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이상행동의 이해 1. 사고장애(Disorders of thinking) 1) 사고장애의 분류
4.1 이상행동의 이해 1. 사고장애(Disorders of thinking) 2) 사고 형태의 장애
4.1 이상행동의 이해 1. 사고장애(Disorders of thinking) 3) 사고 과정(진행)의 장애
4.1 이상행동의 이해 1. 사고장애(Disorders of thinking) 4) 사고 내용의 장애 (1) 환상(fantasy) 바라거나 기대해 온 것에 대한 비현실적인 생각 (2) 망상(delusion) ① 이유나 논리로 교정되어질 수 없는 논리적으로 그릇된 믿음 ② 교육정도나 환경과는 관계없음 (3) 강박사고(obsession) 비합리적이고 부적절하다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원하지 않는 특정한 생각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현상
4.1 이상행동의 이해 1. 사고장애(Disorders of thinking) 4) 사고 내용의 장애 (4)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① 실제의 신체질병이 없고 이상이 없다는 의사의 상세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관심이 집중되어 병이 반드시 있을 것이라고 생각함 ② 심하면 신체망상과 구별이 어려울 수 있음 (5) 공포(공포증, phobia) ①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느끼는, 불안을 동반한 비현실적이고 병적인 두려움 ② 이 외에도, 자살사고 역시 사고 영역의 병리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음
4.1 이상행동의 이해 2. 정동장애(Disorder of affect) 1) 감정(emotion) (1) 자연적, 본능적으로 일어나는 마음의 상태 및 이의 외적 표현을 총칭 (2) 슬픔, 기쁨, 쾌락, 고통, 불안, 분노, 공포, 수치,애 정, 증오, 욕심, 질투 등 2) 정동(정감, affect) 타인이 관찰 가능한 감정경험의 외부적 표출 자체 혹은 그 표출의 방식 (1) 정동 장애 ① 부적절한 정동(inappropriate affect) : 정동표현이 상황, 사고, 기분상태와 불일치 ② 정동둔마(blunted affect, affective blunting) : 자극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이 없어 보이고 감정 표현 의 강도가 감소된 무딘 감정 상태 ③ 정동상실(flat affect, affective flattening) : 둔마보다는 심한 상태, 목소리의 톤이나 얼굴의 움직임 등 에서 감정이 없는 상태 ④ 불안정 정동(labile[unstable] affect) : 정동의 폭이 크고 빠르고 쉽게 변하는 상태
4.1 이상행동의 이해 2. 정동장애(Disorder of affect) 3) 기분(mood)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긍정/부정의 방향성을 띄는 정서적 가치(emotional value)가 부여된, 전반적/지속적 감정상태, 감정의 자가 보고와 다른 사람의 관찰 등의 객관적인 요소 포함 (1) 들뜬 기분(elevated mood) ① 다행감(euphoria, euphoric mood) : 낙관적 태도, 자신감 ② 고양감(의기양양 : elation, elated mood) : 행동, 욕구가 과장될 정도의 즐거움 ③ 기고만장(앙양, exaltation) : 과도한 정도의 즐거움 ④ 황홀감(ecstasy) : 초월적 신비감, 전지전능감 등의 극도로 들뜬 기분
4.1 이상행동의 이해 2. 정동장애(Disorder of affect) 3) 기분(mood) (2) 우울한(가라앉은/슬픈) 기분(depressed / sad mood) ① 불쾌감(dysphoric mood) ∙ 즐겁지 못하고 나쁜 기분 ∙ 불쾌감의 경우 에너지/기력의 저하가 동반되지 않음 ② 무쾌감(anhedonia) ∙ 일상이나 좋아하는 일에 대한 즐거움을 상실한 상태 ∙ 흥미, 관심, 재미, 의욕의 저하에 초점을 맞춘 개념 ∙ 무쾌감은 기분표현의 제한까지도 동반하므로 저자에 따라 정동의 병리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비교적 우울장애에 특징적이므로 기분의 병리로 보는 경우가 많음 ③ 멜랑콜리아(melancholia) ∙ 극심하게 가라앉고 우울한 기분 ∙ 에너지/기력의 저하와 함께 극심한 절망, 비관, 식욕/체중변화를 동반
4.1 이상행동의 이해 2. 정동장애(Disorder of affect) 4) 기타 (1) 양가감정(ambivalence) : 동일한 대상에 대해 상반된 감정, 태도, 생각을 동시에 가짐 (2) 병적분노(morbid anger) : 유발하지 않은 분노의 폭발 (3) 수치(shame) : 자신또는 타인의 기대에 맞추지 못했다는 감정 (4) 죄책감(guilt) : 주관적으로 잘못된 일을 했다는 감정 (5) 불안(anxiety) : 뚜렷한 외부 자극 없이 초조하거나 불안함(초조, 긴장, 공황상태) (6) 공포감(phobia) : 어떤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사실무근의 두려움을 느낌 ① 광장공포(agoraphobia) : 공개된 장소나 공간에 노출되는 것에 대한 공포 ② 오물공포(coprophobia) ③ 고소공포(acrophobia) : 높은 곳에 대한 공포 ④ 나병공포(leprophobia) ⑤ 밀실공포(claustrophobia) : 폐쇄된 장소에 대한 공포 ⑥ 적색공포(erythrophobia) : 얼굴이 붉어지는 것에 대한 공포 ⑦ 대인공포 : 대인관계에 대한 두려움, 남과 마주하는 것에 불안감이나 긴장감을 느끼는 것 ⑧ 동물공포(animalphobia) : 동물에 대한 공포 ⑨ 불결공포(mysophobia) : 먼지나 균, 오염에 대한 공포 ⑩ 죽음공포(thanaphobia) : 죽음에 대한 공포
말초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것을 인식하는 과정 4.1 이상행동의 이해 3. 지각장애(Disorder of perception) 지각 말초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온 것을 인식하는 과정 1) 실인증(agnosia) 자극의 중요성이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상실, 사물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 (1) 치매, 뇌종양 등의 질환에서 볼 수 있음 (2) 시각, 촉각, 청각 실인증 등
4.1 이상행동의 이해 3. 지각장애(Disorder of perception) 2) 착각(illusion) 실제 외부 자극을 뇌에서 통합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여 왜곡되게 인식하는 현상 (1) 거시증(macropsia) /미시증(micropsia) : 사물이 실제보다 크게/작게 보이는 현상 (2) 공감각(synesthesia) : 실제의 자극이 다른 형태의 감각으로 나타나는 현상 (3) 이인증(depersonalization) : 자기가 자신이 아닌 것처럼 느껴짐. (4) 비현실감(derealization) : 익숙한 환경이 생소하게 느껴지거나 낯선 환경이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 3) 환각(hallucination) 외부 자극이 없는데도 실제처럼 지각하는 현상 (1) 환청(auditory) : 외부 자극 없이 실제 어떤 소리를 듣는 경우, 환각 중 가장 흔함 (2) 환시(visual) : 실제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보는 것, 환청 다음으로 흔함 (3) 환후(olfactory) : 외부자극이 없는데도 특정한 냄새를 지각, 대개 불쾌한 형태 (4) 환촉(tactile / haptic) : 실제 자극이 없는데 몸이 닿거나 찌르거나 누르는 감각을 느낌 (5) 환미(gustatory) : 실제로 없는 맛을 지각, 흔하지 않음 (6) 기타 : 운동환각, 신체환각, 반사환각
정신활동의 결과물, 관찰할 수 있는 신체운동의 형태로 나타나는 외적 표현 4.1 이상행동의 이해 4. 행동장애(Disorder of behavior) 행동 정신활동의 결과물, 관찰할 수 있는 신체운동의 형태로 나타나는 외적 표현
4.1 이상행동의 이해 5. 언어장애(Disorder of language)
4.1 이상행동의 이해 6. 기억장애(Disorder of memory) 기억상실증 기억과다증 기억착오증 (1) 전향성 기억상실(antegrade amnesia) : 특정 시점 이후 일을 기억하지 못함 (2) 후향성 기억상실(retrograde amnesia) : 특정 시점 이전 일을 기억하지 못함 (3) 심인성 기억상실(psychogenic amnesia) : 심리적 이유로 기억의 상기기능이 억제됨 기억과다증 기억의 회상 능력이 항진되는 현상, 특정 기간에 일어난 일의 자세한 부분까지 기억 기억착오증 과거에 없었던 일을 마치있었 던 것처럼 기억하나 사실과 다르게 왜곡되어 있는 상태 (1) 작화증(confabulation) : 기억이 잘 나지 않는 부분을 상상이나 사실이 아닌 경험으로 메우는 현상 (2) 회상성 조작(retrospective falsification) : 개인의 현재감정이나 인지능력, 경험 등을 통해 의도하지 않게 기억이 왜곡되는 현상 (3) 미시현상/ 기시현상 ① 미시현상(jamais vu) : 익숙한 상황인데 처음 보는 것처럼 느끼는 착각 ② 기시현상(déjà vu) : 처음 겪는 상황을 익숙하게 느끼는 착각
4.1 이상행동의 이해 7. 의식장애(Disorder of consciousness) 의식의 혼돈 의식의 혼탁 (1) 당황 혼란 지남력 상실, 생각의 빈곤, 연상의 장애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가벼운 의식손상의 형태,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림 (2) 원인 : 독성 물질의 중독, 뇌기능 손상, 중추신경계 장애, 간질 발작 등 의식의 혼탁 (1) 의식의 혼돈보다 정도가 심한 의식장애 (2) 착란과 더불어 지각, 사고, 반응, 기억, 주변상황의 파악 등이 전반적으로 떨어짐 섬망(delirium) (1) 단기간에 발생하는 의식 장애와 인지 변화 (2) 지남력 장애, 외부 자극에 대한 주의력 감소, 정서적 불안, 자율신경계 부조화, 지남력 상실, 환각, 환청 동반 (3) 원인 : 기질적 원인(치매, 노인, 알콜중독, 약물 중독, 광범위한 뇌손상 등) 혼미와 혼수 (1) 혼미 : 가장 심한 형태의 의식장애, 주변 상황을 전혀 인식, 파악하지 못함 (2) 혼수 : 거의 모든 기능이 사라지고 심폐기능만 유지
학습능력과 판단, 언어, 논리성, 추상적 능력 등 고등적 기능의 총체적 개념 4.1 이상행동의 이해 8. 지능장애(Disorder of intelligence) 지능 학습능력과 판단, 언어, 논리성, 추상적 능력 등 고등적 기능의 총체적 개념 1) 정신지체 : 적절한 지적 기능의 발달을 이루지 못한 경우 2) 치매 (dementia) (1) 중추신경계 병변으로 인해 후천적으로 발생한 지적 기능의 감퇴 (2) 원인 :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피킨슨 병, 알코올중독 등
4.1 이상행동의 이해 9. 지남력장애(Disorder of orientation) 1) 지남력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인식 2) 지남력장애 (1) 시간, 장소, 사람에 대한 인식이 결여된 상태 (2) 시간, 장소, 사람의 순으로 장애가 오며 회복될 때에는 그 반대 순 10. 판단장애(Disorder of judgement) 1) 판단(judgment) 경험을 통해 얻은 것으로부터 올바른 결론을 얻을 줄 아는 능력 2) 병식(insight) 질병이 자신에게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병의 역동적 본질 및 병의 원인을 판단할 줄 아는 능력
인격의 여러 측면에 와해를 초래하는 뇌 기능 장애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1. 개념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의 개념 뇌의 기질적 이상은 없는 상태에서 사고(Thought), 정동(Affect), 지각(Perception), 행동(Behavior)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와해를 초래하는 뇌 기능 장애 → 자아경계 상실, 현실검증력 손상, 환각, 망상, 와해사고, 행동 장애 2.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1) 유전적 요인 (2) 신경화학적 요인 : 도파민 과잉이론, 비정상적인 세로토닌계 활성, norepinephrine 활성 이론, GABA 기능 감퇴 가설 (3) 뇌의 구조적 원인 : 측뇌실과 3뇌실의 확대, 대뇌피질의 위축, 전두엽․측두엽의 위축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2. 원인 3. 임상양상 2) 심리․ 사회적 요인 (1) 취약성 모델 : 스트레스(빈곤, 주요 생활 스트레스, 대인관계)에 대한 개인의 취약성 (2) 대인관계 요인 : 모자관계의 이상(Sullivan), 이중 구속 의사소통(Bateson, 부모가 가르침과 상반 적인 피드백으로 훈계하며 일관적이지 못하여 갈등과 불안정 경험) 결혼왜곡 등 3. 임상양상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3. 임상양상 양성증상 : 정신기능의 왜곡이나 과도한 면을 보임 (TypeⅠ 조현병(정신분열병)의 증상) 음성증상 : 정상기능의 완전한 상실이나 감소 (TypeⅡ 조현병(정신분열병)의 증상) → 예후와 경과 나쁨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3. 임상양상 1) 정신병적 증상 (1) 환각 ① 빈도 : 청각>시각>촉각, 후각, 미각 ② 환청의 내용 : 사람 목소리가 흔함, 욕설이나 지시, 대화 등 (2) 망상 피해망상, 과대망상, 종교망상, 신체망상, 관계망상, 조종망상 등 2) 와해된 증상 (1) 와해된 언어(disorganized speech) ① 연상이완(loosening of association) : 생각이 연관성 없는 다른 주제로 진행하는 것 ② 지리멸렬(incoherence) : 연상 이완이 심해져 전혀 이해되지 않는 말을 하는 것 ③ 말비빔(word salad) : 여러 개의 단어나 구절을 아무렇게나 섞어서 말함 ④ 우회증(circumstantiality) : 말하고자 하는 바를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불필요하게 상세한 설 명이나 언급을 지나치 게섞어서 말하는 것 ⑤ 사고의 이탈(tangentiality) : 우회증보다 심한 형태로 애초에 말하고자 하는 바와는 전혀 딴 방 향으로 생각이 흘러가 버리는 것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2) 와해된 증상 (1) 와해된 언어(disorganized speech) ⑥ 음향 연상(clang association) : 뜻은 전혀 틀리지만 소리가 비슷한 다른 단어를 연상하여 말함 ⑦ 반향언어(echolalia) : 상대방에게서 들은 마지막 단어를 병적으로 따라함 ⑧ 음송증(verbigeration) : 특별한 말이나 구절을 의미 없이 반복 ⑨ 신어조작증(neologism) : 몇 개의 단어를 합성하여 환자만이 알 수 있는 새로운 단어를 만듦 ⑩ 사고 차단(thought blocking) : 생각의 흐름이 끝나기 전에 말의 흐름이 갑자기 중단됨 ⑪ 함구증(mutism) (2) 와해된 행동 ① 긴장성 혼미(catatonic stupor) : 깨어있으면서 꼼짝하지 않고 말도 하지 않고, 모든 자극에 전 혀 반응 안 보임 ② 긴장성 흥분상태(catatonic excitement) : 스스로 행동 조절 못하고 목적 없는 운동성 활동 보임 ③ 상동증(stereotypy) : 뚜렷한 목적 없이 신체적인 운동을 반복하는 것 ④ 매너리즘(mannerism) : 어떤 목적 하에는 정상적인 행동같이 보이지만 그 양상이 이상하거 나 내용이 없는 것 ⑤ 반향행동(echopraxia) : 다른 사람의 동작, 제스처를 따라함 ⑥ 자동증(automatic obedience) : 간단한 명령에 로봇같이 그대로 따라함 ⑦ 거부증(negativism) : 타당한 이유 없이 간단한 요구도 거절함 ⑧ 그 외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3. 임상양상 2) 와해된 증상 (3) 정동불일치 사고의 내용이나 상황과 정동이 일치하지 않음=부적절한 정동(inappropriate affect) 예) 평범한 내용이나 슬픈 주제를 말하면서 미소 짓거나, 특별한 이유 없이 웃음 3) 음성증상 (1) 정동둔마(affective flattening) : 감정적 표현과 반응의 강도가 감소됨 (2) 실어증(alogia) : 사고와 인지기능의 빈곤을 의미 (3) 무의욕증(avolition) :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시작하고 완수하는 능력이 상실된 것 (4) 무쾌감증(anhedonia) : 즐거움을 경험하지 못함. 환자는 감정적으로 비어있는 느낌이라고 함 (5) 주의력 손상(attentional impairment) : 주의집중을 못하거나 외부의 많은 자극 중 필요한 자극만 걸러내지 못해 혼란에 빠지는 것 4) 기타 (1) 병식결여 의식, 지남력은 유지되어 있으나, 병식은 결여되어 있는 것이 보통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4. 조현병(정신분열병)의 진단 다음의 세 가지 조건 만족 → 조현병(정신분열병) 1) 망상, 환각, 언어 와해, 행동, 음성증상 중 2가지 이상이 한 달 가량 지속 2) 발병 후 상당기간 동안 직업, 대인관계, 자가간호의 주요영역 중 한 가지 이상 현저한 저하 3) 장애 징후가 6개월 이상 지속
붕괴형, Disorganized type)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5. 유형 1) 조현병(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편집형 (망상형, Paranoid type) ① 발병 : 늦게 발병(20대 후반, 30대 후반, 교육을 많이 받은 계층) ② 증상 ∙ 체계화된 망상, 망상내용과 관련된 환각, 긴장하고 의심 많음 (와해된 언어, 행동, 부적절한 정서는 두드러지지 않음 → 혼란형에서 두드러짐) ∙ 지능에 장애 받지 않고 사회생활 유지 가능 ③ 예후 : 비교적 좋은 편 혼란형 (파괴형, 붕괴형, Disorganized type) ① 발병 : 조기발병(25세 이전, 주로 사춘기 전후 서서히 발병), 만성화 ② 증상 : 사고와 감정의 혼란, 인격의 황폐화, 퇴행, 지리멸렬한 사고, 감정의 둔마와 의미 없는 웃음, 부적절한 정서, 와해된 언어와 행동, 일상생활 활동 수행에 장애 → 대인관계 혼란, 사회적 고립 유발 ③ 예후 : 좋지 않다.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5. 유형 1) 조현병(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긴장형(Catatonic type) ① 발병 : 15∼25세 사이, 정신적 외상 후에 급성으로 발병 ② 증상 : 극심한 정신운동의 장애, 혼미와 흥분상태가 교대, 긴장증상, 부동증, 납굴증, 거부증, 함구증, 상동증, 반향언어나 반향동작 → 정신운동성 초조, 잠도 안자고 자해를 하기도 하며 식사 거부, 탈진 ③ 예후 : 초기치료 후 예후 낙관적 미분화형 환각과 망상 등 특징적인 조현병(정신분열병) 증상은 있으나 여러 전형적인 증상 유 형이 복합되어 분류할 수 없는 경우 잔류형 조현병(정신분열병)의 급성기 증상이 있다가 회복되었으나 일부 증상이 지속적으로 존재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5. 유형 2) 기타 정신 장애 정신분열형 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분열정동 장애 조현병(정신분열병) 증상을 나타내지만 발병기간이 6개월 이하, 단기 정신병적 장애(1개월 이내)와 조현병(정신분열병, 6개월 이상)의 중간 단기 정신병적 장애 ① 정신병증 증상이 최소한 1일 이상 1개월 이내인 경우. 흔하지 않음 ② 증상 : 감정적인 불안정, 기이한 옷차림, 행동, 함구 등 기분장애 증상 뚜렷함 분열정동 장애 ① 조현병(정신분열병)과 정동장애 양자의 증상이 혼합되어 나타남. 현저한 기분 장 애 증상 없이 최소한 2주 이상 망상, 환각이 나타남 보통 의기양양, 우울감이 현저 ② 예후 : 예후가 나쁘나 조현병(정신분열병)보다는 좋다 망상장애 ① 체계적이고 괴의하지 않은 망상과 그 망상의 내용에 적절한 정동을 보이면서 인 격이 비교적 잘 유지되는 정신병적 장애 ② 증상 : 의심이 많고 적대적, 감정상태는 망상의 내용과 일치,망상의 내용과 일치하 는 환각 등 공유정신병적 장애 이중 정신병. 정신병 증상이 있는 사람과 장기적인 관계 유지 시 발생하는 정신 장애, 망상체계가 비슷함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6. 치료 1) 정신치료요법 : 개인정신치료, 가족치료, 집단상담 2) 동기적 요법 3) 작업, 직업요법 4) 어떤 경우에는 행동수정을 위하여 전기충격요법이 유용하기도 함 5) 지역사회 현장에서의 낮 병원치료 : 입원하여 생활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다양한 치료프로그램으로 도움 받을 수 있음 6) 약물요법 : 항정신병 약물(주정온제)은 환자가 자신, 타인, 환경에 대해 절제할 수 없는 행동으로 파괴적일 때 행동 조절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6. 치료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7. 간호진단 1) 사고과정의 장애 2) 감각 및 지각 장애 3) 폭력 위험성 1) 사고과정의 장애 2) 감각 및 지각 장애 3) 폭력 위험성 4) 사회적 고립 5) 상해의 잠재성 6) 건강유지능력 변화 7) 사회적응장애 8) 자가간호결핍 9) 비효율적 개인 대처 10) 가족의 비효율적 대처 11) 불안 12) 수면양상의 장애 13) 언어적 의사소통의 장애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8. 간호중재 1) 상담 (1) 지지 교육적 상담 ① 불안 ∙ 급성기 동안 대상자와 함께 있으며 신뢰관계 형성 ∙ 경험하고 있는 것에 대한 느낌을 말로 표현하도록 함 ∙ 위험을 규명함으로써 경험의 의미를 대상자와 함께 밝힘 ∙ 이 시간에 대상자가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이유에 대하여 논의함 ∙ 불안한 느낌을 일으키게 했던 부정적이고 잘못된 생각 파악 ② 불신감 ∙ 말하는 시간과 장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정 ∙ 상호관계의 기간을 밝힘 ∙ 스케줄을 따름 ∙ 대상자가 병원에 입원해 있다면 대상자와의 시간을 짧게 여러 번 갖도록 함 ∙ 대상자가 참석한 미팅이나 회의동안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든 사 람과 회의 목적에 대해 설명 ∙ 타인을 신뢰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와 일관성 있게 관계할 한 두 명의 직원을 지정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8. 간호중재 1) 상담 (1) 지지 교육적 상담 ③ 환각관리 ∙ 환각의 수준 : 위로(comforting) → 비난(condemning) → 조정(controlling) → 지배(conquering) ∙ 대상자와 신뢰관계 수립 ∙ 활동 수준과 환경내의 자극을 관찰하고 조절 ∙ 안전한 환경을 유지 ∙ 일관성 있는 일과 유지 ∙ 하루에 동일한 간호제공자 할당 ∙ 명료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 증진 ∙ 지나친 친절이나 신체적 접촉은 유의(자기중심적 사고로 오해를 생길 수 있음) ∙ 현재와 과거의 환각을 묘사하고 비교할 기회 제공 ∙ 적절하게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 ∙ 행동하기보다는 감정이나 충동에 대하여 상의하도록 격려 ∙ 만약 환각에 대해 묻는다면 나는 그와 같은 자극을 경험하고 있지 않다고 말함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8. 간호중재 1) 상담 (1) 지지 교육적 상담 ③ 환각관리 ∙ 환각을 증명하기 위한 대상자와의 논쟁은 피함 ∙ 환각의 내용보다는 그것에 대한 근원적인 감정에 초점 ∙ 약물요법 ∙ 대상자가 행동을 통제할 수 없을 때 대상자와 타인의 안전과 편안함을 고려 환경 제한, 신체억제나 격리) ∙환각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을 중단하거나 감량 ∙ 대상자에게 환각이 있을 때 대상자 관리법에 대하여 가족에게 교육 ∙ 자가 간호 능력을 감시하고 필요하다면 도움 ∙ 신체 상태 관찰 ∙ 적절한 휴식과 영양 제공 ∙ 행동요법 : 사고 중단(“그만!”, “멀리 사라져!”) ∙ 전환전략 : TV시청, 다른 사람과 이야기하기, 음악듣기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8. 간호중재 1) 상담 (1) 지지 교육적 상담 ④ 망상관리 ∙ 망상 : 대상자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반영, 불안 감소 → 논리적 설득과 비평이 효과 없음, 신뢰관계 형성이 중요 ∙ 대상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망상이 의미하는 것, 망상의 목적, 망상에 의거한 행동) → 망상으로 충족되었던 욕구를 다른 방법으로 채워주면 망상이 감소함 ∙ 망상의 정당성에 대하여 직접 도전하지 않음 ∙상황에 대한 다른 해석을 고려해 보도록 대상자에게 요청함으로써 강하게 지속되 고 있는 믿음이 수정될 수 있도록 먼저 시도 ∙ 지나친 친절이나 신체적 접촉은 유의(자기중심적 사고로 오해를 생길 수 있음) ∙ 단순하고 명료한 언어 사용 ∙ 최근의 생활이나 느낌을 표현하도록 유도 ∙ 대상자와 함께 그들의 믿음에 대한 증거를 조사하고, 어떻게 다른 시각으로 볼수 있는지를 지적 ∙ 자신의 믿음에 반대되는 주장을 해보도록 대상자를 격려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8. 간호중재 1) 상담 (1) 지지 교육적 상담 ④ 망상관리 ∙ 다른 환자와 이야기할 때 작은 소리로 속삭이거나 귓속말을 하지 않음 ∙ 자신의 생각을 글로 쓰고 가끔씩 확인하도록 함 ∙ 현실감 제공 ∙ 현실(감각)능력 사정 ∙ 비지시적, 수용적 태도 : 환자의 감정 부정하지 않고 자신의 생각과 불안, 두려움에 대해서 표현하도록 격려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8. 간호중재 1) 상담 (1) 지지 교육적 상담 ⑤ 연상의 이완 지리멸렬 ∙ 대상자의 경험을 이해하도록 노력 ∙ 연상의 이완 뒤에 숨어있는 의미를 찾아야 하며 그러한 언어의 양상에 관해 직접적으로 언급 ∙ 애매하고 혼란된 주제가 생기면 당연하게 여기지 말고 재진술 및 명료화 사용 ∙ 대상자가 초점이 없이 빗나가는 패턴으로 말할 때 주제로 돌아올 수 있도록 중단시킴 ⑥ 사회적 위축 ∙ 많은 인내가 요구 됨 ∙ 대상자의 관심을 파악하고 흥미와 참여를 자극하기 위하여 정보를 이용함 ∙ 간호사는 침묵을 피하기 위해서 자기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음 ∙ 개방적인 질문을 하고 대상자에게 반응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 잠시 멈춤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8. 간호중재 1) 상담 (1) 지지 교육적 상담 ⑥ 사회적 위축 ∙ 대상자 프라이버시를 존중하지 않거나 위협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직접적인 질문은 피함 ∙ 단순하고 구체적인 언어 사용, 대상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하여 집중(직접적인 눈맞춤, 대상자를 향해 기울이고 편안한 거리 유지) ∙ 신체적 간호 제공 : 잡지 읽기, 먹는 것, 게임, 산보 ∙ 대상자와의 관계가 편안해지면 점차적으로 사회적 상황 안에 다른 사람들을 포함시킴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8. 간호중재 1) 상담 (2) 정신요법 ① 개인 정신요법 긍정적인 피드백 , 인지치료 ② 치료집단 치료적 요소 , 유형 ③ 가족중재 ∙ 가능하면 조현병 대상자와 함께 하도록 함 ∙ 가족모임을 운영하여 서로 지지를 제공하고 정보 얻도록 함 ∙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대한 교육 제공 ∙ 대상자의 질환과 재발에 대해 비난하지 않도록 함 ∙ 대상자에 대한 개입은 조심스럽게 함 ∙ 대상자의 생활에 대한 광범위한 감시는 스트레스와 재발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교육
4.2 조현병(정신분열병)과 관련 질환 간호 8. 간호중재 2) 환경요법 안전 생산적인 활동 주거시설 사회기술 훈련 3) 자가간호활동 (1) 개인위생과 옷차림 ① 위생상태 주기적 확인, 생각나게 하는 체계마련(달력의 빨간 날은 옷 갈아입음) ②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필요 시 도움 ③ 외모치장을 격려하고 칭찬 (2) 수면 ① 일정한 취침과 기상시간 유지, 낮잠시간을 줄임 ② 낮 동안이나 저녁의 적절한 운동을 격려 (3) 영양 대상자가 병원 음식을 의심스러워하면 집에서 가져온 음식 먹도록 함 (4) 운동 더 나은 자기상을 갖도록 함 (5) 건강요구
개인의 전반적인 인격과 생활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비교적 오랜 기간 유지되는 정서상태 4.3 기분장애 1. 개념 기분 개인의 전반적인 인격과 생활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비교적 오랜 기간 유지되는 정서상태 슬픔(Grief) (1)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별이나 이별에 대한 정상적인 주관적 반응 (2) 상실에 따른 슬픈 감정은 보편적 (3) 정상적인 일상 활동을 일시적으로 방해하기도 하지만 애도과정을 거쳐 해결 기분장애 (1) 어떤 기간 우울하거나 들뜨는 기분의 장애가 주축이 된 일련의 정신장애 (2) 우울증 : 저조한 기분이 있는 상태 (3) 조증 : 들뜬 기분의 상태
4.3 기분장애 2. 원인 1) 생물학적 이론 (1) 신경전달물질 가설 : 신경전달물질, 코티졸 증가 (2) 신경수용체의 감수성 변화 (3) 생물학적 리듬 : 신체 리듬의 변화 (4) 발화 이론 : 반복적으로 유발요인에 노출 (5) 유전적 가설 2) 정신사회적 이론 (1) 정신역동 이론 ① 대상상실 이론(소중한 애착대상과의 분리) ② 죄의식을 일으키는 분노가 내부로 향함(함입) (2) 인지이론 : 자신, 미래, 세상에 대한 부정적 사고와 평가가 우울 장애의 원인 (3) 행동 이론 : 긍정적 강화요인이 없는 경우 우울 장애 발생
4.3 기분장애 2. 원인 3) 학습된 무력감 모델 대상자가 자신의 환경에서 강화요인을 통제할 수 없다고 믿는 성격 경향인 동시에 행동 상태 4) 촉진적 요인 (1) 사회적 역할 이론 : 역할 갈등이 우울과 관련 (2) 애착 상실 (3) 주요 생활사건
4.3 기분장애 3. 종류 1) 우울장애 (1) 주요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① 발병 : 20대 중반 ② 예후 : 2/3 완치, 1/3 잔류 ③ 임상양상 ∙ 진단기준 - 하루의 대부분, 매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이 주관적인 보고나 객관적인 관찰에서 드러남 -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 자살사고, 자살기도, 자살수행계획 ④ 진행 : 약 5∼10%는 나중에 조증 혹은 경조증을 경험 → 양극성 장애로 진행 (2) 기분저하장애(Dysthymic disorder) 중등도의 우울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것 ① 발병 : 여성 2∼3배 더 많다. 대부분 20대 이전 발병 ② 예후 : 주요 우울장애보다 심각도는 덜하지만 2년 이상 지속 ③ 증상 : 조증삽화가 없으며 거의 매일, 하루 종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이 특징 → 식욕부진 또는 과식, 수면과다 또는 결핍, 활력상실, 피로, 자존감 저하 등 ④ 진행 : 기분저하장애 지속 끝에 주요우울증 삽화로 진행되는 경우 많음(이중우울)
4.3 기분장애 3. 종류 2) 양극성 장애 (1) 양극성 장애Ⅰ(Bipolar disorderⅠ) ① 정의 ① 정의 ∙ 조증과 우울증이 교대로 나타나거나 조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남 ∙ 1주 이상 지속되는 한번 이상의 조증이나 혼재성 삽화에 특징지어짐 ∙ 조증기간에 아래 7가지 임상증상 중 3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남 ② 임상양상 조증과 관련된 생리적,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 (2) 양극성 장애Ⅱ(Bipolar disorderⅡ) ① 발병 : 여성, 출산 직후 위험 높음 ② 정의 및 증상 ∙ 조증의 정도가 심하지 않으며, 한 번 이상의 주요 우울증 삽화와 적어도 한 번의 경조증 삽화가 동반, 우울증이 주를 이루는 양극성 장애 ∙ 10∼15%가 자살 시도
4.3 기분장애 3. 종류 2) 양극성 장애 3) 기타 기분 장애 (3) 순환기분장애(Cyclothymic disorder) ① 발병 : 10대 또는 20대 초기에 서서히 발생 ② 예후 : 1/3 주요 기분장애, 대부분 양극성 장애Ⅱ로 발전 ③ 증상 ∙ 양극성 장애Ⅱ가 경한 상태로 적어도 2년간 경조증과 경우울이 교대로 나타남 ∙ 어린 시절 구강기적 갈등, 외상 및 고착, 대상과의 관계 혼란 등과 관계 있음 3) 기타 기분 장애 (1) 갱년기 우울증 ① 원인 : MAO의 활동성이 증가 자율신경계 평형 깨짐 ② 발병 : 갱년기(40대 후반기의 여성) ③ 증상 : 초조성 우울, 심한 절망, 사소한 지난 일에 대한 극도의 후회, 건강 염려증 ④ 병전 성격 : 강박적, 융통성이 적고 양심적이고 매사를 철저히 해나가는 책임감이 강하면서 성 미가 급하고 예민하고 말이 적은 성격의 소유자(항문기적 성격), 제한된 환경에서 생활 ⑤ 예후 : 80%의 회복률, 재발 드물다, 치료하지 않으면 자살 시도율 증가
4.3 기분장애 4. 치료 1) 우울증 2) 양극성 장애 (1) 입원 (2) 심리사회 치료 (3) 약물치료 ① 삼환계 항우울제(TCAs) : Amitriptyline(Elavil), Clomipramine(Anfranil) ② MAO억제제(모노아민 억제제) : 티라민 함유식품과 병용 시 고혈압 위험) ③ SSRI(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 Anafranil, Prozac, Zoloft (4) 광선치료 : 계절적 기분장애에 효과적 (5) 전기경련 요법(ECT) ① 우울증 재발환자, 약물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선택적 적용 ② 부작용 : 기억력 감퇴, 두통, 착란, 경련 후 섬망 2) 양극성 장애 (1) 약물치료 ① Lithium(항조증제, 기분 안정제) → 혈중 농도 관찰(치료 농도 1.0∼1.5mEq/L, 유 지 농도 0.6∼0.8mEq/L), 수분섭취 권장,신장 기능 사정, 갑상선 기능 저하로 사 정 및 중재 필요 ② Sodium valproate, carbamazepine(항경련제) (2) 장기간의 가족 치료, 집단 요법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1) 우울증 (1) 의사소통 ① 간호사의 태도 ∙ 온화하고 안정된 태도 ① 간호사의 태도 ∙ 온화하고 안정된 태도 ∙ 조용하고 쾌활한 태도, 지나친 낙천성이나 명랑성 피함 ∙ 환자를 이해하는 태도 ∙ 쉽게 반응이 없다 해도 환자 옆에서 일반적인 대화를 한다. ∙ 빨리 결정하도록 재촉하지 않는다. ∙ 제시간에 참여하도록 돕지만 늦어도 그대로 수용 ∙ 참석을 억지로 강요하지 않는다. ∙ 지나친 동정적인 태도나 위로와 관심의 말은 오히려 환자의 죄의식을 증가시킬 수 있다. ② 감정표현의 촉진 공감, 질문과 진술 유도, 피드백, 직면과 같은 치료적 의사소통 전략 사용, 적극적 경청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1) 우울증 (1) 의사소통 ③ 자존감 증진 ③ 자존감 증진 ∙ 사생활 보호하고 한 개인으로서 대상자의 중요성 이야기 ∙ 대상자 수용함으로써 자기가치감 증진 ∙ 강점과 성취에 초점, 실패는 최소화 ∙ 간단한 작업을 통해 성취감과 능력을 강화 ∙ 목표설정 및 문제해결 전략에 동참 ∙ 자기표현기술 교육 ④ 인지적 재구성 ∙ 왜곡된 사고형태 바꾸고 자신과 세계를 보다 현실적으로 보도록 도전시키는 것 ∙ 부정적 사고를 현실적 사고로 바꾸도록 격려한다. ∙ 대상자의 장점, 강점, 업적, 기회를 평가하여 긍정적 사고를 증진 ∙ 비현실적 목표를 현실적 목표로 바꾸도록 돕는다.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1) 우울증 (1) 의사소통 ⑤ 집단중재 ∙ 집단치료 ╸죄의식 감소 ⑤ 집단중재 ∙ 집단치료 ╸죄의식 감소 ╸구성원들의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행동형태 알도록 ╸비슷한 문제 있는 타인을 만남으로써 외로움과 소외감 완화 → 무력감, 절망감 감소 ╸집단과의 연계를 통해 사회적 지지 증진 ∙ 사회기술훈련 사회적 상호작용의 효율성 증진시키는 사회기술전략 제공 → 사회적 위축과 상반되는 경험 제공하여 우울증 교정 ⑥ 가족중재 ∙ 가족들이 대상자의 우울하지 않은 행동은 긍정적으로 강화하고 역기능적 우울 행위는 무시 ∙ 양극성 장애 대상자 : 기분의 고저 심하고 행동변화, 가족에게 영향 → 가족지지 필요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1) 우울증 (2) 환경요법 ① 안전 ∙ 자살 예방 ① 안전 ∙ 자살 예방 ╸1 : 1 관찰 및 간호, 위험한 소지품 제거, 자살계획 및 시도에 대해 직접적으로 초점 ╸불규칙적인 병실순회, 잠들기 전까지 혼자두지 않음, 수동적 자살예방 ∙ 간호 ╸따뜻하고 수용적, 희망적으로 대하기, 인내를 가지고 대하기, 믿음의 관계, 감정표현 촉진 ╸거짓 안심이나 부적절한 낙관적 태도는 금기 ② 환경자극의 감소 온화한 조명, 소음 감소, 단순한 장식 ③ 환경제한 ∙ 요구적, 조종적, 공격적, 적대적 행위를 제한 ∙ 행동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말하고 교정하도록 피드백 ∙ 적절한 행동 긍정적 강화, 부정적 행동은 무시하거나 최소한으로 반응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1) 우울증 (3) 자가간호활동 ① 식사 ∙ 먹는 것에 대해 흥미가 없거나 무감각 ① 식사 ∙ 먹는 것에 대해 흥미가 없거나 무감각 ∙ 무가치, 허무, 빈곤, 피해망상으로 식사 요구하지 않기 ∙ 조정된 식사 필요 ∙ 높은 칼로리의 식사를 주고 간식을 제공 ∙ 모양이나 색이 예쁜 그릇을 사용하며 맛있는 냄새로 자극 ∙ 영양 불균형이 심할 경우에 먹여주며 최후방법으로 위관영양 ② 개인위생 ∙ 생각에 몰두해 있어 개인위생에 무관심 ∙ 자세 기형 ∙ 피부 간호 ∙ 스스로 목욕할 수 없으면 목욕 시켜준다. ∙ 머리손질, 구강 청결, 손톱, 면도 등에 신경 쓴다. ∙ 옷의 선택 돕고 예쁘게 옷 입도록 격려, 빨래, 다림질 하도록 한다. ∙ 옷은 화려하고 자극적인 색깔 권장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1) 우울증 (3) 자가간호활동 ③ 활동 및 수면 ∙ 휴식기간과 또 다른 수면에 대해 계획 ③ 활동 및 수면 ∙ 휴식기간과 또 다른 수면에 대해 계획 ∙ 가벼운 운동으로 피로감 갖게 한다. ∙ 낮에는 가능한 침상에 있지 않도록 한다. ∙ 오후 시간에 옥외활동 ∙ 흡연 절제 ∙ 신체적 불편 제거 ∙ 소음이나 자극적 광선 제거, 편안한 환경 제공 ∙ 따뜻한 음료수 제공 ④ 배변 ∙ 무관심하므로 식사 전후에 배변하도록 권한다. ∙ 변비 예방을 위해 가벼운 운동이나 산책, 하제를 사용하기도 함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1) 우울증 (4) 신체적 활동 증진 ① 오락요법 ∙ 모든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 ① 오락요법 ∙ 모든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 ∙ 오래 계속되는 활동은 피함 ∙ 산보, 독서, 영화, TV, 단체경기(참석하지 않으면 환경의 변화 줌) ② 작업요법 ∙ 때때로 일상적인 가정의 잡일들이 무가치를 느끼는 동안 도움이 됨 ∙ 필요한 일을 했을 때 더욱 가치 있게 느끼므로 간단하고 최소의 집중을 요하는 일 ∙ 현실감을 갖고 사회활동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함 ∙ 일에 요구되는 에너지가 많을수록 내부로 향하는 에너지 감소 ∙ 단체운동 : 에너지 소모시키고 공격성과 분노를 용납하는 돌파구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2) 조증 (1) 의사소통 ① 간호사의 태도 ① 간호사의 태도 ∙ 대상자가 내면에 우울감이 깔려있음을 부정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 ∙ 어떤 상황에서도 격분해서는 안되며 그들의 행동에 대해 항의, 논쟁을 해서는 안 된다. ∙ 침착성 유지, 경솔한 대답이나 독단적인 지시 삼간다. ∙ 사적인 모욕으로 공격적 행동 하지 말아야 한다. ∙ 환자 행동이나 태도에 찬성 또는 반대를 보여주지 말아야 한다. ∙ 친절하고 유머가 있어야 한다. ∙ 간호행위를 할 때는 설명을 한 후에 시행한다. ∙ 환자의 질문에 간결하고 진실된 대답을 해주어야 한다. (2) 환경 요법 ① 비도전적이고 비자극적인 환경 ② 편안하고 조용한 기분 좋은 병동 ③ 소음은 최소한으로 줄이고 자극물 없어야 한다. ④ 허용적인 태도 ⑤ 환자방의 설비는 아주 간단하고 꼭 필요한 물건 외에는 제한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2) 조증 (3) 자가간호 활동 ① 식사 ① 식사 ∙ 행동과다가 심한 환자는 매우 바빠 식사에 집중하지 못하므로 갖고 다니면서 먹을 수 있도록 음식 제공 ∙ 간호사가 식사할 것을 권해야 하며 숟가락으로 떠먹여 주어야 할 경우도 있음 ∙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분섭취 충분히 시키고 주스 등을 자주 마시도록 함 ∙ 조용한 장소에서 식사하도록 함 ∙ 식당에서 소란을 피웠을 때 다음 식사 정도는 자기 방에서 혼자 먹게 함 ② 수면 ∙ 대부분의 조증환자는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한다. ∙ 조용하게 해주고 조명을 어둡게 한다. ∙ 배가 고파서 잠을 잘 수 없는 경우 따뜻한 우유나 가벼운 음식을 먹인다. ∙ 따뜻한 목욕, 부드러운 음악 ∙ Paraldehyde같은 진정제를 준다(낮에는 사용금지).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2) 조증 (3) 자가간호 활동 ③ 감염예방 ③ 감염예방 ∙ 에너지 소모로 신체적 저항력이 저하되고 탈수가 되기 쉽다. ∙ 아픔이나 상처를 느끼지 못하며 무관심하여 염증이 생기기 쉽다. ∙ 목욕을 매일 시키면서 상처를 검사하고 치료 ④ 휴식 ∙ 자극을 제한 ∙ 조증 환자끼리는 분리 ∙ 방문객을 제한하며 방문 후 환자의 상태 관찰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2) 조증 (4) 신체적 활동 ① 오락 ∙ 환자의 활동이 건설적인 목적으로 이용되도록 돕는다. ① 오락 ∙ 환자의 활동이 건설적인 목적으로 이용되도록 돕는다. ∙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것 장려할 필요 없으며 가끔 혼자 있게 하거나 혼자 걷도록 한다. ∙ 운동장에서 활동하도록 하며 마루 닦기, 정원손질, 탁구 등을 하도록 한다. ∙ 주의 집중이 잘 안되고 불안하므로 복잡한 일보다 간단하고 빨리 할 수 있는 일이 필요 ∙ 글쓰기, 그림 그리기 ∙ 심하게 흥분된 동안은 팀으로 된 운동은 하지 말고 개인적인 게임 ∙ 회복기 환자는 음악을 들려주거나 시합에 참가하거나 오락 같은 것을 권함 (5) 자살 또는 타살의 경향 ① 좌절감으로 인한 공격적 행위의 결과 ② 망상적 환각 ③ 늘 간접적인 감시와 관찰을 하여 예방 ④ 조용한 방 선택 ⑤ 벽장식, 그림, 벽지는 단색인 것이 좋으며 방의 온도는 약간 서늘하고 조명도 조금 어둡게 유지
4.3 기분장애 5. 간호중재 2) 조증 (6) 공격환자의 간호 중재 ① 공격의 위험성을 사정 : 환경적 자극, 공격적 충동과 적대감을 관찰 ② 환자 자신과 다른 환자, 의료진의 안전을 위해 공격환자에게 제한점을 둠 ③ 비경쟁적 신체적 운동을 통해 공격 에너지와 분노 감정을 발산하게끔 격려 ④ 공격행동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게끔 격려 ⑤ 환자의 의견을 무시하지 말고 진지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를 유지 ⑥ 필요시 투약 (안정제 : diazepam 5∼10mg IV, lorazepam 2∼4mg IV, haloperidol 5∼10mg) ⑦ 필요시 신체적 억제나 격리하고 격리 시 환자가 있는 곳과 간호사를 부르는 방법을 알려줌 ⑧ 최소한의 억제를 하고 공격행동 시 과잉반응 금물 ⑨ 환자의 신체적인 공간을 고려해 넓은 장소에 있게 함
4.4 불안장애 1. 개념 1) 불안 2) 불안의 단계 경증 불안 중증도 불안 중증 불안 공황 (1)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정서 (2) 염려, 긴장, 걱정되는 상태로써 임박한 위기에 대한 두려움 내적인 조절능력의 상실로 마음속으로부터 일어나는 모호하고 막연한 감정 (3) 무엇인지 확실치 않으나 어떤 커다란 위험이 닥쳐오리라는 생각에 압도당함 → 마음의 초긴장+자율신경계 증상을 동반(가슴 울렁거림, 호흡곤란, 식은땀 등) (4) 불안장애 시 현실을 인식하는 현실검증에 손상 없음 (5) 잠깐씩 불안을 느끼는 것은 정상으로 간주하나, 불안이 지속되고 스스로 대처하지 못해 일상생활, 사회적, 직업적 기능이 방해 받으면 불안장애로 발전 2) 불안의 단계 경증 불안 중증도 불안 중증 불안 공황
4.4 불안장애 1. 개념 2. 원인 3)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1) 생물학적 이론 두려움이나 걱정의 정도가 지나쳐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오래 지속되는 상태 약물 치료 및 단기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기도 하지만 경과는 거의 평생 지속 2. 원인 1) 생물학적 이론 (1) 자율신경계 : (2) 신경전달물질 : norepinephrine, serotonine, GABA, (3) 신경해부학적 이상 (4) 유전적 결정
4.4 불안장애 2. 원인 2) 정신사회적 이론 (1) 정신역동이론 불유쾌한 감정상태, 이드와 초자아 사이의 내적갈등이 일어나 자아가 위협을 받고 있다는 임박한 위험을 경고하는 신호 ⇒ 자아가 건강해 방어기전이 무의식적 생각이나 충동을 충분히 억압하면 불안은 사라짐 (2) 행동이론 불안 : 인지한 위협이나 환경 자극에 대한 내적인 조건화 반응으로 학습된 행동 (3) 인지이론 부적응적 행위 및 불안장애 같은 정서장애가 나타나기 전에 일어나는 잘못되거나 왜곡된 사고 (4) 대인관계 이론 ① 불안 : 외부 환경에 대한 개인 반응 ② 설리번(Sullivan) : 1차 집단(개인, 가족 등) 사이에서 일어나는 기대 불안정, 갈등, 좌절 등으로 불안 증상 초래, 어머니의 불안이 영아에게 전달
4.4 불안장애 3. 증상 1) 행동특성
4.4 불안장애 3. 증상 2) 대처기전 경제상태, 지지집단, 문제해결능력, 신념 등 내외적 대처자원을 이용해 적절하게 적응 불안이 고조되면 대처에 더 많은 에너지가 요구됨 (1) 과업중심반응 문제와 갈등을 해결, 요구를 만족시킴 ① 공격적 행동(attack behavior) ∙ 생산적 양상 : 요구 충족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극복하기 위한 시도 ∙ 파괴적 양상 : 화를 내거나 타인의 권리, 안녕을 침해하는 행동 ② 철회적 행동(withdrawal behavior) ∙ 신체적 철회 : 흡연자와의 자리를 피한다든지 하는 행동 ∙ 심리적 철회 : 패배를 인정, 무감동 ③ 절충(compromise) ∙ 공격 또는 철회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 ∙ 요구를 포기하거나 해결방법을 바꿈
4.4 불안장애 3. 증상 2) 대처기전 (2) 자아중심 반응 : 방어기전 ①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반응으로 방어기전을 일컬음 ② 무의식 수준에서 일어나며 어느 정도 현실왜곡이 발생 ③ 모든 사람이 경한 불안이나 중등도 불안을 성공적으로 다룰 때 사용 ④ 과도하게 사용해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문제가 됨 ⑤ 억압과 억제의 방어기전을 사용하여 갈등을 해결하려 한다.
4.4 불안장애 4. 관련 질환 1) 공황장애(Panic disorder) (1) 발병 (2) 개념 예기치 못한 반복적인 공황 발작이 발생, 비교적 순식간에 악화되며 10∼20분간 지속되다 소실되는 강한 공포 및 불안 (1) 발병 50% 이상이 20대에서 발병, 여자가 2∼3배 많다. (2) 개념 ① 예기치 못한 반복적인 공황발작 ② 최소한 1개월 이상 다른 공황발작이 일어날까봐 지속적으로 염려함 집에만 머무르려 할 수도 있음, 사회적 고립 ③ 최소한 2회 이상의 예기치못 한 공황발작 있음
4.4 불안장애 4. 관련 질환 (3) 증상 (4) 치료 ① 주증상은 강한 공포, 곧 죽을 것 같은 느낌 ② 호흡곤란, 심계항진, 흉부통증, 흉부 불쾌감, 숨이 답답한 느낌, 현기증, 현훈 감 휘청거리는 느낌, 손발 저리는 감각이상이나 몸의 떨림과 진전, 돌발적 열감이나 냉감 땀 흘림 호흡성 , , 알칼로시스(과호흡), 진찰 시 같은 말 되풀 이하고 더듬거나 몹시 당황함 ③ 예기불안, 건강염려증, 회피행동, 광장공포증 등이 동반 됨 (4) 치료 ① 약물치료 : SSRIs, Alprazolam, Paroxetine, Clomipramine, benzodiazepines, TCAs ② 인지․ 행동치료 ③ 가족치료, 통찰 치료
4.4 불안장애 4. 관련 질환 2) 공포장애(Phobias) (1) 종류 어떤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두려움을 느낌 → 세균, 암, 특정한 짐승 등 구체적인 대상 → 좁은 공간, 높은 곳, 군중, 광장 등 특정 상황 → 내적 불안요소가 외계의 어떤 대상으로 투사, 전치되어 나타남 (1) 종류 ① 광장공포증(Agoraphobia) ∙ 혼자 있거나 도망치 기 어려운 공공장소에 있거나 도움을 받을 수 없을 때 나타나는 현저한 공포 ∙ 지나치게 의존적이며 심한 경우 집에서 꼼짝 못하고 밖을 전혀 나가지 못함 ∙ 불안으로 인한 자율신경계통의 신체변화 느낌, 숨이 답답함, 식은 땀, 떨림 ∙ 우울증, 자살, 다른 공포증, 강박장애, 알코올이나 약물남용 등 동반 가능 ∙ 실직, 경제적 곤란에 처할 수 있음
4.4 불안장애 4. 관련 질환 2) 공포장애(Phobias) (1) 종류 (2) 치료 ② 특정공포증(Special/simple phobia) 광장공포증 외에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공포를 모두 합쳐서 일컬음 → 특정 공포대상에 접근하면 급속도로 공포반응 발생(공황발작 증상과 비슷) ③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 사람과 접촉할 상황을 기피하고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음 ∙ 낯선 사람과 함께 있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을 쳐다볼 수 있는 상황에 지속 적으로 두려움을 나타내는 것 ∙ 사회적 불안(social anxiety) : 대인관계나 사회적 상황에서 다른 사람을 의식해 서 생기는 불안 ∙ 수행불안(performance anxiety) : 특정일을 할 때 긴장과 더불어 쳐다보는 사람 을 의식해 생기는 불안 (2) 치료 ① 약물 : SSRIs, benzodiazepines, BusSpar, β-blocker 등등 ② 행동 치료 : 체계적 둔감법, 심상법, 노출을 통항 둔감법 ③ 최면치료, 지지치료, 가족 치료
4.4 불안장애 4. 관련 질환 3)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OCD) (1) 개념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반복되는 강박적 사고와 행동을 되풀이함 → 불안이나 두려움이 상승되어 이를 막기 위한 행동을 취함 → 강박적 행동을 통해 불안을 완화시킴 (2) 발병 ① 사춘기∼성인 초기, 학력이나 지능이 높은 경우 호발 ② 초자아가 강하고 완벽주의적 성격 (3) 증상 ① 억제할 수 없고 억제하려고 노력하면 불안 상승 ② 주로 공격성이나 청결에 집착 ③ 방어기전 : 격리, 대치, 반동형성, 취소 (4) 치료 ① SSRIs TCAs(Gromin), Tegretol 등 ② 행동 치료 : 둔감법, 노출치료, 혐오치료, 홍수법 등 ③ 정신분석, 가족치료, 집단 치료, 전기 충격 등
4.4 불안장애 4. 관련 질환 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극심한 위협적 사건이나 스트레스로 심리적 충격 경험 한 후, 특수한 정신적 증상 유발 (1) 진단 외상적 상황에 노출 후 1개월 이상 증상 지속, 일상 생활 장애 초래 (2) 구분 ①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 → 만성 ② 외상사건 6개월 후 첫 발생하면 → 지연된 발병 (3) 원인 ① 천재 지변 : 지진, 홍수, 태풍, 폭풍 등 ② 인재 : 자동차 사고, 산업재해, 비행기 사고 등 ③ 의도적 재난 : 전쟁, 강간, 폭행, 학대 등
4.4 불안장애 4. 관련 질환 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4) 임상양상 ① 위협적이었던 사고에 대한 원치 않은 반복적 회상이나 악몽 ② 회피 , 반응마비, 지속적 과민상태, 우울, 불안, 집중곤란, 흥미상실, 대인관계 의 무관심 ③ 멍청한 태도, 짜증, 놀람, 수면장애, 해리, 공황발작, 착각, 환각, 기억 및 주의 력 장애 ④ 뚜렷한 자율신경계 불안증상 동반 ⑤ 폭발적, 갑작스럽고 충동적 행동, 약물남용, 알코올 남용 등 병발가능 ⑥ 희생자가 있을 경우 → 죄책감, 배척감, 수치 감 (5) 치료 ① 지지, 감정 표현, 대처 전략 교육 ② 인지처리 기법 ③ 약물, 정신 치료
4.4 불안장애 4. 관련 질환 5)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GAD) (1) 발병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하는 만성적 불안으로 건강, 경제, 직업, 인간관계 등 모든 부분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고 불안해함 공포증이나 공황발작, 강박 장애 없이 지나친 불안이나 걱정이 적어도 6개월 동안, 최소한 한번 에 며칠 이상 지속 (1) 발병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2배 (2) 증상 걱정과 불안, 일상생활의 모든 일에 끊임없이 걱정함, 두통, 협심통, 근육 통증, 피로감, 불면증 등의 신체증상, 자율신경계 항진, 인지적 과민 현상 (3) 치료 ① 지지 정신 치료 ② 약물 요법 : SSRIs, benzodiazepines, Busspar 등
4.4 불안장애 4. 관련 질환 6) 급성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 (1) 증상 극심한 외상성 스트레스에 노출 된 후 4주 이내 증상 시작 증상이 2일 이상 4주 이내 지속(1개월 이상 지속 시 PTSD로 진단) (1) 증상 불안, 정서적 반응 마비, 위축, 결핍에 대한 주관적 느낌, 주변에 대한 지각 감소, 현실감 소실, 이인감, 해리성 기억 상실 7) 신경쇠약증(Neurasthenia) (1) 싫증을 내거나 피로하게 됨으로써 불안을 피하고자 하는 신경증 (2) 방어기전을 이용하지 않고 여러가지 신체적 호소(불면, 허약, 피로, 요통, 두통 등)를 함
4.4 불안장애 5. 치료 1) 약물치료 (1) 공황장애 : TCA, MAOIs, SSRIs, Benzodiazepine, β-blockers (2) 강박장애 : TCA, SSRIs (3) 사회공포 : MAOIs, Benzodiazepine (4) 범불안장애 : Benzodiazepine, Azapirone 6. 간호진단 및 중재
4.4 불안장애 6. 간호진단 및 중재 2) 간호중재 (1) 중증 및 공황수준의 불안 ① 신뢰관계의 확립 ① 신뢰관계의 확립 ② 자기인식 : 자신의 느낌과 역할을 끊임없이 명료화 ③ 환자보호 ∙ 환자가 다룰 수 있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정하도록 격려 ∙ 처음부터 반복되는 행동 저지하지 않는다. ∙ 공포대상에 맞서도록 강요하지 않는다. ∙ 공포, 의식, 신체적 호소에 관심두지 않는다. ④ 환자 곁에 있어 주면서 경청하고 지지 ⑤ 환경의 변화 : 환경적 자극 감소 ⑥ 활동 격려 ∙ 활동에 대한 환자의 관심 격려 ∙ 환자의 주의를 밖으로 돌리고 감정 이완 ⑦ 투약관리
4.4 불안장애 6. 간호진단 및 중재 2) 간호중재 (2) 중등도 불안 ① 불안의 인식 : 환자의 행동을 확인하고 불안을 감정과 연결 ② 불안에 대한 병식 : 이전의 대처반응 분석 ③ 위협에 대한 대처 ∙ 위협과 스트레스 요인 재평가 ∙ 환자가 행동 수정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새로운 대처방법을 배우도록 돕는다. ④ 이완반응의 증진 (3) 공포장애 공황 반응을 증가․ 감소시키는 요인을 환자 스스로 파악하도록 돕는다. 환자와 함께 과거 효과적인 대처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환자의 생활양식과 능력에 맞는 선택적 적응 대처 전략을 실행하도록 돕는다. 공포의 자극에 점진적으로 노출시킨다(탈감작법)
4.4 불안장애 6. 간호진단 및 중재 2) 간호중재 (4) 강박장애 ① 강박행동은 허용적인 방법으로 받아들임 ① 강박행동은 허용적인 방법으로 받아들임 → 못하게 하면 불안을 조절할 수 없어 공황상태가 될 수 있다. ② 환자가 나타내는 증상으로 인해 벌을 받거나 불리하게 되지 않는 환경 ③ 의식적 행동에는 적당한 시간을 허용한다. ④ 강박적인 주제에 관해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⑤ 신체적 보호 : 적당한 음식섭취, 피로예방, 피부보호, 감염예방 ⑥ 강박행위가 건강을 해칠 정도로 심할 때는 제한을 가한다. (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① 환자가 사고의 회상에 대해 이야기할 때 적극적으로 들어준다. → 신뢰형성 ② 외상적 사고 중에서 가장 힘들고 무력감을 느끼는 것 또는 자기 억제가 힘든 특정 상황을 알 아 내고 묘사하도록 권장한다. ③ 자살의 위험성과 불안 사정
4.5 신체형 ․ 해리장애 1.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명백한 병리적 소견이 없고 병태 생리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 신체 증상들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질환 → 정신적 원인이 신체증상의 형태로 발병 2) 간호중재 심리학적 요인 스트레스, 불안, 갈등을 내재화 하고 신체 증상으로 표현 생물학적 요인 신경전달 물질(Norepinephrine, Serotonin), 유전적 요인 사회적 요인 문화적, 사회적 인종적 특성이 영향을 미친다. 정신역동적 이론 내면의 고통이 신체적 증상으로 대리 표현됨으로써 심적 갈등을 부정하고 신체적 증상 때문에 괴로운 것이라고 자위하면서 자신의 문제로부터 도피하려는 것
4.5 신체형 ․ 해리장애 1.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3) 증상 4) 관련 질환 (1)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만성경과 (2) 약물중독 위험 높음 4) 관련 질환 (1) 신체화 장애(Somatization disorder) 신체적 원인이 명백하지 않은 다양한 신체증상을 반복적으로 호소 ① 발병 : 10대 후반∼30대, 여성 5∼20배 호발 ② 특징 ∙ 모호하고 부정확하며 시간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 장기간의 복잡한 과거 병력 ∙ 모든 장기에서 다양한 신체증상(감각기관, 수의근 제외) ③ 치료 ∙ 비교적 어려움 ⇒ 정기적, 일관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 ∙ 초기에는 철저한 신체 및 검사실 검사 필요하나 추가검사는 원칙적으로 피해야 함 ∙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을 말로 표현하게 한다.
4.5 신체형 ․ 해리장애 1.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4) 관련 질환 (2)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신경학적 또는 내과적 질환에 기인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신경학적 증상 즉, 감각기관이나 수의적 운동의 극적인 기능상실이 특징적 ① 특징 ∙ 심리적인 반응양식이나 목적이 있으나 인위적으로 일어나는 것 아님(무의식적) 억압된 욕구, 감정, 생각에서 생기는 불안이나 정신 내적 갈등이 원인 ∙ 자신의 내적 긴장 해소(1차적) ∙ 주위의 관심 끌기, 불리한 상황 피하기(2차적) ∙ 만족스런 무관심(la belle indifference) : 환자는 자신의 증상을 걱정하지 않음 ∙ 감각장애(감각상실, 이상감각), 운동장애(마비, 이상운동, 보행장애, 쇠약) ∙ 가성경련(히스테리성 간질) : 다치지 않을 곳에서 남이 볼 때 쓰러짐, 특징적 증상 없음 ∙ 수동공격적, 의존적, 반사회적, 연극적 성격 특징 있음 ② 치료 : 전환증상 해소, 전체적인 적응력 향상, 유발요인의 확인 및 차단 ⇒ 환기, 암시, 안심 등 지지적 정신치료+항불안제
4.5 신체형 ․ 해리장애 1.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4) 관련 질환 (3)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신체적 징후 또는 감각을 비현실적으로 부정확하게 인식하여 자신이 심각한 병에 걸렸다는 집착과 공포를 가지게 된 상태(변화가능) cf. 망상(고정 불변의 믿음) : 타인에 대한 공격심, 증오가 신체호소로 전이 → 낮은 자존심, 부적절감, 지각 및 인지적 장애에 대한 방어적 결과 ① 특징 ∙ 의학적 검사나 평가에도 불구하고 6개월 가량 지속 → 사회생활이나 직업기능에 장애 ∙ 죄책감, 자기 비하 심함. 신체적 고통이 속죄의 수단 ∙ 예후 좋은 경우-안정된 사회 경제적 상태, 급격한 발병, 인격장애 없을 때, 치료에 잘 반응하는 불안 및 우울 시, 관련 신체질환 동반되지 않을 때
4.5 신체형 ․ 해리장애 1.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4) 관련 질환 (4) 통증장애(Pain disorder) 내과적 또는 신경계통의 질환과 뚜렷이 연관되지 않는 신체부위의 통증 ① 특징 ∙ 내적, 심리적 갈등이 상징적으로 신체의 통증으로 표현(40∼50대, 여성 호발) ∙ 정서적 고통과 기능적 장애 수반 ∙ 장기간의 내․외과적 병력 있고 여러 의사를 만나서 약물을 요구 ∙ 통증에 대한 생각에만 몰두하고 통증 때문에 자신의 생활이 비참해졌다고 함 ∙ 물질관련 장애 발병 쉬움(통증 완화를 위해 물질에 탐닉) (5) 신체변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자신에게 신체적 변형 또는 결손이 있다고 상상 ① 특징 ∙ 정상적인 용모에 대해 변형이나 결손 등의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지나치게 집착 ∙ 얼굴, 손, 발, 유방, 성기 등에 주로 결함이 있다고 생각
4.5 신체형 ․ 해리장애 1. 신체형 장애(Somatoform disorder) 5) 치료 6) 간호중재 (1) 지지적 정신치료 (2) 약물 치료 : 항불안제, 항우울제 6) 간호중재 (1) 신체적 증상이나 기능장애에 초점을 맞추지 말고 대상자의 두려움과 불안에 대한 언어적 표현 을 경청한다. (2) 대상자가 신체적 증상과 결함에 대해 몰두하기 시작할 때마다 사무적인 태도를 취하고 대화의 초점을 돌린다. (3) 환자의 장점(건강한 측면)을 인식시켜 주어 갈등처리방법으로 이용하게 하고 sick role을 철회시 키고 2차적 이득을 최소화 시킨다. (4) 환자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대처방법을 터득하도록 돕는다. (5) 불안과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요인을 파악하도록 돕는다. (6) 신체적 증상과 결함에 대한 대상자의 언어적 진술과 신체적 능력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때마 다 지적해 준다 (7) 집단활동(오락 및 사회활동)
4.5 신체형 ․ 해리장애 2. 해리장애(Dissociaton disorder) 1) 개념 2) 원인 3) 증상 (1) 인간의 기억, 정체성, 지각, 의식의 통합이 와해되어 각각 해리되는 정신장애 (2) 해리된 성격의 일면은 의식적인 성격과 전혀 동떨어져서 기능함 (3) 불안, 불편감, 공포를 유발하는 억압된 충동이 무의식적으로 의식에서 분리 2)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 변연계, 세로토닌 (2) 정신 사회적 요인 : 낮은 자존감, 정체성 혼동, 성역할의 혼란, 역할 긴장 등 (3) 가족 역동 : 완고하고 폐쇄적이며 학대적인 가족 3) 증상 (1) 기억상실, 의식결함, 몽유병, 둔주, 다면성 인격, 이인증 등으로 표현 (2) 일시적/만성적 또는 갑작스럽거나 점진적으로 와해, 변화 (3) 과거, 환경, 위기 또는 위험으로부터 도피하는 수단으로 자신을 해리시킴
4.5 신체형 ․ 해리장애 2. 해리장애(Dissociaton disorder) 4) 관련 질환 (1) 해리성 둔주(dissociative fugue) ① 자신의 과거나 자기 신분 및 정체성에 대한 기억을 상실, 본래의 정체성에대해 기억을 못함 ② 갑자기 직장을 떠나 방황을 하거나 예정 없는 여행을 함 ③ 자신이 누구인지 모름, 지남력 장애, 새로운 신분을 만들기도 함 ④ 회복 후 둔주 기간에 일어난 일을 기억 못함 ⑤ 자연적으로 회복 (2) 해리성 기억 상실(dissociative amnesia) ① 특별히 중요한 시기의 내용을 기억하지 못함 ② 정신적 충격, 스트레스 상황과 관련된 기억상실 ③ 최면 요법, 스트레스 상황의 해소로 회복
4.5 신체형 ․ 해리장애 2. 해리장애(Dissociaton disorder) 4) 관련 질환 (3) 이인성 장애(depersonalization) ① 자신이 자신의 실제 모습에서 떨어져 있다고 느낌 ② 자신이 실제가 아니고 죽었다고 느끼기도 함 ③ 현실 검증력은 유지되어 자아가 몸에서 떨어져 나왔다는 것을 믿지는 않음 (4)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① 한 사람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인격을 가지며 한 번에 한 인격이 그 사람의 행동을 지배․ ② 각각의 인격은 서로 모순된다.
4.5 신체형 ․ 해리장애 2. 해리장애(Dissociaton disorder) 5) 간호중재 회복과정에 대해 대상자 교육 안전하고 무비판적 환경 제공 대상자의 숨겨진 기억력 정도 확인 필요할 때 지지할 수 있는 연락 가능한 사람들 명단 입수 (1) 개인치료 : 최근 사건에 대해 이야기(기억력 회복) (2) 집단치료 (3) 약물 치료 : 단기적으로 항불안제 사용 (4) 예술 치료 (5) 환경치료 : 대상자의 행동 기준 설정, 새로운 대처기전 교육, 물리적 억제는 최후 사용
4.6 인격장애 1. 개념 1) 인격 2) 인격 장애자 3) 분류(DSM-Ⅳ 진단 기준) 개인의 독특한 품성, 행동, 기질, 정서 및 정신적 성향의 조합으로 일상적인 상황에서의 개인을 특징짓는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감정 및 행동 경향 2) 인격 장애자 (1) 교정될 수 없는 반사회적 행동을 하는 사람, 정서가 미숙한 사람, 비건설적인 사람, 이기적이고 사회에 물의를 일으키는 사람, 타인을 조정하려 하고, 충동 적, 자기애적 연민 지니기도 함 (2) 인격 장애는 성인기나 성인초기에 나타나 전생에 걸쳐 지속 3) 분류(DSM-Ⅳ 진단 기준) (1) A군의 인격장애 : 상식적인 범위에서 벗어난 행동특성을 나타냄 → 편집성, 분열성, 분열형 인격장애 (2) B군의 인격장애 : 연극적이며 변덕스러운 행동 특성을 나타냄 → 반사회적, 경계성, 히스테리성, 자기애적 인격장애 (3) C군의 인격장애 : 근심이 많고 두려워하는 행동특성을 나타냄 → 회피성, 의존성, 강박성
4.6 인격장애 2. 원인 1) 생물학적 이론 2) 사회문화적 이론 3) 정신역동적 이론 (1) 유전 (2) 생화학 이론-도파민,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이상 (3) 자율신경계-뇌피질, 교감신경 각성이 증가되어 불안억제 현상 나타남 (4) 호르몬 ① 남성호르몬 수준 증가 → 공격성 성향 ② estrone, 17-estradiol, testosterone 증가 → 충동적 행동 2) 사회문화적 이론 (1) 가족환경, 가족의 사회적 특성(일관성 없는 훈육방법, 애정 결핍) (2) 학습 이론 : 부정적인 반응이 학습 (3) 인지 이론 : 극도의 불안으로 생각이 왜곡되어 형성 3) 정신역동적 이론 (1) 충동조절력 : 충동조절 능력 결여되어 있어 행동화(Acting out) (2) 기분 : 감정조절 능력 감소, 자포자기적 우울 (3) 판단력 : 사고력, 예측력, 효과적인 문제해결 능력 약화 (4) 현실검증력 : 빈약한 현실검증력 때문에 과도한 투사
4.6 인격장애 2. 원인 3) 정신역동적 이론 (5) 건강한 자기인식 : 왜곡된 자기지각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좋은’면과 ‘나쁜’면 이 통합될 수 없을 때 나타남, 초자아 미성숙 (6) 대인관계 : 다른 사람과의 관계 경직, 유연하지 못함 → 의존적, 복종적 대인관계 (7) 사고과정 : 지나치게 구체적이거나 장황할 수 있으며 말의 초점이 흐리거나 지나치게 답답하고 신중하기도 함 (8) 일상생활활동 : 개인위생의 결여 (9) 자극여과 : 자극 여과에 어려움이 있어 자극에 민감 3. 행동 특성 1) 스트레스에 대한 부적응 반응 2) 일이나 사랑에서 나타나는 장애 3) 대인관계에서의 갈등 4) 타인을 불쾌하게 만드는 경향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1) A군 인격장애 (1) 편집성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① 임상양상 ∙ 특징 : 다른 사람에 대한 불신과 의심. 자신을 부당하게 이용하고 속일 것이라고 추측 ∙ 정서 : 화를 잘 냄, 유머가 없고, 감정적이지 않음, 경계적이며 적대적 ∙ 자아상 : 자기 중요성이나 신용에 대해 집착, 다른 사람과 정보공유를 꺼림 ∙ 행동 : 방어적이고, 불신과 의심이 많음 ∙ 대인관계 : 깊은 대인 관계 피하고, 이기적, 자존심이 강하다. ∙ 방어기전 : 투사 ② 간호시 주의점 ∙ 환자의 인격 존중 ∙ 솔직하고 포용적인 태도 견지하여 신뢰관계 구축 ∙ 일관되고 중립적이면서도 치료적 태도 견지 ∙ 너무 잘해주거나 관심을 표시하면 동기를 의심받을 소지가 있으므로 이러한 태도는 지양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1) A군 인격장애 (2) 분열성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① 임상양상 ∙ 특징 : 감정을 분리함. 친밀한 대인관계의 어려움 ∙ 정서 : 밋밋함, 무감동 ∙ 자아상 : 고독함을 즐기고 자폐적사고, 자기만족 ∙ 행동 : 무기력해 보이고, 칭찬․비난․타인시선에 무관심함 ∙ 대인관계 : 사회적 관계 형성능력 결함, 철회 양상 ∙ 방어기전 : 주지화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1) A군 인격장애 (3) 분열형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① 임상양상 ∙ 특징 :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만드는 이상한 믿음이 특징 ∙ 정서 : 불안, 우울, 혼란스러움 ∙ 자아상 : 소외당하는 느낌, 이인증, 비현실감 ∙ 행동 : 사고, 언어, 행동에 괴이한 증상, 마술적 사고, 관계사고, 편집성 사고 ∙ 대인관계 : 사회적 관계에서 격리, 부적절 ∙ 방어기전 : 취소 ② 간호시 주의점 : 지지적이며 구조화되고 엄격한 접근, 집단치료에서 구조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이 좋다.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2) B군 인격장애 (1) 반사회적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① 임상양상 ∙ 특징 : 반복적인 불법행위, 타인을 무시하는 것 ∙ 정서 : 냉정, 무감각 ∙ 자아상 : 인상과는 달리 신의가 없고, 내면에 거짓이 가득 차있는 성향 ∙ 행동 ╸주기적으로 반사회적 행동, 통찰력이 부족한 행동. 충동적인 행동 ╸위험한 상황에서도 불안하거나 긴장하지 않음. ╸자신의 행동에 잘못했다는 느낌이 전혀 없음(초자아 미성숙) ∙ 대인 관계 : 겉으로는 매력적이고, 남의 기분을 잘 알아주는 것 같음. 타인과 의미있는 관계 형성부족 ∙ 방어기전 : 행동화 ② 간호시 주의점 공감과 사회적 책임감이 부족하기 때문에 치료 어렵다.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2) B군 인격장애 (2) 경계성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① 임상양상 ∙ 특징 : 정서, 정체성, 대인관계의 불안정성, 버림받는 느낌을 피하기 위해 관계형성에 필사적 ∙ 정서 : 만성적인 허무감과 권태, 부적절한 분노와 충동성 ∙ 자아상 : 정체감 혼란 및 불안정성이 나타남 ∙ 행동 : 행동이 폭발적이어서 예측 불가. 자해시도 잦음. 변덕스러운 행동 ∙ 대인관계 : 일률적 양상이 없고, 끊임없이 변화. 양극단의 양상 반복 ∙ 방어기전 : 퇴행 ② 간호시 주의점 ∙ 주요 우울증, 우울 신경증으로 발전하기 쉬움 ∙ 치료자에 대해서 이상화 하다가도 평가절하하고 공격적으로 대하는 경향 있음 → 치료자 자신의 역전이에 주의!!! ∙ 환자의 무의식 보다는 현실에서 매일 경험하는 대인관계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해석하는 것이 효과적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2) B군 인격장애 (3)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① 임상양상 ∙ 특징 : 자신이 관심이 중심되고자 하며 주목받고자 하는 행동 ∙ 정서 : 변덕스러움 ∙ 자아상 : 스스로 사교적이라고 생각함 ∙ 행동 : 외부에 대한 반응이 지나치게 빠르고 자기를 과시, 관심을 끌기위해 과장된 표현, 연극적임. 상대방의 의사를 자기 환상대로 해석 ∙ 대인관계 : 피상적이고 불성실해 대인관계에 장애가 있음. 상대방을 조종하려함 ∙ 방어기전 : 해리 ② 간호시 주의점 ∙ 내적인 감정 상태를 분명히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한 치료 ∙ 치료 과정 중 환자의 거짓감정에 반응하지 말아야 한다. ∙ 극적인 가성 병식 유의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2) B군 인격장애 (4) 자기애적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① 임상양상 ∙ 특징 : 중요한 인물이라는 과장된 생각과 거만함 ∙ 정서 : 경쾌하지만 스스로 열등의식, 수치감, 허무감에 사로잡힘 ∙ 자아상 : 무한한 성공욕에 차있고, 주의 사람들의 존경과 관심을 끌려고 애씀 ∙ 행동 : 오만함, 존경과 관심의 대상이 되고자 끊임없이 노력함, 무제한적 능력, 재물, 높은 지위, 아름다움이나 이상적 사랑을 원함, 자기중심적, 상대를 지나치게 높게 평가,경멸하는 태도 ∙ 대인관계 : 대인관계에서 남을 위할 줄 모름. 과도한 찬사를 요구하고 공감하는 능력결핍 ∙ 방어기전 : 합리화 ② 간호시 주의점 자기애를 포기해야 하므로 치료가 어렵다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3) C군 인격장애 (1) 회피성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① 임상양상 ∙ 특징 : 대인관계 접촉이 필요한 모든 상황에서의 회피와 사회적 억압 ∙ 정서 : 걱정이 많음, 우울, 불안장애, 분노가 함께 나타나기도 함 ∙ 자아상 : 자존감이 낮음 ∙ 행동 : 매우 조심스러움, 타인이 자신을 평가하는 것에 집착, 타인이 자기를 거부하지 않을까 너무 신경을 곤두세움 ∙ 대인관계 : 관계형성을 원하나 해내지 못함, 사회공포증을 일으킬 수 있음 ∙ 방어기전 : 환상 ② 간호시 주의점 면담 시 불안을 느낌, 명확화나 해석을 비판으로 오해할 수 있음 143 – 65 79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3) C군 인격장애 (2) 의존성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① 임상양상 ∙ 특징 : 가까운 사람들에게 매우 의존적, 관계가 끝나면 급히 대체물을 찾음 ∙ 정서 : 평온해 보임 ∙ 자아상 : 자신감이 없고, 확신이 결여 ∙ 행동 : 모든 면에서 타인의 도움과 보살핌에 의지하려고 함, 남이 시키는 대로 따라하는 것에 만족, 자기 능력을 과소평가 ∙ 대인관계 : 자신을 도와주는 몇 사람들과만 대인관계를 맺음, 순종적 ∙ 방어기전 : 함입 ② 간호시 주의점 치료자의 지시 속에서 자신의 행동 내면에 잠재된 원인 탐색하면 효과적 143 – 65 79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3) C군 인격장애 (3) 강박성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① 임상양상 ∙ 특징 : 정리정돈, 규제에 기초를 둔 완벽주의자 ∙ 정서 : 긴장되고 경직, 완고, 엄격함 ∙ 자아상 : 자신을 신용할 수 있고 부지런하고 유능한 사람이라고 생각함 ∙ 행동 : 인정이 없고, 질서, 규칙, 효율성, 완벽함, 세밀함에 집착. 즐거운 감정이 느껴지면 그것을 말살하고 계획적이고 능률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함, 실수 없이 하기 위해 결단을 못 내리 고 망설임, 융통성이 없음 ∙ 대인관계 : 지배와 복종적 관계, 대인관계의 기쁨과는 관계없이 일에만 열중함 ∙ 방어기전 : 반동형성 ② 간호시 주의점 장기간의 치료가 요구됨 143 – 65 79
4.6 인격장애 4. 관련 질환 및 특성 5. 치료 및 간호중재 치료 및 간호중재의 목적 4) 그 외 인격장애 (1) 수동공격성 인격장애 ① 임상양상 ∙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방해, 지연, 다루기 힘든 완고성, 비능률성이 특징적 ∙ 결단성이 없는 우유부단함, 양가감정 5. 치료 및 간호중재 143 – 65 79 치료 및 간호중재의 목적 다른 사람과 함께 치료적인 관계를 통해 좀 더 사회적으로 승인된 태도와 규범을 인정하게 하고 어떤 자기 주체성이나 자기 위치를 개발하게 도움을 주는 것
4.6 인격장애 5. 치료 및 간호중재 1) 의사소통 1) 의사소통 (1) 간호사의 태도 ① 환자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없앤다. ② 환자의 말에 경청하여 안정감 갖게 한다. ③ 사회에서 용납될 수 없는 행동에 대해 일관성 있고 확고한 제한을 설정 ④ 행동이 일어난 후에는 사무적인 태도, 엄격하고 단호한 태도로 그 결과를 수행 ⑤ 심한 꾸중이나 설교형태의 이야기는 삼간다. ⑥ 환자가 좌절을 일으키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스스로 발견하도록 격려 ⑦ 바람직하고 적응적 행동을 격려하고 발달시킨다. ⑧ 계획적인 사회활동에 참여하도록 한다. ⑨ 바람직한 행동 뒤에는 어떤 형태로든 긍정적인 보상을 주지만 환자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것은 좋지 않다. ⑩ 건설적인 에너지 배출구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요법 등의 치료적인 활동 권장 (2) 인지요법 - 사고의 변화로 감정 변화 유도 143 – 65 79
4.6 인격장애 5. 치료 및 간호중재 2) 환경요법 (1) 잦은 1 : 1 접촉을 위한 환경 (2) 자신이나 타인을 향한 폭력, 사기, 거짓말, 조종 등에 대한 일관성 있는 제한 설정 필요 (3) 간호사의 역할 ① 구조화된 환경 제공 ② 정서표현을 들어주는 역할 수행 ③ 갈등을 명확히 하고 진단함 (4) B군 인격 장애자 환경 치료의 원칙 ① 참여를 회피할 대안의 여지가 없도록 통제 ② 경험이 풍부하고 일관성 있는 직원 배치 ③ 확고하고 일관성 있게 시행 규칙을 적용하되 엄격한 단계를 거침 ④ 환자가 고통스런 감정을 겪는 동안 지지함
4.6 인격장애 5. 치료 및 간호중재 3) 자가간호 활동 4) 정신생물학적 중재 (1) 위생/몸단장, 영양, 휴식 여가활동에 대한 도움 (2) 사회기술 훈련, 교육 4) 정신생물학적 중재 (1) 우울 : MAOIs, Lithium (2) 정신증상 : Thiothixene(Navane) → 착각, 관계사고, 강박증상, 공포장애 감소 (3) 충동적 행동, 자기파괴적 행동 : Carbamazepine, MAOIs (4) 망상적 사고, 불안, 적개심 : Haloperidol, Navane (5) 반사회적 폭력적 성향 : Lithium, Propranolol(Inderal) (6) 불안, 충동적 행위, 경계성 성향 : Fluoxetine(Prozac)
4.6 인격장애 5. 치료 및 간호중재 5) 신체적 활동 6) 문제행동에 대한 간호 중재 (1) 운동 : 감정과 긴장 완화 (2) 잘 짜여진 집단활동에 포함시켜 어떤 임무를 맡도록 하여 주어진 책임을 완수 (3) 매일의 활동에 대해 세밀히 잘 짜여진 계획 속에서 사회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사회적 학습에 중요하다는 생각을 불어넣어 준다. 6) 문제행동에 대한 간호 중재 (1) 교묘하게 속이려는 행동 바람직하고 수용 가능한 대상자의 행동 수립하도록 ① 대상자와 함께 행동에 관한 중요성이나 관심사 논의 ②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 확인 ③ 주어진 환경과 상황에서 무엇이 바람직한 행동인지 적절한 시기에 대상자와 함께 논의 ④ 확인된 행동 결과를 이해하기 쉽고 징벌적이지 않은 언어로 대상자와 의사소통 ⑤ 행동 결과에 관해 대상자와 타협하거나 논쟁을 피함 ⑥ 필요시 대상자의 합리적 상황변화에 순응할 수 있도록 기대 행동과 결과 수정
4.6 인격장애 5. 치료 및 간호중재 6) 문제행동에 대한 간호 중재 (2) 공격적인 행동 적응적이며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분노 표현하도록 ① 대상자의 인지적, 신체적 기능에 따라 분노를 표현하는 적절한 행동 결정 ② 긴장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하도록 대상자 격려 ③ 분노 표현 시 신체적 손상 예방(위험물 제거) ④ 분노․긴장감을 표현할 수 있는 배출구 제공(운동, 노래, 글쓰기 등) ⑤ 대상자가 조절능력을 잃지 않도록 간호사가 도울 것이라는 확신 제공 ⑥ 대상자가 분노의 원인을 확인하도록 도움 ⑦ 분노의 부적절한 결과 확인 (3) 충동적 행동 충동적 행동을 조절하도록 ① 대상자가 사려 깊은 행동이 필요한 상황이나 문제를 확인하도록 도움 ② 충동적 행동을 하기 전 ‘멈추고 생각하는 것’을 스스로 암시하도록 가르침 ③ 대상자가 선택한 행동방향의 결과를 평가하도록 함 ④ 긍정적인 강화 제공 : 칭찬, 보상, 자기 보상
4.7 정신성 장애 1. 개념 1) 성(Sex) 2) 젠더(Gender) 3) 섹슈얼리티 4) 성 역할 해부학적으로 남성인지 여성인지 나타내 주는 말 2) 젠더(Gender) 남자와 여자가 되는 감각과 관련된 심리적 반응 3) 섹슈얼리티 종족보존, 성적 쾌락의 추구 등 성 행동과 관련된 심리적, 문화적 요소 포함 4) 성 역할 (Gender role) 성적 정체감에 따라 나타나는 행동 양상으로 사회문화적 특성에 따른 남성 또는 여성으로서의 기대되는 역할 특성 5) 정신성적 정체감 남성적이고 여성적인 기본 감각에 대해 초기에 습득되는 것, 남성 또는 여성으로 인식하고 내적 확신을 갖는 것 6) 성적 건강 성적 안녕의 신체적, 정서적, 지적, 사회적 통합으로 인격, 의사소통, 사랑을 긍정적으로 강화하는 것 7) 성 장애 적응적 성 반응으로 인해 개인의 심한 고통이나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일으킴
4.7 정신성 장애 1. 개념 8) 생애주기에 따른 성 발달 단계
4.7 정신성 장애 1. 개념 9) 성 반응주기 10) 성적 선호도 따른 분류 (1) 욕구기 (desire phase) (2) 흥분기 (excitement phase) (3) 절정기 (orgasmic phase) (4) 해소기 (resolution phase) 10) 성적 선호도 따른 분류 (1) 이성애(heterosexuality) 반대의 성에 속하는 사람에게만 성적 매력을 느낌 (2) 동성애(homosexuality) 동성의 인간에게 성적 매력을 느낌 (3) 양성애(bisexuality) 두 성에 대해 모두 성적 반응을 보임
4.7 정신성 장애 2. 원인 1) 생물학적 이론 : 유전인자 2) 정신분석학적 이론 : 구순기나 항문기의 인격 발달 고착,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연관성 3) 행동이론 : 아동을 돌보는 사람의 성행동이 성장 후의 성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성 장애는 어린 시절의 성 학대로 인한 결과
4.7 정신성 장애 3. 유형별 특징
4.7 정신성 장애 3. 유형별 특징
4.7 정신성 장애 4. 간호중재 1) 간호사의 태도 (1) 따뜻하고 개방적이며 정직하고 객관적인 태도 (1) 따뜻하고 개방적이며 정직하고 객관적인 태도 (2) 대상자를 있는 그대로 수용 (3) 편안하고 공손하며 평범한 태도 (4) 비지시적이고 비판단적 (5) 대상자가 나타내는 정보에 과소, 과잉반응 보이지 않고 관심을 보이며 사무적인 태도로 경청 (6) 간호사가 우선 자신의 가치관을 인식하고 이해
4.7 정신성 장애 3. 간호중재 2) 성교육 (1) 성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의사소통 (1) 성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의사소통 (2) 성에 관한 가치관과 신념, 태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 제공 (3) 환자가 대인관계 기술을 습득하여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 (4) 성 관계에서의 책임감 익히도록 격려 3) 부적응적 성 반응에 대한 중재 (1) 성적인 관심사 경청 (2) 환자는 치료할 준비가 되어 있고 성적 지식을 변화시키는데 관심이 있어야 함 (3) 환자가 자신의 성에 대한 가치관, 신념, 의문점들을 탐색하도록 도움 (4) 환자와 배우자 간의 개방적 의사소통 격려 (5) 성에 관한 잘못된 정보와 믿음 사정 (6) 환자의 긍정적인 성적 태도 강화 (7) 환자와 함께 분명한 목표 설정 (8) 이완요법, 관심사의 전환, 체위변경, 적절한 성적 표현방식 격려
4.7 정신성 장애 3. 간호중재 4) 부부치료 (1) Master & Johnson Model ① 치료 대상이 개인이 아니라 부부 ② 남녀 치료자가 함께 공동 치료팀으로 구성 ③ 정신사회적 평가뿐아니라 신체검사도 함께 수행 ④ 적극적인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2) Kaplan Model ① 한사람의 치료자가 부부를 대상으로 치료 ② 일주일에 1∼2회 실시, 치료기간에 제한이 없다 ③ 신체검사는 필요한 부부에게만 시행 ④ 필요한 대상자에게 과제를 처방하고 수행하는 장소는 제한하지 않는다. 5) 약물 요법 약물치료와 심리 치료 병행 시 효과적
4.8 물질관련 장애 1. 개념 1) 물질오용(Substance misuse) (1)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하기는 하나 처방에 따르지 않고 임의로 사용 (2) 처방된 약을 제대로 또는 지시대로 사용하지 않는 것 2) 물질 남용(Substance abuse) (1) 의학적 상식, 법규, 사회적 관습으로부터 일탈하여 쾌락을 추구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하거나 과잉으로 사용하는 행위 (2) “법적 규제의 대상이 되는 마약류의 사용이나 법적규제에 포함되지 않는 약물이라도 환각 목 적으로 사용할 경우 남용에 해당” (3) 역할 수행의 장애, 신체적, 대인관계적, 사회적, 법적문제 유발 가능 3) 물질 의존(Substance dependence) 마약류 및 약물을 지속적, 주기적으로 사용하여 정신적, 신체적 변화를 일으켜 약물 사용을 중단하거나 조절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상태
4.8 물질관련 장애 1. 개념 3) 물질 의존(Substance dependence) (1) 신체적 의존 (2) 심리적 의존 ① 인체가 체내로의 반복적인 물질 유입에 적응하고 습관된 상태 ② 사용자가 물질을 계속해서 취하도록 신체가 강박적으로 요구하는 것 ③ 사용 중단 시 금단 증상이 발생 (2) 심리적 의존 ① 자각적인 즐거움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사용을 지속하게 하는 정 서적인 강박적 충동 ②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약물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주 관적인 경험 4) 금단증상(withdrawal symptom) 심리적 의존이 있는 정신활성 약물의 사용을 중지하거나 용량을 감소하였을 때 나타나는 물질 -특이적 증상, 장기간의 약물사용으로 생리 상태에 변화 즉, 신체적 의존이 생겨서 약을 중단하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것 예) 손떨림, 발한, 빈맥, 불면, 구역질, 구토, 헛것이 보이거나 들림, 불안, 초조, 간질 등
4.8 물질관련 장애 1. 개념 5) 내성(tolerance) 약을 얼마 간 계속 투여하면 이전과 같은 용량의 약을 투여해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그 효과가 감소하여, 같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약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것 6) 교차내성(cross tolerance) 특정 약물을 계속적으로 사용했을 때 비슷한 종류의 다른 약물에도 내성이 생기는 것 예) 진정수면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알코올에 대한 내성증가
4.8 물질관련 장애 1. 개념 7) 중독(탐닉, Addiction) 물질사용을 계속한 결과 내성이나 금단증상 등의 신체적 의존이 나타나고 사회적, 직업적 문제 가 야기되는 병적으로 심각한 심리적, 육체적 의존 상태 (1) 약물 사용에 대한 강박적 집착 (2) 일단 사용하기 시작하면 끝장을 보고야 마는 조절 불능상태 (3) 해로운 결과가 있으리라는 것을 알면서도 강박적으로 사용하는 상태
4.8 물질관련 장애 2.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1) 신경전달 물질 (2) 갈망 (3) 유전 2) 심리적 요인 약물이 뇌 신경전달물질의 작용과 분비를 억제, 자극, 변화시킴 (2) 갈망 ① 모든 종류의 남용물질을 사용하기 원하는 욕망 ② 뇌의 보상중추, 신경전달의 유전적 영향, 알코올이나 기타 약물로 인 한 생화학적 변화 등이 관여 (3) 유전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야기 2) 심리적 요인 (1) 정신분석이론 ① 구강기의 고착, 퇴행 ② 정서적인 미성숙 ③ 권위에 대한 양가감정 ④ 성적인 역할 혼돈 ⑤ 완전감과 강박충동적인 행동 ⑥ 지나친 의존심으로 인한 분노 ⑦ 적절한 정서표현의 부족으로 인한 무능력감 ⑧ 대인관계에서의 무능력감 ⑨ 좌절에 대한 인내심 부족 ⑩ 과장감, 고립감, 자존감의 저하
4.8 물질관련 장애 2. 원인 국가와 민족성 종교 성별 2) 심리적 요인 (2) 행동이론, 학습이론 : 과도한 학습, 비적응적 습관 (3) 가족체계 이론 :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양상 (4) 심리적 특성 : 우울, 불안, 반사회적 인격장애, 회피적, 의존적 성격 3) 사회문화적 요인 국가와 민족성 종교 성별
4.8 물질관련 장애 3. 증상
4.8 물질관련 장애 4. 종류 1) 알코올 관련 장애 (1) 알코올의 생리적 효과 ① 소량 : 이완, 억제력 상실, 주의 집중력 상실, 졸음, 말더듬, 수명 유발 ② 만성적 알코올 사용 : Wernicke-Korsakoff’s syndrome 간경화증 ③ 임산부 : 태아 알코올 증후군(Fetal alcohol syndrome) 초래 (1) 알코올의 생리적 효과
4.8 물질관련 장애 4. 종류 1) 알코올 관련 장애 (3) 알코올 남용 ① 알코올 효과에 대한 내성 형성 ① 알코올 효과에 대한 내성 형성 ② 문제를 유발하는 알코올 소비 ③ 부적응적 음주 형태 ④ 역할 및 책임수행에 문제가 생김 ⑤ 사회적 고립 ⑥ 부정, 합리화, 투사 사용 ⑦ 예측할 수 없는 음주행동 ⑧ 식습관 변화 및 스트레스 해소 방법의 변화 ⑨ 자주 반복되는 과도한 음주 (4) 알코올 의존 ① 알코올 사용에 대한 통제력 상실 ② 강박적인 알코올 사용 ③ 알코올 소비를 위해 상당한 시간과 에너지 소비 ④ 심리적 의존만 있거나 신체적, 심리적 의존 모두 나타남
4.8 물질관련 장애 4. 종류 1) 알코올 관련 장애 (5) 알코올 중독(Alcohol intoxication) ① 알코올을 마신 이후 발생 ② 언쟁과 시비, 판단력 결여, 사회적 직업적 기능 장애와 부적응 행동 ③ 실조증, 불안정한 걸음걸이, 얼굴 홍조 ④ 기분의 변화, 흥분, 수다스러움, 주의력과 자제력 상실 (6) 알코올 금단증상(Alcohol withdrawal symptom) ① 시간적 경과 ∙ 진전 : 6∼8시간 ∙ 경련발작 : 12∼24시간 ∙ 진전섬망 : 48∼72시간(가장 심하게 나타남) ∙ 불면, 불안 : 수일 이상 지속 가능 ② 오심과 구토, 손, 혀, 눈꺼풀에 거친 경련, 피로감과 허약감 ③ 자율신경계 항진증 : 혈압, 맥박 상승, 발한, 체온 상승 ④ 불안, 우울성, 직립성 저혈압 ⑤ 수면장애, 불면증, 악몽
4.8 물질관련 장애 4. 종류 1) 알코올 관련 장애 (7) 알코올 환각증(Alcohol hallucinosis) ① 알코올 의존자가 술을 끊거나 감량한 뒤 생생하고 지속적인 환청 및 환시를 동반하는 기질적 환각이 일시적(48시간 이내)으로 나타나는 경우 ② 섬망과 같은 의식의 장애는 없음 (8) 알코올성 치매증 ① 오랜 기간의 과음으로 인해 치매증상이 나타나는 것 술을 중단한 후 치 매 증상이 적어도 3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② 알코올 자체의 독작용보다 이차적인 비타민 결핍증이 원인 ③ 초기 : 충족적, 비도덕적 행위 ④ 말기 : 사고의 빈곤, 주의력 및 분별력의 저하, 판단력, 기억력 저하 등 치매증상 심해짐
4.8 물질관련 장애 4. 종류 1) 알코올 관련 장애 (9) 알코올성 기억상실 장애 오랜 기간의 과음으로 인해 기억 상실의 증후가 나타남 ① Wernicke’s syndrome ∙ Thiamine(비타민 B1) 및 영양결핍이 원인 ∙ 섬망 및 의식의 장애, 기억상실, 운동실조, 보행실조, 근심, 걱정, 혼수 ∙ 응급으로 티아민 투여, 금주 시 3개월 1년에 걸쳐 서서히 호전 ② Korsakoff’s syndrome ∙ Thiamine과 Niacin 결핍으로 인한 대뇌 및 말초신경의 퇴행성 변화 ∙ 진행성 기억상실 : 최근의 기억상실이 심함 ∙ 작화증, 지남력 장애, 어색하게 명랑한 것처럼 보임, 판단장애, 지적황폐 ∙ 사지의 다발성 신경염 → 발, 사지의 동통 심해 발뒤꿈치로 걸음
4.8 물질관련 장애 4. 종류 2) 중추신경 작용 약물 특성
4.8 물질관련 장애 4. 종류 2) 중추신경 작용 약물 특성
4.8 물질관련 장애 4. 종류 2) 중추신경 작용 약물 특성
4.8 물질관련 장애 5. 치료 및 간호 중재 1) 알코올 의존 환자 (1) 급성기 간호 ① 응급처치 준비 ① 응급처치 준비 ② 알코올 해독, 전해질 균형, 탈수 예방-수액 공급(포도당) ③ 부족한 비타민 공급-Thiamine(Vit B1), 비타민 C ④ 과도한 발한-체온 유지(옷을 자주 갈아입도록) ⑤ 금단증상 관찰 및 금단 후 V/S, 혈압측정 체온상승 시 → 수분 공급, 맥박․혈압상승 시 → 조용한 환경 제공 (2) 약물 요법 ① Naltrexone, acamprosate : 알코올에 대한 갈망 감소 ② 안정 : benzodiazepine 계 약물이 가장 유효(chlordiazepoxide, lorazepam) ③ 진전이 심할 경우 Mg 결핍 : Magnesium sulfate 투여 ④ 환시나 망상이 심할 경우 : 항정신병약(haloperidol) ⑤ 혐오요법 : 신진대사를 차단하여 심각한 신체적 부작용 초래(disulfiram)
4.8 물질관련 장애 5. 치료 및 간호 중재 1) 알코올 의존 환자 (3) 간호사-환자 관계 ① 술을 끊고 다시는 마시지 않도록 한다(계약). ② 간호사는 먼저 자신의 느낌과 태도부터 명확히 인식 ③ 대상자가 문제로 인식하는 것에 관심을 가져 주는 신뢰 관계 형성 ④ 도달 가능한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도록 돕는다 (4) 영양 관리 ① 고단백, 고비타민 식사 제공 ② 즐거운 식사환경 제공 ③ 정해진 시간에 자주, 적은 양 제공 ④ 알코올에 대한 신체적 갈망 감소 위해 빨리 에너지화 할 수 있는 음식(주스, 과자류 등) ⑤ 카페인 성분 음식 고려 ⑥ 적절한 수액 및 전해질의 균형 유지-I&O 측정
4.8 물질관련 장애 5. 치료 및 간호 중재 1) 알코올 의존 환자 (5) 충분한 수면 ① 외부의 소음 감소, 적절한 방안온도 유지 ② 수면 전에 따뜻한 비알코올성, 비카페인 음료 제공 ③ 마사지 및 신체적, 정신적 기술 이용 ④ 필요에 따라 수면제 사용 (6) 경련 및 진전예방 ① 친절하고 지지적 환경제공 ② 안정감 및 신뢰감 증진 ③ 객관적․ 무비판적 환경 ④ 억제 금기-심한 요동으로 인하여 탈진되거나 심장마비 우려
4.8 물질관련 장애 5. 치료 및 간호 중재 1) 알코올 의존 환자 (7) 불안감소 ① 개방적, 지지적 분위기에서 치료적 관계 형성 ② 감정이입적 의사소통 및 자존감 증진 ③ 왜곡된 지각 및 공포를 제거하기 위해 방안에 항상 불을 켜두기 ④ 조용한 환경 유지(TV, 라디오, 전축 등 자극 감소) ⑤ 간호에 항상 환자를 참여시켜 자신에 대한 존재가치인 식하도록 함 (8) 심리 치료 ① 동기강화 면담 : 공감 표현, 현재와 미래 목표 간의 차이 만들기, 논쟁하거나 방어적인 것은 피하기, 자기 효능감지지 ② 현실 직면 ③ 개인 정신치료 : 대상자의 문제와 정서 사회적 역동 파악, 단주를 지속할 수 있도록 지지, 다른 사람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자율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④ 집단 치료 : 서로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문제에 직면을 쉽게 한다.
4.8 물질관련 장애 5. 치료 및 간호 중재 1) 알코올 의존 환자 (9) 가족 치료 가족 역동을 확인하고 가족을 치료에 개입시켜 환자가 희망을 포기하지 않도록 지지 (10) 지역사회 치료 프로그램 ① 직업적 재활, 사회활동, 정신질환 치료기관 ② 자조집단 구성 ∙ AA(Alcoholic Anonymous, 금주동우회), Alanon(가족친목), Alateen(알코올 의존자에게 영향 받은 청소년, 젊은이) ∙ 장점 : 서로의 문제에 대한 이해와 격려와 공감, 단주 경험 및 금단 증상 대처 방법의 공유, 동일시를 통한 의존 욕구의 만족, 사회 복귀에의 기대와 자신감 함양
4.8 물질관련 장애 5. 치료 및 간호 중재 2) 약물 의존 환자 (1) 약물 치료 ① 길항제 치료 ① 길항제 치료 ∙ 남용약물의 약리효과를 차단하는 약물을 투약하는 치료 ∙ naltrexone HCl(ReVia), naloxone(Narcan) ② 대체제 치료 ∙ 남용약물과 유사한 약리작용을 가진 약물을 투여하는 치료 ∙ 헤로인 중독 → 메사돈, 담배 중독 → 니코틴 패치 ③ 유지 치료 ∙ 정한 용량으로 안정시키는 장기치료, 경구 치료제 ∙ 메사돈(Dolophine), LAAM(L-α-Acetylmethadol) ④ 대증 치료 ∙ 약리학적 기전은 남용약물과 관련이 없으나 약물남용의 증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약물 을 투여하는 치료 ∙ Benzodiazepine계, 수면제, 정온제
4.8 물질관련 장애 5. 치료 및 간호 중재 2) 약물 의존 환자 (2) 간호중재 (1) 해독기간 중에 나타나는 증상 관리 (1) 해독기간 중에 나타나는 증상 관리 (2) 물질 사용력을 세밀하게 조사 (3) 대상자의 삶에서 약물의 역할을 대상자와 논의 (4) 대상자로 하여금 약물이 고양된 자존감, 좌절에 대한 내성, 자기주장성을 제공한다는 것 을 인정하도록 돕는다. (5) 대상자로 하여금 좌절감을 완화시키고 자존감을 증진시키는 다른 방법을 찾도록 돕는다. (6) 해독기간 중에 편집증과 타인을 믿지 못하는 증상이 있는지 확인 (7) 자기노출 격려 (8) 신체상 왜곡과 식욕저하 체크 (9) 적절한 영양 공급 (10) 고혈압과 심계항진 관찰 (11) 필요하다면 금단 시에 나타나는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물 투여 (12) 우울이나 자살경향이 있는 지 관찰 (13) 엔돌핀 분비를 자극하기 위해 운동 권장 (14) 마약동우회(Narcotic Anonymous)와 같은 지지집단에의 참여 권유
1) 뇌조직의 기질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초래된 정신기능의 장애 4.9 기질적 인지장애 1. 개념 1) 뇌조직의 기질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초래된 정신기능의 장애 뇌조직의 영구적인 손상이나 일시적 뇌기능 장애에 의해 야기되는 정신기능장애나 행동 장애를 나타내는 임상적 증후군 2) 기질성 정신장애의 진단기준 (1) 임상적 또는 신경방사선학적 및 뇌파검사와 같은 검사 상에 신경학적 기능 이상과 관련 지을 수 있는 증상이나 증후를 보이는 장애 (2) 중추신경에 손상을 입히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거나 적어도 그럴 가능성이 있는 것으 로 믿어지는 중독, 감염, 두부외상 또는 그 외 어떤 원인으로 생긴 장애 (3) 뇌에 기질적 질환이 있다는 것이 병리학적으로 뚜렷이 증명되는 신경학적 변화 또는 뇌 외상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갖고 나타나는 증상 즉 기억장애, 지남력 장애 또는 각성 상 태의 장애를 보이는 것
4.9 기질적 인지장애 1. 개념 3) 기억상실증 (1) 기질성 기억상실증(Organic amnesia) ① 기억상실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어떤 시기의 경험 전체를 잊어버리며 기억하고 있는 시 기 및 내용의 경계가 불분명 ② 기억이 서서히 회복 ③ 지능, 의식, 지남력의 장애와 겹쳐서 나타남 ④ 역행성(후향성) 기억상실증 ∙ 뇌손상을 입어 이전의 일을 기억하지 못함 ∙ 손상 입기 직전의 것부터 점차 그 이전으로 거슬러올라가면서 기억상실이 확대됨 ∙ 기억이 돌아올 때는 손상 훨씬 이전의 일부터 회복 ⑤ 전향성 기억상실증 : 뇌병변이 발생한 이후의 일을 기억 못하고 그 이전의 일은 정확하게 기억하는 경우
4.9 기질적 인지장애 1. 개념 3) 기억상실증 (2) 심인성 기억상실증(Psychogenic amnesia) ① 지남력과 의식 장애는 없음 ② 기억장애의 범위가 선택적 ③ 기억상실이 급격하게 나타났다가 회복도 순간적으로 이루어짐 ④ 어떤 사실이 기억에 떠오르는 것이 괴롭거나 불안을 야기하기 때문에 이런 고통으로부 터 도피하기 위해 이루어짐 ⑤ 시효가 지나면 기억 회복 ⑥ 해리, 둔주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남
4.9 기질적 인지장애 2. 원인 1) 중독 2) 혈관성 질환 3) 감염 4) 뇌외상 5) 신진대사, 내분비, 영양장애 예) 뇌부종, 뇌기능 장애 2) 혈관성 질환 예) 뇌동맥경화증, 색전 등 3) 감염 예) 두개골 내의 감염, 전신적 열성질환 4) 뇌외상 예) 뇌부종, 뇌기능 장애 5) 신진대사, 내분비, 영양장애 (1) Wernicke's syndrome ① 만성 알코올중독자, Vit. B1(thiamin) 결핍 ② 시신경마비, 의식혼탁, 섬망, 보행실조, 복시 (2) Korsakoff's syndrome ① 만성 알코올중독자, Vit. B1(thiamin), Vit. B3(niacin)결핍으로 신경침해 ② 말초신경염, 다발성신경염, 단기기억장애, 작화증 (3) 진전섬망(Delirium tremens) ① 만성 알코올중독자 ② 금단증상, 진전(손가락, 혀), 운동실조증, 섬망, 안절부절, 초조, 착각과 환각
4.9 기질적 인지장애 2. 원인 5) 신진대사, 내분비, 영양장애 6) 두개내 종양 7) 뇌조직 자체의 변성 (4) Pellagra ① 니코틴산(Vit. B3) 결핍으로 대뇌 침해 ② 3D-피부염(dermatitis), 섬망(delirium), 설사(diarrhea) 6) 두개내 종양 7) 뇌조직 자체의 변성 (1)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① 뇌조직의 퇴행, 변성, 노화 ② 불안, 활동적, 공격적, 충동적, 근육강직, 망상, 환각, 지남력장애, 정서둔화, 자발성 부족, 실어증, 실행증 (2) Pick Disease : 뇌의 전두엽, 측두엽의 위축 (3) 파킨슨병(Parkinsonism) ① 신경계의 퇴행성 질병 ② 예민하고 발작적인 진전
4.9 기질적 인지장애 2. 원인 7) 뇌조직 자체의 변성 8) 경련성 질환 (4) Huntington's Chorea ① 우성 유전 질환,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 ② 상지, 목, 얼굴에서 시작되는 불규칙한 경련성 운동, 환각, 망상 ③ 불수의적 (5)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① 중추신경계의 점진적인 퇴행성 질환 ② 신체의 여러 곳에 무능력 나타남 ③ 불안정한 걸음걸이, 시력과 소화장애, 실금, 피로감, 다행감 8) 경련성 질환 (1) 간질(Epilepsy) ① 뇌피질의 신경세포의 과도 흥분이 대뇌에 전체적으로 파급 ② 대발작(Grandmal) : 전조 → 강직기 → 간대성 경련기 → 혼수기 ③ 소발작(Petit mal) : 경련 없이 20∼30초 동안 순간적인 의식 상실 ④ 정신운동발작(Psychomotor epilepsy)-측두엽, 정신적 간질 ∙ 자동적인 증상 ∙ 환각과 행동장애
4.9 기질적 인지장애 3. 증상 1) 인식기능 및 인지장애(Cognitive and intellectual impairment) (1) 기억력 장애는 근래의 일에 대한 경험한 사건 및 새로운 사건들을 기억하지 못 하며 학습능력에 손상 (2) 추상적 사고의 손상과 전반적인 지적 기능의 저하와 새로운 일을 수행하는 능 력의 손상 (3) 판단력 손상은 용인된 사회적 기준과 상반된 행동을 일으키며 주의력과 공간, 시간의 지남력 손상 2) 감정변화 및 충동성에 있어서 무감동, 기분항진과 과민성 등이 나타나며 감정표현의 통제 조절 저하 3) 각성장애는 의식장애로 의식의 혼탁, 감소, 변화 및 협소의 특성이 있어 자 기 자신과 주위환경을 알아차리지 못함 4) 대처행동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으로 자기의 결함을 숨기려고 보상, 부주의 및 합리화하며정돈벽, 보속증, 우회증 및 작화증(기억을 결합하여 조작하 거나 메우는 행동)이 있다. 5) 환자의 현재의 정서적 갈등과 긴장, 그 외 주위환경의 상황과 대인관계에 따라 임상적 표현이 다르게 나타난다.
4.9 기질적 인지장애 4. 종류
4.9 기질적 인지장애 5. 치료 및 간호중재 1) 섬망 (1) 의사소통 ① 친절하고 지지적이고 관심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어 안심을 주는 것이 필요 ② 간호수행 시 모든 절차를 환자에게 설명하여 협조를 얻어 수행 ③ 같은 말을 여러 번 반복하여 지남력과 기억력 장애를 완화 ④ 자주 깨우고 말을시켜 깊은 섬망으로 가는 것을 막고 주위현실에 적응하여 혼돈 방지 (2) 적절한 영양섭취 가능한 한 먹도록 격려하여 많은 열량의 음식과 비타민의 섭취로 충분한 열량 보충 (3) 수분과 전해질 균형- 갈증을 잘 느끼지 못함 : I/O 측정, 수분 전해질 간호 (4) 유발요인의 제거 ① 감염의 증거 있으면 항생제 사용 ② 피부간호와 구강위생 필요
4.9 기질적 인지장애 5. 치료 및 간호중재 1) 섬망 (5) 환경조절 ① 스트레스 제거, 환자와 가까운 사람이 간호하도록 함 ② 주위에 낯익은 물건이 있도록 함 ③ 병실에 밤과 낮에 항상 불을 켜 orientation을 보조 ④ 알아보기 쉬운 달력과 시계를 걸어둠 ⑤ 치료자를 바꾸지 않음 ⑥ 적당한 환기를 주어야 하고 문틈으로 들어오는 찬바람을 막아 상기도 감염의 우려 방지 (6) 사고예방 (7) 약물요법 ① 진단과 치료가 불가능하거나 행동이 난폭하여 자신과 타인에게 위해의 우려 있을 때 ② 항불안제(Benzodiazepine계) : Chlordiazepoxide ③ 항정신병 약물 : Haloperidol, Phenothiazine ④ 수면장애 시 강한 진정작용이 있는 약물 사용 ⑤ 정신병적 증상(환시, 망상)등이 나타날 때는 항정신병 약물 사용 ⑥ Barbiturate 금기
4.9 기질적 인지장애 5. 치료 및 간호중재 1) 섬망 2) 치매 (8) 금기 ① 신체 억제 ① 신체 억제 ② 밤에 너무 시끄럽거나 조용하게 불을 다 끄는 것 2) 치매 (1) 의사소통 ① 기억력 장애로 인해 자주 잊어버리는 일에 대해서는 자세히 차근차근 되풀이해서 일러 주어야 하며 일관성 있는 태도로 환자를 대한다. ② 환자가 안심할 수 있는 태도로 공감적인 접근과 수용이 필요 ③ 짧고 간단한 문장 사용, 환자가 알고 있는 단어 사용 ④ 천천히 명확하게 이야기, 이해하지 못할 때는 반복 ⑤ 눈을 맞추며 집중할 때만 의사소통 가능
4.9 기질적 인지장애 5. 치료 및 간호중재 2) 치매 (2) 환경요법 ① 자극이 적은 환경, 익숙한 환경 ① 자극이 적은 환경, 익숙한 환경 ② 감정조절의 결여로 인한 폭발적인 감정반응이 있을 경우를 위해 위험한 가구나 기물 등 을 없애고 꼭 필요한 기구만 사용 (3) 활동 요법 ① 환자의 지적인 영역을 모두 이용하고 충분히 고려해서 성취할 수 있는 활동을 시키고 성 취한 일은 관대한 칭찬을 해 주며 환자가 흥미 있어 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어 흥미를 유지 켜 준다. ② 환자능력에 맞는 안전한 운동을 하도록 격려
4.9 기질적 인지장애 5. 치료 및 간호중재 2) 치매 (4) 자가간호능력 증진 ① 일상생활에서 규칙적으로 해야 하는 하루의 일과는 정확하고 간단하며 안전한 일을 시 행하게 하되 고정적인 일을 주고 세밀하게 작성해 주며 새로운 경험에는 서서히 당면하 도록 한다. ② 규칙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구강위생, 피부간호, 배설, 식사 등에 주의하 며 개인위생을 철저히 유지하여 건강습관 증진 (5) 약물요법 ① Cholinergic 약물 ② Acetylcholinesterase 억제제 ③ 불면과 불안 → Benzodiazepine계 약물 ④ 우울증 → 항우울제 ⑤ 망상과 환각 → 항정신병 약물 ⑥ 치매진행억제 → Donepezil(Aricept)
4.9 기질적 인지장애 1.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1) 시상하부의 기능장애-식욕 감퇴 → 식욕 억제 (1) 시상하부의 기능장애-식욕 감퇴 → 식욕 억제 (2) 코티졸의 과잉분비-식욕자극 증가 (3) 세로토닌의 감소-식욕 저하 (4) 내인성 엔돌핀-과식 → 구토의 반복에 영향 2) 심리적 소인 (1) 개인의 자아정체성과 자율성의 상실 (2) 성취와 완벽주의에 대한 높은 욕구 (3) 심각한 청소년기의 혼란 (4) 사회공포증 (5) 충동조절의 어려움 (6) 낮은 자아존중감 (7) 감정을 참을 수 없거나 지나친 통제 (8) 곤경에서 도피, 과잉보호적인 어머니의 강요
4.9 기질적 인지장애 1. 원인 3) 환경적 요인 과거의 질병, 이별 및 가족의 죽음, 가족 간 갈등, 과다체중을 비난하는 부모 4) 사회 문화적 소인 날씬함이 가치가 있으며, 문화적으로 수용하여 더욱 장려
4.9 기질적 인지장애 2. 분류 및 증상 1) 신경성 식욕부진(Anorexia nervosa) (1) 체중 유지를 거부하고 낮은 체중임에도 체중 증가에 대한 극도의 두려움, 왜곡된 신체상 정상 체중의 85% 이하의 체중 (2) 12∼20세 청소년 여성 (3) 체중증가를 일으키는 음식 에 대한 공포 (4) 신체적 증상 : 극심한 체중감소, 무월경, 배냇 솜털, 저혈압, 서맥, 저체온, 변비, 다뇨정, 전해 질 불균형, 위장 장애, 치 아에나멜 부식, 빈혈, 대사 장애 (5) 행동 특성 : 빈번한 관장(스스로 시행), 구토, 완벽주의, 강박적, 이기적 (6) 음식에 대한 강박적 집착, 칼로리 소비를 위한 격렬한 운동 (7) 가족 구성원들간의 해결되지 못한 갈등 부정
4.9 기질적 인지장애 2. 분류 및 증상 2)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1) 다량의 음식을 단시간내에 폭식하면서 멈출 수 없는 식사 조절량의 상실 (2) 청년기, 젊은 성인 여성에게 호발 (3) 식사삽화 동안 먹는 것에 대한 통제력 상실(섭취 중단이나 양의 조절 불능) (4) 체중 증가를 피하기 위한 반복되는 부적합한 행위 예) 스스로 토하기, 하제사용, 이뇨제 오용, 관장 또는 다른 약물 오용 (5) 장기간 폭식 후 단식 ① 배출형 : 정기적으로 스스로 유발하는 구토, 하제, 이뇨제 남용 또는 관장 오용 ② 비배출형 : 폭식에 대한 부적합한 보상 행동을 보이나 배출 행동은 없음 예) 폭식 삽화동안 굶고 과도한 운동은 하나 토하지는 않음 2)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4.9 기질적 인지장애 2. 분류 및 증상 3)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1) 3개월 동안 적어도 일주일에 2회의 반복적인 폭식 삽화, 남․여 유사하게 나타남 (2) 체중감소를 위해 지나친 방법은 사용하지 않음 (3) 반복되는 폭식행동에 대한 걱정, 두드러진 심리적 고통 수반 (4) 폭식 후 우울한 기분과 자기 비판적인 사고 (5) 신체크기에 대한 불만족 외 신체상 장애의 증거가 없음 (6) 과식 삽화는 신경성 식욕부진, 신경성 폭식증 또는 신체장애와 관련이 없음 (7) 폭식 동안 쉽게 먹을 수 있는 고열량 음식을 몰래 섭취함 (8) 체중감소를 위해 다이어트에 대한 반복적 노력 (9) 부정적인 정서, 이것이 흔히 폭식을 일으킴 (10) 4∼5kg 이상의 빈번한 체중 변동(폭식과 다이어트를 번갈아 일으킴으로 인함) 3)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4.10 식사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1) 상담 (1) 영양에 관한 상담 (2) 인지-행동 관리 ① 대체-역기능적인 식사행동을 건강한 대안적 행동으로 대체 ② 시각화 ∙ 긍정적이고 창의적인 심상을 통해 행동의 변화를 프로그래밍 하는 방법 ∙ 체중조절 대상자, 스트레스, 불안 및 수치 감 감소, 통증 치료 및 조절에 효과적 ∙ 사고장애, 정서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대상자에게는 부적절 ③ 계약 ∙ 간호사와 대상자가 동의한 일련의 규칙, 강화 및 결과 ∙ 금지된 행동과 허용된 행동 목록, 계약 이행에 대한 보상, 강화 포함 ④ 인지적 재구조화-비합리적 신념을 탐색하고 현실적, 합리적인 신념으로 대체하는 것 ⑤ 정적강화와 부적강화 : 바람직한 행동에 보상,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처벌 포함 ⑥ 자기주장훈련 : 감정 표현하는 방법을 폭식, 배출 → 소리로 표현 (3) 집단 상담-과식자 동우회(Overeaters anonymous, OA) (4) 가족 상담 1) 상담
4.10 식사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2) 환경치료 (1) 대상자의 안전 유지 (1) 대상자의 안전 유지 (2) 다이어트 약, 이뇨제, 지사제 및 구토제 같은 남용 물질 없는 병동유지 (3) 치료팀이 수립한 계약을 대상자가 잘 이행하도록 한다. 2) 환경치료 (1) 바람직한 목표 체중 달성 및 조절 (2) 필요시 정맥주사로 전해질, 수분, 영양 공급 (3) 섭취량 배설량 확인 (4) 적절한 운동(점진적 프로그램, 체중 증가가 목적) 3) 영양 관리
4.10 식사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4.10 식사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1) 항우울제-TCA, MAOI, Trazodone, Fluoxetine (2) Carbmazepine, Lithium-기분장애 특히 양극성 장애 공존 시 (3) Lorazepam-불안, 초조한 환자 (4) 약물치료 지침 ① 하제, 이뇨제, 체중조절약 피한다. ② 의사의 처방이 없는 약을 복용할 때는 건강관리자의 자문을 받는다. ③ 약물 처방을 받을 때마다 식사장애에 대한 정보를 건강관리자에게 주어야 한다. ④ 항우울제 투약은 일부 식사장애 대상자에게 도움이 되어 왔다. 4) 약물 치료 (1) 증상관리와 증상 교육 (2) 신체상태가 안정된 후 바로 교육 (3) 바람직한 대안과 건강한 식사패턴에 대한 교육 (4) 신경성 식욕부진 대상자-목표 체중 달성 후 교육프로그램 실시 5) 건강교육
4.11 수면장애 1. 개념 1) 수면단계의 특징과 구조 NREM(non-rapid eye movement) vs REM(rapid eye movement, 빠른안구운동)
4.11 수면장애 1. 개념 1) 수면단계의 특징과 구조
4.11 수면장애 1. 개념 2) 수면-각성 리듬 3) 수면의 기능 (1) 자연적으로 25시간 주기 (2) 외부적인 요소 : 24시간 주기 (3) 생체리듬 : 생후 2년이 지나면서 발달 3) 수면의 기능 (1) Homeostatic restoration : 낮 동안 소모되 고 손상된 부분 회복 (2) 발생학적 기능 : REM → 성장이 활발함(특히 신생아기) (3) 인성학적 기능 : 낮 동안의 생존기능과 본능적 보존기능 준비 (4) 인지적 기능 : REM → 낮 동안 학습된 정보 재정리, 재학습 (5) 감정조절기능 : 불쾌하고 불안한 감정 정화
4.11 수면장애 2. 원인 1) 수면장애의 원인 (1) 신체적 요인 신체 불편감, 질병(호흡기계 질환, 갑상선 기능 항진증, 파킨슨 질환 등), 통증 등 (2) 심리적 원인 ① 불안, 우울, 정신질환, 스트레스, 인지기능 장애 ② 억압이 많고 완벽주의, 강박적 성격 : 수면 조절의 어려움 (3) 약물의 영향 ① 니코틴 : 신경이완작용이 있으나 범위를 벗어나면 중추신경계 자극, 만성적 불면증 ② 커피 : 중추 신경계 자극제, 각성 상태 유발 ③ 알코올 : 수면의 질 저하(중간에 자주 깨고 꿈을 자주 꾸게 한다) (4) 환경의 변화 교대근무자, 시차가 먼 지역으로의 여행, 낯선 환경 등
4.11 수면장애 2. 원인 2) 불면증의 원인
4.11 수면장애 2. 원인 3) 수면과다증의 원인
4.11 수면장애 3. 분류 및 증상 1) 원발성 수면장애(Primary sleep disorders) 뚜렷한 신체적․ 정신적 상태와 관계없이 발생하는 수면장애 적어도 1개월 동안의 수면의 시작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거나 또는 체력을 회복시키지 못하는 수면 (1) 수면이상 ① 일차성 불면증 ∙ 수면의 시작 또는 유지가 힘든 상태 ∙ 검사 상 문제는 발견되지 않으나,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두통, 근육경직, 소화장애 등이 나 타날 수 있음 ② 일차성 수면과다증 : 과도한 수면의 양과 주간 졸음 ∙ 임상적으로 중요한 스트레스나 기능적 손상의 원인 ∙ 거의 매일 나타나는 수면 연장의 에피소드 또는 낮 동안의 수면 에피소드 ∙ 적어도 1개월 동안의 지나친 수면
4.11 수면장애 3. 분류 및 증상 1) 원발성 수면장애(Primary sleep disorders) (1) 수면이상 ③ 기면병 ∙ 낮 동안의 지나친 졸음과 비정상적인 REM 수면(입면 후 10분내 출현) ∙ 수면발작 ╸적어도 3개월에 걸쳐서 거의 매일 일어남, 저항할 수 없는 잠이 밀려 듦 ╸강경증(갑작스러운 좌우 양측의 근육운동상실) 있음 ╸수면의 시작과 끝에 환각상태나 수면마비가 있음 ④ 호흡과 관련된 수면장애 ∙ 수면 중 호흡중단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경우 ∙ 다원수면검사 상 10초 이상 무호흡, 30회 이상 ╸수면 관련 호흡장애에 의한 수면장애와 이에 따라 낮에 오는 과도한 졸음이나 불면 ╸수면 무호흡증(중추형, 폐색형, 혼합형) ⑤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수면과 각성 일정이 변경되어 신체일주기 리듬과 동조하지 못하는 경우 나타남
4.11 수면장애 3. 분류 및 증상 1) 원발성 수면장애(Primary sleep disorders) (2) 수면수반증 ① 악몽증 : 위협적인 꿈에 의해 깜짝 놀라면서 각성하는 것 ② 야경증 : 깊은 NREM 수면 중 비명과 함께 깨어나는 것 ③ 수면보행장애(몽유증) : 수면 중 잠자리에서 일어나 일련의 연속되는 이상한 행동을 보이는 것 2) 다른 정신장애와 관련된 수면장애 (1) 정신장애와 관련된 불면증-공황장애, 알코올 중독, 조증 삽화, 양극성 장애Ⅱ (2) 정신장애와 관련된 과다수면증-경한 우울장애의 초기, 양극성 장애의 우울
4.11 수면장애 3. 분류 및 증상 3) 기타 수면장애 (1) 신체질환에 의한 수면장애 ① 간질발작 ① 간질발작 ② 군집성 두통과 만성 발작성 편두통 ③ 비정상적 연하증후군 ④ 천식 ⑤ 심혈관계 증상 ⑥ 위식도 역류 (2) 물질에 의해 유발된 수면장애 ① 중추신경 자극제(암페타민, 코카인, 카페인) ② 알코올 ③ 진정제 : 최면제의 내성 및 금단증상
4.11 수면장애 3. 분류 및 증상 3) 기타 수면장애 (3) 달리 세분화 되지 않은 수면이상 ① 야간 간대성 근경련 : 수면 중 하지근육 수축 ② 하지 불편 증후군 : 하지 근질거리는 이상감각 ③ Klein-Levin 증후군 : 과수면 상태 수주 지속, 재발성 수면과다증 ④ 월경 관련 증후군 : 월경 시작 직전 수면과다증 ⑤ 불충분한 수면 : 각성시간 동안 졸음 ⑥ 잠에 취함 : 수면상태에서 완전한 각성까지의 전환기 동안 명료한 지각의 부족 상태
4.11 수면장애 4. 치료 및 간호중재 1) 불면증 (1) 원발성 불면증 ① 원인치료 : 병력과 다원수면검사를 통해 밝혀진 원인 제거 ② 약물요법 : Benzodiazepine계 약물, Chloral hydrate(Notec) ③ 환경요법 : 수면환경 개선(수면 위생 참조) ④ 행동 및 인지요법 ⑤ 탈감작 요법 ⑥ 이완요법 ⑦ 바이오피드백 ⑧ 음악요법
4.11 수면장애 4. 치료 및 간호중재 2) 수면과다증, 기면병 3) 호흡관련 수면장애 (1) 약물요법 ① 암페타민 아침 또는 저녁에 투여 ② 중추신경자극제(기면병) ③ 항우울제(protriptyline)와 병용 (2) 안전교육 3) 호흡관련 수면장애 (1) 호흡기능 억제 요인 제거 (2) 지속적 비강 양압법 (3) 약물요법 : 호흡중추자극제(acetazolamide, clomipramine) (4) 교육 : 술이나 진정제 사용 금지
4.11 수면장애 4. 치료 및 간호중재 4)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5) 수면수반증 (1) 원하는 수면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취침시간을 점차적으로 지연 (2) 약물요법 : Triazolam(수면제) 단기간 사용 (3) 빛을 통해 시차조절(광선치료) 5) 수면수반증 (1) 악몽증 ① 특별한 치료 없음 ② TCA → 빈도 ↓ (2) 야경증 : 특별한 치료 필요 없음 (3) 수면보행장애 : 사고방지
4.12 소아 정신장애 1. 원인 및 아동의 특성 1) 생물학적 이론 2) 복원력 이론 (1) 유전적 요소 ① 부모의 성향이 자녀에게 전달 ② 어머니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2) 외상 - 어렸을 때 받은 충격 2) 복원력 이론 (1) 소아가 위험한 환경에 영향 받지 않는 능력 (2) 소아의 정신장애 발생의 위험 감소 문제해결능력, 사회적 유능감, 지지적인 성인의 역할 모델 (3) 복원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정신장애 예방하는 방법
4.12 소아 정신장애 1. 원인 및 아동의 특성 3) 애착 이론 (1) 부모와 소아간의 애정적 결합 중요 (2) 애착 방해 요인 ① 부모의 정신장애 ② 부모의 약물의존 ③ 부모의 부재(질병, 사망, 투옥, 이주, 양부모 가정 등) ④ 친부모에게 돌아간 입양아 ⑤ 유괴 ⑥ 부모나 소아의 장기 입원 ⑦ 부모의 별거나 이혼 (3) ‘반응성 애착장애’가 발병할 수 있음
4.12 소아 정신장애 1. 원인 및 아동의 특성 4) 가족체계이론 (1) 부모관계의 질 (2) 부모 자신들의 가족문제 (1) 부모관계의 질 (2) 부모 자신들의 가족문제 (3) 출생 순위에 따라 자녀들에게 다르게 반응 (4) 가족생활주기 단계 (5) 불안정도 (6) 환경과 경제적 스트레스
4.12 소아 정신장애 1. 원인 및 아동의 특성 5) 행동이론 (1) 반응적 조건화-Pavlov의 개 이전 경험에 의거하여 자기식으로 자극에 반응 (2) 조작적 조건화 행동은 결과의 강화나 약화에 따라 달라짐 (3) 인지적 행동수정 행동이나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과 인지능력, 기대, 신념 등을 활용하는 것 (4) 사회적 학습 모델을 관찰함으로써 행동이 변화하도록 하는 관찰학습을 의미
4.12 소아 정신장애 1. 원인 및 아동의 특성 6) 인지이론 7) 발달이론 (1) 정신병리적 문제가 있을 때 인지나 사고의 왜곡이 나타남 (2) 소아가 태어나서 성장하기까지 그들의 물리적․ 사회적 세계에 대한 정신적 표현의 변화를 설명 (3) 인지작용으로 인하여 사건에 대한 인식, 자기조직화, 도덕적 논리의 발달, 정서적 이해, 복잡한 감정 및 사회적인 반응양상 등이 형성 7) 발달이론 (1) 정서의 특성 ① 정서 상태가 숨김없이 나타나지만 표현기간이 연장되지 않음 ② 정서적으로 문제가 있는 아동의 정서표현이 부정적으로 지속 ③ 강렬하고 직선적인 표현 : 분노, 질투, 공황 ④ 변하기 쉬움 : 울다가 웃고, 미워하고 욕을 하다가도 친하게 놈 ⑤ 자주 표현 : 반응이 즉각적, 이해 타산적 사고 발달되 지 않음 ⑥ 일시적 퇴행 : 아동이 불안을 감소하기 위해 과거 발달단계의 행동수준으로 후퇴함.
4.12 소아 정신장애 1. 원인 및 아동의 특성 7) 발달이론 (2) 사회성의 특성 ① 독립하고자 하는 욕구 때문에 반항심이 나타남(1.5세∼3세 절정) ② 경쟁심 생김 ③ 잘 싸운다. ④ 동정심이 많다. 친구 사이에 우정적인 행동으로 나타남 (3) 사고의 특성 자기중심적 (4) 행동의 특성 ① 폭넓은 다양한 행동을 보임 ② 도덕성 발달 ∙ 자신의 행동 조정 ∙ 5세 이전 : 본능 ∙ 7세부터 : 옳고 그름 구분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1) 정신지체 지적 기능이 평균보다 떨어져 IQ 70 이하, 적응장애 동반 (1) 특성 ① 자아, 초자아 발달 지연, 도덕적 인식 약함 ② 학령기, 10∼14세 ③ 환경과 관련된 정신지체 75∼85% ④ 과잉행동, 주의력 결핍, 이식증, 파괴적 행위가 잦고 부모에게 대들기도 함, 또래와 어울리 기 싫어하고 물건을 아낄 줄 모르며 남의 물건을 훔치기도 함, 위생상태불량 ⑤ 동반되는 정신장애 : 자폐장애, 기분장애,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 자해행동, 반복 행동 (2) 간호중재 ① 분주하고 공격적인 행동이 나타날 때 스포츠, 음악요법 등 대체 요법 이용 ② 무관심하고 말이 없는 아동은 대화를 시도해 관심과 사랑 표현 ③ 자극이 되고 흥미로운 분위기 제공 ④ 상해 위험이 있으므로 혼자 방에 두지 않음 ⑤ 온정적인 태도로 사고 방법 이해 및 수용, 잠재 능력 개발에 도움을 줌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2) 학습장애, 운동기술 및 의사소통 장애 3) 전반발달장애 (1) 학습장애 : 지적기능의 장애 없이 산술 장애, 쓰기 장애, 읽기 장애, 대뇌의 특정 영역의 발달적인 기능장애로 보기도 함. 기대수준에서 상당히 부족하고 학습 기술을 습득 및 성취하는데 정상보 다 많은 어려움이 있음. 학습장애로 인해 학업 성취도의 저하, 시험 불안, 자존감 저하 등. (2) 운동기술장애 : 운동조절에 현저한 장애로 인해 일생생활의 활동의 저해 초래 (3) 의사소통장애 : 발음이나 이해도 등의 장애, 말더듬기 3) 전반발달장애 (1) 자폐장애 ① 선천적 또는 발달 초기부터 발달과정이 전반적으로 왜곡 ② 남아 3∼5배, 여아 발병 시 지능저하 심함 ③ 대부분 3세 이전에 발병 ④ 사회적 상호관계의 장애-회피, 무관심, 미숙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3) 전반발달장애 (1) 자폐장애 ⑤ 의사소통의 장애 ∙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장애(울음, 소리 지름) ∙ 언어발달의 장애(이해하지 못하는 말하기) ⑥ 행동문제 ∙ 상동증(괴상한 행동을 목적 없이 함) ∙ 동일성 고집, 변화에 저항 ∙ 과다행동, 과소행동 교대로 나타남, 과잉반응 ∙ 공격적, 충동적 행동(자해) ∙ 놀이 : 단순, 반복적, 비기능적, 비사회적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3) 전반발달장애 (1) 자폐장애 ⑦ 인지장애 ∙ 정신지체(70%) ∙ 정신지체(70%) ∙ 추상적 사고력, 정보처리능력 장애 ∙ 언어기능 저하 ∙ 단순한 암기력, 계산, 읽기, 음악, 그림 등 특정 분야에서 뛰어나기도 함(흔하지 않음) ∙ 타인의 생각, 욕구, 의도가 자신과 다른 것을 이해하지 못함 ⑧ 감각장애 ∙ 청각, 시각, 미각, 전정감각, 후각, 고유 감각에 장애 ∙ 감각정보 처리하는 데 장애 ∙ 감각에 대해 과대, 과소반응 : 귀를 막거나 분노발작 ∙ 감각자극의 부적절한 선택 ⑨ 경련 : 1/3정도 나타남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3) 전반발달장애 (1) 자폐장애 ⑩ 예후 ∙ 나이가 들면서 증상 호전(완치는 아님) ∙ 하지만 강박증상 등 행동문제 증가 ∙ 우울증, 양극성 장애 발생 가능성 ∙ 가장 심각한 장애를 가져오는 질환 ∙ 1/3 : 어느 정도 독립된 생활 가능 ∙ 2/3 : 다른 사람의 도움 받거나 수용시설에서 지내야 함 (2) Rett's disorder ① 여아(유전적 소인), 6개월까지는 정상발달, 그 이후 1∼2세부터 사회성, 협응 동작, 걸음걸이 등에서 심한 퇴행현상 ② 사회적 관계 소실, 걸음걸이나 상체 운동 불안정, 언어발달 장애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3) 전반발달장애 (3) 아동기 붕괴성 장애(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① 출생 후 2년은 정상발달, 2세∼10세 이전에 지적, 사회적 기능의 상실 등 여러 가지 영역의 퇴행 ② 주로 남아, 원인불명이나 경련성 질환, 결핵 척추를 비롯한 대사질환이 동반 (4) 아스퍼거 장애(Asperger's disorder) ①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애는 심하지만 지능은 정상, 언어장애가 없음 ② 행동 관심 및 활동이 한정, 상동행동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4) 파괴적 행동장애와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발달의 문제, 부주의/산만성과 충동성, 과잉행동 학습장애, 언어․의사소통장애, 행동장애, 반항성 장애, 불안장애, 기분장애, 뚜렛 장애, 만성 틱장애 가진 소아의 80%에서 함께 나타남 (1)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의 증상 ① 쉽게 산만해진짐 ② 꾸물거림 ③ 일을 끝까지 해내지 못함 ④ 팀 스포츠에 어려움을 느낌 ⑤ 분노를 한꺼번에 분출함 ⑥ 난폭한 행동을 보임 ⑦ 충동적임 ⑧ 산만함 ⑨ 물건을 잘 잃어버림 ⑩ 떼를 씀 ⑪ 공포를 잘 느끼지 못함 ⑫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을 잘함 ⑬ 말이 지나치게 많음 ⑭ 차례를 기다리지 못함 ⑮ 혼란스러움 ⑯ 신체적으로 긴장되어 있음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4) 파괴적 행동장애와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 (2) 과잉행동 소아 지도 방법 ① 소아의 한계를 받아들임 ② 과다한 에너지를 배출할 수 있는 출구를 제공(운동, 노래 등) ③ 가정에서의 일상적인 활동을 조직 ④ 피곤하지 않도록 함 ⑤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함 ⑥ 엄격하게 훈련을 시킴 ⑦ 주의산만을 줄임 ⑧ 이웃사람들의 과장된 행동으로부터 소아를 보호 ⑨ 가끔 소아로부터 떨어져 지냄 ⑩ 리탈린과 같은 흥분제가 증상 완화에 효과적(습관성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5) 행동장애(품행장애) 다른 사람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하거나 규칙이나 규범을 위반하는 행위가 지속되는 것 행동장애를 가진 소아의 증상과 징후 ① 신체적 공격성 ② 사람과 동물에 잔인함 ③ 방화 등 기물파괴 ④ 공공연하거나 은밀한 도둑질 ⑤ 거짓말과 사기 ⑥ 학교 무단결석과 도주행위 ⑦ 감정이입, 죄책감, 양심의 가책 등이 결여되고 다른 사람들을 비난함 ⑧ 좌절감이나 포용력이 없이 허세를 부리며, 자존심이 결여되고 산만하고 무모함 ⑨ 학교성적이 좋지 않음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6) 적대적 반항 장애 7) 유아기 또는 초기 소아기의 식사장애 (1) 행동장애 중 다른 사람의 기본 권리를 침해하지는 않지만 부정적이고 적대적이며, 도전적인 행 동을 보이는 경우 (2) 잘 아는 어른이나 또래 무시하며 자기 행동을 정당화, 청소년기에 흔함 (3) 논쟁, 비협조적 행동, 다른 사람 괴롭히기, 짓궂은 짓하기 7) 유아기 또는 초기 소아기의 식사장애 (1) 이식증 : 영양가 없는 물질 먹는 것 예, 페인트, 머리카락, 헝겊 등 (2) 반추장애 : 부분만 소화하고 뱉거나 씹어 다시 삼킴 8) 틱 장애(Tic disorder) (1) 목적 없이 반복되는 갑작스런 불수의적 동작이나 음성을 지칭 (2) 유전적 요인, 뇌의 구조/기능적 손상, 면역 반응 이상등이 관련됨 또한 심리적 압박은 틱의 발생 과 악화에 관련있음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8) 틱 장애(Tic disorder) (3) 종류 ① 일과성 틱장애 ∙ 4주 이상 지속되 고1년 이내에 사라짐 ∙ 눈 깜빡임이나 얼굴 찡그림 ∙ 긴장이나 불안, 공부에 대한 압력 등 유발요인 ∙ 무관심하게 대한다. ② 만성 틱장애 ∙ 운동틱 ∙ 불안, 우울 동반 ③ 뚜렛 장애(Tourette’s disorder) ∙ 다양한 운동틱과 음성틱이 한 환자에서 동시에 혹은 번갈아서 나타남 ∙ 외화증(공격적 내용, 성적 내용, 욕설), 반향어 ∙ 단순 운동틱에서 시작 ∙ 과다활동, 충동성, 주의력결핍 동반 ∙ 긴장, 불안, 흥분, 피로, 싫증, 감기에 악화됨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9) 배설장애 10) 소아 조현병(정신분열병) (1) 유뇨증 (2) 유분증 ① 정서적 스트레스 받은 소아 ② 요로 감염 (2) 유분증 ① 강압적이거나 자유방임적인 배변훈련 ② 잘못된 부모-자녀 관계 ③ 발달 지체 및 외상 10) 소아 조현병(정신분열병) (1) 성인의 진단과 동일 (2) 전반발달장애와 구별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11) 소아 기분장애 (1) 우울증 ① 빈곤층 ① 빈곤층 ② 부모가 정서적 장애(우울증) ← 가장 큰 위험 요소 ③ 욕구가 충족되 지 않은 소아 ④ 활동에 참여할 수 없는 만성적 질병 앓고 있는 소아 ⑤ 학대받는 소아 ⑥ 신경질, 넋두리, 지루함 및 수면장애 등과 같은 행동의 변화 주시 ⑦ 불면증, 식욕감퇴, 학습의욕 저하, 두통, 복통 호소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12) 불안장애 13) 강박장애 (1) 부모가 불안장애, 우울증, 알코올 중독증 (2) 애착을 가장 많이 보였던 대상과 이별 (3) 자존심과 사회성 손상 (4) 학교 공포증 13) 강박장애 (1) 기능적으로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소아기의 정상적인 의식적 행동과 다름 (2) 청소나 확인, 숫자세기 반복, 병적 염려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14) 반응성 애착 장애 (1) 원인 (2) 증상 (3) 감별 진단 병적인 양육, 주 양육자의 잦은 교체, 성장․발달 장애, 유대관계 형성 결함 (2) 증상 ① 부적절한 사회 관계 형성이 5세 이전부터 나타나고 지속적인 관계 형 성 어려움 ② 지나치게 억제적이고 경계적, 양가감정 ③ 신체 발달지연 ④ 영양결핍 동반 (3) 감별 진단 ① 전반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자폐가 선천적인 원인에 의한 장애라면 반응성 애착장애는 후천적인 양육 환경의 결핍에서 비롯된 장애. 따라서 자폐증과는 다르게 반응 성 애착장애 아이들은 생후 초기에는 일반 아동들과 똑같이 전형적인 반응을 보임 → 감별도구로 과거성장력을 사정함. ②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 ③ 심각한 신경학적 이상(severe neurological abnormalities) ④ 대사 장애(metabolic disorder)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15) 적응 장애 (1) 정의 (2) 원인 (3) 증상 정신사회적 또는 개인적 스트레스를 겪은 후 일정 기간(3개월) 이내에 발생하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감정적․ 행동적 장애 ① 스트레스에 비해 과도한 강도의 기능 장애가 나타남 ② 사춘기에 흔함 (2) 원인 ① 정신사회적 스트레스 : 입원 수술, 부모의 이혼, 별거 등 ② 개인적 취약성 : 과거에 적응장애를 보인 환자 (3) 증상 정서 위축, 제한된 정서, 적대감, 수면 거부, 짜증, 불안, 공격성, 무단결석 등
4.12 소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16)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1) 학대, 정신적 외상 (2) 폭력을 경험한 아동이 폭력적 행동 보임 (3) 신체적, 성적, 정서적 학대 받은 아동은 주위의 모든 것에 대해 맹렬히 공격
4.12 소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1) 상담 (1) 놀이치료 ① 소아-간호사와의 신뢰 형성, 치료관계 용이 ① 소아-간호사와의 신뢰 형성, 치료관계 용이 ② 아동은 대화를 통해 치료가 어려우므로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대화를 유도하면서 치료 ③ 놀이를 통해 자신 표현 ④ 사회적 과정을 표현하는 자아기능으로 소아가 이완될 수 있음 ⑤ 과다한 에너지 배출 ⑥ 상황 조절, 갈등 해소, 불안 덜어줌 ⑦ 새로운 행동과 역할을 해 봄으로써 소아가 자기 자신과 환경에 대해 배움 (2) 인지치료 ① 기억술, 상상력, 역할 반전 및 새로운 경험 ② 이야기하기, 슬로건 개발
4.12 소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1) 상담 (3) 집단상담 ① 손상된 자아나 외상과 같은 특별한 문제를 가진 소아에게 적용 ② 소아가 가진 문제의 원인 파악 용이 ③ 자신의 분노나 갈등, 상실감을 처리하는 것을 도움 ④ 자기 관심이나 걱정 표현하는데 효과적 (4) 가족상담 ① 소아의 문제는 가족과 밀접하게 관련 ② 지역사회에서 가족치료 가능성 사정 ③ 부모교육-일관된 태도 (5) 행동치료 ① 가정, 학교, 소아 개인에게 일관되게 수행 ② 행동기법을 적용한 자기조절과 이완 학습 ③ 부모를 치료에 참여시켜 부모역할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함 ④ 소아의 성장을 돕는 부모교육 강조
4.12 소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2) 환경치료 3) 자기관리 활동 (1) 부모의 참여와 가족치료 및 지역사회자원 활용 (2) 치료적 환경 ① 병원, 학교 ② 소아와 상호작용, 하루 24시간의 안전한 보금자리를 제공하는 사람 ③ 사회․물리적 환경요소 ④ 규칙, 기대 및 결과에 대하여 분명한 이해 필요 ⑤ 소아에게 익숙하고 소아 중심인 환경 3) 자기관리 활동 (1) 심상 (2) 이완 (3) 지시적 심상요법 (4) 스트레스 관리기술 (5) 감정의 확인 (6) 분노폭발의 절제 (7) 자기주장적 의사소통
4.12 소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4) 정신생물학적 중재 (1) 약물 치료 지침 ① 소아기에 정신장애가 발생하는 것은 더심각할수있으므로 치료반응도다를수있음 ② 소아는 종종 약물에 대한 효과나 부작용 반응이 다름 ③ 소아는 약물에 대한 대사 작용이 빨라 배설속도도 빠름 ④ 소아에게 약물을 투여할 때는 서서히 시작하고 신중하게 관리하며, 저용량을 사용 ⑤ 소아의 약물요법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임상 관찰이 중요 ⑥ 대부분의 경우 성인에게 사용되는 약물이 소아에게도 사용됨 ⑦ 혼합 약물요법이 소아에게 안전하게 사용됨 (2) 약물 요법 ① Antihistamine : 경련의 역치 낮춤, 일시적 섬망, 틱장애 악화 ② Lithium : 소아의 경우 대사가 빠르므로 기분장애 안정시키기 위해서 다량 투여 ③ Valporate(Depakote) : 10세 이하 소아 간독성 ④ Neuroleptics(신경이완제) : 대사 빠르고 반응 민감 ⑤ 자극제 :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 치료 시 일차치료제 ⑥ SSRIs : 소아의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 안전 ⑦ Buspirone(Buspar) : 정신지체와 전반발달장애 소아의 공격성, 흥분 감소
4.12 소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5) 건강교육 6) 사례관리 7) 건강증진과 건강유지 (1) 사회화 능력 습득 (2) 부모교육 6) 사례관리 (1) 이웃, 종교단체, 학교, 전문가 협회, 정치활동 등과 접촉 (2) 부모와 관련 단체와의 연계성 유지 7) 건강증진과 건강유지 소아의 자존감 향상
4.13 청소년 정신장애 1. 청소년의 특성 및 정신장애의 원인 1) 청소년기의 성장과 발달 (1) 신체적 성장과 발달 ① 급속한 신체적 성숙 ② 성적인 발달 ③ 2차 성징의 발현 (2) 인지발달 ① 논리적 기억의 발달 ② 추상적 사고의 발달 ③ 이상의 발달 ④ 형식적 추리의 발달 ⑤ 문제해결적 사고의 발달 ⑥ 비판적 사고 (3) 사회적 성장과 발달 ① 정서적 성숙, 독립 ② 관심이 비슷한 친구들에게 향함 ③ 집단 형성 ④ 이성 앞에서 자기를 내세우는 것, 외모에 관심 ⑤ 권위에 반항하며 자아의식의 발달로 편견 갖고 비정상적인 행동함 ⑥ 사회적 통찰력 생김
4.13 청소년 정신장애 1. 청소년의 특성 및 정신장애의 원인 1) 청소년기의 성장과 발달 (4) 정서적 발달 ① 정서에 일관성 없고 변화가 심하고 불안정, 양가감정 ② 새로운 능력과 성적인 충동 ③ 사랑과 증오의 강렬한 감정 ④ 성인으로서의 욕구와 어린이로서의 한계 (5) 인격발달 ① 현저한 신체적, 정신적 변화 → 불안과 동요, 유동적인 성격 ② 정체감 형성 대 혼돈의 대립 (6) 도덕적, 종교적 발달 ① 아동기의 개념, 태도, 도덕적 훈련, 종교적 본성 등이 추상적이고 논 리적인 가정하에서 철저히 검토됨 ② 인간적인 경험, 사회적 관심 넓어짐 ③ 행동하는 신앙 ④ 감정적이면서 신앙에 대한 의심 생성 → 가치관 확립
4.13 청소년 정신장애 1. 청소년의 특성 및 정신장애의 원인 2) 생물학적․ 정신사회적 이론
4.13 청소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1) 기분장애 (1) 우울증 : 안절부절 못하는 증상, 정신운동지연, 과다수면, 망상 (2) 조증 (3) 자살 ① 자살의도에 대한 사정이 중요 ② 우울증 혹은 조증 ③ 반사회적 혹은 공격적 행동 ④ 자살 행동의 가족력 ⑤ 최근 자살 생각
4.13 청소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2) 정신증적 장애 3) 행동장애 (1) 조현병(정신분열병) ① 초기증상 : 건강염려증 ②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 ③ 학교 공포증 ④ 불면증 ⑤ 초조 ⑥ 완고하고 편집적인 사고 3) 행동장애 예후 나쁘고 효과적 치료법 없음
4.13 청소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4) 물질남용 5) 식사장애 (1) 알코올과 약물사용 (2) 물질 남용하는 부모가 있는 집단 (3) 또래로부터의 영향 (4) 정신과적, 신체적, 사회적 문제를 가진 10대들은 물질남용에 끌리는 경향 자신에 대한 약점 극복하려는 노력 (5) 사회적 관계가 피상적 (6) 자신의 문제 부정 (7) 재발률 높고, 범죄에 연루되기도 함 5) 식사장애 (1) 식사장애 시작되는 시기 (2) 마르고 싶어 하고 운동선수와 닮고자 함 (3) 먹는 것을 제한, 하제 사용
4.13 청소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4.13 청소년 정신장애 2. 종류 및 특성
4.13 청소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1) 상담 2) 환경요법 3) 자기관리 활동 (1) 가장 먼저 신뢰 형성 (2) 개인, 집단, 가족상담 (3) 권위적이고 도전적인 입장은 치료과정 방해 (4) 목표는 청소년이 변화해야 한다고 믿는 것 (5) 치료과제는 구체적이고 쉽게 획득할 수 있는 단기 목표 설정 (6) 치료적 모임 : 경계는 분명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접근 (7) 또래 상담 프로그램이 효과적 2) 환경요법 3) 자기관리 활동 적절한 위생과 건강습관 증진
4.13 청소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4) 정신생물학적 중재 5) 건강교육 (1) 약물 치료 지침 ① 청소년들은 추체외로 부작용이 생기기 쉬움 ② 청소년들은 물을 적게 먹기 때문에 변비, 구갈, 소변정체가 생기기 쉬움 ③ 저혈압을 사정하기 위해 활력징후를 측정해야 함 ④ 어지러움 때문에 학교에서 힘들 수 있음 ⑤ 대상자, 가족, 학교 교사들에게 약물의 작용, 부작용, 상호작용 등에 대해 교육해야 함 ⑥ 대상자가 자살의도를 가진 경우 과량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잘 관찰해야 함 (2) 약의 용량은 키, 체중, 동기 수준 및 부작용을 고려하여 선택함 (3) Lithium : 중독 주의(청소년은 수분섭취량이 적은 경향이 있음) (4) SSRIs : 우울증 5) 건강교육 학교 교사, 부모, 방과 후 도와주는 사람들도 우울증이나 정신병 및 위험한 행동을 구별하고 중재해 줄 수 있도록 교육받아야 한다.
4.13 청소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6) 사례 관리 7) 건강 증진 및 유지 (1) 건강, 교육, 레크리에이션 및 직업 관련 전문가들의 협조 (2) 일관성 있는 치료 (3) 문제와 변화에 대한 관찰과 기록 (4) 문제가 예상되거나 문제해결 시 타 전문가에게 통고 7) 건강 증진 및 유지 (1) 건강교육 수업시간 ① 약물 ② 알코올 남용 예방교육 ③ 성교육
4.13 청소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8) 임상유형별 간호중재 (1) 정신증 청소년에 대한간호중재 ① 청소년과 지속적인 상호교제한다. ② 허용과 온정의 분위기를 제공한다. ③ 대상자들이 혼자 떨어져 있지 않도록 한다. ④ 눈과 눈을 마주본다. ⑤ 실제인물과 사건들에 초점을 맞춰 현실감을 높이고 망상적 생각을 하지 않게 한다. ⑥ 망상적인 내용들에 대하여 논쟁을 벌이지 않고 의심스러운 내용은 말로 표현한다. ⑦ 대상자 앞에서 추상적인 개념이나 농담, 말장난은 삼간다. ⑧ 대상자의 일정과 활동계획, 일상생활들을 구체적인 단어로 표현한다. ⑨ 대상자가 일상생활을 독자적으로 그러나 적절한 감독 하에 할 수 있도록 한다. ⑩ 언제라도 필요할 때 도와줄 수 있도록 준비한다. ⑪ 신체적,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환경을 만들도록 위험한 물건은 치운다. ⑫ 오리엔테이션, 계획, 달력, 큰 시계, 하루 일과표 등을 보이도록 한다
4.13 청소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8) 임상유형별 간호중재 (2) 우울증 청소년에 대한간호중재 ① 청소년들이 자각 증세를 시험해 볼 수 있도록 도움 : 긍정적인 성격에 관심을 집중하여 자 신감을 향상시킨다. ② 따뜻한 태도로 공감해주고 수용한다. ③ 정직, 일관성, 감정이입으로 진실하게 대하여 신뢰관계 형성 : 어른에게서 보호와 안정감 을 찾으려 하기 때문에 특히 학대를 당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 신뢰가 아주 중요한 요소 ④ 의사결정시 의존적인 습성을 독립적으로 발전시키도록 돕고, 일상생활에서 도움을 필요 로 할 때 도와주지만 자기관리를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끌어준다. ⑤ 불면증 시 카페인 음료를 줄이고 낮잠을 자지 않도록 하며 잠자기 전에 단계적으로 안정 을 시키도록 한다. ⑥ 음식섭취상태를 검토하여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주고 정기적으로 체중을 잰다. ⑦ 혼자 격리되어 있지 않도록 하고 가능한 집단 내에 같이 동참할 수 있도록 하며 간호사는 대상자가 집단 활동 속에 참여할 수 있도록 완충작용을 해주어 점차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늘려줌 : 보호적인 환경에서는 또래의 인정을 받는 것이 중요하며 자신감 향상된다
4.13 청소년 정신장애 3. 치료 및 간호중재 8) 임상유형별 간호중재 (3) 자해 청소년에 대한간호중재 ① 대상자를 신중하게 다루며, 동기가 무엇인지 파악한다. ② 침작한 자세 유지하며 대상자에게 불안감을 보이지 않도록 하고 담당 간호사나 다른 직 원들도 모두 자신을 돌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 : 자신의 일시적 충동보다 간호사가 더 강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③ 제한되 어 있는 상태이더라도 대상자의 행동변화 주시 자살의도 관찰 : 1단계 → 지속적인 1 : 1감독, 2단계 → 주기적(15분 간격) 관찰 ④ 자해행위를 더 이상 하지 않을 것이며 그런 충동이 일어날 경우에는 직원에게 도움을 청 하겠다는 각서를 서면이나 구두로 받는다. → 책임감을 느끼게 하여 충동적인 자살행위를 방지한다. ⑤ 샌드백을 갖다 놓거나 격렬한 운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바람직한 방법으로 자 신의 분노를 풀 수 있도록 한다. ⑥ 주위의 유리나 벨트 같은 위험한 물건을 치우고, 자제력을 잃어버린 경우 격리 : 병원 직원 들이 자신을 보호, 관리하고 있으며 자해행위를 하도록 내버려두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어 대상자가 편안함, 안정감 느끼도록 한다.
4.14 노인 정신장애 1. 개념 2. 노인의 정상적인 변화 1) 노인 정신간호의 필요성 1) 정서적 변화 (1) 평균수명의 증가 (2) 노인의 정신질환 빈도 증가와 심각성 (3) 핵가족화, 조기 정년퇴직 2. 노인의 정상적인 변화 1) 정서적 변화 (1) 일의 수행능력 저하 (2) 문제해결능력 둔화 (3) 기억력과 지능의 둔화 (전진성 기억상실) (4) 변화나 새로운 것에 대한 저항 (5) 고독 (6) 우울 (7) 의존성
4.14 노인 정신장애 2. 노인의 정상적인 변화 3. 노인 정신장애의 특성 2) 신체적 변화 1) 일반적 특징 (1) 감각의 예민성 저하 (2) 운동능력과 근력의 저하 (3) 신경세포수의 감소 (4) 뇌혈관의 탄력성 감소 (5) 내장기능의 기능 저하 3. 노인 정신장애의 특성 1) 일반적 특징 (1) 우울증 (2) 인지장애 (3) 공포증 (4) 알코올 사용장애 (5) 불면증 (6) 조현병(정신분열병), 조울증 및 신경증적 장애 등 은 젊었을 때부터 시작 (7) 자살 (8) 약물에 의한 정신 증상 생길 위험 (9) 여러 가지 정신장애의 증상이 겹침
4.14 노인 정신장애 3. 노인 정신장애의 특성 2) 기질성 정신장애 (1) 뇌조직의 손상이나 기능장애로 정신작용에 결함이 생기는 것 (2) 지남력 상실 (3) 기억장애 (4) 판단력 감퇴 (5) 이해력 저하 (6) 불안정한 감정반응 (7) 치매(기억 보유의 문제․최근 기억 상실) ① 알츠하이머 ② 혈관성 치매 ③ Pick 병, 헌팅턴 병, 파킨슨병과 동반된 치매
4.14 노인 정신장애 3. 노인 정신장애의 특성 3) 조현병(정신분열병) (1) 조발성 젊어서 발병하여 노년까지 남아있는 것 (2) 만발성 ① 중년기 후반 또는 노년기에 처음 증상이 나타남 ② 여성에게 흔함 ③ 피해망상, 기괴한 망상 ④ 우울, 정동둔마, 의욕결여, 무감동
4.14 노인 정신장애 3. 노인 정신장애의 특성 4) 기분장애 5) 수면장애 (1) 적대적이고 의심이 많아져 가까운 사람들을 의심, 비난 (2) 노인의 15% 우울증상 존재(상실, 은퇴, 이별, 질병 등) (3) 신체증상 호소 두드러짐 : 신체, 신체기관 기능에 대한 망상 (4) 주관적인 우울감의 호소는 적음 5) 수면장애 (1) 불면증 (2) 낮에 졸림 (3) 수면제 사용
4.14 노인 정신장애 3. 노인 정신장애의 특성 6) 그 밖의 신경증적 장애 7) 알코올 및 약물 의존 (1) 공황장애 (2) 공포증 (3) 강박증 (4) 범불안장애 (5) 건강염려증 7) 알코올 및 약물 의존 Wernicke-Korsakoff’s syndrome : 만성적인 치매현상
4.14 노인 정신장애 4. 노인 간호중재 노인 간호중재의 목표 1) 면담시 유의점 노인 대상자의 힘을 키워주고, 무능력을 감소시켜 독립성을 최대화하고 대상자 상태 에 맞는 가능한 한 높은 수준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는 것 1) 면담시 유의점 (1) 간단명료하게 자신을 소개함 (2) 언어적인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리므로 대답할 충분한 시간을 줌 (3) 전문용어나 추상적인 질문은 피함 (4) 직접적인 눈맞춤이나 신체적 접촉은 문화에 따라 의미가 다르므로 조심스러워야 함 (5) 노인에 대한 상투적 사고나 편견은 피상적인 면담으로 이끔 (6) 외부자극에 대해 쉽게 산만해지므로 조용한 장소에서 천천히 낮은 음성으로 얘기함 (7) 노인과의 면담 시간은 일출/일몰 증후군을 피한 오전 10시∼12시 사이가 가장 적합
4.14 노인 정신장애 4. 노인 간호중재 2) 약물요법 (1) 노인환자의 약동학적(pharmacokinetic) 특성 ② 분포 : 체내 수분의 감소, 혈장 내 알부민 감소, 체지방의 증가 ③ 대사 : 간 크기 및 간 효소 활성 감소 ④ 배설 : GFR 감소, 세뇨관 기능 감소 (2) 노인환자의 정신과 약물치료 지침 ① 대부분 약물은 청장년 환자 대상으로 효능과 안전성이 연구 - 노인에서 사용 시 주의 필요 ② 약물 치료 전 심전도, 전혈검사, 간기능검사 등을 철저히 ③ 공존 질환, 현재 복용중인 약물 파악 ④ 1일 용량을 3∼4회 나누어 복용하는 것이 안전 ⑤ 복잡한 복용방법은 치료 순응도를 낮출 수 있음 ⑥ 소수의 약물을 최소용량으로 처방하는 것이 안전 ⑦ 약물은 소량으로 시작해서 치료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서서히 증량 ⑧ 항콜린성 작용 약물, 항히스타민제 약물 주의(섬망 위험) ⑨ 벤조디아제핀은 반감기 짧은 것(lorazepam, oxazepam)을 사용
4.14 노인 정신장애 4. 노인 간호중재 2) 약물요법 3) 환경요법 (1) 환경 변화가 계기가 되어 증상이 시작 악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한다. (2) 가족들과의 긴밀한 교류가 있고 연결이 잘 유지되는 것이 좋다. (3) 노인 스스로 존재 가치에 대한 자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4) 취미생활, 종교생활, 노인들끼리의 모임을 갖는 것 유익하다.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