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대 대학원 특강2 중앙아시아 이슬람 : 역사, 그리고 현재의 동학 정세진 (한양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20722 이유라 5.18 민주화 운동의 의미 배경 : 1979 년 12 월 12 일 쿠데타 원인 : 사태 (1979) - 박정희 대통령 죽음, 국가 혼란 - 전두환은 군대를 동원, 정권강탈 - 전국적 시위 발생 5.18 민주화 운동 발생.
민주노총 7 기 임원선거 입장. 원탁회의 원탁회의 노동전선 원탁회의 제의 원탁회의 3 차 회의 좌파노동자회 퇴장 원탁회의 3 차 회의 좌파노동자회 퇴장 원탁회의 4 차 회의 통합집행부 구성 무산 원탁회의 4 차 회의 통합집행부 구성 무산 1. 현장의 투쟁을 방기한 개인과.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2) 북한의 통일 정책 2) 북한의 통일 정책 A) 북한의 통일정책 기본구조 주체와 주체와 방법 방법 한반도 전체의 공산화 북한 노동당규약 전문 : ‘ 온 사회의 공산주의 사회 건설 ’ 명시 주체 : 공산당에 찬성하는 집단이나 개인 방법 : ‘ 인민 민주주의 혁명 노선.
1. 정치 과정과 정치 주체 정치 과정을 통해 다원적 가치와 이익이 조정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정치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
Ⅷ. 정치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4.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한다 ! 사회교육과 김문주.
2007 사목교서. 생명을 선포하는 교회 “ 생명을 선포하는 교회 ” - 교구 사목 목표 -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5.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와 건국 준비 활동 광복을 향한 노력과 건국 준비 활동 년대 임시 정부를 비롯하여 나 라 안팎의 여러 단체들이 전개한 항 일 투쟁의 내용과 성과를 파악할 수 있다. 임시 정부 등 독립운동 세력이 추구 한 광복 이후 국가 건설의.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현대 세계의 전개 1. 제 1 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제 1 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1 열강의 대립으로 제 1 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다 1 1. 제국주의 열강의 대립 (1)3 국 동맹 : 독일이 프랑스를 고립시키기 위해 오스트리아, 이탈리아와 동맹 체결 (2)3.
정보화로 인한 장단점 생활의 변화 번 이성재.
Ⅱ 삼국의 성립과 발전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01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55개 소수민족을 주께로!.
어떤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접적인 공포 수단을 이용 하는 주의나 정책 “ ” - 21세기 정치학 대사전.
03 공동체 발전을 위한 제도와 사회 참여 방법은?.
7-2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 2, 정당과 언론의 역할 (4/7차시)
과거와 현재의 한미 동맹과 미래전 홍우현 김홍빈 강승민 이장희 임현철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조직 변화의 사례분석- 케네디 정부와 쿠바 핵 미사일 사태.
Entity Relationship Diagram
Oliver Cromwell,
◈오스만 제국의 근대적 개혁 운동 (1) 탄지마트(1839~1876) : 민족적.종교적 차별 철폐, 군사 제도의 개혁,산업 육성 정책 추진, 입헌 군주제 헌법 제정(국회 설립과 언론 자유보장) →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뒤 보수파의 반발로 좌절 (2) 청년 투르크 당.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우즈베키스탄과 한국 유수민 이효진 이동민 임희주
개인의 행동에 대한 MARS Model Role Perceptions Values Personality Perceptions
수업명 또는 그 외 PPT 주제를 넣으세요 PPT주제를 영어로.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디케Dike-정의의여신 Footer Text 4/21/2019.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52개국 기도정보 - 라틴아메리카.
도라도라 작전 국제관계학과 정민화.
바나나는 왜 싸지? -값싼 바나나의 숨겨진 비용.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Thevenin & Norton 등가회로 1등 : 임승훈 - Report 05 - 완소 3조 2등 : 박서연
유고지역의 종교와 문화 유지윤 이은지.
제6과 종말론.
Ancient Christianity.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안토니오 그람시 - 헤게모니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홍.
Ⅲ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2.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 01 통일 이후 신라는 어떻게 변화하였을까?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문화혁명 [文化革命] 곽영신 임황빈 최하영.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엔프라넷.
Boomers, GenX, and Millennials : Managing the Generations
Historical Materialism
St. Augustine, 354~430.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고등학교 사회 VIII. 정치 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2. 정치 과정과 정치 참여 왜 정치 과정에 참여해야 하는가? 1.
양심적 병역거부는 수용되어야 하는가? 양정모 기계설계 자동화 공학부.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2. 세계의 종교 분포와 경관 ① 세계 주요 종교의 분포와 확산.
유럽위기 시나리오.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2).
사회 2학년 2학기 2. 제 2차 세계 대전과 전후의 세계 > 4) 국제 질서의 새로운 전개 > 9/13
제1차 세계대전.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6강. 우즈베키스탄.
지방자치제도.
Presentation transcript:

한국외대 대학원 특강2 중앙아시아 이슬람 : 역사, 그리고 현재의 동학 정세진 (한양대)

중앙아시아 이슬람 역사 ♦ 제 1기(AD600-800) 탈라스 전쟁 : 이슬람 진출의 결정적 계기 아랍 연합군 중국의 중앙아시아 지배에 반발한 돌궐계 부족들의 요청으로 전쟁에 참여 -> 우이구르의 연합군 돌궐계 카를룩Karluk, 티베트, 아랍의 동맹군이 751년 탈라스 유역에서 국제전 발발. 아랍 연맹 군이 고구려 출신 고선지 장군이 주도하던 하는 중국군에 승리

중앙아시아 이슬람 역사 제 2기 - 무역로를 통한 팽창(AD800-1200) 주요한 두 개의 무역로를 따라 확장. 북쪽과 남쪽을 연결하는 볼가 강을 따라 형성된 무역로는 모피길(Fur Road)이고 서쪽과 동쪽을 연결하는 무역로는 실크로드(Silk Road). 9세기 초에 이슬람은 아랍 무슬림 상인들과 대상(隊商)들을 통해 현재 러시아의 타타르Tatar 자치공화국이 위치한 볼가강 중류 볼가르 왕국에 전파됨

중앙아시아 이슬람 역사 제 3기 - 몽골제국(AD1200-1300) 몽골군에 의한 바그다드 압바스 왕조의 멸망. 최초의 투르크계 이슬람 왕조인 셀주크 제국도 몽골군에 의해 몰락 몽골에 의한 이슬람 소왕국 콰레즘 왕의 정복 징기스 칸 이후 몽골왕조는 강한 반이슬람 정책

중앙아시아 이슬람 역사 제 4기 -러시아의 팽창기 (AD1500-1900) 러시아제국의 팽창으로 이슬람세력과 충돌. 몽골 붕괴 이후 몽골의 후계 계승국가들에 의해 세워진 카잔 칸국, 아스트라한 칸국 등의 무슬림 지역은 러시아제국에 의해 합병  러시아는 카프카스 전쟁(1816-1864) 이후 1855년부터 중앙아시아 정복

20세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바스마치’ 운동 (The Basmachi Movement) : ‘중앙아시아의 무자헤딘’ 자디드 운동 : 이슬람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엘리트 계층이 주도 바스마치 운동은 광범위한 민중들에 의해 발생  ‘범이슬람주의’ (Pan-Islamism) 주창  페르가나 지방을 중심으로 나타난 반러시아, 반 소비에트 저항운동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난 직후인 1918년부터 1929년까지 지속, 큰 지지

20세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발생 원인 : 러시아의 붉은 군대, 소비에트 행정관이 지역민들에 대해 박해와 약탈, 추방 등 민족 억압 정책과 제국주의 정책을 펼침 소비에트 지도자들 : 러시아혁명이후 무슬림을 권력에서 배제하는 정책 추진 이슬람 종교지도자들은 1917년 11월 코칸트에서 신(新) 볼셰비키 권력에 맞서 투르키스탄의 독립을 선언. 당시 타시켄트 소비에트 정부는 5만 명에 이르는 무슬림들을 살육

소비에트 통치 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1) 중앙아시아 이슬람이 反러시아 이념으로 발전 2) 소비에트의 중앙아시아 정책도 反이슬람 경향 스탈린은 일국 사회주의의 이론 창출 중앙아시아 통치의 이론적 근거. 슬로건 : ‘형식에 있어서는 민족주의, 내용에 있어서는 사회주의’ 러시아와 중앙아시아는 종교적, 민족적,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근본적으로 이질적 차이가 존재

소비에트 통치 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스탈린 : 이슬람이 반러시아 저항의 모티프가 될 것으로 판단, 억압 정책 추진  이슬람 사원 토지인 ‘와크프’ 몰수 정책 :무산 계급인 농민에게 분배 이슬람 사원들 대부분 폐쇄, 1924년에는 샤리아 법정 폐지 이슬람 성직자들에 대한 탄압과 숙청 무슬림 학교와 아랍 문자사용 금지 사원들은 혁명 이전 26,274 개에서 1942년에는 1,312 개로 감소 ’ League of Militant Godless : 무슬림 탄압 조직체 이슬람 성직자들은 ‘반혁명분자’

1970년대 소비에트 통치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침체의 시기’인 브레즈네프의 통치 기간에 외면적 종교탄압은 중지 1970년대 소비에트 통치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침체의 시기’인 브레즈네프의 통치 기간에 외면적 종교탄압은 중지 1970년대는 중동아랍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인 이슬람 부흥운동 소비에트 정부가 미국과의 냉전 체제에서 중동아랍 등 전 세계 이슬람 국가에 대해 親우방 외교 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 1960-70년대에 중동 아랍을 중심으로 거대한 무슬림 정치 운동이 시작 이슬람 지하 단체나 급진적 원리주의 단체는 광범위하게 형성되지는 않음

1970년대 소비에트 통치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브레즈네프 : 이슬람의 反러시아적 경향을 차단 1970년대 소비에트 통치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브레즈네프 : 이슬람의 反러시아적 경향을 차단  중앙아시아 공식 종교 기구인 ‘SADUM'을 적극적으로 옹호 SADUM(1943-1991) : 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 정권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슬람과 타협을 모색하면서 소련 정권과 이슬람을 잇는 유일한 공식적인 통로로 세운 ‘무슬림 종무 관리국’ 1) 유럽과 러시아 및 시베리아 지역 2) 중앙아시아 및 카자흐스탄 3) 남카프카스 지역 4) 북카프카스 지역 설치 대표적인 ‘공인이슬람’ 조직

중앙아시아 이슬람 특성 중앙아시아 이슬람은 매우 전통적 이슬람은 점진적으로 서서히 전파 유목 문화권 지역보다는 정착 민족 거주지에서 이슬람 포교가 비교적 빨리 진행. 우즈베크 민족 -오아시스 문명권, 일찍부터 이슬람 수용에 적극적. 정착 민족들에게 잘 조직 유목민족 - 이슬람 이전의 샤머니즘, 자연신 등에 더 관심.

종교와 민족 정체성 사회학자 뒤르껭의 언급 사회의 종교 시스템 - 전체 그룹의 “집합적인 대표성” 종교 기능 - 사회 공동체의 감정을 산출, 공고히 하는 요소 중앙아시아 사회로 적용할 때  종교는 매우 강력한 문화적 이정표 중앙아시아 사회의 핵심적인 문화 인자. 문화의 아이콘

종교와 민족 정체성 종교 : 개인, 지방, 민족 분야에서 정체성 개념을 정착시키는 표식 종교  에트니(ethnie), 종족 공동체(ethnic community) 구성의 핵심적 인자. 종교는 정신적인 가치, 사회적 기능 담보 민족 정체성 규정 요소 : 언어 전통, 지역 공동체, 신화적, 역사적 요소 등. 종교는 민족 정체성의 모든 단계에서 확대된 요소

중앙아시아 생활 이슬람 특성 코란을 전형적으로 해석하는 전통이 없다. 종교적 관습 : 성묘 숭배, 성인 숭배 14세기 이후로 수피즘이 매우 중요 수피즘 : 신비주의 행위, 신과의 합일 Путь К Богу 민중이슬람, 혹은 민속이슬람 : 생활 이슬람 출생, 결혼 제례 의식이 주요 종교적 행위.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1) 이슬람 부흥을 ‘전통주의’와 연결하여 해석 ‘이슬람의 붐’ 시기에도 중앙아시아 사회 양식과 국민 인식은 급진적으로 변하지 않았다는 주장 1991년 이후에도 일반 사회 기관이나 마을 공동체에 이슬람 본연의 전통적 특성 유지 이슬람의 부흥 전통적 이슬람의 부흥, 그리고 급진적 경향의 원리주의 부흥 .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2) 이슬람 원리주의의 부흥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2) 이슬람 원리주의의 부흥  1990년대 이후의 이슬람은 중앙아시아의 전통적 이슬람과는 변별성이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이슬람 -> 과거의 전통적 관습과 연결된 수동적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초기 무함마드와 이후의 4대 칼리프 시절의 '순수한' 이슬람이 강조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이슬람원리주의란? 민중 이슬람인 수피즘과 같은 미신적, 전통적, 관습적 형태의 이슬람이 아니라 오직 ‘코란과 순나’의 권위만을 인정하는 이슬람으로 해석  서구에 대한 거부로 식민주의 세력과의 협력은 항복이나 반역으로 간주되고 현대식 서구 교육은 이슬람 종교에 대한 위협으로 이슬람 원리주의 탄생, 18세기 말부터 시작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특성 생활 이슬람을 공개적으로 포용. 합법적인 종교 활동의 공간 확보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중앙아시아 이슬람 특성 생활 이슬람을 공개적으로 포용. 합법적인 종교 활동의 공간 확보 중앙아시아 지도자들도 이슬람 부흥을 통해 전통적인 민족의 가치와 문화 회복의 정체성을 확립 : 민족 정체성 세우기와 밀접하게 연결됨. 이슬람 부활  전통적 이슬람 가치와 문화의 회복 이슬람 원리주의는 생활이슬람에 익숙한 국민들에게 매우 낯섬 중앙아시아 정치 지도자들은 이슬람 장려 : 이슬람이 급진적, 군사적 원리주의가 아니라 생활 종교요, 문화적인 기복 종교로서만 그 역할을 한정함. 착한 무슬림, 순종적인 무슬림 신민 이슬람은 비교적 안정, 생활화된 종교. 이슬람은 현재에도 미래에도 중앙아시아 사회의 통합적 요소이다. 아랍 지역이나 아프가니스탄의 폭력적이고 급진적인 원리주의와는 변별적

종교와 사회 존 라울스 : 자유 사회와 좋은 사회 사이의 공통적인 근거는 인권의 국제적 표준을 어느 정도로 지킬 수 있는가 하는 부분.  사회에서의 다양한 그룹의 이익을 공공 정책 가운데에서 어떻게 고려하느냐에 달려있다. 종교는 자유사회의 시민 권리 : 국가와 교회 동시 보호

종교와 사회 좋은 사회로서의 중앙아시아 : 이슬람 원리주의 단체들은 국가 안보상 강력한 탄압 좋은 사회 : 종교적 극단주의와 이단 단체가 정상적인 것에서 벗어날 때에는 그것으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한다. 종교는 국가로부터 보호됨

중앙아시아 공식 이슬람(Official Islam) 정부주도의 공인 이슬람  소비에트 체제가 연방 내의 무슬림들을 효과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정부가 주도적으로 이슬람 조직, 민중들의 신앙을 통제: 민중들의 자발적인 신앙 형태 아님 소비에트 시대 종교 탄압 받음  휴일에 종교적 축일을 준수하거나 장례식이나 결혼식에 이슬람 전통 유지. 독립 이후에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짐.

중앙아시아 이슬람 원리주의 정치적 이슬람 (Political Islam) 신정국가건설 주창 군사적 투쟁 주장, 세속 정부 타도 목표 우즈베키스탄 정부, 군사 이슬람주의자들에게 정치 탄압 출현 원인 : 페르가나 경제적 상황 열악 사회주의 이데올로기 붕괴에 따른 이념 상실

중앙아시아 이슬람 원리주의 내부에서 발전된 이념이 아니라 외부에서 수입 중앙아시아 전체 국가나 전체 사회가 원리주의를 수용한 것은 아니다. 이슬람 원리주의는 중앙아시아 사회에서 급진성 보임  타지키스탄 내전의 반군 요소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겨냥 폭탄 테러 사건 등 중앙아시아를 둘러싼 강대국사이의 세력 경쟁이나 세력 균형의 직접적 요소로 출현 중앙아시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영역의 주요 변수

중앙아시아 이슬람 원리주의 단체 IMU(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 회원 대부분 우즈베크 인, 다국적 무슬림도 참여 페르가나 계곡 근거지 소비에트 체제의 정치적 적자(嫡子)인 카리모프 현 정권 반대 ‘나만가니’ (Namangani) 와 ‘율다세프’ (Tahir Yuldashev)에 의해 1998년에 공식적으로 창설 율다세프 : 우즈베키스탄의 이슬람 원리주의 단체인 IRP(이슬람부흥당)가 1990년대 초에 정부의 선거 체제를 용인하자 IRP 전격 탈퇴하고 IMU 창설

IMU 이념 1) 카리모프 세속정권의 전복 2) 신정국가 건설 정치적 목적  이슬람의 기치아래 정치적 권력을 쟁취하고 칼리파 국가 건립이 최종 목표 ‘전 세계적 이슬람의 지배’가 중앙아시아에 실현되는 것  완전한 이슬람 질서아래 우즈베키스탄을 통치하는 것 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이슬람법인 샤리아에 의거해 국가를 통치할 때 까지 투쟁 지속 선포 칼리파 시대의 ‘순수한 믿음과 공동체’ 지향 : 정교 합일의 이슬람 정당 추구

IMU 이념 ‘나만간’의 IMU는 지역 와하비주의자들과 연계 군사 공격을 통한 정권 전복 방식 용인. 테러 활동 타지키스탄 내전 참여, ‘타지키스탄 이슬람 부흥당’과 연계, 반군 합류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과 연계, 1999년 -2000년, 아프가니스탄 국경에서 타지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에 들어가 군사 행동 1999년 타시켄트에서 대통령 암살을 노린 테러의 배후 단체 9.11 사태이후 아프가니스탄 전쟁 때에 미국의 공격으로 IMU의 세력은 현저히 약화

해방당 (Hizb ut-Tahrir) 히즈브 웃 타히르 원래 초국가적 이슬람 기구 1953년 예루살렘에서 최초로 창설. 중동, 북부 아프리카, 동남아에 HT 지부 목표 : 전세계 무슬림 공동체의 이슬람 근본주의 수용, 신정 국가로서의 정체성 샤리아 (shariah) 준수, 칼리파 국가 건설 슬로건 : ‘칼리파’ 혹은 ‘죽음’

이슬람 원리주의 단체 3) 이슬람 부흥당’ (IRP ; Party of Islamic Renaissance),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에서 활동 우즈베키스탄 IRP - 1992년 창당, 페르가나 활동 근거지, 카리모프 정권의 탄압으로 전국적인 정치 세력화에는 실패 타지키스탄 IRP : 내전시 반군 결성, 광범위한 지역에서 세력, 현재 야당 세력으로 중앙정부에 각료로 진출

이슬람 원리주의 단체 4) ‘이슬람과 민주주의’ (Islam and Democracy), : 1988년 창당, 중앙아시아 전 지역을 포함하는 거대 이슬람정당으로의 발전 추구 5) ‘인민전선’ (The People's Front), : 나만간을 중심으로 활동한 비밀결사 조직, 이슬람 공화국 건설이 목표 6) 아돌라트 (Adolat; 정의) 7)헤즈볼라(Hezbollah) 8)타브바 (Tavba) 9) 카자흐스탄 ‘알라쉬 민족독립당’ (Alash party for National Independence)

이슬람 원리주의와 현재의 동학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이슬람 원리주의에 대한 대처 해외의 급진적 이슬람 무장 단체와 연계를 맺고 있고, 원리주의자들에 대한 국가적 경계심을 부각 카리모프 대통령 : 이슬람 성전 폐쇄, 무슬림 원리주의 회원들에 대해 가혹한 처벌 ‘이데올로기는 이데올로기로 투쟁해야한다’ (An ideology should be fought with an ideology)는 카리모프의 신념

이슬람 원리주의와 현재의 동학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정치적 탄압으로 한때 약 25만 명의 양심수, 40% 이상이 이슬람 불법 활동으로 체포. 10년에서 20년까지의 장기형 미국 주도의 반 테러 연합에 동참, 이슬람 세력을 제거하는 수단국내 정치 장악, 한때 미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외교관계 대폭 강화 미국도 중앙아시아 지역에 민주주의 확산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보다는, 테러와의 전쟁 등 안보 문제 부각

이슬람 원리주의와 현재의 동학 1) 사우디아라비아 등 매우 보수적인 이슬람 국가에서 이슬람 원리주의가 도입됨 : 경제적 후원, 서방국가에 대한 반외세적 입장 견지 : 향후 이러한 추세가 지속 2) 국가 건설(state building) 및 민족 정체성 확립에 가변적 요소로 작용 정치지도자들 : 민주주의 원칙 보다는 소련의 통치 체제인 권위주의 방식을 국내 정치에 활용, 이슬람 군사주의자 탄압 카리모프 대통령 의회 발언 : 극단주의자들을 온정주의로 다루지 말라, “그런 자들은 이마에 총을 쏴야 한다. 필요하다면 내가 직접 쏠 것이다”

이슬람 원리주의와 현재의 동학 3) 과거 사회주의 이론을 대체하는 이념적 변수 HT의 전략적 접근 방식  ‘우리’와 ‘그들’로 편 가르기式  우즈베키스탄을 “적들의 국가”, “제국주의국가”, “공산주의 국가” 등으로 분류 : 국가의 혁명적 요소로 국민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충분하지 않음

이슬람 원리주의와 현재의 동학 IMU는 탈레반과 ‘빈 라덴’의 알카에다 조직과 접촉, 테러와의 전쟁은 이슬람을 응징하는 구실로 중앙아시아에 인식 중동에서는 이스라엘, 동 투르키스탄에서는 중국, 중앙아시아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이 테러와의 전쟁을 구실로 이슬람 세력을 억누르는 정책을 도입한 대표적 국가. 미국은 9.11 사태 이후 안보 문제가 중앙아시아를 중심으로 국제 사회의 주요 현안으로 부각한 점을 인식하고 중앙아시아 무슬림 원리주의 단체가 국제 테러에 연관되어있다고 주장 우즈베키스탄은 대테러리스트 동맹의 대가로 러시아와 미국으로부터 경제적 지원

이슬람 원리주의와 현재의 동학 외부에서 도입된 이슬람 이념, 중앙아시아 특유의 투르크계 민족적 요소와는 상충되는 이데올로기. 이슬람 원리주의 지도자들은 이슬람 신정국가 체제의 이론적 근거를 외부 세계의 이슬람 급진주의 단체로부터 수입 9.11 사태이후 미국과 러시아가 대 테러리즘 정책을 강화해 나갈 때도 원리주의 단체들은 이에 반대

이슬람 원리주의 이슬람 원리주의 : 독립 이후 중앙아시아 사회를 이해하는 종합적인 인식의 혜안을 제공하는 이념적 요소 중앙아시아 : 투르크 민족이라는 민족 정체성 관점, 유목문화와 정주문화로 대변되는 문화적 관점, 전통적 부족연맹체라는 역사공동체적 관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복잡한 국가의 총합적 문화 요소 이슬람 원리주의 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중앙아시아 공동체에 새로운 정치적 변수로 작용함 과거 소련 출신의 정치가들이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있는 정치적 상황에서 변수 요소로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