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문학의 대가 정철 국어국문학과0926020 유호성
목차 1. 서언 2. 문학개관 3. 정철의 생애 4. 정철의 대표작품 5. 정철의 문학사적 가치와 의의 6. 결어 및 참고문헌 7. 질의응답
서 언 <관동별곡>등을 지은 조선 중기 문신 겸 시인 송강 정철. 당대 가사문학의 대가로서 시조의 윤선도와 함께 한국 시가사상 쌍벽으로 일컬어지는 정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전라남도 담양에 위치한 정철 가사문학관
2. 문학개관 정철의 시대 문학적 배경 - 16세기 시대 배경(명종, 선조) - 동서 분당의 심한 조정의 당파 싸움 - 서인의 영수로서 정쟁에 깊이 관여하여 귀향 살이 반복, 귀향하는 동안 작품에 집중
문학관 호남가단 -호남 지방을 중심으로 자연과 벗하는 풍류정신의 시조를 창작해 온 사림들을 일컫는 말. -영남가단과는 달리 표현기법이나 소재 등에서 규범화된 것을 배격하고 인간이 자연과 하나가 될 수 있는 경지를 주로 노래하였다. -송순에서 비롯하여 김성원, 기대승, 고경명, 정철, 임제로 이어진다.
강호가도 - 조선시대 시가문학에서 보인 자연예찬의 풍조 - 시가문학에서는 자연을 예찬하고 자연에 귀의하여 생활하는 것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많다. 그리고 그 대부분은 사대부들이 창작하였다. - 사화와 당쟁의 와중에서 벼슬길로 나서 자칫 거기에 휩쓸려 일신과 가문을 위기로 몰고 가기보다는 고향의 자연에 귀의하여 유유자적한 생활을 하는 것이 보다 안전한 삶의 방식이었다.
3. 정철의 생애 생애 : 1536(중종 31)~1593(선조 26) 호 : 송강 (松江) 시대 : 조선 중기 본관 : 연일 서울 출생 조선 중기의 문인 , 정치가 주요저서 -시문집 <송강집>과 시가작품집 <송강가사>
생애 1536년에 서울에서 아버지 정유침과 어머니 죽산 안씨 사이에서, 위로 형 셋과 누나 셋을 둔 막내로 태어남 1536년에 서울에서 아버지 정유침과 어머니 죽산 안씨 사이에서, 위로 형 셋과 누나 셋을 둔 막내로 태어남 10세 되던 해 을사사화에 계림군이 관련되어 일족으로서 화를 입어 아버지와 유배지로 이동 귀양살이 후 전라남도 담양으로 이주하여 10년간 송순, 기대승, 임억령에게 학문을 배움. 17세 때 혼인하고, 26세에 과거급제
40세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회귀 45세 때 강원도 관찰사가 되었으며, 이때 <관동별곡> 창작 48세 때 동인의 탄핵을 받아 창평으로 돌아가 4년간 은둔하며 <사미인곡> 등 가사 창작 54세 때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우의정에 발탁되고 동인들을 추방하고, 좌의정에 올랐다. 광해군 책봉 건의 문제로 유배 57세 때 임진왜란 일어나자 귀양에서 풀려나고,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체찰사 지냄 동인의 모함으로 사직, 강화 송정촌에 우거하다 58세 나이로 순직.
4. 정철의 대표작품 <성산별곡> : 성산의 자연미를 4계절에 따라 읊고 김성원의 풍류를 노래함. <관동별곡> : 내,외,해금강과 관동팔경 등을 유람한 후 그곳의 자연 경관을 노래한 작품 <사미인곡> : 창평에 귀양 가서 임을 그리는 마음을 노래한 충신연주지사 <속미인곡> : <사미인곡>의 속편,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임을 잃은 여인의 심정에 빗댄 작품 <장진주사> : 최초의 사설시조
<사미인곡> 갈래:서정 가사, 양반 가사 성격:서정적, 연모적 사미인곡 결사 부분 -> 갈래:서정 가사, 양반 가사 성격:서정적, 연모적 운율:3(4)ㆍ4조, 4음보의 연속체 주제:연군(戀君)의 정 출전 : 『송강가사』, 성주본 의의: 우리말 구사의 극치를 보여 줌.후편 격인 ‘속미인곡’과 더불어 가사 문학의 백미를 이룸.충신연주지사의 대표적 작품 연대:선조 21년(1588)
이해와 감상 : 이 작품은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난 정철이 전남 창평에 머무르면서 임금을 그리는 초조하고 안타까운 심정을, 이별한 임을 그리는 여인의 심정에 의탁하여 읊은 연군 가사이다. 왕과 신하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표출하지 않고, 작가 자신을 임의 사랑을 받지 못하는 여인으로, 임금(선조)을 임으로 설정하여, 외로운 신하의 처지와 변함없는 충정을 여성적 어조로 애절하게 노래하였다.
5. 정철의 문학사적 가치와 의의 정철은 시조와 가사에서 이룬 업적이 탁월하다. 한시도 많이 지었지만 국문시가가 오늘날은 물론 당대에도 더욱 높이 평가되어 민족어문학 긍정론의 논거를 제공 했다는 문학사적 의의를 갖는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6. 결어 및 참고문헌 정철은 16세기 조선의 대표적 문인 문학사적으로 훌륭한 가사작품 창작 정치적 역경과 잦은 귀양으로 문학적 완성도 높은 작품을 창작 가능하게 되었으며, 문학사에 빛나는 업적을 남기게 됨. -> 정철을 통해 자연환경의 아름다운 묘사와 사랑에 대한 정서 표현법을 느낄 수 있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변승구, 『다시 보는 古典作家論』,목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윤희재, 『고전시가』, 열린교육, 2013 김진욱, 『송강 정철 문학의 재인식』, 역락, 2004
질의응답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