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권 영화의 이해 -홍콩과 중국 본토- (교재 21장)
학습목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홍콩영화와 1950년대 스튜디오 시스템 구축을 이해한다. 1960~70년대 쇼 브라더스의 무협영화와 골든 하베스트의 쿵푸영화를 이해한다. 청룽(성룡), 쉬커(서극), 우위썬(오우삼), 저우싱츠(주성치), 왕자웨이(왕가위) 등 홍콩 대중영화와 예술영화 감독들을 알아본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문화혁명 시기의 영화를 간략하게 살펴본다. 1980년대 중국영화를 전세계에 알린 제5세대 영화의 등장배경과 미학적 특성을 이해한다. 최근 중국영화의 대작주의 경향을 비판적으로 이해한다.
홍콩의 대중영화
2차 대전 이후의 홍콩영화 2차 대전 이후 상하이(1920~30년대 중국영화의 메카) 영화인들의 대거 유입 1950~60년대 4,500여 편 극영화 제작 * 1961년 한 해 302편(중국 본토 26편, 미국 254편). 인도는 1975년까지 한 해 평균 450편. 광둥어 영화 중심(무협, 멜로드라마, 코미디가 주류) 1950~1960년대 3,500여 편(북경어 영화의 3배 이상)
1950년대 스튜디오 시스템 구축 제작, 배급, 상영의 수직 통합 다이안모(MP&GI=Motion Picture & General Investments Co. 모기업 캐세이 그룹) 쇼 브라더스(Shaw Brothers) 1920년대부터 상하이에서 영화 제작. 중일전쟁 이후 홍콩 이주. 1957년 다이안모를 물리치고 업계 선두 1961년 쇼 무비타운 설립 전성기 때 20여 명 감독, 140여 명 배우, 1천여 명 스태프(기숙사, 아파트 완비), 배우양성 연기학교 운영, 연간 40~50여 편 영화 제작
쇼 브라더스와 무협영화 경극의 곡예, 일본 사무라이 영화, 스파게티 웨스턴 등의 영향 액션과 스턴트 중심의 스펙터클. 북경어 영화의 전성기 검술영화 중심(1960년대 중반~1970년대 초반) 동아시아 전역에서 홍콩 대중영화의 위상 높임. * 사진(상: <용문객잔>(1967), 하 : <독비도>(<의리의 사나이 외팔이> 1967))
무협영화의 두 거장(1) -후진취안(호금전) 1931 생~1997 사망 여백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영상미(중국화풍), 경극의 영향 받은 우아한 곡예 같은 액션, 유불선의 정신세계→서사보다는 영상미 중시. 예술영화의 경지(<용문객잔> 이후 주로 대만에서 활동) <대취협>(<방랑의 결투>(1966. 사진 상)), <용문객잔>, <협녀>(1971. 사진 하. 1975년 칸 영화제 기술대상)
무협영화의 두 거장(2) -장처(장철) 1923 생~2002 사망 전통적인 서사 중시. 비장하고 남성적인 영웅미. 잔혹미의 폭력 미학 추구 우위썬(오우삼), 쿠엔틴 타란티노 등 액션영화 감독들에 영향. 왕위(왕우), 장다웨이(강대위. 사진 상), 적룡(사진 하) 등 액션스타 발굴. <독비도>(<외팔이>) 시리즈, <복수>(1970), <13인의 무사>(1970) * 사진: <신독비도>(1971)
골든 하베스트와 쿵푸영화 쇼 브라더스 제작부장 출신 쩌우원화(레이몬드 초우) 설립(1970) 캐세이 그룹의 지원을 받아 세력 확장(아시아 전역에 500여 개 극장 관리) 미국 영화/TV의 단역 배우 리샤오룽(이소룡)을 기용한 쿵푸영화를 통해 국제적으로 부상. <당산대형>(1971), <정무문>(1972), <맹룡과강>(1972. 사진) 1970년대 중반 쇼 브라더스+골든 하베스트=홍콩영화의 3분의 1 제작
청룽(성룡)과 코믹 액션 쿵푸(액션)와 코미디의 결합 훙진바오(홍금보), 원표 등 홍콩희극학원(1961~1971) 동기생들과 여러 편의 영화에서 콤비. 버스터 키튼의 영향. 위안허핑(원화평) 무술지도. 1980년대 이후 20세기 초 배경 시대극에서 동시대(현대)로 전환. 1990년대 이후 할리우드 진출 <취권>(1978), <사형도수>(1978), <폴리스 스토리>(1985) 등
1980~90년대 대중영화의 최전선 -쉬커(서극) 1950~ (‘홍콩의 스티븐 스필버그’) 1950~ (‘홍콩의 스티븐 스필버그’) 쉬안화(허안화), 팡위핑(방육평) 등과 함께 70년대 말~80년대 초 홍콩 뉴웨이브로 등장 <촉산>(1983. 사진 상) 이후 무협에 특수효과(SFX) 접목한 ‘하이테크 무협영화’ 창조(<천녀유혼> 시리즈 제작) <영웅본색> 3부작 기획, 제작(3편은 직접 연출), <황비홍>(사진 하) 시리즈 제작, 연출
우위썬(오우삼)과 ‘홍콩 누아르’ 1946~ 장처(장철)의 조감독으로 영화계 입문 샘 페킨파의 액션, 장 피에르 멜빌의 누아르에서 영향 받음. 슬로우 액션과 정교하게 안무된 총격전. 명예, 동지애, 의리의 주제 <영웅본색> 1, 2편에서 ‘폭력미학’ 확립. <첩혈> 시리즈 이후 할리우드 진출. <페이스 오프>(1997), <미션 임파서블 2>(2000)
1990년대 예술영화의 최전선 -왕자웨이(왕가위) 1958~ 홍콩 반환(1997)을 앞둔 홍콩인들의 불안심리와 고독을 도시적 감수성으로 표현. MTV 스타일의 감각적 촬영, 편집. 개성있는 보이스오버 내레이션. <중경삼림>(1994. 사진 상), <타락천사>(1995), <해피 투게더>(1997. 칸 국제영화제 감독상), <화양연화>(2000. 사진 하)
저우싱츠(주성치)와 코미디 1962~ 도박영화 <정전자>(1989)를 패러디한 <도성>(1990)으로 톱스타가 된 후 개성적인 코미디에서 활약. ‘모레이타우(無釐頭. 비합리성, 터무니 없음)’ 양식. <소림축구> (2001)이후 세계적 스타로 발돋음 <서유기>(1994), <홍콩 레몽>(1995), <홍콩 마스크>(1995), <희극지왕>(1999), <쿵푸허슬>(2004)
중국영화와 제5세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영화 내전 승리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1949) 건국 이전의 상하이영화, 홍콩영화, 미국영화 상영금지 1949~1966 혁명적/사회주의적 리얼리즘 영화와 상대적 자유화 시기(특히 1956~57 백화제방/백가쟁명 시기)의 교차
문화혁명(1966~1976) 류사오치(유소기), 덩샤오핑(등소평) 등 시장경제 도입을 주장하는 실용주의파에 대한 마오쩌둥(모택동)의 전면 공격. 홍위병과 하방 정책. 1976년 마오쩌둥의 죽음으로 종결
문화혁명 시기의 영화 1950~60년대 중반 제작된 대부분의 영화들을 ‘독초’로 규정 1967~1972 극영화 사실상 중단 혁명가극을 촬영한 ‘모범극 영화’ 제작(1969~1972, 8편 상영) 1973년부터 영화 제작 재개 * 사진: 모범극 <홍색낭자군>의 공연
제5세대의 등장 배경 배이징 영화대학(1978년 입학, 1982년 졸업) 출신들의 대거 영화계 진출 문화혁명 시절 청소년/청년기의 하방 경험 농민의 생활상, 각 지방의 전통 풍습, 민간설화를 접하는 계기→농민들의 본능적/원시적 감정을 통해 인간의 보편적 욕망을 표현하게 만든 배경 1980년대 ‘심근(尋根)문학’의 영향 작가들이 자기 고향의 풍습, 풍속, 전설 등에서 소재를 얻음(중국 민족의 뿌리 찾기). 인간의 욕망이 날것으로 드러나는 원초적 생명력을 특징으로 함. 심근문학 원작 영화-<오래된 우물>(1987), <아이들의 왕>(1987), <붉은 수수밭>(1987) 등 덩샤오핑의 개혁, 개방 정책(1978~ ) 예술창작에 대한 유연한 대처. 창작의 자율성을 상대적으로 허용
제5세대 영화의 미학적 특성 1) 창의성과 다양성 목적의식(사회주의 이념)이나 전형적 인물(혁명영웅), 상황을 표현해야한다는 창작원리의 부담감에서 해방 정형화된 서사형식(도식적인 선과 악, 적과 아)에서 탈피, 개인의 욕망과 인간의 내면세계 탐구(암시와 상징 강화) * 사진: <황토지>(천카이거, 1984), <붉은 수수밭>(장이머우, 1987)
* 사진: 상-<붉은 수수밭>, 하-<국두>(장이머우, 1990) 2) 공간의 미적 활용 지역적 특색이 드러나는 황토고원 등. 산시 지방을 배경으로 한 <황토지>, <붉은 수수밭> 3) 빛과 색채의 미학 원색적이고 자극적인 색채의 과감한 사용(특히 장이머우) 사실적 재현(사회주의 리얼리즘)보다는 상징적 표현 중시. * 사진: 상-<붉은 수수밭>, 하-<국두>(장이머우, 1990)
국제영화제와 오리엔탈리즘 유럽 국제영화제에서 연이은 수상 <붉은 수수밭>(1988. 베를린 황금곰상) <귀주이야기>(1992. 베니스 황금사자상) <패왕별희>(1993. 칸 황금종려상) 오리엔탈리즘(서구적 시선으로 동양을 바라보기)의 혐의. 예) <붉은 수수밭>에서 가마 흔들기, <홍등>에서 발 마사지. 중국 국내에서는 봉건적이고 낙후된 과거를 그리는 것이 현대화(산업화)하는 중국에 배치된다고 여겨 곱지 않은 시선. 몇몇 영화는 중국 국내에서 상영금지
오늘날의 중국영화 2002년 <영웅>의 국제적 성공 이후 국제시장을 겨냥한 블록버스터 대작주의 경향(경제대국화하는 중국의 국력 과시) 경제대국의 신화 속에 가려진 자본주의화의 그늘→제6세대의 대표주자 자장커. * 사진: 상-<영웅>(장이머우, 2002), 하-<스틸 라이프>(자장커. 2006 베니스 황금사자상)
블록버스터 대작 무협/사극 사진 시계방향: <황후화>(2006), <야연>(2006), <명장>(2007), <적벽대전>(2008)
☞ 참고문헌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편,『중국영화의 이해』, 동녘, 2008. (2장) 장동천,『영화와 현대중국』,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9장, 11장,13장, 14장) 제프리 노웰-스미스 편,『옥스퍼드 세계영화사』, 김경식 외 역, 열린책들, 2005.(3부 ‘홍콩의 대중영화’, ‘공산 혁명 이후의 중국’ 부분) 크리스틴 톰슨 외,『세계영화사: 동시대의 영화 1960s~』, 주진숙 외 역, 시각과 언어, 2000.(22장 홍콩영화, 중국영화 부분, 27장 홍콩영화, 중국영화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