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물리적 인자치료 전기치료 (1) 전기치료(electrotherapy)의 개념 ① 전류의 효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박승희 박은미 이미지 김용민.
Advertisements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생체계측 및 의료기기 (2004, 3rd quarter)
29장 자기장.
제2장 주파수 영역에서의 모델링.
1-1 일과 일률.
Chapter 7 Transmission Media.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퇴행성 신경질환.
차량용 교류발전기 alternator Byeong June MIN에 의해 창작된 Physics Lectures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자기파 전자기파의 분류 전자기파의 발생기구에 따른 분류 장파, 라디오파(방송파) LC회로: 고전 전자기학 이론
Ch. 6. 분광분석(SPECTROSCOPY)
과목 : 재활의학 담당교수 : 박주형교수님 학번 : 이름 : 최재완 제출일자 :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프로젝트 8. Electron Spin Resonance
15-4 자 기 력 의 응 용 Prof. Seewhy Lee.
일(Work)과 역학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
센서 11. 기체 압력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과목:임상생체역학실습 담당교수:황 성 수 발표일: 발표자:송 미 하
수술 전/후 사진. 수술 전/후 사진 관절경 수술 적용 질환 7. 수술 후 처치 및 재활 치료 1) 수술 시 발생한 창상 부위(약 1cm 정도)는 감염의 예방을 위해 약 5~7일 정도 소독하며, 수술 후 다리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무릎과 발목이 가슴보다 약간 위쪽에.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과 광센서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임피던스 측정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Proj.4 X-ray diffraction of powders
Chapter 32 전자기파.
ECG (ElectroCardioGram)
5. 운동처방을 위한 지침.
전기진단검사 I.
전류에 의한 자기장 B < B’ 자기장(magnetic field)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생체전기 방사선과 2학년 김경대.
Prepared by Han, Jae-Woo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프로젝트 7. Zeeman Effect 윤석수.
LUMINESCENT MATERIALS
색체 인식과 영상 장치 빛의 합성과 색체 인식 백색광 ex) 햇빛, 형광등, 백열등
3M Crystalline window film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빛의 흡수와 방출 스펙트럼(spectrum) 1. 방출스펙트럼(emission spectrum)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MODERN PHYSICS(2).
특수상대성 이론(The Special Theory of Relativity)
소리와 초음파 파동(wave) : 한 곳에서 생긴 (매질의) 진동상태가 다른 곳으로 퍼져가는 (energy) 현상
알고 쓰자 전자레인지 김학철.
이비인후과 PPT 정나리.
운동법칙과 운동량 힘(force) - 물체에 변형을 일으키거나 물체의 운동상태를 변화(크기, 방향)시키는 원인
제7주 근력 증강을 위한 운동 처방 건강생활.
제20강 유도전압과 인덕턴스 20.1 유도 기전력과 자기 선속 • 유도 기전력
유아 건강 ★ 해피 트리 ★.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강은진.
영양소 섭취와 에너지 소비 -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의 스펙트럼(Spectrum)
Automatic nerve system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제 8 장 발전기와 전동기 8.1 교류발전기 8.2 3상 교류 발전기 8.3 직류발전기 8.4 직류전동기 8.5 교류전동기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7장 의료에서의 초음파 이용 (Ultra sound wave Intrumentation)
김용호교수의 스포츠 마사지 대경대학 스포츠건강과학과 김 용 호 교 수 KIM.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욕창 예방 교육 보성실버센터.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Ⅱ. 운동의 효과 (The Effects of Exercise)
13-1 전기적 위치에너지 / 전위 Prof. Seewhy Lee.
: 3차원에서 입자의 운동 방정식 제일 간단한 경우는 위치만의 함수 : 시간, 위치, 위치의 시간미분 의 함수
Therapeutic Occupation
전기와 안전.
전문운동처방연구소 웰 – 빙 Special Exercise Prescription Research Institute 봉 순 녕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Ⅰ. 물리적 인자치료 전기치료 (1) 전기치료(electrotherapy)의 개념 ① 전류의 효과 ⓐ 열효과(thermal effect) 전기에너지  열에너지 전환 ⓑ 화학적효과(chemical effect) 직류에서만 발생. 이온화 효과 ⓒ 전자기효과(electromagnaetic effect) 전기장, 자기장 형성

- 전자 흐름 : 음극에서 양극으로 일어나는 음전하운동 (2) 전기치료의 전류 특성과 종류 - 전자 흐름 : 음극에서 양극으로 일어나는 음전하운동 - 전류 흐름 : 양극에서 음극으로 일어나는 양전하운동 ① 교류(alternating current, AC) - 방향과 크기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전류 ⓐ 지속적 교류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 단속적 교류

(2) 전기치료의 전류 특성과 종류 ② 직류(Directing current, DC) - 한 방향으로 진행, 크기가 일정, 화학적 효과 ⓐ 저전류 직류 : 0 ~ 30 mA ⓑ 미세전류직류 : 0 ~ 600 ㎂ 단위 : 1 A x 0.001 = 1 ㎃, 1 ㎃x 0.001 = 1 ㎂ ③ 맥동전류(Pulsed current, DC) - 단방향이나 양방향으로 맥동주기를 가지는 전류 ⓐ 이상성 맥동파 : 대칭성 이상파, 비대칭성 이상파 ⓑ 단상성 맥동파

(3) 임상전기자극의 분류 ① 주파수(frequency) - 저주파(1~1,000 Hz) : 통증조절, 전기자극 - 중주파(1,000~100,000 Hz) : 통증조절, 전기자극 - 고주파(100,000 Hz 이상) : 심부 열 발생 빛의 속도(ν) = 주파수(f) X 파장(λ) f : 1 Hz x 1,000 = 1 KHz, 1 KHz x 1,000 = 1 MHz λ : 1mm x 0.001 = 1 ㎛, 1 ㎛ x 0.001 = 1 nm

(3) 임상전기자극의 분류 ② 전압(Voltage) ⓐ 저전압 : 150 V 이하, 대부분의 전기자극치료 ⓑ 고전압 맥동전류 : 150 V 이상, 고주파전류 ③ 전류강도 ⓐ 미세전류 : 600 ㎂ 이하 ⓑ 저전류 : 수십 ㎂ 이하

(3) 임상전기자극의 분류 ④ 전기자극기(electrical stimulator) ⓐ 직류 전류 : 이온도입(iontophoresis), 전기자극치료기(EST), 미세전류치료기 ⓑ 교류 전류 : 러시안전류치료기, 간섭전류치료기, 전기장자극기, 전자장자극기 ⓒ 맥동 전류 : 경피신경전기자극기(TENS), 신경근전기자극(NMES), 고전압맥동전류자극기, 은침전극자극기(SSP)

(4) 초음파 치료(Ultrasound therapy) - 심부열 치료 - 주파수 1MHz, 3MHz 사용 ① 치료 효과 ⓐ 지속적 초음파 : 열 효과 ⓑ 펄스 초음파 : 공동화 현상, 기계적 화학적 변화 ② 치료 방법 ⓐ 직접 접촉법 : 피부에 겔을 바른 후 직접 치료 ⓑ 간접 접촉법 : 물 속에서 치료

2) 광선치료 -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레이저 등 (1) 빛의 성질 - 전기나 다른 힘에 의해 생성된다. - 가시 매개체 없이 전파된다. - 진공 내에서는 진행 속도는 같다 - 특성 : 직진, 반사, 굴절, 산란, 흡수 - 빛은 파장에 따라 짧은 순서로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나눈다. 1 nm = 10 Å

(2) 적외선(Infra Red, IR) - 열선,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길다. - 적외선 등(IR Lamp) : 건열(dry heat) 치료에 사용 ① 장파 적외선(원위 적외선) - 모든 가열된 물체는 장파적외선이 방출됨 - 파장 : 15,000~150,000Å - 빛을 내지 않는 등(non-luminous lamp) - 예 : 전기 장판, 온돌침대 등 ② 단파 적외선(근위 적외선) - 모든 빛이 나는 물체는 단파적외선이 방출됨 - 파장 : 7,700~15,000Å - 빛을 내는 등(luminous lamp) - 예 : 백열전등, 선풍기형 난방기 등

(3) 자외선(Ultra violet, UV) - 가시강선 중 보라색보다 짧은 파장 - 1,800~3,900Å ① 장파 자외선(근위 자외선) ⓐ UV-A : Black Light, 선탠(sun-tan) ⓑ UV-B : 비타민 D 형성, 피부 홍반현상 ② 단파 자외선(원위 자외선) ⓒ UV-C : 살균선, 산소를 오존으로 바꿈

(4) 레이저(LASER) ① 개요 -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② 특징 - 응집력, 단색성, 시준성 ③ 효과 - ATP 합성, 세포막의 투과성 향상, 단백질 합성증가, 염증 완화 효과 ④ 분류 - 저출력 레이저 : He-Ne LASER - 고출력 레이저 : 수술용

3) 수치료(hydrotherapy) (1) 수치료의 개념과 일반적 효과 ① 온열치료와 냉치료로 나뉨 ② 생리적 효과 - 열 효과 : 물의 온도 - 기계적 효과 : 분사, 관주, 마찰

(2) 수치료의 주의사항 - 한랭에 대한 과민 - 조직세포의 손상 - 열상, 화상 - 열 허탈증 - 열 쇠약증 - 열사병 - 열 과민

(3) 수치료의 종류 ① 기체를 이용한 치료 - 열기욕, 증기욕, 터키욕, 러시안욕, 핀란드욕 등 ② 침수욕 - 완전침수욕 : 전신 침수 - 부분침수욕 : 상지욕, 족욕, 하퇴욕, 좌욕, 둔부욕 반신욕, * 냉수와 온수 교대 적용 : 대비욕(교대욕)

(3) 수치료의 종류 ③ 기계적 자극을 통반한 치료 - 와류욕(whirlpool bath) : 주로 상하지 적용 - 하바드탱크(Hubbard tank) : 전신 ④ 기타 - 파라핀욕(paraffin bath) : 초와 기름을 7:1 혼합 - 진흙(med bath), 온습포(hot pack)

2. 운동치료(Therapeutic exercise) 정의 : 기능증진시키고 일상생활 활동을 용이하게 도와주는 체계화되고 계획된 움직임, 자세, 활동들이다. 2) 목적 : 손상 예방 및 치료, 신체기능 회복과 증진, 건강의 유해인자의 감소, 근력, 지구력, 심혈관 피트니스의 강화, 운동성, 유연성, 안정성, 협응, 균형의 증진, 기능적인 능력 향상, 회복 혹은 유지 등

3) 운동치료의 자세 (1) 누운 자세 supine position, prone position, hooklying position, sidelying position (2) 앉은 자세 sitting position, indian sitting position, long sitting position, hook sitting position (3) 양무릎 자세(kneeling position) 반무릎 자세(half kneeling position) (4) 선자세(standing position)

5) 근 수축 형태 (1)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 (2) 등장성 수축(isotonic contraction) ① 구심성(동심성) 수축(concentric contraction) ② 원심성(편심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 (3) 등속성 수축(isokinetic contraction)

6) 운동치료 종류 A. 능동운동(active exercise) ① 능동보조운동 (active assistive exercise) ② 능동운동 (active exercise) ③ 저항운동 (resistive exercise) B. 수동운동(passive exercise) ① 이완운동 (relaxed exercise) ② 신장운동 (stretching exercise) ③ 도수교정 (manipulation)

7) 유산소 운동(aerobic exercise) - 높은 강도, 짧은 시간의 근력강화운동 B. 유산소체계 - 낮은 강도, 긴 시간의 지구력 운동 8) 협응 운동(coordination exercise) - 근육의 움직임 조절 능력을 향상

9)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PN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 대각선, 나선상 운동패턴 이용 - 고유수용기, 촉각, 시각, 청각 자극 - 견인과 압축, 저항, 신장반사, 정상타이밍 기법 이용 - 신경과 근육 활동 촉진, 강화 - 신경계 질환, 근뼈대계 질환에 사용

10) 루드 접근법(Rood) - 감각 운동 자극 : 브러시, 진동, 얼음, 고무밴드, 둥근 봉, 블록 등 다양한 기구 사용 11) 브룬스트롬 접근법

12) 보바스 접근법(Bobath) - 비정상적인 자세, 운동패턴을 억제, - 정상적인 자세, 운동패턴을 촉진 13) 보이타 접근법(vojta) - 뇌성마비 치료법 - 유발대 발견 - 반사적 기기, 반사적 뒤집기

3. 도수치료(Manual therapy) 1) 도수치료의 개요 2) 관절가동술(joint mobilization) - 관절의 제한된 움직임 개선 - Maitland : 진폭운동(oscillatory motion) - Kaltenborn : 지속적신장 (sustained stretching)

관절면의 움직임 - roll - slide(=glide) - spin

2) convex-concave rule - 오목면(고정), 볼록면(가동)  roll 움직이는 방향, slide 은 반대 방향 - 볼록면(고정), 오목면(가동)  roll 움직이는 방향, slide 도 같은 방향 impingement syndrome

3) 도수교정(manipulation) - 관절 움직임을 제한하는 관절걸림(joint block)이 있을 경우  순간밀치기(thrust) 4) 움직임을 동반한 관절가동술(MWM technique) - mobilization with movement - belt 를 이용

5) 심부횡마찰법(Deep friction massage) - 연부조직(tendon, ligament, muscle)의 만성적 질환에 주로 적용 - 반흔조직(scar tissue)을 손끝으로 문질러 없애는기법 6) 근에너지 기법(muscle energy technique) - PIR : post-isometric relaxation - RI : reciprocal inhibition 7) 근막이완술(myofascial release technique) - 연부조직 이완 기법

8) 신경가동술(nerve mobilization) - 말초신경 가동술 9) 자세이완술(positional release technique) - 가장 안락한 자세와 압통점 압박 - 자세와 중력을 이용한 도수치료 기법 10) 머리-엉치 도수치료(craniosacral therapy) - 뇌척수액의 흐름과 리듬 11) 내장기 도수치료(visceral manipulation)

4. 스포츠물리치료 5) 스포츠 물리치료 프로그램 (1) 부종의 조절 : PRICE 원칙 ① 보호(protect) : 부목, 보조기, 패드 등 보조도구 ② 안정(rest) ③ 냉치료(ice) : 통증 감소, 국소 혈관수축 ④ 압박(compression) : 탄력붕대 등 ⑤ 거상(elevation) : 심장보다 높게 (2) 통증 조절 : 온열, 냉치료, 전기치료 등 (3) 관절가동범위 회복 : 신장, 관절가동술

(4) 근력, 근지구력 회복 ① 등척성 운동 ② 등장성 운동 ③ 등속성 운동 ④ 플라이오메트릭 운동 : 점프 운동 등 ⑤ 열린사슬 및 닫힌사슬운동 (5) 신경근육조절 (6) 균형 및 안정성 증진 (7) 심장호흡기능 회복 및 유지 (8) 기능적 향상 (9) 기능적 검사 (10) 완전회복의 기준

5. 수중물리치료 3) 수중 역학 (1) 부력과 중력 - 부력(buoyance) : 물속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 (2) 주중중심효과(metacentric effect) - 수중에서 신체에 부력과 중력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놓여 있지 않으면 두 힘이 일직선상까지 수중중심효과에 의해 신체는 회전하게 된다.

4) 대표적 수중물리치료 (1) 와츠(Watsu) - 미국에서 개발, 수중 근이완 기법 중 하나 - 수동운동 : 스트레칭, 관절가동범위운동 등 적용 (2) 할리윅 기법(Halliwick methods) - 영국에서 개발, 장애인 수영 방법으로 개발 - 부력보조기구 사용하지 않음 - 10 포인트 프로그램 (3) 바드라가즈 링 기법(Bad ragaz ring methods) - 스위스에서 시작 - 목, 골반, 발목에 내측 튜브 또는 고리(ring) 착용 (4) 아이치(Ai-Ci) - 근이완 기법, 능동운동

6. 기타 치료 마사지 (massage) (3) 마사지의 방법 ① 쓰다듬기(경찰법, stroking, effleurage) ② 주무르기(유날법, petrissage, kneading) ③ 누르기(압박법, compression) ④ 문지르기(마찰법, friction) ⑤ 두드리기(경타법, percussion, tapotement) ⑥ 흔들기(진동법, vibration, sh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