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기 교 육 스 트 레 으로 인한 6조 이봉기, 김보람, 김태은, 한혜숙.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EO 스타트업 ( 창업 ) 학회. 4 월 5 월 6 월 7 월 8 월 9 월 10 월 11 월 12 월.
Advertisements

합 덕 여 자 중 학 교합 덕 여 자 중 학 교. 합 덕 여 자 중 학 교합 덕 여 자 중 학 교 제 언 필 요 성 연구 목적 연구 문제 연구 범위 실천 과제 연구 결과
페스탈로치에대해 … 엘리트 ㅋㅋㅋ. 페스탈로치의 성장배경  1746 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출생  가난한 사람을 무료로 치료해 주는 아버 지로부터 인격적인 영향을 많이 받음.  어려운 살림에도 고아원을 도와 주는 어 머니의 사랑 정신에 영향을 받음. 처음으로.
학생들은 어떤 예능을 좋아할까 ? 손성민, 한규하, 김대원. 1. 연구 동기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4. 연구 과정 5. 연구 결과 6. 결과 및 고찰 목차.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각종 광고물로 지저분한 거리 삼청동 간판 정비 간판 공모전 수상 작품들.
프로그램 소개_일정표 (Day1/9h) 시간 프로그램 세부사항 11:00-12:00 Above the line
[인격형성 ] [고양이 인생의 최대위기] [인류의 기원] (목)
1.
나만의 광고 만들기 - 아동 성범죄 근절 - (공익 광고) 동화미디어콘텐츠학과 최현민.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작도에 대하여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2절 영ㆍ유아기 정신건강 문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전반적 이해, 선별, 진단, 중재법
유학생 해피투게더 유학생 해피투게더란? 유학생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정서적 교류와 상호지지를 통해 유대감 강화와
인간관계와 자기성장 14조 직장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김옥주 교수님.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Multi Intelligences Theory
우리아이 유치원 우리아이의 웃음으로 세상이 더욱 밝고 환하게 바뀌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리엔테이션 자료
잠재력의 발견
3강 한글 맞춤법 총칙.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인간행동과 심리학 15. 뇌과학의 응용.
코다이 접근법에 의한 학습지도 방법.
Mother Theresa had this on her wall... 테레사 수녀의 방 벽 위에는 이런 글이 있었습니다...
2017년 4학년 1반.
피임이란?.
소마큐브로 3*3*3(정육면체)만드는 방법 탐구하기
교육진단검사 PEP-R.
제 1장 아동정신건강의 소개 최진령(대동대학).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9. 디자인과 생활 세상에 알려요.
메타인지 하이퍼링크 학습법 METACOGNO.COM.
말아톤 담당교수님:박주형교수님 제출일자: 학번: 이름:이상희.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
뚜렛 증후군 증후 치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강박적 행동 적대적 반한
전북대학교 물 재이용 증진을 위한 범국민적 사고전환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중국언어문화 08곽은지, 08김재윤 전자정보 08김기태, 08김성수, 08이상권
유아 건강 ★ 해피 트리 ★.
청소년 흡연 원광중학교 이 정 란.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Stress와 적응 Stress의 원인 Stress의 주요 유형 Stress 평가 요인 Stress에 대한 반응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우유와 사이다가 식물 성장의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2반 김민지.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주)트레이드인 불륜에 관한 조사.
지능 로봇 연구회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학습자 연령에 따른 한국어 교육)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남편과 꼭! 같이 들어아야 하는 맞춤 태내기부모교육!
영유아 행동문제 발생예방 불안정 애착 / 반응성 애착장애
★나의 꿈! ☆ 6학년 2반 26번 최수인.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마음의 근육을 키워라!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꽃잎의 수로 피보나치 수열하기 장전초등학교 6학년 신찬유.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조 기 교 육 스 트 레 으로 인한 6조 이봉기, 김보람, 김태은, 한혜숙

목차(Contents) 서론 본론 결론 및 제언 조기교육의 정의 조기교육의 인식 조기교육의 실태에 대한 도표 조기교육으로 인해 스트레스 받는 아이들의 사례 동영상자료 기사자료 조기교육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조기교육의 원인 조기교육의 장단점 결론 및 제언

조기교육의 정의 조기교육(早期敎育) :학령(學齡)에 도달하지 않은 아동에게 일정한 커리큘럼에 따라 실시하는 교육. 서론 조기교육의 정의 조기교육(早期敎育) :학령(學齡)에 도달하지 않은 아동에게 일정한 커리큘럼에 따라 실시하는 교육.

서론 조기교육의 인식 서구 -> 교육을 받지 못하는 유아에게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여 사회의 일원으로 잘 적응하도록 하는 교육 한국 -> 수학, 언어, 예능 등 특정한 교육 프로그램을 일반적인 연령 기준보다 빨리 실시하는 교육

본론

본론

본론

본론 인원 : 명

본론 61.6% 증가 108,306명 67,065명

본론 조기교육으로 인해 스트레스 받는 아이들의 몇 가지 사례 노원구에 사는 28개월 된 아이 정주(가명). 돌부터 엄마가 틀어주는 영어 비디오만을 보아온 정주는 아직 우리말을 제대로 못한다. 정주가 할 수 있는 말은 고작 20여 개의 단어 정도. 비디오가 끝나가면 불안해 하는 정주. 정주는 어떤 질문을 하여도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했던 질문을 똑같이 따라 하는 감정교류의 문제를 보였다. 소아정신과에 정주의 검진을 의뢰한 결과 정주는 애착장애 및 초기 자폐증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주의 언어구사능력은 14개월 된 아이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론 조기교육으로 인해 스트레스 받는 아이들의 몇 가지 사례 탤런트가 되는 것이 꿈인 초등학교 5학년 정희(가명)는 여름에도 모자를 쓰고 다닌다. 4살 때부터 시작된 탈모 때문. 정희의 엄마는 어렸을 때부터 정희에게 학습지를 시켰고 정희가 문제를 틀리거나 지겨워할 때면 심하게 혼을 내곤 했다. 그때 정희 나이 4살. 공부에 대한 부담감을 이겨내지 못한 4살 정희의 머리는 조금씩 빠지기 시작했고 어느덧 눈썹까지 다 빠져버리는 전신탈모 증세까지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 후 정희는 사람들 앞에서 한 번도 모자를 벗지 않았다.

본론 조기교육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유아의 두뇌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학습동기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수상돌기가 위축되거나 해마 부위에서의 신경세포 발생이 억제되고 인지학습 기능이 저하 유아의 학습동기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암기위주, 형식적인 공부만 하다보면 어렸을 때 개발되어야 할 창의력 또한 발달이 미약하고 틀에 박힌 편협한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본론 조기교육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현재 조기교육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들은 감정을 교환하는 상호작용보다 간접적인 지적 자극들만이 주로 교류되고, 따라서 자기중심적이며 타인의 감정에 대한 공감능력을 발달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게 되어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유아의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불안증, 우울증, 강박증 등의 정서장애, 공격적이고 반항적인 아이로 성장 과잉학습장애 -> 난폭한 행동을 보이거나 다른 사람과 대화를 하지 않으려는 자폐증세, 책이란 책은 무조건 거부하는 학습거부증, 친구들과 어울려 놀지 못하는 등의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

본론 유아의 신체발달에 미치는 영향

본론 조기교육이 유아에게 미치는 여러 가지 증상 반응성 애착장애 학습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의사소통장애 틱 장애 품행장애 정신 분열증 불안장애 정신지체 장애

출처 : 네이버 만화 생활의 참견

본론 조기교육 열풍의 원인 조기교육을 지지하는 학자들의 주장 부모들 간의 경쟁 의식 인간의 지능은 유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환경에 의한 것. 아이가 어린 나이일 때 많은 교육을 시키는 것이 아이의 지능을 높여줄 수 있는 방법이라 제안. 특히 언어교육에서 나이가 어릴수록 아무런 힘도 들이지 않고 익히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 부모들 간의 경쟁 의식 조기교육 실시하는 주변의 ‘성공담’이 유아교육에 소신을 가지고 있는 부모들 조차도 불안해하고 조급해지게 함.

본론 조기교육 열풍의 원인 맞벌이 부부의 증가 교육의 상품화 맞벌이부부가 급증, 아이 맡길 곳이 없는 부부들이 학원을 조기교육장으로 활용. 교육의 상품화 우리 사회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키즈 킹공, 한국몬테소리]등의 유아대상 관련업체나 [펠트(PELT), 토익 브리지(TOEIC Bridge), 제트(JET)]등의 여러 인증 시험이 늘어남으로써 조기 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과도한 교육열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본론 조기교육의 장점 언어학적 접근 생리학적 접근 사회심리학적 접근 인간은 경험에 의하여 언어를 배우고, 주위의 여러 사람들이 쓰는 언어를 모방 생리학적 접근 지식을 습득하는 데 있어 결정적 시기가 있음(Lenneberg, 1967) 사회심리학적 접근 사춘기 이후에는 사회적, 심리적인 성숙의 변화가 학습을 더욱 어렵게 한다.(Hamayan,1977)

본론 조기교육의 단점 부모의 입장에서 이루어지는 조기교육 교육이 유아에게 스트레스로 전환되어 인권의 문제로까지 확장(우울증, 원형탈모증, 유사자폐증) 체계화된 시설과 연구 필요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함.

결론 및 제언 조기교육에 대한 제언 아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함 조기교육보다는 적기교육이 필요 -0~3세 전뇌발달, 오감교육 -3~6세 전두엽(사고·인성), 예절·도덕교육 -6~12세 측두엽(언어·외국어), 두정엽(수학·물리) 정부차원적인 방안마련과 언론매체를 통한 조기교육 과대광고 억제

참고문헌 김재헌, 사랑한다면 강하게 키워라, 올림출판사, 2008 신의진, 느림보 학습법, 중앙M&B, 2001 이규련, 유아 조기교육의 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

참고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SBS 뉴스추적 384회, 조기교육의 실태 조기교육 열풍, 기저귀 차고 학원행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OD&office_id=055&article_id=0000005235) 조기영어교육, 창의력 개발에 장애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OD&office_id=055&article_id=0000068215) 억지로 English~ 아이는 '영어 거부증‘, 한국일보(2007.09.26)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709/h2007092619242022020.htm) “엄마 학원 관두면 안돼요?”, 노컷뉴스(2009.03.25)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102112) 태교부터 영재까지 조기교육 열풍, 효과는 ‘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045983)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