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교육의 발전방향 발표 내용 농업교육의 역사 농업의 환경변화 1 농업교육의 성과와 문제점
농업의 환경변화 1
시장개방: FTA 추진 상황 호주뉴질랜드 EU러시아 중국 칠레 미국 캐나다 멕시코 ASEAN MERCOSUR 터키 콜롬비아 페루 일본 ∙ EU (European Union) : 27 개국 ∙ EFTA (Europe Free Trade Association) : 스위스, 노르웨이, 이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4 개국 ∙ ASEAN : 동남아시아 10 개국 ∙ GCC : 바레인,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6 개국 ∙ SACU : 남아프리카 공화국, 보츠와나, 레소토, 스와질란드, 나미비아 5 개국 ∙ MERCOSUR :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5 개국 협정발효협상중공동연구 등협상타결 SACU 이스라엘 EFTA GCC싱가포르 인도
시장개방: 주요 FTA 협상 결과 한-칠레 FTA (2004.4) - 1,432 품목: 즉시철폐(224), 5~16년 철폐(796) 양허제외(쌀, 사과, 배), 계절관세(신선 포도, 11~4월, 10년) DDA 이후 논의(고추, 마늘, 양파 등) TRQ+DDA 협상 논의(쇠고기(400톤), 자두(280톤) 등 18) 한-EU FTA (2011.7) - 1,499 품목: - 1,499 품목: 즉시철폐(610), 5년 이내 철폐(295), 6~10년 철폐 (323), 12~15년 철폐(133), 16~18년 철폐(8) 20년 철폐(동양배, 후지사과), 양허제외(쌀 16), TRQ(12) 5
시장개방: 한미 FTA 협상 협상결과 한-미 FTA 영향(2011년 재추정) - 5년차 6,785억원, 10년차 9,912억원, 15년차 1조 2,354억원의 농업생산액 감소 추정 - 15년간 연평균 8,150억원 (6,698억원, 2007년), 총 12조 2,252 억원 (10조 470억원, 2007년) 축산: 8,193억원 (전체의 66.3%) 과수: 3,012억원 (전체의 24.4%) 곡물: 보리, 콩 등 295억원 채소/특작: 토마토, 인삼 등 853억원 ※ 전체 피해(1조 2,354억원)의 90% 이상 축산 ∙ 과수에서 발생 6
농업 생산액의 둔화 농업생산액 추이
식품 소비의 서양화 국민 1인당 주요 농산물 소비량 추이와 전망
경영규모화 부진 / 농가소득 정체 농가 소득 전망
도농간 소득격차 확대 농가 소득과 도시 근로자 가구 소득변화 추이
신성장 동력 등장 / 농산업 영역 확장 11
농업교육의 역사와 현황 2
주요 농업구조정책
농업농촌종합대책
정예농업인력육성 종합대책(2004~2013) 15
농업교육계획 농업교육체계 개편 방안(2006) 년 정예농업인력육성종합대책에서의 농업교육 계획 - 전체 농정의 틀 그리고 인력육성정책의 틀안에 추진되기 시작 신농업교육체제(2008) - 농업 마이스터 대학, WPL - 농업인재개발원 농정원 농업교육 3개년 기본계획(2011~2013) - 법률에 근거한 최초의 농업교육분야 법정계획 - 우수한 인적자원의 축적과 능력 발전을 위해 농업 경쟁력 향상 에 기여를 비전으로 강한 농업인재 ․ 핵심능력 배양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16
농업교육체계 개편방안(2006) -농고/농대 교육 프로그램 -농업인턴제 -대학생창업연수/비농업계 직업 훈련과정 -창업농후견인제 -후계농 추가지원 -품목별 전문교육 -농촌홍보센터 농촌정보문화 센터 17
신농업교육체제(2008) -농업 마이스터 대학 -WPL실습장 -농업인재개발원 18
농업교육 3개년 기본계획(2011~2013) -표준 프로그램 -교육기관 인증 -농업인 역량 진단 19
신규 전문농업경영인 육성방안(2012~2016) 20
농림수산식품 관련교육 현황 21
농업교육 주요주체별 역할 분담 22
농업교육의 성과와 문제점 3
농업교육투자의 성과(2004~) 농업인력 및 교육에 대한 체계적 투자 - 농업인력육성 및 농업교육에 대한 중장기 계획 농업교육 전담 지원기관 설립 - 농업인재개발원(2009) 농정원 인재양성본부(2012) - 농업교육 기획, 연구조사, 평가, 인증, 개발의 전문화 농업교육에 대한 접근성 제고 - 농업교육 포털(agriedun.net) 개설 - 어디서, 언제, 어떤 교육이 누구를 대상으로 개설되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24
농업교육투자의 성과(2004~) 농업교육 참여 기관의 확대 - 공공기관 / 소수 농민단체 다양한 민간기관 참여 농업교육내용의 다양화 - 농업기술교육 경영 ․ 마케팅 ․ 회계 및 농촌 ․ 리더십 관련 교육, 소비자 교육 농업교육 내용의 질 제고 - 교육내용 및 운영(기획-관리)의 표준화 / 정기적인 교육평가 - 강사 Pool제, 품목교수 육성 등 강사요원 개발, 관리 - 프로그램 전담인력 연수 25
농업교육의 성과 농업성장에 기여 - 토지, 노동 투입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총 요소생산성 증가 - R & D: 기술개발 투자, 인력개발 농업부문 투입요소 및 총요소생산성의 성장 기여
농업교육의 문제점 강사중심, 학문중심, 품목일반 중심 - 교육 프로그램간 단절, 내용 중복 - 심화 교육의 한계 중앙집중, 교육기관간 연계 부족 - 지역 농업교육역량 부재 - 사회교육↔ 학교교육, 학교 단계 단계간 농업인 중심 교육, 농업중심 교육의 한계 - 농업인 성장단계의 설정 - 교양, 인문학적 내용 부재 집합식 교육 중심 - 다양한 학습 방식에 대한 지원 부족 27
향후 10년후 농업인력 미스매치 현재 노동생산성에서 증가가 없다면: -629천명 현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½ 수준 성장: -220천명 현재와 같은 노동생산성 증가율로 성장: +76천명 28
농업인력 수급전망의 시사점 노동생산성 유지 노력 (+규모화, 기계화, 조직화) 전문성 개발 성장가능성 높은 신규 인력 유입(22천명/년) 성공적 정착 + 전 문성 신장 농업계 학교 후계인력 40~50대 65세이상 경영승계 농가외 고용인력의 유입강화 농업법인을 통한 생산성 강화 29
농업교육의 발전방향 4
31 농업 노동생산성 제고 능력 중심 지역 중심 품목 중심 학습 중심 평생 교육 내용 확장
능력중심 교육 학문중심, 강사중심의 교육에서 탈피 - 농업교육 분야별/품목별 NQF, NCS 개발 - 교육과정 슬림화 / 효율화 추진 - 뉴질랜드사례: 32
지역중심 교육 지역 중심의 농업교육협의체 활성화 - 네덜란드 Green Knowledge Cooperative 지역 거점 농고/농대/농업교육시설 육성 - 예) 거점농고 육성 예산지원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에 있어 농식품부의 개입 강화 농업전공 공모제 교장 및 교사 초빙제 실시 및 교육과정 자율적 운영 기존의 교과중심이 아니라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 중심 교육 실시 농업 품목단체(위원회)와의 연계 강화 33
지역중심 교육 지역단위 농업교육지원 시스템 구축 - 지역중간지원조직의 육성: 시군단위의 농업교육/농업취업 지원 을 위한 민간주도의 별도 전담조직 육성 지역단위 농업교육 Coordinating 농업기술센터, 농협, 농 민단체 등의 구심점, 농업계 학교와 민간의 교육 연계 지역 농업/농촌 구인구직 연계시스템 / 농업계학생 취업정보 제공 지역단위 외국인 노동자/일용직/도시민 농업기초교육 실시 영농승계 지원 신규 취농자 / 후계자 / 귀농자 지원 농업법인체 필요인력 incubating / 기초역량 교육 노령농업인의 가업승계 프로그램 (신규농과의 연계) 운영 34
품목중심 교육 품목별 생산구조/인력구조의 차별성 - 품목중심의 인력육성/농업교육 시스템 구축 필요 품목교육의 기반 활성화 - 농업인 학습조직: 작목반, 품목별연구회 - 농업인대학/마이스터대학 - 한국농식품법인연합회 품목위원회(과일, 과채, 양념채소, 엽근 채소, 버섯, 특작, 가공식품, 축산수산, 양곡) 품목별 전문가 육성 - 현장중심의 품목별 전문가 네트워크: 품목실습전문교수 / 전문 지도연구회 /마이스터/신지식농업인 등 - 전문활동: 분기별 세미나 / 공동연구 / 교사연수 / 공동연수… 35
평생 교육 다양한 진로 경로의 설정 36
평생 교육 단계별 차별화된 접근 37
다양한 학습방식에 대한 지원 농업인의 학습경험 38
다양한 학습방식에 대한 지원 교육이외에 다양한 전문성 개발 수단(학습조직, 컨설팅, 개 인학습)에 대한 지원 - 기존의 학습조직 활성화: 작목반, 품목연구회, 농민/품목단체( 지역조직) - 전문가 컨설팅(멘토링, 코칭, 인턴십, 도제)을 통한 학습 지원 - 다양한 개인학습 방식 지원: 소식지(각종 행사 및 정보 출처 제 공), 신문, 잡지, 인터넷/SNS, Application - Blended Learning 프로그램 운영 39
교육 내용의 확장 Agri-Food Complex - Production & Distribution of Sufficient Food that is Safe and of Good Quality - 네덜란드 Green Education 40
교육 내용의 확장 자료 : 김철민 농림수산 관련산업의 부가가치와 종사자수 추정. CEO Focus 41
교양 및 인문학적 내용 경험 확대 - 돈버는 농업인, 농업 생산, 경영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 - 농업인으로서의 삶에 대한 자부심 부여 식량안보, 국토 수호자 - 윤리적 생산자 안전한 농식품 - 농촌의 사회적자본 형성 구성원 다양화에 따른 사회갈등 증폭에 대한 대안 농촌 지역사회 복지, 지역개발 등에 적극적 참여 협동조합/사회적기업/농어촌공동체회사 교육 내용의 확장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