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철 호 계명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동산의료원 수면클리닉 대구남구 정신보건센터장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과학 과제물 양파실험 5학년1반 박채빈.
과학자유탐구 30437한수경 30438형예지 30439홍예진.
생리심리학 발표: "잠자는 뇌를 깨워라" 사회복지학과 김마리아.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초끈이론의 탄생과 현재 박정목 ( 물리학과 ) 이용한 ( 물리학과 )
수면다원검사의 이론과 실제 2016년 4월 23일 진 유 양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Multi Intelligence Theory
잠재력의 발견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Progress Seminar 선석규.
인간행동과 심리학 15. 뇌과학의 응용.
상관함수 correlation function
99mTc-DMSA신장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18F-FDG 생산 효율 증가 및 안정화 30 th May 2009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이지웅,장화연,신상민,김명준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활성화 및 신경화학적 두뇌 기능 영상 PET 연구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Quiz #7 다음 수들을 합병 정렬과 퀵 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름 차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데이터 이동 회수를 각각 구하라. 여러분은 정렬 과정을 단계별로 보이면서 이동 회수를 추적해야 한다. 단, 퀵 정렬시에 피봇으로 배열의 왼쪽 첫 번째 원소를 선택한다. 5.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Multi Intelligence Theory
교육진단검사 PEP-R.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디버깅 관련 옵션 실습해보기 발표 : 2008년 5월 19일 2분반 정 훈 승
유아 건강 ★ 해피 트리 ★.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강은진.
종이비행기가 잘 날기 위한 조건 만든이:김윤성.
시각절벽실험 김현우.
McKinsey 7S MODEL McKinsey 의 7S Model 은
DA :: 퀵 정렬 Quick Sort 퀵 정렬은 비교방식의 정렬 중 가장 빠른 정렬방법이다.
비열.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쉽게 배우는 알고리즘 2장. 점화식과 점근적 복잡도 분석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MotionSolve Contact 해석을 위해 Mesh를 조밀하게 짜서 해석하였지만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의학전문대학원 신경생물학교실 원무호.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영구적 염모제의 원리 학번 : 이름 : 윤다현
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 윤성우 저 열혈강의 C++ 프로그래밍 개정판 Chapter 05. 복사 생성자.
Chapter 7. A3C Ho-Bin Choi A3C.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사과의 갈변현상 관찰하기 4-2 배형준.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Progress Seminar 양승만.
행동-학습 이론 1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안석균.
강화학습: 기초.
인지발달과 운동수행 II 강의 6.
생명의 청사진 분자유전체의학 김 경 원.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피보나치수열에 대하여 한림초 5학년 신동오.
Presentation transcript:

정 철 호 계명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동산의료원 수면클리닉 대구남구 정신보건센터장 어린이 수면과 학습 및 정서발달 정 철 호 계명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동산의료원 수면클리닉 대구남구 정신보건센터장

06/06/97 강의 차 례 수면 생리 수면과 학습 및 정서발달 2

수면 세익스피어: 그날 그날의 삶의 최후 새뮤얼 존슨: 저항할 수 없는 마취 과학자: 수면동안 뇌활동이 활발하다. 06/06/97 수면 세익스피어: 그날 그날의 삶의 최후 새뮤얼 존슨: 저항할 수 없는 마취 과학자: 수면동안 뇌활동이 활발하다. 뇌파검사(1920~30년대): 수면뇌파 연구 잠자는 사람의 뇌파는 하룻밤 동안 다양하게 변화한다. REM수면( 꿈수면): 뇌활동 급격한 증가, 눈 운동의 증가, 근육의 준 마비 상태 NREM수면: 규칙적인 호흡, 최소한의 감각반응, 사지움직임 가능 2

1. 수면의 생리 시편 127:2 수면구조:REM (Rapid Eye Movement) NREM(1,2,3,4기) 생체리듬: 24시간 주기 불면증이란 병명이 아니라 여러 원인에서 오는 증상입니다. 마치 두통, 복통 같은 것입니다. 불면증을 이루는 증상은 4가지로 구성됩니다. 어떤 증상이 주가 되던지 결국 다음날 활동을 하는데 지장을 느낄 정도로 충분한 잠을 자지 못하면 불면증이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면과정의 도식도

연령에 따른 수면 단계 변화 그래프

수면생리 정상수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수면단계 Description 뇌파양상 수면시간(%) --------------------------------------------- NREM I 수면과 각성의 사이 Desyncronized, 5 % (얕은 수면 시작) low voltage II 아직 얕은 수면 Sleep spindles, 50 % K-complex III 깊은 수면의 시작 Delta waves 10 % IV 깊은 수면 Delta waves 15 % REM 꿈꾸는 잠 Desyncronized 20 % low voltage 불면증이란 병명이 아니라 여러 원인에서 오는 증상입니다. 마치 두통, 복통 같은 것입니다. 불면증을 이루는 증상은 4가지로 구성됩니다. 어떤 증상이 주가 되던지 결국 다음날 활동을 하는데 지장을 느낄 정도로 충분한 잠을 자지 못하면 불면증이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면의 기능 피로회복 기능(육체적, 정신적) 생명유지에 필수적 인지기능 및 면역기능 유지 단백질 합성 및 중추신경계 발육(어린이) 기억 및 학습 강화 일생의 삼분의 일을 차지

정상수면 정상수면은 REM수면과 NREM 수면으로 나뉜다. 수면의 시작은 NREM 수면으로 시작한다. 수면의 주기는 90-110분으로 하루 밤에 4-5회의 주기를 가진다. 수면의 전반 1/3 깊은 수면(SWS)이 후반 1/3 꿈꾸는 수면이 많이 차지.

수면과정의 도식도

NREM 수면 수면의 깊이에 따라 수면단계 1,2,3,4 1,2는 얕은 수면, 3,4는 깊은 수면에 속한다. 뇌는 비활성화되며 신체는 움직일 수 있음. 야경증, 몽유병 등은 주로 수면전반 1/3의 NREM 수면에서 발생. 전체수면시간의 75-80%차지, 노인에서 3,4수면이 감소한다.

REM 수면 REM 수면의 특징: 급속안구운동이 나타나며, 호흡과 심장박동이 불규칙해 진다. 발기가 일어난다. 신체 마비가 오는 반면, 뇌는 깨어있을 때처럼 각성뇌파에 가깝다 급속안구운동이 나타나며, 호흡과 심장박동이 불규칙해 진다. 발기가 일어난다. 수면시간의 20-25%를 차지하며 수면후반 1/3 에서 주로 나타난다. 수면 무호흡이 REM 수면 시에 악화된다.

NREM 수면의 뇌파

REM 수면의 뇌파 및 안구운동

계명의대 정신건강의학과 정철호 영남의대 정신건강의학과 서완석 수면, 인지기능과 신경영상학 계명의대 정신건강의학과 정철호 영남의대 정신건강의학과 서완석

수면과 학습 “If sleep does not serve an absolutely vital function, then it is the biggest mistake the evolutionary process has ever made” Allan Rechtschaffen 수면과 학습

Two forms of learning 암시적 학습:학습 덜필요 (nondeclarative) 사실 사건 (의미론) 명백한(선언적)학습 학습필요 암시적 학습:학습 덜필요 (nondeclarative) 사실 사건 (의미론) 기폭제priming 절차적Procedural (skills and habits) 연상학습 Associated L: classical C operant C Nonassociative L: habituation sensitization Med. 측두엽 (hippocampus) 정서적 반응 골, 근육계 대뇌신피질 Striatum amygdala 소뇌 Reflex pathways Semantic learning은 학습이 필요한 영역/ procedural learning과 같은 implicit learning은 의식적인 노력이 덜 필요한 영역으로 볼 수 있다.

Two forms of learning Explicit (declarative) Implicit (nondeclarative) Facts Events (semantic) priming Procedural (skills and habits) Associated L: classical C operant C Nonassociative L: habituation sensitization Med. Temp.Lobe (hippocampus) Emotional response Skeletal musculature Neocortex Striatum amygdala CBLL Reflex pathways Semantic learning은 학습이 필요한 영역/ procedural learning과 같은 implicit learning은 의식적인 노력이 덜 필요한 영역으로 볼 수 있다.

수면후 학습의 증진 Walker and colleagues (2002) 밤 수면은 motor speed를 20% 증진 수행도 호전 ∝ stage 2 NREM Stickgold and colleagues (2000) 밤수면의 시각 분별력 호전 기억 강화의 2단계 모델 Early SWS Late REM 동일한 시간동안 깨어있을 경우에는 특별한 이득이 없다. /

수면과 학습 62명의 대상자를 4 군으로 분류하여 finger tapping task를 시행하였음. A-C까지는 오전 10시에 훈련을 시켰음. A 군은 각각 4시간 간격으로 retest를 시행하였음. 반복을 하면서 향상은 있었으나 의미있는 향상은 없었다. B 그룹은 10시-오후 10시에 retest 잠잔 후 오전 10시에 다시 시행. 오전 10시에 유의한 향상이 보고. C그룹은 휴식 후 수면 D 그룹은 posttraing 이후 바로 수면을 취함 Walker et al. Practice with sleep makes perfect. Neuron 2002

Day training시에는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지 않았다(개방원)검은 원은 trating이후 잠을 재운 군-4개 중 3개에서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 호전의 정도는 수면의 양에 비례한다. 6시간 미만의 수면에서는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수면과 consolidation에서는 초기의 sws과 후기의 REM수면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Stickgold et al. Visual discrimination task improvement: A multi-step process occuring during sleep. 2000

학습의 수면단계와 형태 Area of research, debate 선언적 학습 Declarative learning Mixed results SWS/ stage 2 (spindle)/ REM 선언적 학습 Declarative learning (서파수면, 깊은 수면) SWS 후에 증진 과정적 업무 & 정서적 기억 Stage 2 and REM sleep 에 의해 증진 P139.

선언적기억과 암시적 기억 서파수면: 명백한 기억 증진. 암시적 기억에는 무관 24aud의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 수면군, 각성군으로 나눠서 검사를 시행. 저녁 9시 30분 전극부착  10시 15분-11시까지 학습  3시간 잠을 자면서 1또는 2단계 수면이 되면 깨움  15분 후 잠이 깨면 회상검사를 시행 각성 군은 학습 후 3시간 동안 영화보기, 이야기하기, PC게임하기 등으로 시간을 보낸 후 다시 테스트를 함. 수면은 explicit recognition(특히 congruent words에서)을 향상시키고 이는 초기 수면(SWS와 관련이 있는)에서 특히 나타난다. 하지만 implicit memory에서는 수면 그룹에서 차이가 없다.  결론: SWS수면은 explicit memory의 향상에 유용하다. 하지만 implicit memory와 서파수면은 상관이 없다. Drosopoulos et al. Sleep enhances explicit recollection in recognition memory. Learning and Memory. 2005

선언적 기억과 훼방 Large &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 Sleep Waking 오른쪽은 훼방자극을 주었을 때 수면의 역할이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다. Large &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 Sleep More resistant to interference Waking Far more susceptible 선언적 기억의 consolidation test의 일종인데 왼쪽은 훼방자극을 주지 않았을 경우 이고 오른쪽은 훼방자극을 주었을 때 수면의 역할이 훨씬 큰 것을 알 수 있다. Ellebogen et al. Interfering with theories of sleep and memory. Curr. Biol 2006

수면 동안의 학습의 기전 연접부위 강화 Synaptic potentiation 연접부위 강도의 변화 Signal-to-noise ratio 증진 연접부 수준에서 학습관련 물질을 안정화 신경화학적 Neurochemical substrate 서파수면 (SWS)  cholinergic tone 감소  선언적 기억의 강화 서파수면동안 hippocampus 활성화 기억 강화 서파수면 동안의 콜린 레벨은 minimal로 떨어진다. 낮은 cholinergic tone은 해마에서 새로운 기억을 replay하고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하고 가정. 낮 동안의 학습은 햄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음.  posttraining sleep동안 hippocampus의 reactivation이 다시 발생하여 기억의 consolidation이 발생한다.

A. Training group과 nontraining group사이의 활성도를 비교한 것. B A. Training group과 nontraining group사이의 활성도를 비교한 것. B. SWS과 wakefulness사이의 활성도 비교/ A-우측 해마(hipocampus)와 parahippocampal gyrus와 양쪽 fusiform gyrus의 활성화를 볼 수 있고, B-우측 hippocampus의 활성화를 볼 수 있다. A. Training group과 nontraining group사이의 활성도를 비교한 것. B. SWS과 wakefulness사이의 활성도 비교/ A-우측 hipocampus와 parahippocampal gyrus와 양쪽 fusiform gyrus의 활성화를 볼 수 있고, B-우측 hippocampus의 활성화를 볼 수 있다.

해마-신피질 memory consolidation model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해마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초기 기억을 형성하는 데 해마가 cortical activation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중에 consoldation된 기억에서는 해마의 역할을 크지 않고 cortex단독을 역할을 하게 된다. (classical model); 물론 hippocampus가 지속적인 역할을 한다는 가설도 많다. Ending 하는 시기에는 hippocampus가 산재해 있는 cortical module을 재빨리 통합한다. 수면 중에는 지속적인 hippoicampal-cortical network가 reactivation이 되면서 cortical-cortical connection 이 강화되게 됩니다. 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은 hippocampus와는 독립적으로 나타나면서 기존의 cortical memory와 통합하게 된다.

Hippocampal-neocortical memory consolidation model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해마가 중요한 역할 초기 기억을 형성하는 데 해마가 피질활성화와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중에 consoldation된 기억에서는 해마의 역할을 크지 않고 cortex단독을 역할을 하게 된다 (classical model); 물론 hippocampus가 지속적인 역할을 한다는 가설도 많다.

Hippocampal-neocortical memory consolidation model Ending 하는 시기에는 hippocampus가 산재해 있는 cortical module을 재빨리 통합한다. 수면 중에는 지속적인 hippocampal-cortical network가 재활성화 되면서 cortical-cortical connection이 강화. 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은 hippocampus와는 독립적으로 나타나면서 기존의 cortical memory와 통합하게 된다.

수면동안 연상, 통합, 창조성과 정서 수면 의존 기억 과정의 최종 목표는 common schema로 통합하는 것이다. 수면의 증진으로 일반 지식이나 창의성이 촉진된다.

Association and sleep 새로운 현상을 기존에 있던, 장기적 사전적인 기억으로 통합한다. 새로운 현상을 기존에 있던, 장기적 사전적인 기억으로 통합한다. 기존에 있던 경험을 재해석한다. 새로운 정보에서 일반적 패턴을 탐지함 위계적 기억 결속의 증진 수면의 보완 기능 의미의 추출 Extraction of meaning 추론 (즉, 기존의 정보에다가 새로운 지식을 접목하는 것) Abstraction 새로운 경험과 기존의 경험을 연관시키는 작용을 하고, 새로운 정보에 대해 일반적인 양상을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Enhancing hierarchical memory binding: 결론적으로 정보의 integration을 촉진하게 된다. 그래서 수면은 두 가지 보조적인 목적을 가진다. 하나는 consolidation이고(초기에 나타나는 현상), 다른 하나는 추론(즉, 기존의 정보에다가 새로운 지식을 접목하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더욱 높은 단계의 semantic network를 형성하게 된다.

창조성과 수면 문제해결(e.g. anagram word puzzle)이 REM-NREM awakening 후 30% 더 낫다. REM sleep awakening shows a greater priming effect Much more associative process of semantic integration (REM sleep) 창조성의 정의: 기존의 지식을 이용해서, 새롭고 더 나은 행동 양상을 얻는것, 어떤 사실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획득하는 것. 글자 퍼즐수수께기푸는 능력이 호전. REM수면은 다른 수면과 달리 깨어있을 때 경험을 replay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 연상하는 기능을 한다. 수면은 단순한 consolidation, strengthening이외에도 assimilation, generalization을 통해 창조성을 가지게 한다.

Sleep-dependent production of creativity 테스트 방법: 두개의 수가 동일하면 그 수를 말할것, 두 수가 다르면 나머지 수를 말할 것.  반응속도를 봤다. (실제 hidden meaning은 mirror숫자 9-1-4/4-1-9) Wagner et al. Sleep inspires insight. Nature. 2004

정서적 과정 Emotional processing REM sleep 정서적 기억과정의 신경생물학적 기초 제공 정서기억과정을 제공 변연계 limbic와 전두부 forebrain로 Ach 방출(Ach은 기억과 관련. REM동안 4배 >NREM Sleep 이전의 학습된 정서적 주제의 선택적 저장 NREM에 비해 REM동안의 Ach level 은 거의 4배가 된다. (잘 아시다시피 Ach은 기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정서적으로 부정적, 중립적 자극 학습. 4시간전-15분전 test  잠/각성 군. 낮잠군에서 정서적 기억 향상: REM에 비례 정서적으로 부정적, 중립적 자극을 학습. 4시간전-15분전 test - 잠/각성 군으로 나누었음. Emotional memory: nap group에서 향상. (A),이는 REM 수면의 양과 비례(B), 더 specific하게 이야기를 하면 REM수면 동안의 theta activity와 비례한다. Theta oscillation은 정보를 encode하는 데 carrier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ishida REM sleep, prefrontal theta, and the consolidation of human emotional memory. Cereb Cortex. 2009

Sleep to forget and sleep to remember Affective tone은 adrenergic tone과 관련되면서 기억과 함께 반응하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은 남지만 affective tone은 시간이 지나면서 약화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기억만 남고 정서적 반응은 없어지게 된다. (이는 정서적 기억이 오랫동안 지속되는데, 또 정서적 측면이 소멸되는것 모두를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이다)

Sleep deprivation 전체적으로 수면 박탈은 약 40%의 기억 형성능력의 방해를 일으킨다. 전체적으로 수면 박탈은 약 40%의 기억 형성능력의 방해를 일으킨다. 자극의 종류별로 분류했을 경우 중성자극보다는 긍정, 부정 정서적 자극에 대한 기억 능력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부정적 기억은 수면 박탈에 대해 저항이 가장 강한 것을 알 수 있다.(아마도 생존과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Memory encoding 이 감소되는 이유는 해마의 활성도 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fMRI연구에서도 편도는 수면 박탈 시 보상작용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Yoo et al. The human emotional brain without sleep-a prefrontal amygdala disconnect. Curr. Biol. 2007

결론 수면은 전체적으로 인간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nonREM과 REM수면은 인지기능의 활성화에 고유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기억의 활성화는 해마와 다른 피질과의 지속 반복적인 역할을 통해 달성된다 신경영상학은 수면 생리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정상 수면에 대한 지식은 기초수준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