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불완전경쟁에서의 수입관세와 쿼터 1. 자국이 독점하의 관세와 쿼터 2. 유치산업보호론 3. 외국이 독점하의 관세 1. 자국이 독점하의 관세와 쿼터 2. 유치산업보호론 3. 외국이 독점하의 관세 4. 덤핑에 대한 정책대응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ntroduction 미국 자동차 산업에서 일본 자동차 수입량 규제: 1980년대 미국은 심각한 경기침체와 자동차 산업에서 실업이 발생 미국은 일본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의 양을 규제하려는 움직임 일본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일본이 자율적으로 자동차 수출량을 규제하겠다고 함: “자율적 수출규제(VER)”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ntroduction 중국의 자동차 산업의 보호와 개방 1985년 중국 내에서는 5200대의 차가 생산되었지만, 2005년 5.76백만 대가 생산되고, 2.5백만 대가 판매 중국은 자국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해, 고율의 관세, 쿼터, 그리고 다양한 규제 2005년 세계 2위의 자동차 시장(수입+ 수출) 80-100% 였던 자동차의 관세는 2001년 WTO가입 이후 2006년 6월까지 25%로 인하했고, 또한 자동차 쿼터도 완화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ntroduction 자동차 산업에서 관세와 쿼터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완전경쟁이라는 가정 대신 불완전 경쟁을 가정 먼저 자국의 독점시장을 가정할 경우 쿼터와 관세가 자국의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1. 자국 독점시장에서 관세와 쿼터 자국시장은 독점적이라고 가정 하나의 기업이 동질화된 상품을 판매 이 기업은 한계비용(MC)보다 더 높게 가격을 책정 자유무역을 하게 되면 새로운 외국 기업이 시장에 진입하여, MC보다 더 높게 가격을 설정할 수 있는 독점기업의 능력이 없어짐. 자유무역은 독점적인 자국시장을 완전경쟁적 시장으로 변화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1) 관세 1) 비무역 균형점 무역이전에 자국시장이 완전경쟁적이라면 비무역 균형점은 PC , QC 그러나 무역이전에 자국시장이 독점적이라면 비무역균형점은 PM , QM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Figure 9.1 Monopoly no-trade equilibrium produces QM where MR=MC. PM comes from D A perfectly competitive market would produce where MC = D giving PC and QC. Price Monopoly equilibrium Notice that quantity is lower and price is higher in a monopoly than in a perfectly competitive market. PM A QM Marginal cost, MC PC B QC Figure 9.1 No-Trade Equilibrium In the absence of international trade, the monopoly equilibrium at Home occurs at the quantity QM, where marginal revenue equals marginal cost. From that quantity, we trace up to the demand curve at point A, and the price charged is PM. Under perfect competition, the industry supply curve is MC, so the no-trade equilibrium would occur where demand equals supply (point B), at the quantity QC and the price PC. Perfect competition equilibrium Home demand, D Marginal revenue, MR Quantity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2) 자유무역 균형점 소규모 국가인 자국이 자유무역을 하게 되면 자국은 고정된 세계가격 PW에 직면 따라서 외국의 수출공급곡선 X*는 PW 에서 수평 자국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은 D가 아니라 외국의 수출 공급곡선인 X*와 동일 외국이 PW에 판매하므로 자국기업도 PW에서 판매해야 함. PW보다 더 높은 가격에 공급하면 자국 소비자들은 수입상품을 소비 자국(소비자들의) 수요곡선은 D !!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자국 기업이 직면하는 새로운 수요곡선 X*는 수평이므로 MR*은 X*와 동일 기업은 이익극대화를 위해 MR* = MC인 점 B에서 S1에서 공급 자국 소비자들의 수요량은 D1이므로 M1 (= D1 - S1) 만큼 수입해야 함.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소규모 국가가 자유무역을 하게 되면, 자국 독점자는 완전 경쟁시장에서와 동일 완전경쟁 기업은 세계가격 PW 를 그대로 수용하고 이 가격과 한계비용 곡선이 만나는 S1 만큼 생산 소비자들은 세계가격 PW 에서 D1 만큼 소비 소규모 국가가 자유무역을 하게 되면, 자국 독점자는 완전 경쟁시장에서와 동일한 생산량과 가격을 부과 자국의 독점자는 가격 통제 능력을 상실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Figure 9.2 Under free trade, the Monopolist will take fixed world price, PW, and set it equal to MC to determine quantity, S1. With free trade, Home faces Foreign export supply of X* which is the Monopolist’s new demand and MR curve Price No-Trade Monopoly This is the same result as a perfectly competitive market would give. Free Trade Equilibrium At PW, consumers demand D1 which leads to imports of M1 = D1 – S1. A PM MC Figure 9.2 Home Monopoly’s Free-Trade Equilibrium Under free trade at the fixed world price PW, Home faces Foreign export supply of X * at that price. Because the Home firm cannot raise its price above PW without losing all of its customers to imports, X* is now also the demand curve faced by the Home monopolist. Because the price is fixed, the marginal revenue MR* is the same as the demand curve. Profits are maximized at point B, where marginal revenue equals marginal costs. The Home firm supplies S1, and Home consumers demand D1.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is imports, M1 = D1 − S1. Because the Home monopoly now sets its price at marginal cost, the same free-trade equilibrium holds under perfect competition. B S1 PW X* = MR* D1 MR D M1 QM Quantity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자국의 가격은 PW 에서 PW+t로 상승 외국 수출공급곡선은 X*+t로 이동 앞에서와 동일하게 X*+t 는 독점자의 새로운 수요곡선이 되고 이는 독점자의 MR 곡선이 됨. 이익극대화 조건 MR=MC에 따라 점 C에서 자국은 S2를 공급하고 자국의 수요는 D2 자국의 생산량은 증가하고 소비량은 감소하여, 수입량은 M2 (= D2 – S2)로 감소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Figure 9.3 At the new price, supply rises to S2, demand falls the D2, and imports fall to M2 = D2-S2. Price With the tariff, price increases by t, X*+t becomes the new Demand and MR curve faced by the Home monopolist. Equilibrium With Tariff MC We have a new trade equilibrium with the tariff, at C. PM Free Trade Equilibrium C S2 D2 M2 PW+t X*+t = MR* Figure 9.3 Tariff with Home Monopoly Initially, under free trade at the fixed world price PW, the monopolist faces the horizontal demand curve (and marginal revenue curve) X*, and profits are maximized at point B. When a tariff t is imposed, the export supply curve shifts up since Foreign firms must charge PW + t in the Home market to earn PW. This allows the Home monopolist to increase its domestic price to PW + t, but no higher, since otherwise it would lose all of its customers to imports. The result is fewer imports, M2, because Home supply S increases and Home demand D decreases. B S1 PW X* D1 D M1 Quantity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관세로 인한 자국 손실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 잉여는 (a+b+c+d) 만큼 감소하지만, 생산자 잉여는 (a) 만큼 증가 관세로 인한 정부 수입은 t* M2 인 (c) 자국 후생의 순손실은 (b+d)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Figure 9.3 Consumer surplus falls by (a+b+c+d). Producer surplus rises by (a). Government revenue increases by (c). Price We are again left with a deadweight loss of (b+d). MC PM PW+t X*+t = MR* Figure 9.3 Tariff with Home Monopoly Initially, under free trade at the fixed world price PW, the monopolist faces the horizontal demand curve (and marginal revenue curve) X*, and profits are maximized at point B. When a tariff t is imposed, the export supply curve shifts up since Foreign firms must charge PW + t in the Home market to earn PW. This allows the Home monopolist to increase its domestic price to PW + t, but no higher, since otherwise it would lose all of its customers to imports. The result is fewer imports, M2, because Home supply S increases and Home demand D decreases. The deadweight loss of the tariff is measured by the area (b + d). This result is the same as would have been obtained under perfect competition because the Home monopolist is still charging a price equal to its marginal cost. D2 a b c d PW X* D1 M2 D M1 Quantity S1 S2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2) 쿼터 쿼터로 인한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관세의 영향과 비교해 보자. 쿼터의 경우 자국 독점자의 시장지배력(market power)은 유지되고 소비자는 더 높은 가격을 지불 따라서 WTO는 쿼터보다는 관세를 부과할 것을 권고했음.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쿼터가 설정되면, 자국의 독점자의 시장지배력이 유효 그림 9.4에서 자유무역 균형점은 B이고 관세 균형점은 C 관세 부과로 인한 수입량 M2를 쿼터로 설정한다고 가정하면 자국 독점자가 직면하는 실질적 수요곡선은 D- M2 자국 독점자는 D- M2을 따라 이익을 극대화하는 가격을 설정 새로운 수요곡선 D-M2에 해당하는 새로운 MR곡선을 도출 이익극대화를 위해 MR=MC인 점 E 에서 S3 을 공급하고 가격을 P3를 설정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쿼터 균형점 E와 관세 균형점 C를 비교해 보자. 쿼터가격이 관세가격보다 높다: P3>PW+t. 쿼터로 정한 양이 수입되고 나면, 독점자는 이외의 수요량에 대해 가격을 설정할 수 있다. 관세와 쿼터는 더 이상 “동등하지 않음(non- equivalent) 쿼터로 인한 생산량은 관세로 인한 생산량보다 적음:S3<S2. 자유무역 균형 생산량보다 더 적게 될 가능성도 있음: S3<S1 쿼터로 생산자가 보호를 받지 못할 경우도 발생 즉 쿼터로 고용이 감소할 가능성도 있음.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Figure 9.4 Under a tariff, the monopolist produces at C, selling S2, charging PW+t. Consumers demand D2, giving M2 imports. Price MC MR D - M2 Under free trade, the monopolist produces at B, selling S1, charging the world price, PW. Consumers demand D1, giving M1 imports. Under Quota, original demand, D, shifts back by the amount of the quota, M2. New demand at D-M2 with new MR Quota, M2 P3 D3 E S3 With a quota, the monopolist sets quantity where new MR=MC, at E and S3, with price from new demand, P3. At P3, demand is D3, giving Imports of M2, same as tariff. C S2 D2 PW+t B S1 PW Figure 9.4 Effect of Quota with Home Monopoly Under free trade, the Home monopolist produces at point B and charges the world price of PW. With a tariff of t, the monopolist produces at point C and charges the price of PW + t. Imports under the tariff are M2 = D2 − S2. Under a quota of M2, the demand curve shifts to the left by that amount, resulting in the demand D − M2 faced by the Home monopolist. That is, after M2 units are imported, the monopolist is the only firm able to sell at Home, and so it can choose a price anywhere along the demand curve D – M2. The marginal revenue curve corresponding to D − M2 is MR, and so with a quota, the Home monopolist produces at point E, where MR equals MC. The price charged at point E is P3 > PW + t, so the quota leads to a higher Home price than the tariff. D D1 Quantity Imports, Quota Imports, Tariff. M2 Imports, Free Trade, M1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and Quotas with Home Monopoly 쿼터로 인한 자국 손실 쿼터로 인한 자국 가격은 관세보다 더 높기 때문에, 소비자 잉여는 더 많이 감소하고, 생산자 잉여는 더 많이 증가 쿼터로 인한 가격은 더 높고, 생산량은 더 적으므로, 관세보다 쿼터로 인한 후생의 순손실은 더 큼. 독점자가 더 높은 가격을 부과할수록, 쿼터렌트(quota rents)는 더 커짐. 쿼터 렌트 =(P3 - PW )* M2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 :U.S. Imports of Japanese Automobiles (3) 쿼터 제한에 대한 예: 미국의 일본자동차 수입 가장 잘 알려진 자발적 수출제한(VER) 조치는 1980년대 일본의 대미 자동차수출 1980년대 초반 미국은 심각한 경기침체와 자동차산업에서 실업이 빠르게 증가 1980년 미국 자동차산업 노동자연합(United Automobile Workers)와 포드사(Ford Motor Comp.)는 국제무역위원회(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ITC)에 GATT 제 19조와 미국통상법 제201조( Section 201 of U.S. trade laws)에 따라 보호를 요청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U.S. Imports of Japanese Automobiles ITC는 자동차산업에 대한 피해가 수입급증보다는 경기침체가 주원인이라 판단해, 자동차산업에 대한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음. 그러나 자동차 생산공장이 위치한 주출신 상원위원들은 수입제한조치를 위한 법안을 도입 이에 대응하여 일본은 일본 자동차의 수출을 자발적으로 제한하겠다고 선언 1988년부터는 일본자동차 회사들은 미국내에서 자동차를 조립하여 판매하기 시작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U.S. Imports of Japanese Automobiles 일본자동차 수입 가격과 품질 VER로 평균가격은 1980년 $5,150에서 1985년 $8,050로 $2900 상승 이중 $1100는 일본 자동차 회사들이 획득한 쿼터지대이고 $1650는 일본자동차의 품질개선에 따른 것이고 $150는 자유무역 하에서라도 올랐을 가격 상승분이다.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U.S. Imports of Japanese Automobiles Figure 9.5 Figure 9.5 Prices of Japanese Car Imports Under the “voluntary” export restraint (VER) on Japanese car imports, the average price rose from $5,150 to $8,050 between 1980 and 1985. Of that $2,900 increase, $1,100 was the result of quota rent increases earned by Japanese producers. Another $1,650 was the result of quality improvements in the Japanese cars, which became heavier and wider, with improved horsepower, transmissions, and so on. The remaining $150 is the amount that import prices would have risen under free trade.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U.S. Imports of Japanese Automobiles 미국 자동차의 가격 일본자동차에 대한 VER 하에서 미국 자동차의 평균가격은 1979년에서 1981년까지 43%나 상승 이 가격인상의 상당부분은 쿼터로 보호 받은 미국 자동차회사들의 시장지배력이 커졌기 때문이다. 미국 자동차의 품질은 일본자동차 만큼 향상되지 않았다. 미국자동차와 일본자동차 회사들이 동시에 가격을 인상했다는 사실은 VER조치가 미국소비자에게 큰 비용이 되었다는 것을 시사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U.S. Imports of Japanese Automobiles Figure 9.6 Figure 9.6 Prices of American Small Cars Under the VER on Japanese car imports, the average price of U.S. cars rose very rapidly when the quota was first imposed: from $4,200 in 1979 to $6,000 in 1981, or a 43% increase over two years. Only a very small part of that increase was explained by quality improvements, and in the later years of the quota, U.S. quality did not rise by as much as for the Japanese imports.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nfant Industry Protection 2. 유치 산업 보호 (1) 유치산업 보호 정당성 앞에서 학습했듯이, 관세로 인한 손실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나라들은 경제개발의 초기에 관세 정책을 사용 그 이유로는 “ too young to withstand foreign competition”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면, 미래에 경쟁력을 갖추게 되므로 단기적으로 보호를 해 주어야 한다. 이런 산업을 “유치산업(Infant Industry)”이라고 함.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nfant Industry Protection 정부가 관세를 부과하여 유치산업을 보호하는 것은 다음의 2가지 이유로 정당화 1. 현재 관세를 부과하면, 자국 생산량이 증가하고, 이는 미래의 비용을 감소시킨다. (현재는 하나의 기업만이 존재한다고 가정) 2. 현재의 관세를 부과하면, 그 산업의 다른 기업에 혹은 다른 산업의 기업의 미래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미래 비용을 감소시킨다:외부성(externality)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nfant Industry Protection (2) 자유무역 균형점 자국기업이 자유무역을 하게 되면 음(-)의 이윤으로 조업을 중단 그림 9.7은 자국 기업의 현재와 미래 상황을 표시 자국은 소규모이고, 따라서 고정된 세계가격을 그대로 수용한다고 가정 현재의 생산 증가는 미래의 비용을 감소한다고 가정 현재의 균형 자유무역 하에서 자국기업은 PW (= MR)와 MC가 만나는 S1 공급 생산량 S1에서 AC는 PW보다 높아 이 기업은 손해를 보게 되므로 생산을 하지 않게 됨.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nfant Industry Protection (3) 관세 균형점 정부는 이 기업의 조업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관세나 쿼터를 이용하여 자국가격을 인상한다. 이로 인해 현재 생산을 하게 되면, 미래의 비용이 하락 현재 균형점 관세 t로 인해 자국 가격이 PW+t 로 상승 PW+t 가격에서 기업은 S2 만큼 생산하고, 제로 이윤을 얻음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nfant Industry Protection 미래 균형점 현재 S2,를 생산하므로, 기업은 미래의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생산을 통한 학습효과로 AC곡선은 AC′곡선으로 하락 관세부과 없이도 기업은 S3를 생산 관세로 인한 현재에 발생한 후생의 손실과 미래 생산자 잉여가 동시에 존재 현재 관세 부과로 (b+d) 만큼의 후생의 순손실이 발생 그러나 미래에 생산자 잉여가 (e) 만큼 발생.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nfant Industry Protection Figure 9.7 Today, panel (a), the firm loses money at the world price PW The country imposes a tariff so now making zero economic profits, at PW+t, with a dead weight loss of b+d In the Future, panel (b), the firms average costs fall. They can now earn zero economic profits at the world price PW, without the tariff, earning e in producer surplus. Price Price MC MC AC PW+t AC’ Figure 9.7 Infant Industry Protection In the situation today (panel a), the industry would produce S1, the quantity at which MC = PW. Because PW is less than average costs at S1, the industry would incur losses at the world price of PW and would be forced to shut down. A tariff increases the price from PW to PW + t, allowing the industry to produce at S2 (and survive) with the net loss in welfare of (b + d). In panel (b), producing today allows the average cost curve to fall through learning to AC ’. In the future, the firm can produce the quantity S3 at the price PW without tariff protection and earn producer surplus of e. b d PW e D D S1 S2 D1 D2 Quantity S3 Quantity D1 (a) Today (b) Future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nfant Industry Protection 관세부과가 성공적인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손실과 미래의 이익을 비교 만약 (e)가 (b+d)보다 크다면, 현재의 유치산업 보호는 성공적 만약 (e)가 (b+d)보다 작으면, 현재의 유치산업 보호는 정당화될 수 없음.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4) 유치산업 보호의 예 1) 중국의 자동차 산업 보호 중국의 자동차 산업의 성공은 유치산업 보호에서 비롯되었는가? 중국은 20001년 WTO가입 이전 높은 관세와 엄격한 쿼터를 시행 예를 들면 자동차의 경우 1980년대에 관세가 거의 260%였고, 1996년에 80–100% 2006에는 25%로 인하되었고, 쿼터는 제거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중국의 자동차 산업 보호 1980년대, 중국은 외국기업과 현지 기업의 합자 투자만을 허락 외국 제조업자는 합자투자 기업의 지분을 더 많이 소유할 수 없고, 합작으로 생산된 자동차의 유통도 중국이 관리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높은 관세, 다양한 규제, 그리고 정부의 지원 등으로 인해 특정한 합자투자 기업만이 성장 Volkswagen’s Shanghai plant은 1990년대 매년 200,000 대의 자동차를 생산했지만 다른 기업들은 저조한 성장 Volkswagen’s Shanghai은 상하이 시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독점자가 됨. 그러나 Beijing Jeep은 20,000 대도 생산하지 못하고, Peugeot 는 철수 최근에는 Honda, Toyota, General Motors, Ford, Hyundai 등도 중국에서 생산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소비자의 비용 1990년대에는 관세와 쿼터로 중국의 자동차 수입은 아주 적었다 (17,500~222,000대) 관세로 인해 수입가격은 거의 2배 이상 쿼터는 수입가격에도 영향을 주었지만, Volkswagen은 중국에서 독점자의 지위를 누림. 그림 9.8에서와 같이 Shanghai Volkswagen의 markup이 가장 높았음.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Figure 9.8 Figure 9.8 Automobile Markups by Firms in China, 1995–2001 This diagram shows the percentage markups (price over marginal cost) applied to automobiles sold in China from 1995 to 2001, by various producers. The highest markup was charged by Shanghai Volkswagen, which had a local monopoly in Shanghai. Source: Haiyan Deng, 2006, “Market Structure and Pricing Strategy of China’s Automobile Industry.”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그리고 Shanghai Volkswagen이 1990년대 생산한 자동차는 구형 모형(outdated model) 중국시장에서의 독점자인 Shanghai Volkswagen 은 이익을 얻었지만, 소비자는 높은 가격에 구형 모형을 구매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생산자 이익 (소비자의 손해를 발생시킨) 중국의 자동차 산업 보호가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미래의 생산 비용이 하락했는지를 살펴 보아야 한다. 최근 중국의 자동차 생산이 크게 증가해 왔다, 이는 평균 비용이 하락했다는 것을 의미 그러면 평균비용 하락이 보호에 위해 이루어졌는가?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초기에 중국에 진출한 외국기업들은 중국 정부의 무역 정책과 지원을 받고, 합작투자를 통해 진출해 중국 현지기업은 외국기업으로부터 기술을 이전 받음 Volkswagen과 General Motor의 합작사였던 Shanghai Automotive는 자신의 공장과 모델을 생산, 따라서 관세 및 쿼터 정책과 합작 투자 등의 규제 등은 중국기업에 학습효과를 주었고 생산 비용의 하락을 가져왔다.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그러나 최근 중국이 처음으로 수출한 자동차는 Lifan 그룹은 브라질의 엔진 공장을 그대로 수입 하여 수출 즉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관세 혹은 쿼터 등의 무역정책과 기술 이전이 아니다. 유치산업 보호가 정당화 될 수 없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중국의 자동차 산업의 성장은 무역 정책에 의해 완전히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2) 중대형 모터싸이클에 대한 미국의 관세정책 1983년 미국의 전설적인 모터싸이클 업체인 Harley-Davidson은 생산성 향상 부진과 일본회사들과의 경쟁으로 큰 적자를 기록 Harley-Davidson은 미국의 국제위원회(ITC)에 통상법 제 201조에 의거해 보호조치를 강구해 줄 것을 요청 Reagan 대통령은 ITC의 건의에 따라 중대형 모터싸이클 수입에 관세를 부과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Examples of Infant Industry Protection Harley-Davidson은 비용절감과 새로운 모텔 출시로 수익성을 회복 Reagan대통령은 관세부과가 성공적인 조치였음을 선언 보호조치가 정말 성공했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관세부과로 Harley-Davidson이 어느 정도 회생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되었고 오늘날 매우 성공적인 회사가 되었다는 것이다.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with Foreign Monopoly 3. 독점자인 외국에 대한 관세 외국의 수출기업이 자국시장에서 독점자라고 가정하고 즉 외국 기업과 경쟁하는 자국 기업은 없다. 그림 9-10에서 자국 수요는 전적으로 외국 기업이 공급 소규모 국가인 자국이 외국 독점자에게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를 분석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with Foreign Monopoly 먼저 관세부과 이전, 즉 자유무역 균형점을 분석 외국 독점자는 MR = MC*인 점에서 X1 을 자국 시장에 공급하고, 가격은 P1으로 설정 관세를 부과하면 자국이 관세 t를 부과하면, 자국시장에 수출하는 외국의 한계 비용곡선은 MC*+t 새로운 균형점은 B로 X2 를 공급하고 자국의 수입가격은 P2 P2 - P1 < t 외국 수출업자가 받는 가격은 P3 = P2 – t 이고 , P3 < P1 자국은 P3( < P1 ) 를 외국수출업자에게 지불하므로 자국은 관세로 인해 “교역조건 이익(terms-of-trade gain)을 얻음.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with Foreign Monopoly Figure 9.10 MC rises by the amount of the tariff, t. Loss in consumer surplus is (c+d) and gain in government revenue is (c). Price falls for the exporter to P3, so importing country gets terms of trade gains equal to (e). Welfare depends on (e) versus (d). Price Increase in P is less than t, the increase in MC c d P2 P1 e P3 = P2 – t B Figure 9.10 Tariff with a Foreign Monopoly Under free trade, the Foreign monopolist charges prices P1 and exports X1, where marginal revenue MR equals marginal cost MC*. When an antidumping duty of t is applied, the firm’s marginal cost rises to MC* + t, so the exports fall to X2 and the Home price rises to P2. The decrease in consumer surplus is shown by the area c + d, of which c is collected as a portion of tax revenues. The net-of-tariff price that the Foreign exporter receives falls to P3 = P2 − t. Because the net-of-tariff price has fallen, the Home country has a terms-of-trade gain, area e. Thus, the total welfare change depends on the size of the terms-of-trade gain e relative to the deadweight loss d. MC*+t t t MC* A D MR X2 X1 Foreign Exports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Tariffs with Foreign Monopoly 관세가 자국 후생에 미치는 영향 가격상승으로 소비자 잉여는 (c+d) 만큼 감소 가격 상승은 자국 기업에 이익을 주나 여기에서는 자국 기업은 없다. 관세로 인한 정부수입은 t* X2, 즉 (c+e) 따라서 자국 후생의 변화는 소비자 잉여 감소 - (c+d) 정부 수입 (c+e) 자국 후생의 순 변화 (e-d) (e)는 교역조건 이익(terms-of-trade gain)이고, d는 후생의 순 손실 따라서 교역조건 이익(terms-of-trade gain)이 후생의 순 손실보다 크면, 자국은 관세 부과로 인해 이익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Import Tariffs on Japanese Trucks 앞에서 외국 독점자에게 관세를 부과하면, 자국은 (+)의 교역조건 효과를 얻는다고 학습 실제로 어는 정도의 이익을 얻는가? 1980년대 미국은 일본 트럭에 대해 25%관세를 부과 추정에 따르면,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 중에서 미국 소비자는 12%, 일본 수출업자는 9%를 부담 관세부과로 일본의 수출가격은 하락, 즉 미국의 수입가격은 하락, 즉 관세로 인해 미국의 교역조건 은 개선됨(앞에서의 이론과 일치)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Policy Response to Dumping 4. 덤핑에 대한 대응 덤핑(Dumping)이란 어느 기업이 자신의 국가에서의 가격 보다 낮게 수출 혹은 평균 생산 비용보다 더 낮게 수출하는 것을 의미 외국이 덤핑을 하면 수입국인 자국이 대응하는 정책을 살펴 보자 WTO는 외국 기업이 덤핑으로 상품을 수출하면, 수입국은 “반덤핑 관세(antidumping tariff)”를 부과할 수 있다고 규정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Policy Response to Dumping 반덤핑 관세(Anti-dumping Duty) 반덤핑 관세(antidumping duty)의 크기는 수출자의 국내가격(local price)과 수입국에서의 덤핑가격 (“dumped” price)의 차이 반덤핑 관세의 목적은 덤핑가격을 높여 자국 생산자를 보호하는 것 따라서 가격 상승으로 인한 후생 손실은 고려하지 않음.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Policy Response to Dumping 상계관세(Countervailing Duty) 만약 외국 정부가 자신의 수출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했기 때문에, 이 기업이 국내가격보다 낮게 수출할 수 있었다면, WTO는 이러한 수출 보조금에 대응하여 수입국은 상계관세(countervailing duty)를 부과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Policy Response to Dumping 반덤핑 및 상계 관세를 전략적으로 이용 외국 기업들은 반덤핑 관세 부과 이전에 가격을 인상하는 경우가 많음. 그림 9.11에서 보면, 가격을 P1 to P2 로 인상하므로, 소비자 잉여는 (a+b+c+d) 만큼 감소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지는 않아, 정부 수입은 없음. 따라서 (b+c+d)가 후생의 순손실이므로, 관세의 경우보다 후생 손실이 크다.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Policy Response to Dumping Figure 9.11 Foreign exporters increase their prices to Home due to the threat of anti-dumping duties, which decreases imports from M1 to M2. S Price P b d b+d P2 c c a c P1 Figure 9.11 Home Loss Due to Threat of Duty A charge of dumping can sometimes lead Foreign firms to increase their prices, even without an antidumping duty being applied. In that case, there is a loss for Home consumers (a + b + c + d) and a gain for Home producers (a). The net loss for the Home country is area (b + c + d). M D S1 S2 D2 D1 Quantity M2 M1 Imports (a) Home market (b) Import market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
Policy Response to Dumping 자국은 덤핑에 대한 위협을 통해 자국 가격을 인상하여, 자국 시장에서 경쟁을 낮추기 위함. 이런 이유로 반덤핑 상계관세를 전략적으로 이용, 즉 심각한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상계관세 및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 © 2008 Worth Publishers ▪ International Economics ▪ Feenstra/Tay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