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장 지능과 심리검사
제1절 심리검사의 요건 1. 표준화와 규준 표준화(Standardization) 검사의 실시와 점수화에 있어 동일한 절차를 사용하는 것이다. 검사의 표준화는 검사점수의 체계화를 위한 검사 규준의 개발을 포함한다.
제1절 심리검사의 요건 1. 표준화와 규준 규준(Norm) 심리검사에서 특정개인의 점수가 다른 사람의 점수와 비교하여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모집단을 대표하도록 선정된 표준화 집단(standardization group)에 검사를 실시하여 구성 심리검사 점수는 상대적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검사규준이 필요
제1절 심리검사의 요건 2.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동일 수검자 집단에 동일한 검사를 두 번 실시하여 나온 점수들간의 상관계수 검사-재검사 사이의 시간간격 : 기억이나 연습효과가 희미해질 만큼 길어야 하나, 성숙 등으로 인한 변화로 수검자의 원점수가 달라질 만큼 길어서는 안 된다. 검사와 재검사 점수들 사이의 상관계수를 신뢰도 추정치로 사용 신뢰도 계수는 -1 ~ +1 사이의 값을 나타내며, 계수가 -1이나 +1에 근접할수록 상관 정도가 강한 것
제1절 심리검사의 요건 동형검사 신뢰도 내용과 난이도가 같은 다른 동형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검사 점수들 사이의 상관계수 2. 신뢰도 동형검사 신뢰도 내용과 난이도가 같은 다른 동형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검사 점수들 사이의 상관계수 학습방법 사용전과 사용 후에 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해야 할 때 적합 내적 합치도 한 검사 내 모든 문항간의 상관계수를 근간으로 함. 대표적인 내적 합치도 계수로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를 사용. 내용 표집에 의한 오차 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검사 제작시 필수적
제1절 심리검사의 요건 3. 타당도: 검사가 측정하려고 한 것을 측정하는 정도 1)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검사의 내용이 다루고자 하는 영역을 대표하고 있는 정도 통계에 의존하기보다는 전문가에 의해 논리적으로 평가됨 2) 준거관련 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개인 행동의 특정 측면을 예언하기 위하여 심리검사가 사용되는 경우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립. 검사점수와 예측되는 준거점수 간의 상관계수를 구하여 추정
제1절 심리검사의 요건 3)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검사가 특정한 가설적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정도 3. 타당도 3)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검사가 특정한 가설적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정도 구성타당도 확립을 위해서는? ① 검사의 내적 구조가 측정하려고 하는 개념에 대한 이론에 부합 ② 측정하려는 구성개념과 외적 준거에 대한 이론이 실제 자료와 합치 ③ 많은 가설을 지속적으로 검증
제1절 심리검사의 요건 4. 심리검사의 유형 4. 심리검사의 유형 1) 지능검사 : 개인의 일반적 정신능력을 추정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유형의 능력을 표집, 이질적인 문항들을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나의 총점을 산출하는 검사 2) 적성검사 :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명확히 정의되고 비교적 동질적인 능력을 측정, 단일적성검사와 다중적성검사총집으로 분류 3) 성취검사 : 특정 주제 영역에서 개인의 학습 정도, 성패 정도 혹은 성취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 4) 성격검사 : 동기, 가치, 태도 등 성격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 자기보고식 검사와 투사검사로 분류
제2절 지능검사의 발달 1. Galton의 지능검사 지능은 유전에 의해 결정되며 총명한 사람들이 감각적으로 현저하게 예민하다는 가설 색지각, 청각 및 반응속도와 같은 단순한 감각과정을 측정함으로써 선천적인 인지능력을 측정
제2절 지능검사의 발달 2. Binet의 지능검사 2. Binet의 지능검사 Binet이 1905년 프랑스 교육부의 의뢰로 Theodore Simon과 함께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지능검사를 최초로 개발 검사개발 목적 : 정상적은 교육으로는 교육효과를 얻을 수 없는 아동을 가려낼 수 있는 검사의 개발 Binet-Simon 척도는 정신수준, 즉 정신연령으로 아동의 점수를 표현
제2절 지능검사의 발달 2. Binet의 지능검사 Stanford-Binet 검사는 William Stern(1914)이 제안한 지능지수(intelligence quotient) 개념을 수용하여 점수화 Stanford-Binet 검사 제 4판의 저자인 Thorndike 등은 인지능력의 3수준 위계모형을 채택 IQ = × 100 정신연령 생활연령
제2절 지능검사의 발달 3. Wechsler의 지능검사 David Wechsler는 1939년 성인을 위한 지능검사인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WAIS)를 완성, 후속 연구를 통해 아동용과 유아용 웩슬러 지능검사도 제작 Wechsler는 비언어적 추리를 요구하는 문항을 포함시킴으로써 Stanford-Binet 검사에 비해 수검자의 언어적 능력에 대한 의존도를 낮춤
제2절 지능검사의 발달 3. Wechsler의 지능검사 언어적 능력과 비언어적 능력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전체 IQ 이외에 언어성 IQ와 동작성 IQ를 분리하여 산출 Wechsler는 정신연령의 개념에 입각한 Binet식의 지능지수 산출방식을 버리고 정상분포에 기초한 편차 IQ 점수체계를 도입 오늘날 지능지수라는 용어는 Wechsler식의 편차 IQ를 의미
제3절 지능검사에 관한 기본 개념 1. 지능검사의 측정대상 지능검사의 목적은 지적 잠재력을 측정하는 것이지만 각 개인의 사전 학습 정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결국 잠재력과 지식의 혼합물을 측정
제3절 지능검사에 관한 기본 개념 2. 지능검사 점수의 의미 지능검사 점수는 정상분포와 표준편차에 바탕을 둔 점수체계로 전환됨 일반적으로 지능검사 점수는 평균 100, 표준편차 15를 기준으로 함 지능검사 점수의 의미: 지능검사 점수의 정상분포 상에서 수검자가 어디에 위치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 ※ 정상분포 : 종 모양의 좌우대칭 분포
제3절 지능검사에 관한 기본 개념 3. 지능검사의 신뢰도 지능검사의 신뢰도는 대체로 높은 편 그러나 검사 받으려는 동기가 낮거나 검사 상황에 따라 검사점수가 낮게 나올 수 있음. 따라서 지능검사 점수를 해석할 때 주의가 필요함
제3절 지능검사에 관한 기본 개념 4. 지능검사의 타당도 지능검사가 학업 수행 성공에 대한 타당한 측정도구가 될 수 있으나, 포괄적인 의미의 정신능력을 측정하지는 못함 Robert Sternberg은 연구 결과 지능의 유형이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고 주장 ① 언어적 지능 ② 실용적 문제해결지능 ③ 사회적 지능 결국 대부분의 IQ 검사는 세 가지 유형의 지능 중 첫 번째 유형의 지능만을 측정
제3절 지능검사에 관한 기본 개념 5. 정신지체와 영재 정신지체 : 일상적 생활을 해나갈 수 있는 능력에 결함이 있으면서, 지능검사점수가 70점 이하인 18세 이전 사람의 일반정신능력 영재 : 일반적 지능, 특별한 학문 적성(예 : 수학), 창조성, 리더십, 예술활동, 신체활동의 여섯 개 영역 중 어느 하나에서 매우 우수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아동
제3절 지능검사에 관한 기본 개념 6. 지능의 연령에 따른 변화 2 ~ 3세 정도의 취학 전 아동의 IQ점수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7세나 8세 때의 IQ점수를 가지고 청소년기 및 성인기의 IQ점수를 예언
제3절 지능검사에 관한 기본 개념 7. 지능검사와 직업적 성공 통합분석 결과 지능검사가 직업적 성공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밝혀짐 IQ만이 직업적 성취의 절대적인 결정요인은 아님. 직업적 적성과 직무 동기도 직업에서의 성공에 중요한 요인
제3절 지능검사에 관한 기본 개념 8. IQ점수에 있어서의 인종 간 차이 IQ 점수에서의 인종간 차이 : ‘유전 VS 환경’ ① 1969년 Arthur Jensen의 연구 결과 : 지능의 유전 기여도 80% ② Leon Kamin : ‘지능에 대한 유전 기여도가 아무리 높다고 해도 IQ의 집단간 차이는 부분적으로나마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③ Bouchard & Segal : 소수민족계 학생에 대한 문화적 불이익 때문에 IQ에서의 인종간 차이가 존재한다고 주장.
제4절 지능결정인자로서의 유전과 환경 1. 유전적 영향 지능에 대한 유전적 영향 연구: 쌍생아 연구 쌍생아 연구결과: IQ가 유전에 의해 상당수준 결정됨 지능검사 점수의 상관 계수 일란성 쌍생아 함께 양육 0.85 따로 양육 0.67 이란성 쌍생아 0.58
제4절 지능결정인자로서의 유전과 환경 2. 환경적 영향 입양아 연구 결핍된 환경과 풍요한 환경 입양된 아동의 지능지수와 양부모의 지능지수간 상관의 중앙값은 0.20 함께 자란 형제들 사이의 IQ 점수가 따로 떨어져 자란 형제의 IQ 점수보다 더 유사 결핍된 환경과 풍요한 환경 시설이 열악한 고아원의 아동: 환경의 결핍으로 지능의 퇴보를 보임 고아원에서 중산층 가정으로 입양된 아동: IQ의 증가가 발견
제4절 지능결정인자로서의 유전과 환경 3.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반응범위이론 지능의 발달에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관점 유전에 의해 지능 잠재력의 상한선과 하한선이 정해지고, 이 범위 내에서 환경적 요인에 의해 실제 개인의 지능이 결정 반응범위는 IQ척도상에서 약 20 ~ 25점 간격을 나타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보통 90 ~ 100점의 반응범위를 나타냄
제5절 지능이론 1. 지능이란 지능은 개인의 지적 능력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지능의 정의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은 의견의 일치를 이루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지능이론이 존재
제5절 지능이론 2. Spearman과 g요인 2. Spearman과 g요인 Charles Spearman은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인지능력 검사들이 공유하고 있는 핵심적인 잠재요인을 규명: 이를 일반지능요인(general mental ability; g)라 명명 Spearman은 일반요인과 함께 특수요인 s도 존재하며, 각 특수요인은 개인의 일반지능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 2요인 이론
제5절 지능이론 3. Thurstone의 기초정신능력 Lewis Thurstone(1938)은 지능이 독립적인 능력들로 구성되었다고 주장 단어유창성, 언어이해력, 공간능력, 지각속도, 수리능력, 귀납적 추리능력, 기억력으로 구성되는 지능의 7가지 기초정신능력요인(primary mental ability) 주장
제5절 지능이론 4. Guilford의 지적 구조모형 Guilford(1967)는 지능이 다수의 요인들로 구성된다고 주장 지능구성 요인들은 3가지 차원 -조작, 내용, 산출- 로 구분, 총 150개의 요인들 규명 ① 조작(operation): 검사가 요구하는 다섯 개의 지적 조작들로 구성 ② 내용(content): 검사재료나 정보의 성격을 의미 ③ 산출(product): 정답을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지적 구조 유형
제5절 지능이론 5. Cattell의 유동/결정지능 Cattell(1941) & Horn(1968)은 지능을 유동지능과 결정지능으로 구분 유동지능(fluent intelligence): 선천적으로 타고난 문제해결능력과 학습 능력 결정지능(crystalized intelligence): 유동지능을 사용하여 문화에 의해 학습된 능력 유동지능과 결정지능의 구분은 Stanford-Binet 검사 제작의 근간이 된 위계모형
제5절 지능이론 6. Sternberg의 3정 이론 6. Sternberg의 3정 이론 Robert Sternberg(1984)는 지능의 개념에 인지적 요소 뿐 아니라 현실적 적응능력도 포함 3정 이론(triarchic theory): 지능이 요소적 지능, 경험적 지능, 맥락적 지능으로 구성된다는 이론 ① 요소적 지능: 지적 행동을 관할하는 3가지 정신과정 요소로 구성 ② 경험적 지능: 새로운 과제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능력 ③ 맥락적 지능: 개인이 환경에 적응하거나 환경을 선택, 조성하는 능력
제5절 지능이론 7. Gardner의 다중지능 7. Gardner의 다중지능 Howard Gardner(1983)는 지능이 여러 개의 독립적인 영역들로 구성되었다는 다중지능(multiple ntelligence) 이론을 제시 이에 대한 근거로 특수한 능력을 지닌 정신 지체자 연구 7가지 독립적인 지능들 제시 : 음악적 능력, 신체-운동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언어적 지능, 공간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기이해 지능 최근 7가지 지능에 덧붙여 자연지능, 영적 지능 등을 추가
EQ에 대하여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 EQ)은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과 삶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감정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Mayer & Salovey, 1996). 정서지능의 5가지 차원(Goleman,1995) ① 자기 정서에 대한 이해 ② 정서의 조절 ③ 자기 동기부여 ④ 타인의 정서에 대한 인식, 공감 ⑤ 타인과 원만한 관계 유지
21세기 최근 연구동향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CAT) 컴퓨터를 사용한 검사(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CAT) 는 기존 지필검사의 문항난이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 CAT의 근거가 되는 수학적 모델. 피험자의 능력에 따라 각 문항에 답을 맞힐 확률 분포인 문항특성곡선을 바탕으로, 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문항에 대한 반응을 바탕으로 추론하는 수학모델
21세기 최근 연구동향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CAT) 모든 피험자들을 동일한 정도로 정확하게 측정 가능(측정오차 동일) 개인의 잠재능력을 적은 수의 문항으로 효율적으로 측정 가능 CAT의 단점: 높은 초기 개발비용 때문에 재정적인 부담 문항반응이론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아직까지 논쟁의 대상 CAT의 활용: 현재 미 육군과 ETS 등 대규모 조직에서 사용 미국 대학입학시험(SAT), 대학원 입학시험(GRE)에서 CAT방식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