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국외여행보고서 ( 제 9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imicrobial Agen ts and Resistance 참석 및 연구성과 발표 보고 )
○ 관련 연구 동향 ․금번 학회는 전세계적으로 높은 항생제 내성률로 인해 집중 관리 대상 국가들에 해당하는 아시아 국가 들이 중심으로 진행되는 학회로 문제시 되고 있는 다제내성 균종과 관련된 연구분야에서 국가들간의 폭넓은 교류의 장을 가짐으로써 국가별 최신 항생제 내성균 실태의 변화 및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고 향후 대책에 대한 실마리를 풀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가졌으며 본 학회를 통해 파악한 주요 연구동향에 대해 아래와 같이 간략하게 정리하고자 함. 항생제 내성 유전자의 분자진단 ․ 항생제 내성이 문제가 되는 주요 세균은 ESKAPE 라고 불리는 Enterococcus faecium, 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Acinetobacter baumannii,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acter spp. 라고 할 수 있음. ․ 특히, Cabapenemases, 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 (KPC), OXA-48, metallo-beta- lactamases 같은 내성 유전자가 알려져 있음. ․ 유전자의 증폭산물에 결합된 형광 물질로부터 방출되는 형광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분석하는 방 법인 실시간중합효소 연쇄반응 (real-time PCR), 검체 중 단백성분을 이온화하여 진공관 내에서 검출기 에 도달하는 시간을 바탕으로 질량을 측정하는 기법인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그리고 next generation (Next-Gen) sequencing 기법이 소개되었음.
항생제 약동역학 (pharmacokinetics/pharmacodynamics) ․ 항생제 약동역학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적은 항생제의 최상의 용량과 용법을 찾아내는 것임. 즉, 항 생제의 효과는 극대화하면서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투여법을 알아내는 것임. ․ 항생제 내성이 증가하여 효과적인 항생제의 수가 점점 적어져 가는 지금, 약동역학에 근거한 항생제 투여를 통해 감염을 보다 과학적으로 치료해가야 할 요구에 직면해 있음. ․ 항생제 약동역학은 집단적인 차원 뿐 아니라 환자 개인적 차원에서 항생제의 적정 용량과 용법을 제 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어, 개인적인 항생제 용량을 결정하는 방정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새로운 감염병 치료제 개발 ․ Staphylococcus aureus 는 병원 및 지역사회에서 주요한 감염균이며 다제 내성균의 증가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필요함. StaphVAX (capsular polysaccaride-base vaccine), Veronate (clfA), IsdB 등의 백신이 임상 3 상 시험 중에 있음. ․ 기존의 pneumococcal vaccines 은 다양한 혈청형에 적용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새로 운 전략이 필요한데, expanded/directed valency conjugate vaccines, protein based vaccines, whole cell vaccines 의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발표하였음. ․ 항생제 내성이 문제가 되는 주요 세균인 ESKAPE 에 모두 적용 가능한 미생물의 outer membrane vesicles (OMV) 를 이용한 백신 개발 연구를 발표하였음.
아시아의 항생제 스투어드쉽 ․세계적으로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이 증가하며 이로인한 경제적 손실이 늘어나고 있다. 항생제의 적정 사용과 원하지 않은 항생제 내성을 줄이고 경제적인 이익도 가져오게 하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항 생제 스투어드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1997 년 미국은 항생제 스투어드쉽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바 있다. 아시아 각국의 항생제 스튜어드쉽에 대한 전략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중국에서는 2012 년 8 월 the Ministry of Health 에 의해 “Administrative regulations for clinical use of antibacterial agents" 를 시행하였고 2002 년 “guides for hospital drug therapeutic committee", 2004 년 "principles for clinical use of antibiotics", 2008 년 “national formulary" 등 지난 10 년간 다양한 가이드라인 과 교육 등 합리적인 항생제 사용을 위한 제도를 마련해 왔다. 이러한 제도를 뒷받침하기 위해 2011 년부터 3 개년 캠페인을 시작하여 병원별 항생제 허용수 제한과 local healthcare authority promotion 등 다양한 정 책을 시도하였으며 antimicrobial stewardship program (ASP) 의 도입을 시작하였다. 이후 ASP 는 정부가 주관하여 추진할 예정이며 향후 ASP 자체기관의 설립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말레이시아는 2003 년 Ministry of Health 에서 WHO 의 기준에 부합하여 항생제 감시 시스템 강화를 비롯 한 국가차원의 전략을 마련하였다 년 National Drug Utilization study 를 시작으로 매년 병원 데이터를 수집해오고 있으며 2012 년 10 월 Ministry of health 에서 국가적으로 항생제내성 캠페인을 시작하였고 workshop, seminar 등으로 전문인력 양성과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항생제 사용 예방 및 다제내성방지를 위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한국의 ASP 제도의 이행은 1977 년 National health insurance, 1989 년 Universal health insurance, 2000 년 Diagnosis-related group (DRG) 시스템의 정책적 변화로서 처방과 허가를 분리하였고 의사의 처 방없이 항생제 판매를 금지시킨 이후로 매년 URI 에서의 항생제 처방률이 감소하고 있으며 2012 년 이후 까지 DRG 를 확대시행하고 있다. 병원에서의 ASP 프로그램은 대부분 항생제 제한과 허용에 관한 내용 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으며 일부 종합병원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컴퓨터화시킨 시스템을 도입하여 성공 적으로 정착시키고 있다. 그 결과 항생제 사용량의 감소와 ESBL + E.coli, MRSA 의 발생이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