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 작물 영양과 토양관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식물영양연구실 농업연구사 성좌경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126 박가현 선현정 조세 빈 사과 변색의 이유 갈변의 예 사과의 갈변현상 방지법 식초 물 실험 소금 물 실험 오렌지 주스 실험 5.
Advertisements

태양계와 우주 제 9 주 2015 년 가을학기 우주는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 컴퓨터시뮬레이션학과 이형원, 장영실관 304 호,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토양 pH 의 영향  수소이온은 작물뿌리에 들어가 단백질 응고를 일으키고 효소작용을 방해함  뿌리의 양분흡수력을 약화시키며 세포의 투과성을 약화시켜서 불필요한 염류가 투과됨으로써 양분의 균형을 깨뜨림  Al, Mn, Cu, Zn, Pb 등은 pH 4-5 이하에서 용해도가.
원자량 원자량, 분자량과 몰 1 작은 실험실 콩과 팥 1 개의 질량은 각각 얼마인가 ? 콩 1 개의 질량을 1.0 으로 했을 때 콩과 팥의 질 량비는 얼마인가 ? 콩과 팥보다 더 작은 조와 깨의 질량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 설명해 보자. 콩과 팥의 질량 측정 → 콩.
모유수유모유수유 제주시서부보건소 제주시서부보건소 2008 년도. 모유생산 과정 및 우수성.
식품분석Ⅰ - 조단백정량 3.1 원리 - 단백질은 질소 (N) 를 함유한다. 즉, 식품 중의 단백질을 정량할 때에는 식품 중의 질소 양을 측정한 후, 그 값에 질소계수 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산출한다. 질소계수 : 단백질 중의 질소 함량은 약 16% 질소계수 조단백질 (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유과길이 조정. 세계최초의 해조추출물과 부식산을 함유한 고기능성 유기 복합비료 세계최초의 해조추출물과 부식산을 함유한 고기능성 유기 복합비료 가을 기비 : 옥토란 4~5 포 사용 (300 평 ) 복합비료 토양계량제 기능성유기물 ++
“ 유기농업 ” 을 논하려면 “ 유기 ” 가 무엇인지, “ 농업 ” 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할 것이다.
Ⅱ. 태양계와 지구 Ⅱ-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2. 지구의 진화.
2. 잎까지 운반된 물은 어떻게 될까? 학습목표: 증산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생각열기) 현재까지 발견된 원소는 약 몇 종인가? ( )
끓는점 (2) 난 조금 더워도 발끈, 넌 뜨거워도 덤덤 ! 압력과 끓는점의 관계.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질 비타민 무기질 가공 식품과 전식품.
(생각열기)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와 모즐리의 주기율표 에서 원소를 나열하는 기준은? ( )
앙금 생성 반응식(1) 누가 앙금을 만들었는지 쉽게 알려 줘! 앙금 생성 반응식.
SDS-PAGE analysis.
기 술 자 료 집 ㈜ 두 성 테 크 차아염소산나트륨 ( NaOCl ).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생 물 교 재 론 PRESENTATION 서울대학교 사범 대학 생물교육과 장지은.
단감 시비처방서 교육 장성군농업기술센터 한국 농림원 2016년 09월 01일.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2) 변 임 규
몰리브덴 블루법에 의한 인산염 인(PO4-P) 정량
양액 및 관비재배기술 배양액 계산 및 조성 김 동억 ,
4-6. 광합성 작용(1).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1)
구체 방수 혼화제 - 베스톤 유주현.
과산화수소수의 촉매 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생화학 1장 생화학이란?.
식물은 어떻게 자손을 남길까(1) <생각 열기>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수나무를 재배하거나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 과학  1학년  Ⅳ.생명>1-3.광합성과 호흡(1/5) 광합성 수업계획 수업활동.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박진우 Buffer(완충제).
중화반응 구현고등학교 지도교사 :이병진.
6-7. 전해질, 화학식으로 표현하기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수 경 재 배 (Hydroponics).
제 7 장 채소의 영양과 생육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오명민.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6-9. 앙금 생성 반응이 일어나면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6-10. 앙금을 만드는 이온을 찾아라!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Ⅴ. 지각의 물질과 변화 5.1 지각을 이루는 물질.
4. 광합성 뿌리에서의 물과 무기 양분 흡수.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영양소 섭취와 에너지 소비 -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1-5 용해도.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답 : 순물질 상태로 사용하기보다 혼합물 상태로 많이 사 용한다.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1. 화학 결합 … 01. 분자 구조의 다양성 02. 화학 결합의 성질 03. 이온 결합
(생각열기) 운동 선수들이 땀을 많이 흘린 후 빠른 수분 보충을 위해 마시는 음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 )
고등학교 공통과학 수업을 위한 자료입니다.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는 큰 화면을 이용하세요!!!
생물막 (Biofilm).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사과의 갈변현상 관찰하기 4-2 배형준.
기타가스처리 1. 염소의 처리 1) 특징 (1) 가장 적합한 처리법 : Ca(OH)2 수용액 흡수법
Ⅳ. 광합성 4.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할까?.
Presentation transcript:

포도 작물 영양과 토양관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식물영양연구실 농업연구사 성좌경 2017 포도연합회 2017. 11. 30.(목) 포도 작물 영양과 토양관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식물영양연구실 농업연구사 성좌경 jksung@korea.kr, 063-238-2445

1. 태양 2. 공기(이산화탄소, 산소) 3. 물 4. 양분(영양원소) 대기 토양 I. 포도 무기영양 작물(발아~수확)에게 가장 필요한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 1. 태양 대기 2. 공기(이산화탄소, 산소) 3. 물 토양 4. 양분(영양원소)

I. 포도 무기영양 CO2 H2O 양분(비료) 양분 탄수화물 미네랄 비타민 O2

광합성 I. 포도 무기영양 식물이 광 에너지를 이용해서 탄산가스와 물을 재료로 탄수화물과 산소를 만들어 내는 과정 광합성에서 만들어지는 탄수화물은 모든 생물의 에너지원 (1차 생산자)

I. 포도 무기영양 영양관리의 결과!!!  어떤 몸매를 원하십니까??? [결핍] [적정] [과잉]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본개념 I. 포도 무기영양 정의 : 식물이 생육과 대사과정에 필요한 물질을 흡수하고 이용하는 현상 영양소(Nutrient) - 식물 생육과 대사과정을 위한 물질 특징 - 식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 - 무기물의 형태 - 토양 : 대부분의 원소들이 양이온과 음이온 또는 화합물형태로 존재

I. 포도 무기영양  필수 무기영양성분의 요건 1) 해당원소가 결핍되었을 때, 식물체가 생명현상을 유지할 수 없다 - 발아, 생장, 개화, 결실 등 식물일생에 꼭 필요한 원소이어야 한다 2) 해당원소가 가지는 특이적 기능이 있어야 한다 - 다른 원소에 의해 그 기능이 대체될 수 없다 3) 해당원소는 식물의 대사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여야 한다 4) 해당원소의 필수성이 특정 식물이 아닌 모든 식물에 공통적이어야 한다  유익한 원소 1) 일부 식물에 필수성이 인정되거나, 일부 생육조건에서 식물생육 촉진 2) Ni, Co, Na, Si, Se, Al, Sr, V

필수 식물영양소의 분류 (식물체의 요구량에 근거) I. 포도 무기영양 필수 식물영양소의 분류 (식물체의 요구량에 근거) 구 분 분 류 원 소 흡 수 형 태 비무기성 다량원소 C (탄소) HCO3-, CO32-, CO2 H (수소) H2O O (산소) O2, H2O 무기성 1차 영양소 N (질소) NO3-, NH4+ P (인) H2PO4-, HPO42- K (칼리) K+ 2차 영양소 Ca (칼슘) Ca2+ Mg (마그네슘) Mg2+ S (황) SO42-, SO2 미량영양소 Fe (철) Fe2+, Fe3+, Chelate Cu (구리) Cu2+, Chelate Zn (아연) Zn2+, Chelate Mn (망간) Mn2+, Chelate Mo (몰리브덴) MoO42-, Chelate B (붕소) H3BO3 Cl (염소) Cl-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질소(Nitrogen) ◐ 단백질의 구성요소인 아미노산을 비롯하여 핵산, 엽록소 등 중요 유기화합물을 구성하는 필수원소이다. ◐ 뿌리의 발육, 경엽의 신장을 촉진하고 잎의 녹색을 좋게한다. ◐ 식물체 중 질소함량 : 0.5~5.0% ◐ 암모늄태질소는 중성조건에서 가장 잘 흡수, pH가 낮아짐에 따라 감소 질산태질소는 낮은 pH에서 보다 빨리 흡수, 높은 pH에서는 음이온(OH) 과의 경쟁으로 인해 흡수가 감소됨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인(Phosphorus) I. 포도 무기영양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인(Phosphorus) ◐ 광합성을 통해 얻어진 에너지(ATP)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기능 ◐ 핵산과 인지질을 포함한 식물체 내 물질의 구성원소 ◐ 식물체 중 인함량 : 0.1~0.5%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칼리(Potassium) ◐ 식물체 내 대부분 효소의 보조인자, 탄수화물의 합성/이동/축적에 관여 ◐ 세포 팽압조절 (증산작용), 세포의 전기적 중성 유지 ◐ 식물체 중 칼리함량 : 1.0~3.0%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칼슘(Calcium) ◐ 세포벽 중엽구성, 대사조절의 2차 신호전달자, 과잉상태의 유기산 중화 ◐ ATP와 인지질 가수분해에 관여하는 효소 ◐ 식물체 중 칼슘함량 : 0.2~3.0%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마그네슘(Magnesium) ◐ 광합성에 관여하는 엽록소 분자의 구성원소 ◐ 인산화작용을 활성화시키는 효소들의 보조인자로 작용, 유지합성에 관여 ◐ 식물체 중 마그네슘함량 : 0.1~1.0%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황(Sulfur) I. 포도 무기영양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황(Sulfur) ◐ 단백질 구성(90% 이상) : 시스테인, 메티오닌 ◐ 보조효소-A, 비타민(Biotin, Thiamine)의 구성성분 ◐ 식물체 중 황함량 : 0.1~0.2%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망간(Manganese) ◐ 질소대사, 탄수화물합성(광합성 반응), 산화환원효소 ◐ 항산화효소, 비타민C 합성 ◐ 식물체 중 망간함량 : 15~100ppm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구리(Copper) I. 포도 무기영양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철(Iron) ◐ 시토크롬 및 광합성적 N2 고정과 호흡에 관여하는 효소의 구성성분 ◐ 산화환원효소의 보조인자 ◐ 식물체 중 철함량 : 30~150ppm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구리(Copper) ◐ 시토크롬 산화효소 등 세포 내 산화환원효소의 보조인자 ◐ 락카아제 및 플라스토시아닌 성분 ◐ 식물체 중 구리함량 : 5~15ppm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붕소(Boron) I. 포도 무기영양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아연(Zinc) ◐ 질소대사, 탄수화물 합성 및 산화효소 활성에 관여 ◐ 식물체 중 아연함량 : 10~50ppm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붕소(Boron) ◐ 세포신장/세포벽형성 (옥신대사), 리그닌 생합성, 당류이동 촉진, 전분대사 ◐ 질소/칼리/칼슘의 흡수에 영향, 세포분열과 화분수정에 관여 ◐ 식물체 중 구리함량 : 5~50ppm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몰리브덴(Molybdenum) I. 포도 무기영양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몰리브덴(Molybdenum) ◐ 질소고정효소, 질산환원효소, 근류균의 생육에 영향 ◐ 식물체 중 아연함량 : 1~5ppm 필수 식물영양소의 기능 : 염소(Chloride) ◐ 광합성 반응, 섬유화 작용을 통해 병해저항성 및 내도복성 강화 ◐ 식물체 중 구리함량 : 50~200ppm

 필수원소(양분) I. 포도 무기영양 대기 : 탄소, 산소 토양/물 - 다량 : 수소,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황, 규소 - 미량 : 철, 망간, 아연, 구리, 붕소, 몰리브덴, 염소, 니켈, 나트륨 탄소, 산소를 제외한 모든 원소는 이온형태(+, -)로 뿌리털에 의해 흡수!

--------------------------- 산성 I. 포도 무기영양  토양(pH)과 양분흡수와의 관계 알아보기 --------------------------- 산성 중성 염기성 ----------- 4 5 6 7 8 9 대부분의 이온흡수 원활 미량원소 흡수 ↑ (철, 망간, 구리, 붕소, 아연) 몰리브덴 흡수 ↓ 다량원소 흡수 ↑ (질소, 칼리, 칼슘, 마그네슘, 황) 인은 6~7 사이에서만 흡수용이!!!

토양과 식물과의 관계 I. 포도 무기영양 ◐ 필수 영양소의 흡수는 영양소의 이용성과 뿌리 표면의 근접성에 좌우 ◐ 영양소들이 뿌리 표면에 공급되는 3가지 방법 1. 뿌리의 가로챔 (Root Interception) - 뿌리가 토양을 가로질러 자라면서 토양 콜로이드상에 있는 영양소와 접촉 - 전토양 중 뿌리가 직접 닿을 수 있는 부분은 1~2%에 불과하기 때문에 중요치 않음 2. 집단류 (Bulk flow) - 영양소가 물과 함께 뿌리로 이동 - 물과 함께 쉽게 이동하므로 영양소 흡수에 있어서 가장 중요 (질소의 주된 이동) 3. 확산 (Diffusion) - 농도기울기가 뿌리 표면 근처에서 일어나고 연이어 토양에서도 일어난다 - 대부분의 양이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이동 형태이다

 작물의 비료이용율은 얼마나 될까? 비료성분 흡수율 (%) 관비 표층시비 질소 인산 칼리 95 45 80 45~55 I. 포도 무기영양  작물의 비료이용율은 얼마나 될까? 비료성분 흡수율 (%) 관비 표층시비 질소 인산 칼리 95 45 80 45~55 20~30 40~45 하지만!!! 비료이용율은 토양pH에 의해 변한다는 것을 상기하자!!!

II. 포도 영양진단 양분흡수에 대한 양분 간 경쟁과 협력 식물체 내 양분의 이동성 이동성 비이동성 질소 칼륨 마그네슘 인 염소 나트륨 아연 몰리브덴 칼슘 황 철 붕소 구리

II. 포도 영양진단 영양장애 발생요인 영양장애증상과 병충해증상의 구별 ◐ 주가 되는 원인 : 필수원소의 부족 또는 과잉되는 경우 ◐ 내적 원인 : 뿌리의 발달정도 또는 품종의 장애발생 저항성 등 ◐ 외적 원인 : 저지온, 토양수분 부족 등의 환경영향으로 인한 영양장애 영양장애증상과 병충해증상의 구별 ◐ 시드는 증상은 보이지 않는다. ◐ 전염하지 않는다. ◐ 증상부분이 습윤 상태를 나타내는 일은 대체로 적다. ◐ 냄새가 나지 않는다. ◐ 작물체의 반쪽부분이 이상증상을 나타내는 일은 대체로 적다. ◐ 도관이 갈변하는 일은 대체로 적다.

II. 포도 영양진단 토양검정을 통해 내 토양에 맞게 비료사용처방!!! 필요한 양분을 필요로 하는 양만큼만 공급하는 것이 최고의 양분관리 노하우! 토양검정을 통해 내 토양에 맞게 비료사용처방!!!

II. 포도 영양진단 외형적 증상 상위엽 하위엽 칼슘 붕소, 황 칼리 마그네슘 인 질소, 황 엽맥 황화 생장점 괴사 잎 황화 잎 가장자리 갈변 또는 그을림 엽맥 황화 생장점 괴사 잎 황화 잎 가장자리 갈변 잎색의 자줏빛화 칼슘 철, 망간,아연,구리 붕소, 황 암모니아 독성 인 과잉 칼리 마그네슘 인 질소, 황 염류집적 붕소독성 칼리 과잉 하위엽

II. 포도 영양진단

III. 포도 토양관리 모래와 미사 : 대공극을 형성하여 통기성, 배수성을 결정 점토 : 모세관을 형성하여 수분보유능을 증대 밭토양 논토양 모래와 미사 : 대공극을 형성하여 통기성, 배수성을 결정 점토 : 모세관을 형성하여 수분보유능을 증대 모래 미사에 비해 비표면적이 넓어 양분보유력 높음

III. 포도 토양관리 과수원 토양의 관리기준 항 목 목 표 치 물리성 유효 토심 근군이 분포된 토층의 경도 투수계수 지하수위 항      목 목  표  치 물리성   유효 토심   근군이 분포된 토층의 경도   투수계수   지하수위   60cm 이상   22mm 이하   2.7mm/시간 이상   지표하 1m 이하 화학성   pH   유효인산함량   양이온치환용량(CEC)   염기포화도   칼슘함량   마그네슘함량   칼리함량   마그네슘/칼리 비율   붕소함량   6.0~6.5   200~300mg/kg   15~20cmol+/kg   60~80%   6~8cmol+/kg 이상   1.5~2.3cmol+/kg   0.6~0.8cmol+/kg   당량비로서 2이상   0.3~0.5mg/kg 정도 유 기 물 함 량 25~35g/kg

III. 포도 토양관리 과종별 물리성 적정 기준 토양 과종 유효토심 (cm 이상) 유효토심의 조건 지하 수위 (cm) 용적밀도 산중식경도 점토함량 18%이상 사과(밀식) 70(60) <1.50 <25 >100 배 70 복숭아 60 포도 50 18%미만 <1.60 관수 및 지주시설 등 정밀관리과원 50(40) <1.50~1.60 >80 40

III. 포도 토양관리 주요과수의 적정 pH

III. 포도 토양관리 주요 과수류의 토양 감응성 포도 강함 좀 강함 수분, 공기의 요구도 높음 유럽계통은 심근성 요  인  별 포도 감 밤 ① 내한성 강함 중간 ② 내습성 좀 강함 약함 비교적 강함 ③ 토양물리성에 대한 요구성 수분, 공기의 요구도 높음 수분의 요구도가 높음   수분의 요구도 높음 ④ 뿌리의 깊이 유럽계통은 심근성 심근성 ⑤ 토양조건 사질토에 적함 유기물이 많고 토심이 깊은 토양 토심이 깊은 유기질 토양에 적합 ⑥ 토양반응 석회요구도가 높음 산성에 강함 산성에 강함, 알칼리성에 부적합 ⑦ 비료에 대한 감응성 질소과다를 기피함 비료에 둔감함 질소의 과다장해 입기 쉬움

토양유기물의 탄질비-1 III. 포도 토양관리 부산물비료 1. 부숙유기질 비료 2. 유기질비료 탄질비(C/N) : 유기물 중 탄소(C)와 질소(N)의 함량비 유기물 대 질소 비 (OM/N) : 탄질률(C/N) ⅹ 1.724 질소(N)는 미생물의 영양원이고 탄소(C)는 미생물의  에너지 공급원 ⇒ 토양 유기물의 분해는 탄질비에 따라 크게 달라짐 부산물비료 1. 부숙유기질 비료 - 가축분퇴비, 퇴비 : 유기물대 질소의 비 45이하 (C/N : 26이하) 2. 유기질비료 - 대두유박(6:2:1, 유기물 70%), 혼합유박(7%, 70%) 가공계분, 혼합유기질 등

토양유기물의 탄질률-2 III. 포도 토양관리 시용하는 유기물의 탄질비와 질소 공급  시용하는 유기물의 탄질비와 질소 공급 - 탄질비 25 이하 : 미생물이 유기물 분해에 필요한 질소가 유기물 중에 충분 - 탄질비 25 이상 : 미생물이 유기물 분해를 위하여 토양 중 질소를 이용 작물의 질소기아현상(nitrogen starvation) 탄질비이 높은 유기물을 시용하면 토양미생물과 작물간의 질소경합으로 야기 ⇒ 질소가 많은 시설재배지에서는 질소 과다 경감 효과

III. 포도 토양관리 토양유기물의 탄질비-3 유기물의 유기 탄소와 전질소의 함량과 CN비(Miller와 Gardner, 2001) 유기물 유기 탄소 (%) 전 질소 (%) CN비 작물 잔재물     클로버 40 2 20     블루그라스 1.3 30     옥수수대 1     볏짚 42 0.6 70     곡류 짚 0.5 80     톱밥 50 0.1 500 미생물     박테리아 10 6     사상균 8.5     곰팡이 5 12 토양 부식 4.5

토양유기물의 탄질비-4 III. 포도 토양관리 유기질 비료 원료별 함유성분 및 탄질비(C/N) (단위: %) 종류 수분 질소 인산 칼리 칼슘 마그네슘 탄소 단백태질소 C/N 채종박 12.6 5.03 2.61 1.42 0.90 0.34 28.2 4.35 5.6 대두박 7.4 6.95 1.49 2.46 0.44 0.15 32.7 6.88 4.7 면실박  9.2 6.25 2.95 1.94 0.30 0.36 38.5 5.96 4.5 피마자박  10.8 6.05 2.50 1.28 0.53 27.7 4.77  미강유박 11.8 2.40 5.82 2.04 0.08 0.74 36.2 15.0 - 출처: 친환경농업의 이론과 실제

III. 포도 토양관리 토지이용별 토양화학성 적정범위 양이온치환용량(CEC) 적정범위는 10~15 cmolc kg-1 토양산도 pH (1:5) 전기전도도 EC (dS m-1) 유기물 OM (g kg-1) 유효인산 Av.P2O5 (mg kg-1) 치환성양이온 Ex. Cations (cmolc kg-1) 질산태질소 NO3-N 칼륨 K 칼슘 Ca 마그네슘 Mg 논 5.5~6.5 2이하 25~30 80~120 0.25~ 0.30 5.0~ 6.0 1.5~ 2.0 - 밭 6.0~6.5 20~30 300~500 0.5~ 0.6 과수원 25~35 200~300 0.3~ 시설 6.0~7.0 350~500 0.7~ 0.8 7.0 2.5 작물별 50~200 양이온치환용량(CEC) 적정범위는 10~15 cmolc kg-1 논 : 유효규산(Av. SiO2) 적정범위는 130~180 mg kg-1 , 목표: 157 mg kg-1

III. 포도 토양관리 1. 토양 pH pH교정 – pH 올리기(pH가 낮을 경우) 토양의 성질과 양분의 공급능력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pH = -log[H+] pH 5 = -log[10-5] pH 6 = -log[10-6] pH 7 = -log[10-7] 토양 양이온 함량이 유기물 함량보다 많으면 높아지고 적으면 낮아짐 ⇒ 토양검정을 통해 양이온과 유기물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 H+ 농도 차이 10배 H+ 농도 차이 100배 pH교정 – pH 올리기(pH가 낮을 경우) 토양의 산도조절에 필요한 석회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석회소요량을 구해야 함 석회소요량 : 토양산도를 목표산도를 6.5로 조절하는데 필요한 탄산석회의 량 - 토양 중 점토함량과 유기물함량이 많을수록 완충력이 높아 석회소요량은 많아짐 - 10a당 300 kg 이하로 3년에 한 번 살포함

III. 포도 토양관리 pH교정 – pH 내리기(pH가 높을 경우) 1) 유황 사용 - pH를 1 낮추는데 필요한 황 소요량 : 식양토 130 kg, 사질토 40 kg/10a (토양의 완충능력(점토와 유기물 함량)에 따라 다름) - 아주심기 1개월 전에 시용, 전면에 고루 살포하고 토심 20 cm까지 혼합 - 한번에 150 kg/10a를 넘지 않도록 함. - 경운기 등 자재부식 우려되므로 작업 후 필히 세척 - 황가루는 토양에서 물과 반응하면 황산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전기전도도가 높아져 염류장해가 발생하므로 과다 시용하지 않는다. 2) 잘 부숙된 퇴비를 토양유기물 함량에 따라 10a당 1~2톤 시용

IV. 참고자료

IV. 참고자료

IV. 참고자료  포도 생육장애발생 원인 구명  피해증상 - 생육초기 잎 전개속도가 늦고, 생육지연, 착과수 및 열매성숙 문제발생  장애원인 미숙불량퇴비를 나무주변에 두껍게 시용 후 비닐피복을 하여 뿌리가 질식된 상태임. 비닐로 피복된 상태에서 퇴비가 일부 화학비료와 함께 분해되면서 열과 가스가 발생되고 산소가 부족하게 됨으로써 뿌리가 피해를 받는 장애임. - 지표면 잔뿌리들이 대부분 고사하였고, 심한 경우 굵은 뿌리까지도 고사하였음.  개선대책 - 지표면의 피복비닐을 걷어 공기유통을 시키고, 지표면 퇴비 층을 파괴하여 뿌리들이 호흡 유도 - 뿌리기능의 마비로 양 수분흡수가 되지 못하므로 비료성분들의 엽면살포

 미부숙 부산물퇴비에 의한 포도 신초 및 뿌리 피해 IV. 참고자료  미부숙 부산물퇴비에 의한 포도 신초 및 뿌리 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