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비 지불제도의 현황과 전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강길원.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3 건강보헙 1 건강보험의 특징 2 진료비 본인 부담제도 3 진료비 지불방법 4 국민건강보험.
Advertisements

국민건강보험의 쟁점 고고인류 김한나 천연섬유 김영화 B 사회학과 전양희 2조2조2조2조.
경기케어센터 산재의료관리원 강원케어센터 진폐장해인을 위한 전문복지시설 강원케어센터. 경기케어센터 순서 강원케어센터 강원케어센터 소개 1 시설현황 2 이용안내 3 입소절차 4 주요서비스 5.
영화 감독 열전: 세계편 강 사 : 유 운 성 8 강 오즈 야스지로 ( 小律安二郞 ). 오즈 야스지로의 필모그래피  1 꽁치의 맛 ( 秋刀魚の味 ), 어느 가을날의 오후 (1962)  2 그 해 여름의 끝 ( 小早川家の秋 ) (1961)  3 가을 햇살 ( 秋日和.
작품을 통해 살펴본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의 갈등 인문학부 손명학 공학계열 김능배 사회체육 김영수 현대사회와 사회학.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 우상의 눈물 물리적인 폭력 ( 최기표 ) VS 지능적인 폭력 ( 임형우, 담임선생님 )
제 7 장. 아동보육서비스 1. 보육서비스의 개념 ) 아동보육서비스의 개념 보육서비스 영유아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 · 양육하고 영유아의 발달 특성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는 어린이집 및 가정양 육 지원에 관한 사회복지서비스 ( 영유아보육법 2 조 ) 부모의.
1 박 2 일 !!! 인천마장초등학교 유수아. 1 박 2 일 멤버 인기순 위 1 위 이승기 2 위 엄태웅 3 위 은지원 4 위 김종민, 이수근 ※인터넷에서 본것이기 때문에 사람에따라 서 다를 수 있다. ※
( 시행) 수강학생들은 첨부자료를 다운 받아, 수업시간에 가져오기 바랍니다.
Ⅱ. 마케팅 환경 분석 – 내부 환경 분석 (3) 4P 전략
현대사회와 윤리 1.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석관중앙교회 5남전도회 석 관 중 앙 교 회 회원 소식 통권 05-04호 발행일 : 2005년 04월 회 장 : 장진호 집사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9. 인플레이션과 실업
강의 기법과 상황대처 경기도 마약퇴치운동본부 김이항 약사 10.
행정소송 실무교육 공익법무관 문 유 식 인사 공익법무관 소개 서울고검 소개.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 예∙결산 및 기본재산 운영 신뢰도 제고를 위한 실태점검, 결산지원사업 -
조선왕조의 유교정치.
2014년 7월 유라시아 셰익스피어 극단 연극햄릿 레어티스역활
좋은 강의 국제관계학과 정연식.
학교교육제도 이해하기 천안청룡초등학교 교사 임 병 현.
2014학년도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시 유의사항 울산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운영과 한 상 철.
14주차 1교시 강화계획 [학습목표] 1. 강화계획의 정의를 안다 [학습내용] 1. 단순한 강화계획 2. 간헐적 강화 3. 복합 계획 4. 선택과 대응법칙 [사전학습] 강화계획이 일어날 수 있는 사례를 생각해본다.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 김영호 노무사 나눔 노사관계연구소 소장 연세대 일반대학원 박사 수료 고려사이버대 법학과 외래교수
요양병원 수가 및 급여기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급여기준실.
I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1)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2013년 5월 23일 이수경(환경과 공해연구회 사무국장)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의의와 발전과정 1. 고령이나 질병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혼자 생활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신체활동 또
농촌건강장수마을 육성 방향 농 촌 진 흥 청 농 촌 자 원 과 과 장 신 영 숙.
4.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2.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우리 나라의 포괄수가제도 (DRG 지불제도) : 성과와 전망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장애인복지 정책.
인지단계 선택단계 정착단계 IMC전략 IMC전략 │네네삼락을 알리기 위한 단계적 홍보
광물의 의미.
개항기 조선과 동아시아 박 범 한국역사입문Ⅱ.
심리 상담실장(경력직) 채용 (LG유플러스 부산고객센터) ■ 모집부문 ■ 주요 업무 내용
국내 자동차회사 레포트 권준.
계약서 관련 실무 계약 위반과 판례 김래균.
노인상담(1) : 노인상담에 대한 기본이해 노인상담의 원조관계와 상담자의 태도
생활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선택진료 개편 관련 수가조정방안 설명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제2편 수사의 과정 제1장 수사의 진행 절차 제2장 수사의 진행 방법.
기업회생 절차.
2. 윤리학의 원리와 적용 가.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SpaceCowboy(ACE online) EPISODE-3 Pandea
건강보험 청구 실무 교육과정
사회생활과 준법의식 사회(일반사회) 중학교 2학년 2학기 Ⅶ. 사회생활과 법규범
Ⅲ. 세계의 자연환경 -열대기후와 주민생활.
희귀난치성 질환 등 청구방법 변경 안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경영정보부.
강의 프레젠테이션 현대 사회와 미디어 12강. 미디어 문화.
기술 진화와 진보.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교수학습과정안 우리 돼지고기 ‘한돈’ 알아보기 영양교육 이시원.
Case Management란 의사소통과 자원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제공된 의료서비스를 사정하고 계획하고 수행하고 조정하고 Monitor하며 평가하는 협력적인 과정이다. High quality, cost-effective outcomes.
경찰행정과 세미나 결과를 공개해야한다. VS 비공개로 해야한다. 경찰의 근무성적평정 제도.
에듀팟-자기소개서작성.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제2부 의료보장과 의료제도 제3장 건강보험제도 <학습목표>
요양 및 의료 급여기준 진료비지불제도 건강보험급여기준.
근골격계 질환 어떻게 싸울 것인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준) 동아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김 윤 규.
사례관리의 이해.
사귐의 해법 2 : 아버지의 사랑  아버지가 사랑하시는 사랑에 대한 올바른 반응으로 아버지를 사랑함 * 2:15-17) 세상 사랑 vs 아버지 사랑 (p ) * 3:11-18) 아버지 사랑 & 형제 사랑 (p ) * 4:7-21) 형제 사랑.
영상으로 읽는 한국사 02 삼국은 서로를 한 ‘민족’으로 생각했나? - 삼국통일의 의미-.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의사소통.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 사회(일반사회) 중학교 2학년 2학기 Ⅶ. 사회생활과 법규범
하나님의 공의, 의인의 삶, 구원 성경본문 나훔 1:1~3:19 스바냐 1:1~3:20 하박국 1:1~3:19
구약 성경의 큰 그림 8. 사무엘상·하 울산시민교회 비전틴(고등부)
Presentation transcript:

의료비 지불제도의 현황과 전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강길원

지불보상제도의 중요성 단기적 장기적 지불보상제도 = 보건의료제도 의사의 서비스 제공 행태 환자의 서비스 소비 행태 의료 인력이나 시설의 분포 의료서비스의 질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의 양 지불보상제도 = 보건의료제도

제3자 지불방식과 의료비 지불제도 제공자 환자 제공자 환자 제3자 국가 혹은 보험자 서비스 제공 진료비 지급 진료비 지급 제3자 지불방식과 의료비 지불제도 제공자 환자 서비스 제공 진료비 지급 제공자 환자 서비스 제공 본인부담금 지급 제3자 보험료 진료비 청구 진료비 지급 국가 혹은 보험자

지불보상제도의 종류 총액계약제 사전보상 포괄수가제 인두제 지불보상제도 사후보상 행위별수가제

지불단위의 포괄화 행위별수가제 포괄수가제 인두제 총액계약제 일당 입원당(DRG) Episode 병원의 위험도 보험자 위험도

행위별 수가제도 수가 결정 의료에 미치는 효과 관행수가(usual, customary and reasonable charge) 협정수가 혹은 공정수가(fee and price schedule) 단일수가 vs 권장수가 가격 표시제 vs 점수제 결정 기준 : 원가 ? 의료에 미치는 효과 의료서비스 제공량을 늘려 의료비 증가를 초래 행정적으로 복잡

포괄수가제도 방식 수가 결정 의료에 비치는 효과 진단과 관계없이 환례당 정액을 지불하는 방식 진단명에 따라 서로 다른 수가를 지불하는 방식(DRG) 수가 결정 환자 치료에 들어간 진료비 평균값으로 결정 의료에 비치는 효과 의료서비스 과다 제공의 유인을 없앰 과소 진료에 따른 의료의 질 저하

인두제 수가 결정 의료에 미치는 효과 일정기간(일반적으로 1년) 동안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의 평균 비용으로 결정 대부분 가입자의 나이, 성, 거주지역 등에 따라 다른 비용을 책정 의료에 미치는 효과 의료비 절감효과가 크고 의료제공자와 환자가 지속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유도하는 제도 환자 대기열이 길어지고 과도한 의뢰가 발생

총액 계약제(예산제) 수가 결정 의료에 미치는 효과 투입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 특정 시기의 실제 비용이나 비슷한 제공자들의 평균 비용 산출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 치료한 환례의 종류와 수. 합리적인 평가방법으로 DRG 사용 의료에 미치는 효과 의료비 절감효과가 가장 큼 필요한 치료를 회피하거나 의료의 질 저하가 일어날 가능성이 가장 큼

독일의 의료비 지불제도 의원급 : 총액계약제 병원급 보험의협의회와 보험자가 진료비 총액을 계약하고 보험자는 총액을 지불함 개개 의사에 대해서는 의사회에서 수가표에 의하여 행위별수가제로 지불 병원급 입원비용 : 1건당 포괄수가제(DRG), 진료과목별 일당 정액제 자본조달비용 : 주정부 보조

프랑스의 의료비 지불제도 의원급 : 행위별 수가제(총액 규제) 병원급 의사조합과의 전국협약을 통해 총액범위 내 외래진료비 지급 공공병원 : 총액예산제 민간병원 : 일당 입원료 정액 지불, 일부 포괄수가제도(GHM)

미국의 의료비 지불제도(1) 의원급 병원급 행위별 수가제(RBRVS 방식으로 지불) 최근 managed care의 영향으로 인두제 방식의 지불 제도 확산 병원급 포괄수가제(DRG) 의원급과 마찬가지로 managed care의 영향으로 인두제, 혹은 총액 계약 방식 확대

미국의 의료비 지불제도(2) Managed Care 의료서비스에 대한 보험을 담당하는 주체가 특정 집단에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의 질, 접근성, 가격, 혹은 진료 결과를 통제하거나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법 Managed Care 하에서 보험자는 가입자를 모집한 다음, 단일 의료기관 혹은 의료기관 연합체와 인두제 방식으로 계약을 맺음 2000년 현재 Managed Care의 적용을 받는 인구는 민간보험은 87.6%, 메디케이드 56.6%, 메디케어 14.5%로서 전체적으로 62.3%가 적용을 받고 있음

아시아 국가의 의료비 지불제도 일본 : 행위별 수가제 대만 총액예산제의 확대 도입 인두제 : 일부지역에서 시범사업 1998년 : 치과 2000년 : 한방 2001년 : 의원 2002년 7월 : 병원 인두제 : 일부지역에서 시범사업 포괄수가제 : 50여개 상병

우리나라 의료비 지불제도 현황 행위별 수가제도 포괄 혹은 정액수가제 DRG : 8개 상병 불임수술 : 약제비를 제외한 진찰료, 검사료, 처방료, 주사료 등을 소정 수가에 포함하여 보상 조산원 입원 : 입원료, 산전산후처치료, 약제 및 재료대 등을 포함하여 정액수가로 보상 의료급여 정신과 환자 : 일당 수가제 혈액투석 : 의료급여 환자의 외래 투석시 보건기관 진료시 : 방문당 수가 적용

우리나라 의료비 지불제도의 문제점 행위별 수가제도의 문제점 수가 수준의 문제 수가항목간 균형 문제 과다한 의료서비스 제공 행정적으로 복잡 의료제공자과 심사기관의 마찰 수가 수준의 문제 저수가로 인한 진료 행태 왜곡 수가항목간 균형 문제 특정 진료과의 존폐 위기

요양급여비용계약제(1) 보험수가체계의 변화 계약의 대상 환산지수 cf. 약제, 치료재료 : 계약의 대상이 아님 수가항목별 가격 고시 수가항목별 상대가치 고시 수가 = 상대가치 * 환산지수

요양급여비용계약제(2) 계약의 당사자 국민건강보험공단 대통령이 정하는 의약계를 대표하는 자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조산사, 간호사의 전국적 단체의 장 종합병원,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및 요양병원을 개설한 자의 전국적인 단체의 장 약사의 전국적인 단체의 장 보건소, 보건의료원, 보건지소, 보건진료소를 대표하는 자 기타 계약과 관련하여 복지부 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요양급여비용계약제(3)

상대가치체계 현황 수가의 급격한 조정에 따른 재정 부담이나 집단간 수입변화의 갈등을 감안하여, 상대가치 점수를 연구 점수에 부분적으로 접근시키는 방안을 채택 의과의 상대가치 점수 고시 기존점수 < 0.84  연구점수 고시점수 = 기존점수 + 1/3  (연구점수-기존점수) 단 고시점수 ≤ 0.84  연구점수 고시점수 ≤ 2  기존 점수 기존점수  0.84  연구점수 고시점수 = 기존점수 * 참고 : 치과의 경우 0.84 대신 0.7 사용

상대가치체계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문제점 향후 전만 상대가치 조정의 일반적 원칙에 어긋남 : 기존점수가 연구점수보다 낮은 항목의 점수는 상향조정한 반면 연구점수를 초과하는 항목들의 점수는 하향 조정하지 않음 치과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음 : 비보험행위의 존재 때문 기존 연구 점수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성 : 5년 동안의 의학기술의 변화나 의료경영환경의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음 향후 전만 상대가치 재검토를 위한 상대가치운영기획단 운영

환산지수 현황(1) 2001년도 환산지수 55.4원의 평가(서울대 경영연구소 분석 결과) 의원급은 평균적으로 경영상 초과이윤 존재 병원급도 평균적으로 적자상태는 아님 병원급내 개별 기관별 경영수지 상태의 변이가 너무 커, 환산지수 조정이 병원경영 정상화의 관건은 아닌 것으로 나타남(즉 초과이윤 집단, 적자 집단 및 폐업 위기집단이 혼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남) 환산지수 조정 : 55.4 → 53.8

환산지수 현황(2) 병원 원가 기준 환산지수 병원 경영수지기준 환산지수(2002년) 의원 환산지수(중위수 기준, 2002년) 급여 + 비급여 : 65.3 급여 : 50.0 병원 경영수지기준 환산지수(2002년) 비급여 포함 의료손익(의료수익과 의료비용의 균형) : 50.2 영업손익(의료손익에 기타 의료수익과 부대수익 포함) : 52.8 당기손익(이자 및 법인세 비용고려) : 54.8 의원 환산지수(중위수 기준, 2002년) 의사인건비 기회비용 반영 : 50.3 의사인건비 + 자기자본비용 기회비용 반영 : 51.6

환산지수 향후 전망 진료비목표관리제 총진료비 목표 설정 총진료비목표와 실제 발생진료비간의 차이에 따라 수가수준(환산지수) 조정 총진료비 수준에 따라 재정수지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수가-보험급여-보험료-국고부담금을 동시에 결정

요양급여비용계약제의 향후 전망 가격과 양 급여범위 비용억제대책 제도 운영 단기 중기 장기   가격과 양 급여범위 비용억제대책 제도 운영 단기 -의료행위 수가의 환산지수 계약(1년 단위) -보험자와 공급자 대표간 공동협의체 운영 -건강보험 심의조정위원회의 재구성 및 조정/중재역할 수행 중기 -의료행위 수가의 환산지수(1년 단위)와 상대가치구조(3년 단위) 계약 -의약품/진료재료의 기준가격 계약(1년 단위) 급여범위 계약(3년단위) -수가항목분류 -급여/비급여 분류 총급여비용 목표제도 도입 요양기관 강제 지정제도 폐지 장기 총급여비용 계약 (총액계약제)

DRG지불제도(1) DRG(Diagnosis Related Group) DRG지불제도 미국 예일 대학에서 개발된 입원환자 분류체계(1960년대 말) DRG지불제도 동일 DRG에 대해서는 제공된 서비스 내용과는 무관하게 일정을 지불하는 제도

DRG지불제도(2) 외국의 도입 현황 미국 : 1983년 메디케어 환자를 대상으로 도입 호주 : 1993년 빅토리아주에서 시작하여 현재 전체 주에서 사용 유럽 : DRG 혹은 이와 유사한 입원환자분류체계를 입원진료비 지불에 이용 대만 : 50개 질병군에 대한 DRG지불제도 적용 싱가포르 : 1999년 DRG지불제도 도입 일본 :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시범사업중

DRG지불제도(3) 국내 도입 경과 1994년 의료보장개혁위원회의 건의 1997년 1차 시범사업 1998년 2차 시범사업 1999년 3차 시범사업 2002년 1월 : 선택제 방식의 본사업 실시

DRG지불제도(4) 시범사업 개요 2002년 4월 : 1662개소(종합전문 4, 종합 108, 병원 138, 의원 1,412) 구 분 참여 기관수 월평균 건수 월평균 진료비 1차 시범사업(1997.2-1998.1) 54기관 3,500건 24억원 2차 시범사업(1998.2-1999.1) 132기관 14,000건 107억원 3차 시범사업(1999.2-2000.6) 979기관 39,450건 299억원 2002년 4월 : 1662개소(종합전문 4, 종합 108, 병원 138, 의원 1,412)

DRG지불제도(5) 제1, 2차 제3차(99.2-99.8) 제3차(99.9-) 진료과 4개 6개 질병군 5개 9개 17개   제1, 2차 제3차(99.2-99.8) 제3차(99.9-) 진료과 4개 6개 질병군 5개 9개 17개 DRG 29개 47개 71개 안과 수정체수술 이비인후과 편도·아데노이드수술 일반외과 충수절제술 항문과(또는)항문주위수술 서혜 및 대퇴부탈장수술 산부인과 질식분만 제왕절개술 자궁과(또는)자궁부속기수술 내과, 소아과 단순폐렴과(또는)늑막염 단순폐렴과(또는) 늑막염 소화기 악성종양 등 8개 소화기내과 질병군

DRG지불제도(6) 3차 시범사업 평가 결과 의료서비스 제공량 감소(평균 8.2%) 환자본인부담금은 25% 낮아짐 보험자부담금은 26% 증가함 의료의 질이 저하했다는 증거는 없음 진료비 청구업무의 간소화와 지급기간 단축

DRG지불제도(7) 향후 전망 외래환자(APC) 장기요양환자(RUG) 입원환자(DRG) 포괄수가제도 영역 확대 대상 질병군 확대 적용 의료기관 확대 포괄수가제도 영역 확대

총액계약제(1) 총액계약제의 개념 지역별 혹은 요양기관별로 1년간 보험급여 총액을 제시하고 이 범위를 넘어서는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수가를 지급하지 않은 제도 도입 국가 독일, 캐나다

총액계약제(2) 총액예산제 vs 총액계약제 총액계약제 하에서 진료비 지불 총 의료비용을 보건의료의 각 부분별로 배정(대개 계약을 통해 이루어짐) 부분별 예산을 개별 공급자별로 배정(행위별수가제, DRG 등)

총액계약제(3) 의사 비용에 대한 총액계약제(독일) 연방 : 연방의료보험조합협회와 연방의사협회가 의료서비스 항목별 상대가치 결정 주 : 지역의료보험조합과 보험의사협회가 환산지수 결정 의료비용이 예산을 초과할 경우 모든 의사에 대한 환산지수가 감소

총액계약제(4) 의사비용에 대한 총액계약제(캐나다) 의사에 대한 진료비 지불을 의사들의 적정 소득을 기준으로 결정 소득 상한을 두고 소득 상한을 초과할 경우 의료서비스당 수가를 낮추어 지급 따라서 독일과는 달리 의료서비스를 많이 제공한 의사들에게만 선택적으로 가격이 감소하여 의사들간의 형평성 유지

총액계약제(5) 병원 비용에 대한 총액예산제 개별 병원별로 총액을 배정하거나 계약 대부분 DRG나 입원환자분류체계를 이용하여 환자구성을 보정

총액예산제(6) 향후 전망 진료비 총액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도입이 어려우나 의료비 급증이 지속될 경우 도입 가능성이 있음 도입이 어려운 이유 비급여의료서비스의 비중이 높음 병원와 의원의 기능 미분화로 부분별 예산 책정이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