고유한 옷이다. 특히 조선 시대에 입던 형태의 옷을 이른다
예전에는 한복을 매일같이 입었지만 현재는 평상복보다 는 격식을 차리는 자리나 명절, 경사, 상례, 제례 위주로 해서 주로 입는다. 한복이란? 한복이란 간단히 말해서 한국 고유의 옷을 뜻한다.한복은 형태나 구성이, 아름다움, 재질, 위생적인 면에서 그 뛰어난 특색을 자랑하고 있다. 특별한 날 우리의 눈길을 끄는 옷차 림은 고운 색상의 한복을 단아하게 차려 입고, 두루마기까 지 걸친 한복차림이다. 가장 신부답고 가장 신랑다운 의상 은 한복이다.신부가 가장 아름답게 보일 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녹의 홍상, 녹색 저고리에 붉은색 치마를 입고 사뿐 사뿐 나다니는 신부의 모습은 사뭇 귀엽고 사랑스럽기까지 하다. 아무리 자유분방한 사람이라도 한복을 입은 자세를 바르게 하게 되어, 어른들께도 훨씬 좋은 인상을 심어주게 된다. 그 래서 시대가 많이 바뀌어도 약혼식과 신혼 나들이 길에는 신랑 신부가 한복을 곱게 차려 입은 모습이 한층 정겹고 아 름다워 보인다.

3 한복의 유래 (1) 고조선시대에 이미 초의생활에서 벗어나 칡과 삼으로 짠 옷감을 사용하고, 전잠 과 직조의 기예가 늘어감에 따라 의류문화에 진전을 보여주었다. 그 후 고구려 ·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에는 옛 사기나 고분벽화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대체로 유 ·고와 상 ·포를 중심으로 한 복장이었으며, 여기에 관모 ·대 ·화 또는 이가 첨부 되었다. 유는 저고리로서 상체의 옷이고, 고는 바지, 상은 치마로서 하체의 옷이 며, 여기에 머리에는 관모를 쓰고, 허리에는 대를 띠며, 발에는 화 또는 이를 신어 포피로서의 의복의 형태를 갖추는 동시에, 그 위에 두루마기로서의 포를 더함으 로써 한대성 의복 곧 북방 호복 계통의 의복을 나타낸다. 이에 있어 유는 곧은 깃 에 앞을 왼쪽으로 여몄으며, 소매가 좁고,길이는 엉덩이까지 내려오는 것으로, 오 늘날의 승복 ‘동방’과 비슷한 것이었으며, 허리에 띠를 둘렀는데, 특히 깃 ·도련 · 소맷부리에는 빛깔이 다른 천으로 선을 둘렀다 이후 중국과 교류가 잦아지면서 중국복식의 영향을 받아 좌임이 우임으로 변하고 소매도 넓어지는데, 선은 오늘 날에도 회장 ·끝동 등으로 남아 있다.이 저고리를 신라에서는 위해라고 일컬었는 데, 오늘날 저고리를 우티 ·우치라고 하는 방언도 이에서 연유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저고리라는 표현은 조선 세종 2년 원경왕후 선전의에 라는 말로 처음 나 온다. 고는 용도에 따라 폭과 길이에 변화가 있었는데, 양복바지와 같이 폭이 좁 은 궁고와 지금의 한복 바지와 같은 대구고가 있었고, 오늘날의 잠방이와 같은 가 랑이가 짧은 곤이 있었다. 궁고는 곤과 더불어 민층의 하의였고, 대구고는 상류층 의 하의였는데, 발목을 대님으로 묶기도 하였다. 이 바지를 신라에서는 가반 또는 가배라 하였는데, 지금 우리말의 고의 ·고쟁이도 이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으며, 바지라는 표현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정인지가 라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하나, 이 호칭은 이미 널리 사용되었으리라 생각된다. 왜냐하면 당시는 여자도 바지를 입 는 것이 기본 복제였기 때문이다상은 여자 전용의 하의로서, 고와 상을 혼용하였 다. 형태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길고 폭이 넓어 땅에 끌릴 정도였으며, 허리 부분 부터 치맛자락 끝까지 잔주름이 잡혔고, 다시 치맛자락 끝에 일종의 장식연, 곧 선을 둘러 조선시대의 스란치마를 연상시키는 것이었다

4 한복의 유래 (2) . 상을 치마로 표현한 첫 기록은 앞에서 든 원경왕후 선전의에 와 함께 나 오는 로서, 한글로는 사도세자의 빈 혜경궁 홍씨의 《한중만록》에 처음 으로 등장한다. 포는 표의를 뜻하는 것으로서, 당시에는 유와 고 위에 착용 하여 양복의 외투와 형상이 비슷하였는데, 오늘날의 두루마기에서와 같이 직령 ·교임 ·중거형의 것이 아니고 직령 ·교임 ·직수형의 것이었으며, 여기 에 띠를 둘렀다. 이 포를 당시에는 왕공 이하 평민에 이르기까지 남녀가 모 두 보편적으로 착용하였다. 포를 가지고 두루마기라 한 것은 언제부터인 지는 몰라도 옷의 폭을 쭉 돌아가면서 다 막았다는 데서 나온 순수한 우리 말 표현이며, 주의라는 명칭은 이를 거꾸로 한자화한 것이다.이러한 한복 의 기본형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큰 변화가 없다. 다만 관복에서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무렵 중국 당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습용함으로써 고려 · 조선시대까지 중국의 제도를 준용하였다.중국과 한국은 정치 ·문화 교류 를 통하여 양국의 복식도 서로 영향을 끼쳤는데, 신라의 경우는 반비 ·배당 을 비롯하여 여자 포제로서의 활수의 ·색사대가 그것이다. 고려 때에는 제 25대 충렬왕 이후 원나라의 부용국이 되면서 복식 풍습도 몽골풍을 많이 따랐는데, 질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온 것은 아니었으며, 제31대 공민왕 때 원나라가 쇠망하고 한족의 명나라가 다시 중국을 지배하게 되자 몽골풍은 사라졌다. 그러나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고 소매가 좁아진 것은 몽골 복식 의 영향이며, 이로 말미암아 띠가 없어지고 대신 고름을 달게 되었다. 또 여자 화관이 당나라에서 전해 온 것이라고 하면, 족두리는 몽골인의 고리 였다조선시대에는 임진 ·병자의 두 국란을 겪으면서 우리 민족의 자각심 이 일기 시작하여 민족 복식을 형성한다. 이에서 두드러진 것은 남자의 포 제와 입제이며, 여자의 예복과 친의류이다.남자의 포제는 포의 기본형에 서 고려의 백저포를 거쳐 직령→ 도포 → 창의에서 조선 말기의 주의로 발 전하며, 입제는 평량자 → 초립 ·흑립으로 발전한다. 여자의 예복은 중국의 활수의 ·색사대에 속한 적의 ·대삼 등이 원삼 ·활옷 ·당의 등으로 국속화되 었고, 친의류는 단속곳 ·바지 또는 고쟁이 ·속속곳 ·다리속곳 ·너른바지 등 으로 다양해진다. 그리고 조선 말 개화기에는 양복 ·양장의 등장으로 말미 암아 한복에 대한 인식이 희박해졌다.

5 한복이 태어나기 전에는 무엇을 입었을까? (1) 선사시대 의상 그림 ( 삼국시대 의상 그림 ( 고려시대 의상그림 (

6 드디어 조선시대! 조선시대 한복 조선시대의 한복에서 남자의 옷은 다양한 형태의 겉 옷용 포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성의 한복은 화려하게 장식한 저고리와 치마를 주로 입었 습니다. 삼회장저고리, 반회장저고리, 민저고리당저 고리 등 저고리의 종류가 다양해졌고 금박과 비단 바 탕에 금실로 무늬를 짠 직금의 장식이 나타나기 시작 하였습니다. 조선시대 때는 유교 문화의 영향으로 여 성들은 외출시에는 너울이나 장의, 쓰개치마 등의 가 리개를 이용하였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긴 저고리가 유행했고 평상용 치마는 발등을 덮는 길이였으며. 이 때에는 솜 치마, 누비치마, 스란치마 등 치마의 종류 도 다양해졌습니다. 조선시대 후반기는 저고리의 길 이가 짧아지고 치마의 허리를 노출시키는 등의 옷 입 는 방법이 유행하였습니다.

7 한복을 만드는 과정 1.바람이 잘 통하는 삼베와 모시로 옷을 만들어 입었습니다.몸과 옷 사이를 헐렁하게 하여 바람이 잘 통하게 하였습니다.저고리는 고름 없이 매듭을 짓 고,바지는 가랑이가 짧은 잠방이를 입기도 하였습니다.정장이 아닐 때에는 대님을 매지 않고 무릎까지 걷어올려 입기도 하였습니다.삼베와 모시1.식물 의 줄기를 이용하여 실을 만들어 베틀로 짠 옷감 입니다.2.옷을 손질할 때 풀 을 먹여 두면 땀이 나도 몸에 달라붙지 않고 쾌ㅏ적한 으낌을 주기 때문에 시 원합니다.삼베-원료:삼이라는 식물의 껍질특징:특특하고 광택이 있음.물에 강하고,바람이 잘통해 시원함.비가 조금만 내려도 잘 자라 전국적으로 재배 됨모시-원료:모시풀의 속껍질특징:감촉이 깔깔하고 통풍이 잘 됨.습기를 잘 흡수하고,빨리마름.재배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생산지역이 한정됨.(한산모 시 유명)삼베와 모시가 만들어 지는 과정1.삼베를 만드는 과정1.삼베기2.삼 껍질 잇기3.삼베짜기2.모시를 만드는 과정1.모시풀 껍질 벗기기2.모시삼기3. 모시짜기1.겨울철 한복의 특징1.추위를 막기 위해 무명과 비단으로 옷을 만 들어 입었습니다.2.두겹의 옷감 사이에 솜을 얇게 널어 누빈 옷을 입었습니 다.3.바지에 대님을 매고,소매 끝에 토시를 끼었스비낟.4.추위를 막기 위해 옷을 여러 벌 겹쳐 입었습니다.2.무명과 비단무명-원료:목화특징:고려 말 공 민왕때 문익점이 중국에서 목화씨를 들여왔음.천이 부드럽고 손질하기 쉬워 사계절 내내 사용되었음.짜기가 쉽고 질겨 백성들의 의생황에 큰 변화를 가 져왔음. 비단-원료:누에가 만든 누에고치특징:광택과 촉감이 우수함.옷감이 매끄럽고 따뜻함.누에를 치기가 까다롭고,옹ㅅ감을 손질하기도 어려워 일반 백성들은 많이 사용 할 수 없는 귀한 옷감이었음.3.무명과 비단이 만들어지는 과정무명 이 만들어 지기까지1.목화 가꾸기2.무명실 뽑기3.베틀에서 옷감짜기 비단이 만들어 지기까지 1.누에치기 2.비단실 뽑기3.베틀에서 옷감짜기

8 우리가 한복을 더 입고 알려야 하는 이유 우리는 지금 서양의 옷을 입고 있으므로써 오히려 전 세계가 각 나라 전통의상을 안 입고 서양옷 을 무조 건 입는데요.그렇기 때문에 서양의 옷을 전세계가 홍 보나 더 많은 디자인을 사서 홍보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그래서 한복은 특별한 날 만 입는 특별한 옷이 아니라 자랑스러운 우리나라의 전통 옷 이다.

9 지금까지 ‘ 자랑스러운 우리 옷 한복’ ppt 자료를 들어주셔서 감사합니 다.


Download ppt "자은이: 장성아 1한복의 뜻. 2.한복의 유래 3.한복이 만들어진 과정 4.한복을 지켜야 하는 까닭 등. . ."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