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교사회사업 역사와 현황 1. 우리나라 학교사회사업 2. 외국의 학교사회사업 ㄱ. 미국의 학교사회사업 ㄴ. 스웨덴의 학교사회사업 ㄷ. 독일의 학교사회사업 3. 외국 학교 사회사업과의 비교 및 시사점.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Advertisements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선교전례사목부. 선교전례사목부 사목목표 사목목표주요시책 1 사목 교서에 따른 업무 1-1. “ 신앙의 해 ” 주제에 따른 업무 및 교육 1-2. 제 2 차 바티칸 공의회에 따른 선교 방법의 체계적 교육 확대 1-3. 선교를 위한 레지오, 구역반장의 인식 고취 1-4.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학생 포트폴리오 에너지자원공학과 학생 포트폴리오란 ? 포트폴리오의 기능  학생의 경험 및 전공 관련 학습결과를 정리한 결과물  학교생활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과정, 목표, 노력, 태도, 교육활동, 성과물  재능 및 취미 등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모아둔 것  자신의.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Internet Addiction Disorder

사회복지학부 03H0028 안상엽.
Volunteer work.
나의 진로와 앞으로의 계획에 관하여 박세훈.
LG스마트융합공학과 산학장학생 지원서 LG스마트융합공학과 지원회사/분야 인적사항 석사 연구실 (예정) 병역사항 학력사항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유학생 해피투게더 유학생 해피투게더란? 유학생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정서적 교류와 상호지지를 통해 유대감 강화와
2012년도 교직이수자 2차선발자 대상 인•적성 검사 실시 안내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학교사회사업서비스 ★5조★ 우향신 유지현 윤상미 윤상호 윤효선 은병수 이경희 이광명 이길주 이남숙 이명진.
1부 기관에대한소개 1.기관의 역사 및 사업 1)기관의 설립 동기 및 배경 순천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법인 순천성신원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천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사회문제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기능 강화 사업과 지역사회보호사업,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학교사회복지의 개념 박 경 진.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실습일정표> 7월 3일~8월 4일(5주)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제14장 학교사회 복지.
제3장 스포츠 산업.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OECD 평균 한국
제14장 학교사회 복지.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전북대학교 물 재이용 증진을 위한 범국민적 사고전환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미국 음악교육자협의회 (MENC,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청소년 흡연 원광중학교 이 정 란.
학교사회사업에서의 사례관리 실천방법에 관한 연구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보건교육방법론 1주.
인권(人權)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Through the Human Rights 정 수 홍.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Anyang Volunteer Center
제1장 행동수정 이론의 특징.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주관 : (사)한국사회복지심리사협회, 강남전문학교 공동
사회복지실천기술론(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2).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2012학년도 주5일수업제 전면 자율 도입에 대비한 설문조사 결과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교직이수 2학년 학기 초(3월) 선발 선발 기준 교직적성, 인성 및 학업성적 선발 인원 당해 입학정원의 10% 이내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전문교양 DU생활설계(1)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1. 돌파지식 제목 2.핵심성과 3.핵심 아이디어 4.실행 프로세스 ★ 돌파 레벨 : 개인 / 팀 / 복지관 / 재단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1 학교사회사업 역사와 현황 1. 우리나라 학교사회사업 2. 외국의 학교사회사업 ㄱ. 미국의 학교사회사업 ㄴ. 스웨덴의 학교사회사업 ㄷ. 독일의 학교사회사업 3. 외국 학교 사회사업과의 비교 및 시사점

2 1. 우리나라 학교사회사업 역사 ㄱ 년 해방 이후 ~ 1960 년대 후반  공교육 도입 - 국민의무교육 법적보장 - 학교교육 정착시기  해방과 6.25 전쟁으로 전후 복구사업 위한 선교사 중심의 외원 단체들이 들어온 시기  요보호 학생 상담과 사회복지서비스는 1950 년대부터 학교제도, 지역사회 내에서 전개  교도교사에 의한 학생생활지도가 중심 / 외원 단체에 의한 물자 자원, 시설수용 통한 구호적 성격의 서비스로 현대적 의미의 학 교사회사업이라 볼 수 없다.  당시 외원기관 근무 사회사업가의 빈곤아동, 요보호 학생 가정 방문 - 상담과 재정적 지원 제공 (1900 년대 초기 미국 방문교사제도와 유사 ).  1960 년대 현대적인 의미의 학교사회사업으로 발전 (1960 년대 후반 캐나다 유니테리언봉사회 마포사회복지관 : 아동복지사업 사회사업가 - 학교와 계약 - 현대적 의미 학교사회사업 실시 ) 한국 카운슬러협회가 창립 / 교도 교사수 증가 ( 형식적 )

3 ㄴ 년대 이후 ~ 현재 1970 년대 :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사회 불균형이 발생, 외원기관의 철수로 사회복지의 자주화와 전문화가 강 조되던 시기 사회복지의 분야가 세분화, 다양화되어 학교사회사업 에 관한 이론과 개념이 소개되기 시작. 요보호 학생 위한 전문적 개입방법으로 학교사회사업 에 관한 학위논문과 소개서가 처음 나오기 시작 1980 년대 후반 : 급증한 종합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 학 생에게 사회복지서비스 제공하는 데 기여. 학교와 연계하지 않은 사회복지기관 독자적 서비스학 교사회사업 인식하기 시작 전문 사회복지사의 학교사회사업 서비스 시작

4 ㄴ 년대 이후 ~ 현재 1990 년 중반 : 학교사회사업 실증적 실험연구 논문발표 시작 교도교사제도 정착, 확산시기 : 학생상담 자원봉사제 도입 1990 년 중반 : 학교사회사업의 본격적인 관심과 연구를 시작 년 국민복지기획단이 학교사회사업 제도적 도입을 주장 년 학교사회사업의 순차적 도입을 건의 년 학교사회사업을 교육제도 내에 공식적 도입발표 1996 년 서울․대구․대전․광주에서 1 개교씩 선정, 학교사회사업의 도입 위한 시범연구사업을 시행 년 중반 학교사회사업의 사회적 관심 증가되기 시작 학교사회사업 제도화 위한 학문적, 시험연구가 본격실시 1997 년 5 월 학교사회사업학회가 창립

5 2. 외국의 학교사회사업 ㄱ. 미국의 학교사회사업 1) 방문교사시기 (1800 년대 후반~ 1930 년대 ) ① 1800 년대 후반 ~1910 년대 1800 년대 후반 ~1900 년대 : 이민자와 이농민이 급증하던 시기 이주민의 교육, 빈곤, 노동환경, 범죄 등 다양한 사회문제 발생 19 세기 후반 스태판 목사의 자선조직단체 / 스타톤의 인보관 20 세기 초반 : 방문교사의 역할 시작 / 학교사회사업의 태동 지역내 인보관 활동 사회사업가들이 학교를 방문 요보호 학생들에게 사회사업서비스를 제공 빈곤, 학교부적응으로 인한 요보호 학생의 학업성취를 돕기 위 한 지역사회 - 가정 - 학교의 연계활동을 중심으로 활동

6 1) 방문교사시기 ( 1800 년대 후반~ 1930 년대 ) ② 1920 년대 ~ 1930 년대  방문교사의 활동 활발해짐 / 학교복지의 중요성 부각  방문교사는 학교 내 전문인력으로 인정 받음  정신건강의 예방과 치료에 중점  정신건강 전문가, 심리치료사로 역할변화  개인의 심리이론, 개별지도 방법론, 사회사업의 가치, 정체성 등이 발전  학교사회사업이 사회사업 전문분야로 정착화 시기  1929 년 Milford 회의에서 방문교사를 사회사업의 6 대 전문분야 중 하나로 인정.

7 2) 학교사회사업의 전문화시기 (1940 년대 ~ 1980 년대 초반 ) ① 1940 년대 ~ 1960 년대 초반 11940 년대 방문교사제도가 공식적 활동으로 인정 - 전국확산 학학교사회사업가로 명칭 바뀜 학학교사회사업가 역할 전문적, 미시적으로 변화 학학생과 라포 (rapport) 형성, 문제 사정, 다양한 심리치료법 사용 전전문심리치료사 / 특수한 형태의 개별사회사업가로 인식 ② 1960 년대 중반 ~ 1980 년대 초반 학학교교육과 학교사회사업의 효과성에 대한 비판으로 학교사회 사업가의 역할변화 요구 ( 포괄적, 팀접근적인 방법요구 ) 11970 년대 학교사회사업을 위한 표준화와 전문화가 이룬 시기 11976 년 전미 사회사업가협회 (NASW): 학교사회사업의 표준화 서비스를 위한 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 양성과정, 윤리강령, 서비스의 종류와 과업 등 규정 학학교사회사업가의 역할을 처음으로 표준화. 11992 년 이 표준화를 수정, 보완한 새로운 직무표준화가 완성. 학학교사회사업의 전문화 위한 전문 학술지가 발간되기도 함.

8 3) 학교연계의 통합적 서비스 시기 (1980 년대 중반 ~ 현재 ) ① 1980 년대 중반 이후 11970 년대 후반 청소년 학생 중퇴, 미혼모, 마약, 가출, 범죄 등 학생문제와 빈곤아동, 아동학대, 걸인, 부랑아, 이혼, AIDS 등의 사회문제가 점차 심각 11980 년대 문제 예방, 해결위해 보다 포괄 * 통합적인 학교사회사 업서비스 요구됨 학학교 - 사회환경 상호관계 중요시 11980 년대 개혁운동 : 통합적 복지서비스 요구 / 정신건강, 보건, 의 료 등 심심리치료사, 교육자, 자문자, 연계자, 사례관리자의 역할 변화 사사회사업석사 이상 학위, 전문사회사업가의 자격증 필요 전전문조직의 세분화 - 확산 : 학교사회사업의 전문성이 심화.

9 4) 미국 학교사회사업의 현황과 전망  학교사회사업가를 정식명칭으로 사용 / 전문직을 인정  사회사업학 석사가 학교사회사업의 기본자격으로 확 대되고 있음  타 분야의 교육인력과 상호협력, 팀접근을 강조  급여수준 : 조사된 24 개 지역 평균 급여액 ( 연 $28,955)  학교사회사업은 현재도 계속 변화, 발전하고 있음  학교사회사업가 자격증제도 전국적으로 확산  전미 사회사업가협회의 제일분과로 재조직 학교사회사업의 역할과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10 ㄴ. 스웨덴의 학교사회사업  국민학교 * 짐나지움 ( 대학진학과정 고교 ) 의 사회사업가로 구분  학생복지활동에 관한 업무로 학교장을 돕는 것  학생복지활동 : 교장, 학교사회사업가, 직업보조, 카운슬러, 의사, 심리학자, 학교간호원, 담임선생님들과 팀웍 활동.  학교사회사업가는 사회복지전문가의 역할 첫째, 학생과 관계있는 일에 대한 사회조사 둘째, 학생을 위한 사회치료의 역할 셋째, 그룹에 취해지는 특수형태의 치료 넷째, 집단적 사회조치에 대한 신청 및 계획 학습과 직업보도 카운슬링, 강습, 교육시간, 교육강의 계획 및 학부모협회의 교육프로그램의 고문, 강사로 참여 사회사업대학의 실습생을 지도․감독.

11 ㄷ. 독일의 학교사회사업 학교 부적응의 문제에 주요관심 학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 1) 학교내 교사 - 학생간 갈등 해결 2) 학교의 거대화와 통제의 난점이 학생들에게 학교생활 전반에서 나타나는 불안상황 위험을 감소 3) 학생들의 전공수행능력의 차이와 인지적 수업에의 순수한 욕망 으로 인한 기존적 학교 - 사회의 관계구조 개선 4) 교사의 가르침과 학습의 내용과 방법은 점점 더 학생들의 관심을 끌기에 역부족으로 학습능력 향상 5) 스트레스와 결여된 삶, 직업적 전망 불확실등으로 인한 불안감소 독독일의 학교사회사업의 특징은 학생 개개인에게 나타나는 ‘ 개인 차 ’ 를 인정하는 가운데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12 3. 외국 학교 사회사업과의 비교 및 시사점 1) 정서적․사회적 측면의 비교  한국 학생 개인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은 재능과 적성, 취향 등 개인의 능력차에서 야기되는 학교부적응의 문제가 많 은 입시위주의 우리 교육체제에서는 그 해답을 찾기에 는 많은 시간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  외국 청소년문화건설 등 지역사회와 연계된 학교사회사업 프 로그램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의 경우 청소년 들의 정신적․심리적 사회에 대한 불안감등으로 청소년 문화 발전에 대한 적극적, 구체적인 활동이 없다고 할 수 있다.

13 제도적 측면에서의 비교 학학교사회사업가의 기준 외국 : 전문적 교육 받은 석사학위이상 소지자의 전문가 한국 : 전문교육 받은 자 부족하며 교과과정도 미흡 전문가로서 전문사회복지사의 의무고용에 대한 법제화 필요 미국 :1978 년 미국사회사업가협회 (NASW) 가 학교사회사 업의 발전을 위한 지침서로 학교사회사업서비스표준 (standards for social work services in school) 을 개발 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학교사회사업의 실천과 정책적인 발전에 기여

14 한국에의 시사점 학교사회사업이란 제도는 교육 행정부를 포함한 정부, 학교, 학생, 가정, 지역사회 특히 학교사회사업 전문가들의 끊임없는 시행 착오와 의지적인 노력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제도화되기 전 시범운영단계로 학교사회사업제도 의 올바른 정착화와 활성화를 위한 학교사회사업의 인식 제고 및 학교사회사업학회를 비롯한 사회복지계의 적극적인 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독일학교는 학생, 교사, 사회사업에 적합한 방법 또는 사회교육적 인 방법을 사용하여 학교내, 학교와 관련된 학생 - 교사 - 학부모간 발생 가능한 갈등과 이반현상 등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개 념으로 이해하며, 청소년의 전인적 사회화 과정에도 중요한 영 향을 미친다고 강조 학교사회사업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 학교, 공공기관, 민영기관들 과의 연계성을 가지고, 학생 - 교사의 행동 및 동기영역의 활성화 와 학교 및 지역사회의 발전에 상당한 기여, 정부 차원의 적극적 인 지원의 중요성도 요구 됨.

15 수고하셨습니다. 다음 시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