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의 성립과 여러 나라의 성장 꼬기 장수현 신아름 김은서 변상윤 김준수
청동제 무기를 사용하고 정복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빈부 격차와 계급이 발생하였다. 개인간의 빈부격차와 계급의 분화가 일어났다. 이는 죽은 뒤에까지도 영향을 미쳐 무덤의 크기에도 반영되었다. 청동기문화의 형성
청동기 세형 동검 초기 철기시대의 대표적인 근거리 무기이다 민무늬 토기 곡식을 저장
청동기 이 시기사람들의 생활모습은 어떠하였을까 ?
정치권력이나 경제력에서 우세한 부족은 청동제무기를 사용하여 주변을 정복하였다. 지배자를 군장 ( 족장 ) 이라고 하였다. 지배층의 무덤이었던 고인돌을 통해 군장이 소유한 부와 권력을 짐작할 수 있었다. 사냥 및 고기잡이의 성공과 농사 의 풍요를 기원하면서 바위그림을 그렸다. 고인돌 탁자 식 고인돌
만주와 한반도 지역에 철기가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5 세기경이였다. 처 음에는 청동기와 철기가 함께 사용되었으나 점차 철기가 확산되면서 청동기는 주로 제사용 도구로 사용되었다. 철기는 청동기에 비해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었고, 단단하고 날카로워 쓰임새 가 많았다.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면서 농업 생산량이 크게 늘어났으며 인구도 증가 하였다. 한편, 칼, 창 등의 철제 무기를 사용하면서 부족 간의 전쟁도 증가 하였다. 이 시기 유물로 명도전, 반량전, 오수전등 중국의 화폐가 출토 이는 당시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하였음을 보여 준다. 철기의 보급과 사회 변화
위 사진들의 이름을 맞추시오. ( 사탕 1) 반량전 명도전
국보 285 호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전경 ( 지정 ) 이곳에는 75 종 200 여 점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우리나라의 바위그림을 살펴보면 시대별로 다른 형 태의 그림이 나타난다. 신석기 시대에 새겨진그림 에는 주로 동물과 인물상이 사실적으로 표현되었고 청동기 시대에 새겨진 그림에는 무기나 추상적인 도형이 나타났다. 바위그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바위그림으로는 울산 울주 대곡리 반구대 바위그림, 경북 고령 장기리 바위그림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바위그림 장기리 바위그림 반구대 바위그림
쪼기 방식 : 바위 면을 두드려서 형상을 만든 것으로 깊이 가 얕고 간격도 넓다. 긋기 방식 : 긋기는 날카롭고 단단한 도구로 여러 차례 그 어서 모양을 만든 것으로 선의 깊이가 깊고 간격도 일정 하다. 반구대 바위그림이 새겨진 방식
쪼기 방식과 긋기 방식의 예 이와 같이 바위그림에 새겨진 동물 중에서 대부분의 고래는 쪼기방식으로 제작되었 고 육지 동물은 대부분 쪼기와 긋기를 결합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반구대 지역의 주민들은 사냥의 성공을 빌면서 바위 면에 고래와 짐승을 새겨 넣었다. 또한 바위그림에 새겨진 샤먼 ( 제사장 ) 으로 추정되는 사람 의 모습을 통해 풍요로운 사냥과 고래잡이를 기원하는 종 교 의례도 행하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바위그림에 담긴 의미 바위그림에서 샤먼으로 추정되는 사람의 모습 ( 왼쪽 ) 과 청동기 시대 제사장의 모습 ( 추정도, 오른쪽 )
청동기가 사용됨에 따라 랴오닝 지방과 한반도 서북부 지방의 부족사회에는 권 력을 가진 군장이 출현하였다. 그 가운데 세력이 가장 강한 군장이 주변의 여러 부족 사회를 통합하여 지배 영 역을 넓혀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우리 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이 등장하였다. 고조선의 성립과 변천
①. 단군은 농경 문화를 바탕으로 고조선을 건국하였음을 알 수 있다 ( 기원전 2333). ②. 고조선은 랴오닝 지방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러한 문화 범위는 청동기 시대의 특징적인 유물인 비파형 동검과 탁자식 고인돌의 출토 범위를 통해 추정하고 있다. ③. 기원전 4 세기경에는 ‘ 왕 ’ 이라고 칭하며, 중국의 연과 겨룰 만큼 강한 나 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기원전 3 세기 초에 연의 침략을 받아 일시적으로 세력이 약해지기도 하였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중국의 진 · 한 교체기에는 위만이 중국 연에서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왔 다. 고조선의 준왕은 위만에게 서쪽 변경을 수비하는 임무를 맡겼다. 이후 위만 은 세력을 키워 준왕을 몰아내고 고조선의 왕이 되었다. 위만 조선은 철기 문화를 본격적으로 수용하고, 철제 무기를 이용하여 주변으로 세력을 확장하였다.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면서 농업이 발달하였고, 한반도 남부 의 진과 중국 한 사이에서 중계 무역을 통하여 경제적으로 성장하였다. 고조선이 강성해지고 흉노와 연결하여 한을 압박하자 한 무제는 대군을 보내 고 조선을 공격하였다. 고조선은 패수에서 대승을 거두는 등 1 년여 동안 완강히 저 항하였으나 지배층에서 내분이 일어나 왕검성이 함락되어 멸망하였다 ( 기원전 108). 위만 조선
제정일치의 사회였던 고조선은 기원전 3 세기경부터 왕권이 세습되면서 정치 조 직이 안정되었다. 제정일치란 제사와 정치가 일치한다는 사상 및 정치형태, 신을 대변하는 제사장 에 의해 다스려지는 정치체제를 말한다. 건국 이야기에 나오는 풍백 · 우사 · 운사에 해당하는 관직은 농사와 형벌 등을 관 리하였다. 이후 국가가 발전하면서 왕 밑에는 비왕, 상, 경, 대부, 대신, 장군, 박사 라는 관직을 두었다. 고조선의 정치 조직과 사회 모습
①.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한다. ②. 남에게 상해를 입한 자는 곡물로써 배상한다. ③. 도둑질한 자는 그 집의 노비로 삼는다, 단 노비를 면하고자 할 때는 50 만의 돈을 내 야 한다. 이러한 조항은 위만 조선을 거쳐 군현시대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동안에 인지의 발달에 따라 그 내용이 더욱 복잡해져 60 여 조로 늘어났다. 사회 질서를 위한 고조선의 8 조의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