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조직 및 기능진단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015 학년도 서경대학교 [ 경력개발과멘토링 ] [ 교육제안서 ] Copyright  2015 Korea Productivity Center (KPC). This document is solely for the use of client personnel. No part.
Advertisements

Sogang e-Biz Outsourcing Seminar ASP Network Inc. 애경 산업의 ASP 를 통한 Outsourcing 사례 June, 2001 The following material was used by ASP Network Inc. during.
1 성공적인 면접을 위하여. 2 Contents  면접이란 ?  면접전형 트렌드 및 면접의 종류  면접의 답변요령  면접 실전 대비  Q & A  면접이란 ?  면접전형 트렌드 및 면접의 종류  면접의 답변요령  면접 실전 대비  Q & A 면접이란.
사 업 명 취창업 전략과 사회진출 사 업 대 상사 업 대 상 동양미래대학교 재학생 ( 졸업예정자 ) 사 업 내 용사 업 내 용 진로 및 취창업관련 프로그램 및 컨설팅 사 업 기 간사 업 기 간 2014 학년도 2 학기 수 행 장 소수 행 장 소 동양미래대학교.
광화문우체국 현장개선 컨설팅 추진 보고서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circulated, quoted, or reproduced for distribution outside the client organization.
향기 마케팅 Case presentation of KUSITMS 3-2 Copyright by KUSITMS 3-2, ALL RiGHTS RESERVED. Aroma Marketing Seoul. April 임동준 김동현 황영훈 우미영 김성희.
HRD 체계 및 계획수립 Contents  HRD 체계 / 계획 수립 기본 Process  성인학습자의 특성  기업 교육의 형태  기업 교육의 일반적 정의  학습이론의 변천  HRD 의 정의  HRD 패러다임 Shift  Mission, Vision,
아주대학교 인문/사회대 학생들의 취업 Level Up Program
This Report is solely for the use of client personnel
Ⅰ Ⅱ Ⅲ Ⅳ Ⅴ 2004년 주요정책 추진성과와 평가 2005년 정책목표와 이행과제 2005년 중점 추진과제
투명한 원칙과 명확한 목표에 의한 구조조정의 성공적 완수 공적 투자자금의 조기회수를 위한 성과의 가시화 촉진
인사전략과 인적자원개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목 차 추진배경 1 추진내용 2 운영현황 3 문제점 및 장애극복 4 기대효과 5.
Table of Contents Session 1. NICE신용평가정보 회사소개 ∙ ∙ ∙ ∙ ∙ ∙ ∙ ∙ ∙ ∙ ∙ ∙ ∙ ∙ ∙ ∙ ∙ ∙∙ ∙ 3 Session 2. KISLINE 서비스 매뉴얼 Ⅰ. MY RM 서비스 ∙ ∙ ∙ ∙ ∙ ∙ ∙ ∙
목 차 목적 및 수행개요 SLA Index 개괄 - 1. SLA Index Labor Relations
㈜영림원소프트랩
대한민국 미래의 리더에게 말한다 [대학생초청 특별세션] 2012년 제 20회 고객중심 경영혁신 컨퍼런스
현장의 작업개선 및 관리기법 과정.
BSC 템플릿 및 작성 매뉴얼.
크레벤컨설팅센터(주) 크레벤 독서문화 경영연구소
일본의 TPM Part-II 사례 TPM Part-II 추진체제 만들기 T P M
6σ 연계 TPM 추진 안내서 TPM컨설턴트/공학박사/품질기술사 권오운 6σ 연계 TPM 추진 안내서 전체편 6 σ T P M
사무 혁신을 위한 Work-Diet 추진 방안 * Strictly Confidential 첨부 2
웹2.0과 ucc의 개념과 미래 ITEMWIZ STRATEGIC PLAN 동네수첩 동네미래전략 연구소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사회복지현장실습 오리엔테이션 일 시 : 2011년 5월 21일/28일 시 간 : PM 14:00~16:00
국제공인 구매전문가 자격증(C.P.M.) 과 ISM 소개
해외의 기술지주회사 지원사례 : IC에 대한 시사점
KOSHA 인증제도 안내.
Excel OLAP Reporting / OWC를 이용한
2002년 교육계획수립 실무 해설 한국인사관리협회.
(Management by Performance Objectives)
CRM에서의 Data Quality Management
SK 4Front KM 방법론 SK C&C.
ISO 9001:2000 프로세스 접근방법의 이해와 적용 베스트경영컨설팅(BMC).
품질관리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전략기획 매뉴얼 Volume 2 November, 2013 A Task’s Force.
1) AS-IS프로세스 분석 [3] BPR팀 2단계추진목표
전사 기업관리 사이클 최적화를 통한 경영혁신과 전략적 수행방안
TPM 과 Six Sigma 연계를 위한 활성화 방안
이 종 수 식 신( 新 .信 .神 )바람 경영 컨설팅 ( 수탁경영/관리 )
2011년 하반기 VIP투자자문 인재채용 안내
프로젝트 관리 Project Management
아메바경영의 이해와 실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제8장 BSC와 지식경영.
사내 직무교육체계개발 프로젝트 Kick-off(안)
T O C(제약조건의 이론) 21세기의 기업경영을 목표로 Supply Chain Management 구현을 위한
역량 사전 목 차 I 공통/직무역량 ………………… Page 1 II 관리(리더)역량 ………………… Page 39.
TPM 과 6σ 의 비교 구 분 TPM 6 시그마 추진방식 사 상 활동 단위 강 점 범 위 Level up 기 법 활동단계
ISO 9004 개 요.
첨단 산업용품 R&D메카 사업 추진계획 ㈜ 리드(LYD) 【 Contents 】 사 외 비
Frequently Used Template
동북아시대 대학의 역할 모색 광운대 동북아대학 실무추진위원장 권태한 교수.
정부 혁신 관리 매뉴얼 정부혁신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 Version 혁신관리전문위원회 적응 믿음 변화의 5단계
신입사원 교육프로그램 사례.
ISO 9004 개 요.
- Process 분석 기법 (As-Is, To-Be)
▣가동 Loss 및 Line 분석작업 1.”주체작업에 부수적으로 매 사이클 마다 발생되지만 일의 목적에는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요소” 위의 설명이 가르키는 작업의 분류에 속하는 것은? 가.주체작업 나.준비작업 다.부수작업 라.요소작업 2.다음은 여유에 대한 설명이다.
(제9강) ISO26000상의 CSR의 7대 핵심요소 1-1)조직지배구조 : 투명성, 참여성, 효과성
수익 극대화를 위한 전략적 원가경영2.
전략적 경영관리.
해외건설 프로젝트기획 Introduction
공장관리 기술사 자격 취득 과정 안내 2007년 5월.
E R P 정보관리사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일 시 : (화) / 09:30 ~ 17:00 ▶ 장 소 : 백범기념관 컨벤션홀(용산구 효창동 소재)
영화예매권 프로모션 제안서.
인터넷 쇼핑의 성격과 현황 시장과 고객관리 금융전공 박유진.
스포츠클럽 설명 자료 스포츠클럽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
프로젝트 실행 오류와 해결.
물류(Logistics)의 개념 한국생산성본부.
Presentation transcript:

국립중앙박물관 조직 및 기능진단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Asia’s No.1 Knowledge Provider 국립중앙박물관 조직 및 기능진단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11. 05.19 No part of this publication may be circulated, quoted, or reproduced for distribution outside the client organization without prior written approval from KMAC. This document provides an outline of a presentation and is incomplete without the accompanying oral commentary and discussion. [KMAC는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의 글로벌 브랜드 입니다.]

[요약] □ 프로젝트의 목적 및 과업범위 □ 수행절차 및 방법 국립중앙박물관의 미래 성장 가능성 극대화 및 미래 지향점 실현을 위해 직무분석을 통한 적정인력을 산정함 <과업범위> 1. 내/외부 환경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2. 업무 및 기능분석을 통한 인력증감 요인 분석 3. 직무분석을 통한 적정인력 산출 □ 수행절차 및 방법 적정인력산출을 위해 전 직원을 대상으로 직무분석을 실시 <추진절차 및 방법> 업무 및 기능 분류체계 작성  표준근무가능시간 도출  직무조사에 의한 업무량 조사  업무량 조정에 의한 적정소요인력 산출

[요약] □ 내부 환경 이슈 조직적 측면 : 국립중앙박물관의 총괄 조정 기능 및 지방박물관 지원 강화 필요 고객관리기능의 안정화 필요 박물관의 일체성 및 통합화를 위한 조직 및 인력 운영 체계 개선 필요 인력운영적 측면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활용 비율이 43.1%로 매우 높아 업무수행적 측면에서 책임성이 미흡 박물관 유지에 필요한 지방박물관별/분야별 필수인력이 부족하여 업무수행에 어려움(전시기획, 방재, 시설, 전산, 조경 등의 분야) 박물관 전문분야의 인력운영에 있어서의 탄력적 운영 미흡 전시기획 중심의 업무수행으로 연구조사 기능 미흡 운영적 측면 미등록 유물(약 29만 여점)의 해소를 위한 예산 및 인력의 확보가 필요함 연 평균 12% 관람객 수요 증가에 따른 전시기획의 전문성 확보, 콘텐츠 개발, 전시해설의 인력 확보, 관람환경 및 시설 등의 개선이 필요함 외국인 관람객 유치 및 홍보를 위한 적극적 마케팅 노력을 강화해야 함 국제전시 및 교류, 협력의 강화에 따른 국제협상 전문가 부재

[요약] □ 외부 환경 이슈 문화정책 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공공서비스를 확대해나가야 함 문화재 정책  국제적으로 문화재 관련 이슈가 증가함에 따라 국제교류 및 협상의 전문역량을 강화해 나가야 함  문화재를 통한 국제적 위상 및 평가가 증요시 됨에 따라 문화재관련 국제전문가의 확보가 필요  문화에 대한 향유소비 행태가 다양화됨에 따라 문화재관련 서비스 제공 인프라 구축이 필요 외국의 박물관 정책  경제적인 이유로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없는 계층을 위해 박물관의 관람 무료화 정책 시행  지역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지역 특유의 문화활동을 추진하는 박물관의 지방분권화 강조  박물관 관련기관 및 단체와의 지역별 네크워크를 구성하고 교류∙협력하는 협력망 강화  소장 유물 및 미공개 유물의 전시 확대를 위한 유물등록체계 구축

[요약] □ 박물관 정책 방향 관람객을 위한 박물관의 새로운 역할 정립 - 유물 보관의 소극적인 개념에서 유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내는 개념으로 전환 - 관람자 또는 참가자가 원하는 수준까지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전시기획 및 프로그램 제공과 함께 부대 서비스를 제공 - 박물관을 이용자 중심으로 운영을 현실화 On line과 Off line의 결합으로 서비스 범위 확대 - 가상공간을 통하여 감상하고 무한하게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온라인망을 통한 박물관의 국제적 교류 확대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중앙박물관 내실화 및 지방박물관 특성화 필요 - 기존 종합박물관 특성을 내실화하면서 소장품별 특수한 전문박물관의 육성과 지원이 필요 소장품의 보존 중심에서 보존과 활용의 조화 - 박물관 활동의 기준과 가치가 큐레이터에서 소비자로 변화, 즉 박물관은 이용자의 요구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 - 전시, 사회교육, 문화행사 기능이 강조되는 추세. 상대적으로 소장품의 수집, 보존, 연구기능이 축소 - 박물관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뒷받침할 수 있는 협력망 구축이 중요 공립∙사립 박물관 지원 강화 - 지역간 문화 격차해소를 위한 공∙사립 박물관 특성화 및 활성화 지원 교육기관으로서 박물관 역할 강조 - 교육과 테크놀러지를 통한 박물관의 혁신 추구 - 박물관 기능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역할과 교육적 역할 대두

□ 소요 인력 산출: 907명1,036명(129명 증원, 현원 대비 14.2% 증가) [요약] □ 소요 인력 산출: 907명1,036명(129명 증원, 현원 대비 14.2% 증가) 기능 및 업무분석: 중장기 정책과제 및 단위조직별 업무비중 분석을 통해 추가 소요인력 산출 구 분 추가 소요인력(명) 상세 내역 기획운영단 4 기획총괄기능 강화 공∙사립 박물관 지원 및 지원기능 강화 관람객 수 증가에 따른 서비스 질 향상 학예연구실 23 연구기획 기능 강화, 조사연구 기능 강화 수장고 신설, 미등록 유물 해소, 유물감정평가 기능 신설 교육문화교류단 15 국제전시협상 및 전시기획/마케팅 전문 역량 강화 학교연계프로그램 관람객 수 증가에 따른 서비스 질 향상 찾아가는 박물관 서비스 기능 강화, 출판콘텐츠 전문인력 보강 지방박물관 68 나주박물관 신설 전시기획, 전산/시설/방재/조경 등 필요인력 보강 계 110 업무량 조사: 업무량 분석을 통한 적정인력 산출(비정규직 포함) 구 분 추가 소요인력(명) 상세 내역 기획운영단 3 고객지원팀 3명 증원 필요 학예연구실 6 고고역사부 3명, 미술부 3명, 아시아부 1명 증원 필요 보존과학팀 1명 감원 필요 교육문화교류단 10 전시과 5명, 교육과 3명, 국제교류홍보과 1명, 어박팀 1명 증원 필요 계 19

□ 인력재배치를 통한 인력절감요인 반영(1,036명 1,021명, 15명 감축) [요약] □ 인력재배치를 통한 인력절감요인 반영(1,036명 1,021명, 15명 감축) 전시∙출판 디자인 인력 통합 운영 (단위: 명) 현재 : 10명(문화사업과 4, 전시과 3, 학예연구실 3) 추가 소요인력 : 2명(학예연구실) 인력재배치 : 학예연구실 또는 교육문화교류단 12명 인력 효과 : 없음(디자인 인력 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 1,036 83 -15 1,021 907 27 19 지방박물관 정보화 분야 현재 : 문화사업과 7명 지방박물관 4명 필요인력: 없음 인력재배치: 문화사업과 인력으로 7개 지방박물관 전담 지원 인력 효과: 18명 11명(△7) 지방박물관 전시기획분야 현재원 업무량 증가 나주박물관 신설 기능강화 인력재배치 소요정원 필요인력: 지방박물관 11명 인력재배치: 박물관 규모 고려 + 3개 권역별 재배치 인력 효과: 11명 3명(△8)

< 목 차 > 프로젝트 추진 체계 환경분석 중장기 전략방향 기능 및 업무분석 직무조사 적정인력산정 인력재배치

1-1. 프로젝트 과업범위 1. 프로젝트 추진 체계 과업지시서에서 제시된 본 프로젝트의 과업수행 범위를 기반으로 한 재구조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 추진 체계를 설정하였으며, 국립중앙박물관의 미래 성장 가능성 극대화 및 미래 지향점 실현을 위해 직무분석을 통한 적정인력 산정을 도출하고자 함 프로젝트 과업범위 국립중앙박물관 과업지시서상 과업수행범위 경영환경 분석 및 기본방향 수립 조직 및 인력운영 구조 분석 External & Internal Environment 내외부 환경 내부환경 선진사례 외부환경 조직 및 기능분석, 인력규모 기준설정을 위한 유사사례 비교·분석 Similar Practice 전략 및 기능 전략방향검토 기능분석 업무분석 조직 인력 관리 메커니즘 사업별 원단위 인력산정 Tool 구축 미시적·거시적 관점의 부문별 인력산정 정원산정 Workforce Management 조직구조 인력구조 직무관리 조직운영 적정인력 산정 프로세스관리 사업별 소요인력 규모 예측 바람직한 인력운영방안 수립 중장기 인력운영 전략 수립 Workforce Planning 실행체계 직무분석 및 적정인력 산정 결과 이행을 위한 실행로드맵 구축 Action Plan 실행로드맵 추진과제 주된 과업범위를 표시함

1-2. 프로젝트 추진 절차 1. 프로젝트 추진 체계 KMAC는 국립중앙박물관 조직 및 기능진단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 – 조사 및 설계 – 실행 과정을 기반으로 6단계를 통해 과업수행을 추진하며, 각 단계별 세부 추진 절차는 다음과 같음 프로젝트 추진 절차 분석 조사 및 설계 실행 현황진단 및 쟁점이슈도출 중장기 전략방향 검증 직무분석 및 재설계 적정인력산정 인력재배치 현황진단 전략적 방향성 국/내외 사례 전략의 지향점 구체화 중장기 전략방향 구조화 직무가분류 직무조사 업무분류체계 인력산정 모델링 구축 업무량 분석 적정인력산정 인력증감 분석 기능변화와 사업변화 방향에 따른 업무량 산정 기능 및 업무분석 분석 영역 조사 및 설계 영역 실행 영역 직접 연계 영역 원칙수립 기능개선 검토

< 목 차 > 프로젝트 추진 체계 환경분석 중장기 전략방향 기능 및 업무분석 직무조사 적정인력산정 인력재배치

1-1. 조직 및 인력 1. 내부환경 국립중앙박물관의 조직은 관장, 3개 단(실), 15개 과(부·팀) 및 11개 지방박물관으로 편제되어 있음 국립중앙박물관의 조직 중앙박물관 지방박물관 관 장 기획운영단 학예연구실 교육문화교류단 경주 광주 전주 행정지원과 기획총괄과 관 리 과 고객지원팀 연구기획부 유물관리부 고고역사부 미 술 부 아시아부 보존과학팀 문화사업과 전 시 과 국제교류홍보과 교 육 과 어린이박물관팀 부여 대구 청주 김해 제주 춘천 진주 공주 주) 국립중앙박물관의 조직은 2011년 3월 31일 기준임

1-1. 조직 및 인력 1. 내부환경 국립중앙박물관의 인력은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규직은 정원 554명, 현원 516명임. 비정규직은 391명으로 전체 907명으로 운영되고 있음. 전체 인력의 43.1%를 비정규직으로 활용하고 있음 국립중앙박물관의 인력 (단위 : 명) 주) 국립중앙박물관의 정원 및 현원은 2011년 3월 31일 기준임

1-1. 조직 및 인력 1. 내부환경 ’09년 비정규직 인력 실태 조사를 보면 공공부문, 정부부문의 비정규직 인력 비율이 23~27%정도로 나타나 비정규직 인력 활용 비율이 과도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됨 규모별 비정규직 근로자수 근로자(명,%) 전체 비정규직 비율 12,353,329 2,034,540 16.5 부문 민간부문 11,101,390 1,740,202 15.7 공공부문 1,251,939 294,338 23.5 정부부문 598,509 165,447 27.6 규모 5-9인 1,711,062 281,429 16.4 10-29인 2,980,536 422,354 14.2 30-99인 3,163,280 501,210 15.8 100-299인 1,875,922 324,796 17.3 300-999인 1,223,812 268,149 21.9 1천인이상 1,398,719 236,602 16.9 비정규직은 기관의 사업량, 업무성격 등에 따라 기관이 자율적으로 채용하는 인력으로 그때 그때의 사업량에 따라 변동 가능함 박물관의 경우 공공 및 정부부분 평균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점차적으로 비정규직 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해가는 추이를 보이고 있음 주) 전국 사업체 비정규직 실태조사(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9년) 정규직 및 비정규직 개념(기재부) 구분 업무 내용 정규직 ▪지속가능한 업무(예시 : 5년 이상)를 담당 ▪정원 내에 포함되므로 필수불가결한 소요*만 인정 * 법령 제․개정에 따른 업무, 부가가치 창출사업 및 핵심국책사업 등 비정규직 ▪단순∙보조업무, 한시적 업무 등을 담당

1-1. 조직 및 인력 1. 내부환경 국립중앙박물관의 정규직 정원충족률은 93.1%를 보이고 있음 국립중앙박물관의 정규직 정원 분포 (단위 : 명) 합계 정 무 직 별 정 직 별정직 또는 일반직 일 반 직 기 능 5 급 6 7 8 고 위 공 원 4 3 9 연구관 연구사 554 1 2 19 12 16 29 31 22 25 43 87 222 주) 국립중앙박물관의 정원 및 현원은 2011년 3월 31일 기준임

1-1. 조직 및 인력 1. 내부환경 국립중앙박물관의 기능에 따른 인력운영 현황은 다음과 같음 국립중앙박물관의 기능 및 인력 분포 기 능 정원 주요 업무 국립박물관 운영 554명 - 고고학ㆍ미술사학ㆍ역사학 및 인류학 분야에 속하는 문화재와 자료를 수집ㆍ보존 및 전시 - 관련 분야 연구ㆍ조사 - 전통문화의 계몽ㆍ홍보ㆍ보급 및 교류 기획․행정 관리 90명 - 주요사업계획수립 ·조정, 예산, 감사, 법제 - 인사, 복무, 교육훈련, 고객지원 등 시설관리 66명 - 청사관리 종합계획의 수립․지원 - 시설물의 안전점검․유지․보수, 방재 등 방호, 사무지원 179명 - 청사와 시설의 방호 - 기획․행정관리 분야 등에 대한 업무 지원 전시, 학술조사․연구,유물수집․관리 144명 - 상설․기획 전시 개최 및 전시실 운영 - 관련 문화재와 자료 연구․조사․수집․관리 등 보존처리 28명 - 유물의 과학적 보존처리 - 유물 복제․환경관리 및 분석 등 교육, 문화행사, 출판, 정보화 35명 -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등 개발 및 운영·지원 - 출판물 발간, 정보화 사업 운영 등 국제교류, 홍보 12명 - 국제교류․협력사업 기획․시행 - 박물관 홍보․마케팅 기획․시행 등

1-2. 박물관 시설현황 1. 내부환경 국립박물관의 보존유물은 약69만 여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전시·수장고 면적에서 전시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62.5%, 수장영역이 37.5%를 차지하고 있음. 전체 유물 중 중앙박물관이 39.4%를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박물관별 전시·수장고 면적 및 유물현황 (2011.1.31 현재)

1-2. 박물관 시설현황_중앙박물관 1. 내부환경 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관(6관 51실)과 기획전시관(2실), 어린이박물관(1관) 등의 전시관을 갖고 있음 중앙박물관 전시관 규모 및 전시내용 구 분 (면적/㎡) 전시관별 실 수량 전시 수량 전시 개념 및 전시실 명칭 상설전시관 전시1층 (7,813.57) 선사․고대관 (3,208.55) 11개실 1,290건 10,016점 도입부/구석기실/신석기실/청동기․고조선실/부여․삼한실/고구려실/백제실/가야실/ 신라실/통일신라실/발해실 중․근세관 (4,605.02) 8개실 581건 1,009점 - 고려I실/고려II실/고려III실/조선Ⅰ실/조선Ⅱ실/조선Ⅲ실/조선Ⅳ실/조선Ⅴ실 전시2층 (5,464.88) 기증관 (2,665.46) 689건 1,500점 이홍근실/기증문화재실/김종학실/유강열실/박영숙실/최영도실/박병래실/ 가네코 가즈시게실/유창종실/하치우마 다다스실/이우치 이사오실 서화관 (2,799.42) 9개실 158건 255점 서예실/회화실도입부/인물화실/산수화실/화조 ․영모화실/궁중장식화․ 민화실/불교회화실/괘불실/사랑방 전시3층 (5,171.74) 조각․공예관 (2,660.79) 7개실 458건 547점 - 청자실Ⅰ/청자실Ⅱ/분청사기실/백자실/금속공예실/불교조각실/반가사유상실 아시아관 (2,510.95) 5개실 665건 861점 - 인도·동남아시아실/중앙아시아실/중국실/신안해저문화재실/일본실 계 (18,450.19) 6개 전시관 51개실 3,841건 14,188점 - 어린이박물관, 기획전시실, 으뜸홀, 종각 등 제외 교육동 전시1층 (4,366.22) 어린이박물관 (2,538.80) 1개실 - 고대사람들의 생활모습(주거/농경/음악/전쟁) - 토기, 농기구 등 복제품 전시 - 체험식(Hands-on)박물관 - 부대시설 (도서공간/대기공간/영상실/체험교실/어린이 교실/어린이놀이터) 기획전시관 (1,827.42) - 실크로드전 등 다양한 기획전시 개최 계 2개 전시관 2개실

1-3. 전시 및 프로그램 운영 현황_중앙박물관 1. 내부환경 중앙박물관은 기획전, 특별전, 테마전 등을 연평균 21회 정도 전시기획을 하고 있으며, 2010년 현재 106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중앙박물관 기획전, 특별전, 테마전 전시현황 (단위: 회)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합계 23 20 25 16 21 기획전 9 3 4 특별전 2 테마전 14 15 11 중앙박물관 프로그램 운영 현황 2009년 2010년 강좌수 참여인원 횟수 명 학교단체 10 85 9,620 5 97 14,781 교사 7 11 614 17 889 성인(CEO) 15 100 4,382 30 363 11,656 전문인력 6 667 40 1,914 외국인 3 2,196 4 63 2,601 군인 1 57 3,014 51 2,141 어린이/가족 25 767 21,990 607 18,415 전시연계 9 104 4,913 장애인 50 1,157 60 1,667 다문화 21 573 34 947 노년층 47 16,206 77 18,985 찾아가는 박물관 80 34,905 88 40,778 교육특별행사 8 41 79,775 23 8,350 합계 98 1,310 175,099 106 1,624 128,037

1-4. 박물관 현황 _소장유물 1. 내부환경 국립박물관은 금속, 토제, 도자기, 석, 유리/보석, 초제, 나무, 골각, 패갑, 지, 피모, 사직, 종자, 기타 등 15개 분야 69만 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전체 유물 중 토제 39.7%, 도자기 20.3%, 금속 15.5%, 유리/보석 6.6% 등의 순으로 유물을 소장하고 있음 분야별 소장 유물 현황 (2011.1.31 현재)

1-4. 박물관 현황_관람객 수 1. 내부환경 박물관 관람객의 대부분을 내국인이 차지하고 있으며, 대국민서비스 제공 및 관람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관람이용의 무료화에 따라 무료 이용객이 대부분을 차지함. 연도별 관람객 이용 현황을 보면 ’07년 이후 점차 증가하여 연평균 11~12%로 관람객이 증가하고 있음 - 영국의 문화예술·박물관 월간지 ‘아트 뉴스페이퍼(The Art Newspaper) 2011. 4월호 보도에 의하면 2010년 한 해 동안 국립중앙박물관이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관람객이 들었으며, 세계적으로는 9위를 차지함 관람객 현황 중앙박물관 지방박물관 (단위: 명)

1-4. 박물관 현황_미등록 유물 1. 내부환경 박물관 소장 유물 중 미등록 유물은 약 29만 여점으로 대구박물관의 경우 등록 TF를 운영하고 있으나 1인당 년간 처리량이 1,150여점에 불과하여 미등록 유물 해소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소장유물 중 박물관 초기 유물정보에 대한 재해석 및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함 미등록 유물 현황 (2011.1.31 현재, 단위: 점)

1-4. 박물관 현황_국가귀속 발굴 매장 문화재 처리 현황 1. 내부환경 국가귀속 발굴 매장문화재 처리 현황을 보면 발굴·매장문화재의 약 30만 여점이 국립박물관 수장고의 포화상태로 인해 발굴기관에 임시보관하고 있는 상황으로 수장고 시설의 확충이 시급한 실정임 국가귀속 발굴매장문화재 처리현황 (2011.1.31 현재, 단위: 점)

1-4. 박물관 현황_보존처리 현황 1. 내부환경 중앙박물관의 전시유물/소장유물, 지방박물관 등에서 의뢰된 유물을 포함하여 ’05년 이후 년간 평균 1,200여점의 유물을 보존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중앙박물관 보존처리 실적 중앙박물관 2010년 보존처리 실적 금속 도자기/토기 석물/벽화 목제 목칠공에 서화/지류 직물 계 점수 426 220 70 77 60 366 158 1,377 비율(%) 30.9 16 5.1 5.6 4.4 26.6 11.5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국립중앙박물관의 정책적 방향은 “역사의 숨결과 문화의 힘이 생동하는 박물관”을 지향하고 있으며,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박물관의 <내실화, 대중화, 정보화, 국제화, 특성화> 정책을 추진해나가고 있음 국립중앙박물관의 비전과 목표 비 전 역사의 숨결과 문화의 힘이 생동하는 박물관 국가대표박물관으로서의 한국 역사문화 선도 고객 중심의 수준 높은 전시, 교육, 문화행사 운영 국제사회에서 중심역할 수행으로 글로벌 박물관 지향 국립지방박물관의 지역 문화 중심기관 역할 제고 목 표 국가대표박물관으로서의 박물관「내실화」강화 국민 만족 콘텐츠 제공으로「대중화」실현 정보시스템 개선으로「정보화」기능 강화 세계 문화와 소통하는「국제화」추진 국립 지방박물관「특성화」지원 추진 방향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국립중앙박물관의 기능은 설립취지·목표 달성을 위해 학예연구,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운영, 행정관리 등 박물관의 기본적인 구조로 연결되어져 있음 전체 기능 조직화 체계 정책기능 기능검토 시사점 프로세스 체계 :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체 업무를 규정짓는 프로세스는 정책기능(Governing Process) 3개, 가치창출기능(Value -Creating Process) 6개, 지원기능(Supporting Process) 3개로 구성되어 있음 국립중앙박물관의 업무 중에서 핵심 프로세스(Value - Creating Process)는 학예연구 및 프로그램 운영으로 구분되어짐 학예연구기능은 발굴 및 조사, 연구, 유물관리 및 복원으로 구분되며, 프로그램 운영기능은 전시, 교육 등으로 구분되며 학예연구 및 프로그램운영 프로세스는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 기획 국제교류 홍보/마케팅 기획조정, 성과 평가(통제),외부연계 가치창출기능 조사 연구 유물관리 복원 전시 교육 지원 지원기능 행정지원 시설 및 운영 고객지원

Front - Middle - Back office 기능 분석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국립중앙박물관의 정책적 방향은 “역사의 숨결과 문화의 힘이 생동하는 박물관”을 지향하고 있으며,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박물관의 <내실화, 대중화, 정보화, 국제화, 특성화> 정책을 추진해나가고 있음 Front - Middle - Back office 기능 분석 현 황 조직 및 기능의 검토 학예연구조직 프로그램운영조직 현업기능 유물관리부 전시과 중앙박물관의 기능을 전·후방 조직, 중간 조직의 3개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전방조직( Front Office)기능은 책임과 권한이 최대한 일치되는 완결적 단위(예, 전략적 사업단위, 지역별 사업단위) 중심으로 설계하고 중간조직(Middle Office)와 후방조직(Back Office)기능은 기능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능단위 중심으로 업무를 담당하고 있음 고고역사부 국제교류홍보과 미술부 교육과 전방조직(Front Office) 아시아부 어린이박물관팀 보존과학팀 총괄기능(고유) 연구기획부 문화사업과 중간조직(Middle Office) 총괄기능(공통) 기획총괄과 지원기능 후방조직(Back Office) 행정지원과 관리과 고객지원팀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학예연구부서의 조직은 학문적인 업무분류에 따라 조직화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정규직 72명, 비정규직 85명으로 운영되고 있음 학예연구실 조직 및 기능 조직 및 인원 주요 특징 학예연구부서는 기본적으로 소장품의 구입, 연구 및 조사, 출판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전시나 운영기획 및 교육담당부서와의 업무상 연계가 필요함. 특히 전시물의 학문적인 해석이나 추가적인 고려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업무도 진행함 학예연구기능을 세부적으로 학문적인 분야로 구분하여 고고학, 역사학, 아시아학, 미술사, 유물관리, 보존과학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음 학예연구실 연구기획부 유물관리부 고고역사부 미 술 부 아시아부 보존과학팀 정규직 정원 15 14 16 10 현원 11 12 8 계약직 5 45 9 2 6 무기계약직 1 4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학예연구실의 인터뷰 결과 전시위주의 대국민서비스 행정으로 발굴조사 및 연구기능이 축소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유물정보의 재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학예연구실의 이슈 부서명 이슈 유물관리부 유물 재고조사 관리에 어려움 - 국가귀속유물의 외부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정기현황 파악이 어려움 유물정보 재구축 필요 - 과거에 축적된 자료는 흑백자료 수준이며, 과거 자료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재등록 사업이 필요함 권역별수장고 건립 사업과 연계하여 고효율 저비용으로 보관 방향 재검토 필요 고고역사부 2010년.12월 고고부와 역사부를 통합하였으나 통합으로 인한 효과는 없음(통합 이전의 상태로 운영) 전시위주의 업무로 인해 국내 발굴조사업무와 같은 기초 학문분야 업무 축소됨 계약직 활용을 통한 업무책임의 한계성으로 인해 일의 연속성 미흡 미술부 다양한 전공자 필요(특히 서예전공자가 없음) 아시아부 지역문화 전시위주의 부서로 서아시아 전공 인력 보강 필요(2명) 입체적인 행사를 위한 예산 부족 보존과학팀 보존처리를 위한 다양한 전공자 필요(보존과학분야 다양성으로 인해 1개 박물관에 모든 인력을 갖출 수 없으므로 나주박물관에 금속, 지류 전공자 인력보강이 필요) 대부분의 인력이 별정직으로 운영되어 지방인력배치/파견에 어려움 박물관 기초역량 강화 분야별 전공자에 인력충원 필요 부서통폐합에 따른 효율적 운영 필요 별정직 전문분야 전문가의 인력활용 방안 개선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교육문화교류단의 조직은 문화사업, 전시, 교육, 홍보·마케팅 등의 업무 외에 행정지원업무를 병행처리하고 있음 교육문화교류단 조직 및 기능 조직 및 인원 주요 특징 교육문화교류단 프로그램 운영 조직은 기본적으로 전시, 교육, 홍보·마케팅 업무로 분화되나 교육문화교류단의 조직은 정보화 등 지원부분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문화사업과 전 시 과 국제교류홍보과 교 육 과 어린이박물관팀 정규직 정원 15 13 11 5 현원 14 10 계약직 8 9 2 무기계약직 3 1 4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교육문화교류단의 인터뷰 결과, 양질의 대국민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다양한 전시 및 교육 전문가 확보가 필요하며,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책임 있는 대응을 하기 위한 인력운영 및 개선이 필요함 교육문화교류단의 이슈 부서명 이슈 문화사업과 지방박물관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산직 인력 보강 필요 계약직의 연장 제한으로 인한 업무숙련자 확보에 어려움 전시과 국제전시 협상을 위한 전문인력 부재 외국과의 협약관련 많은 시간이 소요되나 1인 책임하에 진행 외국의 경우 부문별 담당자가 전담 2011년 4월 디자이너 2명이 학예연구실로 전환배치되어 통합화된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으나 과내 디자인 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외부위탁을 고려하고 있음 해외 한국실 관련 upgrade 필요 국제교류홍보과 확대되고 있는 국제교류분야의 전문인력 부족, 확대 필요(전문계약직 가급 또는 나급) 정규직 업무를 비정규직 인력으로 대행함으로써 업무의 책임문제 발생 교육과 특화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학예직 인력 필요 찾아가는 박물관 운영시 무기계약직 1명과 운전원 1명으로 운영  전시설명이 안되고 있는 상황임 도서관의 주말 이용객 증가로 인해 주말에 비정규직이 근무할 경우 민원관련 책임문제 발생, 교대근무제 운영 필요 어린이박물관팀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학예직 인력대체 요망 학교교육과 연계된 학예직 인력 필요 인력부족으로 인해 자원봉사자 교육에 어려움 양(Quantity)보다는 질(Quality)적인 측면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력 충원 필요 서비스 채널의 다양성 및 특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 필요 비정규직 인력의 과다로 인한 업무의 책임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음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기획운영단의 조직은 박물관 전체업무를 기획 조정하는 Control Tower 기능과 행정적 지원, 고객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 기획운영단의 조직 및 기능 조직 및 인원 주요 특징 기획운영단 행정지원과 기획총괄과 관 리 과 고객지원팀 기획총괄의 기능은 Control Tower로서의 Think Tank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이나 일부 사업부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 공∙사립 박물관 지원 강화 필요 대국민서비스 제공을 위한 예산이 부족하고, 타부서와의 업무협조관계가 미흡함 정규직 정원 57 11 31 7 현원 54 29 계약직 2 5 무기계약직 9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기획운영단의 인터뷰 결과, 박물관의 Think Tank 로서의 역할을 강화해야 하며, 인력배치에 있어서는 필수 인력에 대한 충원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 기획운영단의 이슈 부서명 이슈 행정지원과 지방박물관에 각각의 전문인력이 필요하나 인력배치에 어려움 지방박물관 전산직 및 방재인력의 확충 필요 기획총괄과 박물관의 Think tank 역할 필요 사업부서관련 수행사업은 사업부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지방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어야 함 관리과 지방박물관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분야별 필요인력 확보가 필요함(전산, 시설, 농림, 조경, 방재 분야 등) 고객지원팀 고객지원 서비스를 위한 예산 편성 문제 개선 필요 관람객 서비스 제공 업무가 대부분 계약직에 의해 수행되고 있음 서비스 제공 편의를 위한 신규업무가 빈번하게 발생하나 타부서와의 업무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음 전시 sign물 정비 및 올바른 전시해설 교육을 위해 학예직 인력 보강 필요 박물관의 Think Tank 조직으로서의 역할 강화 지방박물관의 필수 인력 확보 지방박물관 기능 확대를 위한 인력의 효율성 배치가 필요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지방박물관의 조직은 기획운영 기능과 학예연구 기능으로 구분하여 운영되고 있음 대구박물관 조직 및 기능 조직 및 인원 주요 특징 대구박물관 기획운영기능은 지방박물관의 기획 및 행정적 지원업무, 고객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 학예연구기능은 크게 등록, 보존, 수장고 관리, 전시, 교육, 홍보 기능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지방박물관 특화 사업과 연계하여 운영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 기획운영과 학예연구실 정규직 정원 14 10 현원 계약직 21 무기계약직 2

1-5. 조직 및 기능분석 (인터뷰) 1. 내부환경 대구박물관의 인터뷰 결과, 지방박물관의 특성화에 따른 전문인력의 보강이 필요하며 복합문화공간 조성 및 활용을 위한 전문가 역량 확보와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력의 확보가 필요함 대구박물관의 이슈 부서명 현황 및 이슈 기획운영과 지방박물관의 특성상 시설유지 보수를 위해 건축직이 필요 On-line 서비스 제공 및 홍보를 위해 전산직이 필요하나 없는 상태임 복합문화공간 조성에 따른 전시기획의 전문성 확보가 필요 지방박물관의 시설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방호인력이 최소한 전시실별로 1명씩은 필요함 도서실 규모에 비해 인력이 부족현재 사서직, 기능직 각 1명) 학예연구실 유물등록의 원활화 및 기간단축을 위해 인력확충 필요 수장고 관리인력의 전문성 확보 필요(현재 기능직이 수행) 보존업무 처리를 위해 지역별 특성에 맞는 전문가 확보 필요 (섬유분야 보존 인력) 시설유지관리, 정보서비스, 방호, 도서실 등 기본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인력의 확보가 필요 지방박물관의 특화된 전문성 확보 및 미등록 유물의 조속한 처리를 위한 인력의 확보가 필요

1-6. 내부환경의 시사점 1. 내부환경 관람객 수요 증가에 따른 질 높은 콘텐츠 개발과 유물보존 및 관리에 필요한 인력의 확보와 함께 박물관의 기본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의 강화가 필요함 내부환경 요약 강점 약점 안정적 예산 및 재정 사업추진의 안정성 관람객의 증가 추세 운영의 자율성 부족 중장기 전략 방향 미흡 고객관리 서비스 지원체계 미흡 비정규직 과다에 따른 책임성 미흡 전문인력 확보 부족 전문인력의 탄력적 운영관리 미흡 조직전체 차원에서의 Control Tower 기능 미흡 조직구조는 수요자 중심의 전방조직(Front Office) 체계를 잘 갖춘 형태임 인력운영에 있어서 비정규직 활용 비율이 43.1% 높게 나타남(공공, 정부부문 비정규직 인력 비율 23~27%) 조직 및 인력 유물관리 보존유물이 69만 여점 중 미등록 유물이 29만 여점으로 미등록 해소를 위한 방안이 필요함 수장고가 포화상태로 수장고의 확충이 시급함 관람객 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 수는 2010년 기준 세계 9위에 해당하나 내국인 관람객이 95% 이상을 차지함 연평균 12% 정도 관람객 수가 증가하는 추세임 전시위주의 행정으로 유물의 발굴조사 및 연구기능이 미흡 다양한 전공분야의 분야별 전공자 Pool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함 전시에 있어서 양보다는 질적인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두어야 함 비정규직 인력의 과다 및 활용으로 업무의 책임성 미흡 관람객 증가에 따른 고객서비스 및 질 높은 전시기획의 중요성이 부각됨 지방박물관의 필수 인력 확보 필요 조직 및 기능 인터뷰 업무의 책임성 강화를 위한 전문인력의 보강 박물관 유물보존 및 시설유지에 필요한 필요 인력 확보 박물관의 발굴조사 및 연구 기능 강화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콘텐츠 개발

창조적 실용주의(Creative Pragmatism) 2-1. 문화정책 2. 외부환경 현 정부는 “선진화를 통한 세계 일류국가”라는 국가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창조적 실용주의”를 행동규범으로 설정하고, 현 정부의 문화정책에서는 공공서비스 혜택이 전 국민에게, 그리고 이들의 생활 속에서 체감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음 국가비전 선진화를 통한 세계일류국가 행동규범 창조적 실용주의(Creative Pragmatism) *실질적인 성과 중시, 현실적인 적합성, 새로운 목표와 방법의 창안, 체계적인 문제 인식과 해결 국정목표 新발전체제 구축의 6대 목표 설정 5대 국정지표 섬기는 정부 정부조직 개편, 공기업 민영화 · 효율화, 행정규제 개혁 엄격한 법질서 확립 활기찬 시장경제 FTA의 적극적 추진과 투자 유치, 과감한 규제개혁과 기술혁신 촉진 개발과 환경의 조화, 시장성과 공공성의 조화 능동적 복지 생산적 복지와 맞춤형 복지, 빈곤의 대물림 차단, 일 · 여가 · 교육을 3대 엔진으로 하는 복지, 고령화 사회 대응 지도층의 노블리스 오블리주, 사회적 자본 함양 인재대국 교육개혁, 대학경쟁력 강화, 평생직업능력 개발 과학기술 투자, 우수 과학 인재 유치 성숙한 세계국가 비핵 · 개방 · 3000구상, 21세기 창조적 한미동맹 新아시아 비전 외교, 한반도 경제공동체

2-1. 문화정책 2. 외부환경 문화체육관광부는 우리사회의 환경 변화와 창조적 실용주의라는 현 정부의 국정철학을 반영하여 ‘공공성의 원칙’과 ‘효율적인 운영’ 두 가지를 문화정책 방향으로 설정,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다음과 같이 기본원칙과 방향을 설정함. 기본 원칙과 방향 1 문화예술 본연의 가치 강조 문화예술은 그 자체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완성도 높은 문화예술작품은 창작자뿐만 아니라 수혜자에게도 예술이 주는 본질적 가치를 음미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 2 문화예술 지원 체계 개선 효율적이고 투명하며 집중된 지원행정을 위하여 공공성 원칙과 효율성 원리에 기반하여 기존의 문화예술 지원체계 개선을 추진 3 사회적 취약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새 정부는 국민 모두가 문화를 향유할 수 있고, 문화를 통해 함께 소통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사회적 취약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에도 초점을 맞춤 4 예술인 복지 및 창작 역량 제고 문화예술의 완성도와 가치 제고를 위해 예술 창작 역량 및 창작기반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 현 정부는 창작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창작 팩토리 사업과 같은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지원 5 녹색생활문화 기반 조성 저탄소 녹색성장이 우리나라의 차세대 성장기조로 자리 잡으면서 녹색생활문화 기반 조성이 문화정책의 한 방향으로 설정 6 한글 등 전통문화자원의 활용 강화 현 정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과 정신이 글로벌 시대에 새로운 가치로 성장하고 확대될 수 있다는 인식 아래, 전통문화자원을 현대적으로 변용, 창조적으로 활용토록 정책 방향을 수립 7 인문학과 저작권에 기반한 문화콘텐츠 활성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문화콘텐츠 산업 활성화는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한 인문학과의 연계성 속에서 성장, 발전할 수 있다는 인식 아래, 새 정부는 인문학을 바탕으로 자연 과학, 첨단기술 등 영역이 통섭하는 소프트 파워 형성을 문화정책의 한 방향으로 설정

2-1. 문화정책 2. 외부환경 문화체육관광부는 앞서 언급한 문화정책의 기본원칙과 방향에 따라 중장기 문화비전을 아래와 같이 수립함 현 정부의 중장기 문화비전 중장기 문화비전 품격 있는 문화국가, 대한민국 4대 목표 및 32대 중점과제 문화향유 기반 확대 콘텐츠산업의 경쟁력 강화 선진형 관광레저 산업 육성 우리 문화의 위상 제고 + 32대 중점과제 추진방향 문화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 전통문화와 정신의 현대적 변용 및 창조적 활용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쟁력 제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문화향유 기회 확대 국가정책 수립시 문화적 관점 반영 정부·지방자치단체 · 민간 간의 실용적 역할 분담 ‘녹색성장’을 위해 녹색생활문화 기반 확충 및 사회적 공감대 형성 콘텐츠 수출 기반 조성 및 저작권 보호 강화 ‘문밖을 나서면 15분 안에 스포츠를’

2-2. 문화재정책 2. 외부환경 문화재청의 문화재 정책은 현안 대응위주의 문화재 보존에서 예방적 · 과학적 보존으로, 점(點)단위 보존에서 면(面), 선(線) 단위의 입체적 보존으로, 원형보존에서 활용을 통한 가치 재창조로, 전통유산 중심의 지정 ·관리에서 미래 유산자원의 생산 · 발굴 등 문화재 정책의 전환을 도모하는 정책적 방향을 설정하고 있음 문화재 정책방향 문화유산의 보존과 가치창출로 민족문화 발전에 기여 미션 문화유산으로 국민에게 자긍심과 희망을 주는 문화행정 비전 정책목표 고품격의 문화재 행정 구현 최상의 서비스로 고객 감동 구현 문화유산으로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 정책 방향 성장동력 및 잠재력 확충 문화재 보존 기초역량 강화 -조사 · 연구 품질 향상, 전문화 · 과학화 문화재 정책 연구 · 개발 기능 강화 인적 · 물적 자원 투입 확대 협력적 소통 확대 국민 참여 문화재 정책 고도화 문화재 관리주체 간 협력체제 제도화 우리 문화유산 가치의 국제적 확산 도모 문화유산 관련 인문학적 기반 확충 문화산업 차원의 문화유산 활용전략 개발 문화유산 활용기준 정립 미래지향적 보존체계 확립 문화재 보존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문화재 보존시스템의 체계화 · 효율화 개발과 보존의 조화 가치 활용 극대화

2-2. 문화재정책 2. 외부환경 문화유산 관련 국외문화재 환수, 유네스코 등재 유산 등 관련 이슈의 증가와 모바일 문화 확산 등 문화유산 향유소비행태의 변화에 따라 문화재 정책의 사회적 기능의 확대와 문화유산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소화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시급함 문화재 정책 환경 문화재청 2011 정책목표와 추진과제 문화유산 관련 이슈 증가 및 국제적 평가 향상 - 국외문화재 환수, 문화재 보존과 개발 등 이슈 증가 - 유네스코 등재 유산 28건 보유(세계유산 10건, 다수보유국 22위) - 사회적 관심 증대에 비해 관계집단(정부, 전문가, 일반인 등)간 허브기능 미흡 모바일 문화 확산 등 문화유산 향유·소비행태 변화 - 탐방·관람과 더불어 가상체험(Virtual-Reality) 등 입체적 수요 발생 문화재행정의 선진화 요구 - 문화재 수리, 매장문화재 조사 등 분야별 정책 투명성 확보 - 문화향유 취약계층에 대한 문화유산 향유기회 확대 대응 방안 문화유산 가치의 지속적 발굴과 진흥으로 문화유산의 사회적 기능 적극 수행(문화정체성, 사회통합기능, 국격 등) 공정하고 투명한 문화재 보존관리 정책 수행으로 품질 제고 - 문화재 보수정비 사업의 공정성 확보, 제도․시스템의 고도화, 문화유산 보호의 사회적 안전망 확보 및 미래 전략 수립 문화유산의 다양한 스팩트럼을 소화할 수 있는 행정역량 제고 - 문화재 보호 활동집단 및 연구지원 집단 육성 및 협력, 인프라 확충

2-3. 박물관 정책 _ 프랑스 2. 외부환경 프랑스의 박물관 정책은 관람의 무료화 정책과 함께 박물관의 지방분권화를 통하여 지역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학예사 선발과 관련해서는 정부주도의 일원화 정책을 추진하여 학예사의 전문성을 보장하는 정책을 추진함 박물관 현황 정책 방향 박물관을 내용에 따라 미술박물관, 고고학 박물관, 역사 및 민속학 박물관, 과학 기술박물관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형식적으로는 개인박물관, 법인박물관으로 분류하고 있음 법인박물관의 경우 공공법인과 사적법인으로 분류하며, 공공법인은 정부·자치단체 ·공공기관으로, 사적법인은 협회 ·회사와 재단으로 분류 박물관의 수는 ’06년 1,299개관으로 OECD 국가 중 총 박물관 수 기준으로 6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프랑스내 5개 국 ·공립박물관의 입장객 수는 루브르박물관이 ’06년 8,314천명, 베르사이유박물관 4,742천명, 오르세박물관 3,009천명, 국립현대미술관 1,120천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점진적인 박물관 무료입장 정책 시행과 확대 - ’07년 10월 박물관 무료입장을 위한 시험 운영방안 발표 - 경제적인 이유로 예술을 향유할 수 없는 계층을 위한 정책 - 무료박물관 행사들의 특징은 개별 박물관이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적으로 구상되고 시행되어 세대간에 전달되어 문화국민이라는 자부심을 고취시키는데 있음 박물관의 지방분권화 - 중앙의 박물관관리국(DMF)과 지역문화사업관리국(DRAC)의 협조관계 속에서 DRAC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문화유산을 보호 하고, 그 지역 특유의 문화활동을 추진 국가주도의 전문성 있는 학예사 선발제도 - 국립박물관총국 산하에 국립박물관협회(RMN)을 두고, RMN 내부에 박물관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루브르학교 운영 - ‘90년 5월 국립문화유산학교를 설립하여 학예사 선발방식을 일원화 국제적인 후원을 통한 박물관의 재정자립 프랑스 국립박물관 입장객 수

2-3. 박물관 정책 _ 영국 2. 외부환경 영국의 박물관 정책은 관람 무료화 정책과 함께 지역의 산업시설을 이용한 관람객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박물관 관련 기관, 단체 등의 지역네트워크를 강화하고 협력하는 특징을 지님 박물관 현황 정책 방향 영국의 박물관·도서관 ·고문서 위원회에 등록된 박물관은 1,432개로 사립, 지방당국, 국가보호, 군사, 대학, 국립, 문화유산 박물관 등의 종류로 분류하고 있음 영국 국립박물관들은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을 중요시 하고, 박물관의 접근성 향상과 평생교육, 사회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제공할 박물관 학습프로그램을 구축 문화 ·미디어 ·스포츠부(DCMS)와 박물 ·도서관 ·고문서 위원회(MLA), 영국박물관후원협회(BAFM), 박물관협회 등 다양한 기관이 협력하여 박물관을 지원하고 있음 - 문화 ·미디어 ·스포츠부(DCMS): 프로그램 연구와 개발 지원 - 영국박물관후원협회(BAFM): 박물관 관련 기구와 단체, 후원자들과의 네트워크 구축 - 박물관협회(MA): 박물관 관련 종사자들의 대표기구 역할 박물관 무료입장 정책 - ’01년 12월부터 국립박물관 입장료를 폐지, 내/외국인 모두에게 무료로 개방하는 정책 시행 - 무료개방은 상설전시에 한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획전시는 유로로 운영함 산업시설을 재활용한 박물관 건립 - 도시조직의 재활성화계획의 일환으로 추진 기존 도심의 역사적 건물에 문화적 기능 또는 기타 공공기능을 부여하여 주변지역 활성화 - 기존 건축물 활용을 통한 신축비용의 절감과 함께 기존 도심의 역사적 건물에서 부가적으로 획득되는 무형적 가치 활용 박물관 협력망 운영 - 영국박물관의 특징은 지역별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교류하고 협력하는 특징이 있음 - 박물관공동체(NEMs) : 여러 종류의 박물관이 하나의 기관으로 묶여 운영됨. 북잉글랜드의 13개 박물관과 3개 미술관의 공동체 역할을 하나 법적으로는 하나의 박물관으로 등록 되어 있음

2-3. 박물관 정책 _ 미국 2. 외부환경 미국의 박물관 정책은 정부주도라기 보다는 조세감면을 통한 민간부분의 지원 활성화 정책을 통하여 박물관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음 박물관 현황 정책 방향 미국의 국립박물관은 정부에 의해 설립되었다기 보다 개인의 기증과 기부금을 국가가 사후관리를 책임지는 조건으로 설립된 특징을 갖고 있음 예산의 대부분을 연방정부로부터 승인을 얻어 교부 받고 있으나 법적·경제적 지위는 정부기관이 아닌 비영리조직임 미국 박물관협회(AMM)에서 규정한 박물관 정의에만 적합하다면 누구라도 박물관을 설립할 수 있음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스미스소니언기구 산하 박물관들을 들 수 있음 간접지원과 민간기금의 활성화 - 정부의 직접지원보다 조세 감면을 통한 간접지원이나 민간부분을 통한 지원이 활성화됨 IMLs(The Institute of Musem and Library Services)를 통한 기금지원 - IMLs는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박물관 역할을 강화하고 - 박물관이 국가유산을 관리하는 것을 지원하고 - 공공의 접근성을 장려함 비영리기관을 위한 조세제도(IRS Form 990) -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단체들의 설립과 운영을 장려하기 위해 연방세법 501조에 의거하여 연방세무국을 통해 비영리단체 인가를 얻으면 면세 혜택을 받도록 하고 있음 - IRS Form 990 양식에 의거하여 비재정적 정보들도 함께 제출할 것을 요구함

2-3. 박물관 정책 _ 일본 2. 외부환경 일본의 박물관 정책은 주요 국립박물관·미술관을 독립행정법인으로 전환시켜 운영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예술작품 등록체계 운영을 통하여 소장품을 많은 사람들에게 전시하는 특징을 갖고 있음 박물관 현황 정책 방향 일본의 국립박물관은 10개로 도쿄국립박물관, 교토국립박물관, 나라국립박물관, 국립역사민속박물관, 국립민족학박물관, 도쿄국립근대미술관, 교토국립근대미술관, 국립서양미술관, 국립국제비술관, 도쿄국립과학박물관이 있음 2001년 4월 일본 경제의 하향세에 따라 국립박물관 3개와 국립미술관 4개를 정부조직에서 독립행정법인으로 전환시킴 예술작품 등록체계 운영 - 예술작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를 대표하는 많은 작품들이 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된 채 일반인에게 전시되는 기회를 박탈하고 있다는 지적을 보완하기 위해 예술작품 등록체계를 통해 소장품을 대중에게 전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 보관과 관리가 까다로운 문화재들을 전문적인 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고, 보다 큰 규모의 박물관 기획과 전시장을 통해 대중에게 공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음 박물관을 통한 지역 미술관·박물관 계획 지원 - 지역문화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박물관과 미술관이 수행 - 박물관 마을 계획의 목적은 접근하기 쉽고 지역공동체가 개방 되어 사람들이 모여 함께 즐길 수 있는 창조적이고 매력적인 공간과 같은 미술관과 박물관을 만드는데 있음

2-4. 외부환경의 시사점 2. 외부환경 공공서비스의 확대와 함께 지역에 맞는 특화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모바일 확산 등 문화유산 향유행태 변화에 따른 인프라 구축 및 소장유물 정보의 체계화·네트워크화가 필요함 외부환경 요약 기회요인 위협요인 국립중앙박물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 국제교류 측면에서의 역할 강화 문화수요의 중대 박물관에 대한 관심 증대 정보전달매체의 다양화를 통한 박물관 홍보마케팅 기회 증가 학교연계프로그램으로 인한 교육기회 증대 공립·사립 박물관 네트워크 및 지원 강화 국제교류관련 전문성 부족 질 높은 서비스 요구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 부족 지방박물관의 특화된 서비스 제공 미흡 공립·사립 박물관 지원체계 미흡 공공서비스 혜택이 전국민에게 그리고 이들의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 문화정책 문화재정책 문화 유산관련 이슈 및 국제적 평가 향상 모바일 확산 등 문화유산 소비행태 변화 외국 박물관 정책 관람의 무료화 정책 소장유물 및 미공개 유물의 전시 확대 정책 박물관의 지방분권화를 통한 지역의 특화된 문화 강조 박물관 관련 기관, 단체 등과의 네트워크 강화 재정자립의 강화 및 지원 공공서비스의 확대 사회적 역할 수행을 위한 허브 기능 강화 문화유산 향유행태의 변화에 따른 대응 및 인프라 구축 지역문화의 특화된 콘텐츠 개발 및 지방박물관 기능 강화 소장유물 정보의 체계화 및 네트워크 기능 강화

3-1. 해외 박물관_영국(브리티시뮤지엄) 3. 벤치마킹 3-1. 해외 박물관_영국(브리티시뮤지엄) 3. 벤치마킹 브리티시박물관은 운영이사회와 실무부서로 구분되어 있으며, 실무부서는 소장품 관리부서와 행정지원부서로 나뉘어져 있으며, 주로 소장품 관리 및 연구분야와 전시, 교육프로그램 행사기획 등 관람객 서비스 분야에 많은 인력이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음 브리티시뮤지엄(2007) 조직도 인력 주) British Museum(2007), The British Museum Report and Account for the Year Ended

3-2. 해외 박물관_일본(독립행정법인) 3. 벤치마킹 3-2. 해외 박물관_일본(독립행정법인) 3. 벤치마킹 독립행정법인 본부는 본부사무국장 1인, 연구조정역 2인,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무기획과, 재무과, 경리과, 환경정비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독립행정법인 국립박물관에서는 자율적으로 해당 특화분야에 맞게 운영하고 있음 독립행정법인 본부사무국(2010) 일본의 독립행정법인은 중앙정부로부터 서비스 기능과 같은 집행적 업무를 분리하려는 것이 목적임 작은 정부를 지향함으로써 성립된 조직으로, 역사적으로 지방분권화 특성이 강한 부분과 잘 연계되어 문화재 관련 기능과 역할을 재배치하는데 있어서 대상의 범주를 단순화하는데 기여한 측면이 있음 반면 독립행정법인화 후 재정적인 면에서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음  미국과 같이 조세지원제도 구축되지 않고 기부문화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펀드를 조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 독립행정법인화는 장기적으로는 세계 속에서 일본 문화의 전시하는 박물관의 역할 약화로 부정적인 측면이 있을 것임

3-2. 해외 박물관_일본(독립행정법인) 3. 벤치마킹 3-2. 해외 박물관_일본(독립행정법인) 3. 벤치마킹 도쿄국립박물관은 총무부에서 총무과, 경리과, 환경정비실 등을 두고 있으며, 학예기획부는 기획과, 박물관교육, 박물관정보과, 홍보실을 두고 있음. 학예연구부는 열품관리과, 조사연구과, 보존수복과를 두고 있으며, 그와 상석연구원(전문가)가 있음 도쿄국립박물관 조직도(2010)

3-2. 해외 박물관_일본(독립행정법인) 3. 벤치마킹 3-2. 해외 박물관_일본(독립행정법인) 3. 벤치마킹 교토국립박물관은 총무과와 학예부를 두고 있으며, 총무과는 총무·인사, 사업추진, 재무, 환경정비 업무를 담당하고 있음. 학예부는 기획, 열품관리, 제휴협력, 교육, 보존수리지도, 미술, 공예, 고고, 문화재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음 교토국립박물관 조직도(2010)

3-3. 국내 박물관_목포해양문화재 연구소 3. 벤치마킹 3-3. 국내 박물관_목포해양문화재 연구소 3. 벤치마킹 목포해양문화재연구소는 전시홍보, 학예연구, 발굴 기능이 세분화되어 있으며, 특히 전시홍보에 많은 인력배치를 하고 있음 목포해양문화재연구소(목포해양박물관) (인원: 70) 목포해양박물관은 1실 4과 1사무소로 편제되어 있으며 인력은 70명임 학예연구기능이 수중발굴, 해양유물연구 조직으로 세분화되어 있음 전시 및 홍보 기능이 세분화되어 있고 인력 14명으로 많은 인력을 배치하고 있음 소장 부속실 (14) (19) (9) 기획운영과 전시홍보과 수중발굴과 해양유물연구과 태안사무소(3) 서무(5) 시설관리(6) 보안/청소 (14) 전시 (5) 교육/홍보(8) 발굴(10) 보존(8) 연구(7) 서무(1)

3-4. 국내 박물관_국립고궁박물관 3. 벤치마킹 국립고궁박물관은 입지여건상 전시 및 홍보기능, 보존과학기능을 강화하고 있는 특징이 있음 국립고궁박물관 (인원: 37) 국립고궁박물관은 3개과로 편제되어 있으며, 37명의 인력이 있음 박물관의 입지상 전시 및 홍보에 1/3의 인력을 배치하고 있음 타시도 박물관에 비해 유물과학과를 두고 있는 특징이 있음 관장 (12) (12) (12) 기획운영과 전시홍보과 유물과학과 기획 및 지원(8) 시설(3) 전시/교류(6) 교육/홍보(5) 유물관리(7) 보존/복제(3) 정보화(1)

3-5. 국내 박물관_부산박물관 3. 벤치마킹 부산박물관은 타 광역시·도에 비해 인력이 많은 편이며, 기능이 세분화된 특징이 있음 부산박물관 (인원: 43) 부산박물관은 1실 1과 3팀 1전시관으로 편제되어 있으며, 43명의 인력이 있음 인력은 타광역시도 박물관에 비해 많은 편임 관리과는 관리담당, 시설담당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학예연구실은 유물관리팀, 전시운영팀으로 구분되어 있음 문화재조사팀은 별도로 학예연구실에서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음 관장 (17) (16) (9) 관리과 학예연구실 문화재조사팀 관리담당 시설담당 유물관리팀 전시운영팀 동삼동패총전시관(3)

3-6. 국내 박물관_인천시립박물관 3. 벤치마킹 인천시립박물관은 유물관리보다는 전시 및 교육에 많은 인력을 배치하고 있는 특징이 있음 인천시립박물관 (인원: 35) 인천시립박물관은 3과 2팀 2관으로 편제 되어 있으며, 인력은 35명임 유물관리기능보다는 전시 및 교육에 많은 인력을 배치하고 있음 관장 (10) (4) (6) (6) (8) 관리과 유물관리과 전시교육과 송암미술관 검단 선사박물관 총무팀 시설팀 관리팀 학예팀 관리실 학예연구실

3-7. 국내 박물관_경기도박물관 3. 벤치마킹 경기도박물관은 타 광역시도 박물관에 비해 학예연구기능이 세분화되어 운영되고 있는 특징이 있음 경기도박물관 (인원: 27) 경기도박물관은 1실 4팀으로 편제되어 있으며, 27명의 인력이 있음 학예연구실은 학예팀, 교육교류팀, 유물관리팀으로 세분화되어 있음 관장 학예연구실 (7) (6) (6) (6) 학예팀 교육교류팀 유물관리팀 행정지원팀

3-8. 벤치마킹의 시사점 3. 해외 박물관 해외 박물관의 경우 정규직 전문인력의 활용을 통해 업무의 책임과 역할을 강화하고 있음 국내외 박물관 사례 요약 해외박물관 조직 소장품 관리와 지원부서로 편제 소장품관리 및 보존, 조사, 연구, 전시, 교육 등 주요 기능에 대해 통합형 운영 체계와 분리형 운영 체계로 나뉘어져 조직화되어 있음 소장품 관리 및 보존, 조사연구, 전시 및 교육의 유기적인 운영체계 필요 정규직을 통한 책임있는 박물관 운영 필요 소장품 관리, 조사연구 및 보존, 문화향수 증진 및 행사 등에 많은 인력을 배치하고 있음 정규직 인력을 통한 박물관 운영(브리티시뮤지엄의 경우 정규직이 전체 인력의 97.1%를 차지) 해외박물관 인력 광역시도 수준에서의 지방박물관의 경우 기획운영, 학예연구기능으로 크게 구분하고 있으나 학예연구기능의 팀단위 조직을 2~3개 팀으로 세분화하여 운영하고 있음 인력은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7명~70명 까지 운영되고 있음 국내박물관

Table of Contents 프로젝트 Framework 환경분석 중장기 전략방향 기능 및 업무분석 직무조사 적정인력산정 인력재배치

1-1. 박물관 정책 방향 1. 전략적 방향 설정 박물관 정책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하고, On-Off 라인을 통한 서비스의 확대, 지역중심의 특화된 박물관, 보존 중심에서 보존과 활용의 조화,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 확대 등의 정책 변화가 필요함 박물관 정책환경의 변화 박물관 정책 방향 지식을 기반으로 한 산업화 시대 -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양성과 평생교육을 위한 대안공간으로 박물관의 역할을 재조명 - 박물관 활동이 새로운 문화콘텐츠로서 중요성이 인식 - 중요한 관광자원인 박물관의 콘텐츠를 가지고 디지털화하거나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장하여 창조적인 복합문화공간 으로 기능을 수행해야 함 관람객을 위한 박물관의 새로운 역할 정립 - 유물 보관의 소극적인 개념에서 유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내는 개념으로 전환 - 관람자 또는 참가자가 원하는 수준까지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전시기획 및 프로그램 제공과 함께 부대 서비스를 제공 - 박물관을 이용자 중심으로 운영을 현실화 On line과 Off line의 결합으로 서비스 범위 확대 - 가상공간을 통하여 감상하고 무한하게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온라인망을 통한 박물관의 국제적 교류 확대 다원화·민주화·세계화된 시대 - 세계적으로 다문화 가정을 위한 정책적 지원 등 문화다양성이 보편화 됨 - 외국인 이주노동자, 혼인의 증가로 인해 다원화 사회로 가고 있는 추이로 볼 때 국가의 정체성을 세계에 알릴 수 있도록 자국의 문화본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 - 국가간의 교류활성화를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중앙박물관 내실화 및 지방박물관 특성화 중심으로 - 기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특성을 내실화하면서 소장품별 특수한 전문박물관의 육성과 지원이 필요 관광산업의 중요성 확대 - 문화관광의 시대를 맞아 문화관광상품으로서 높은 경쟁력을 갖춘 박물관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에 대한 요구가 확대 - 유형의 유물 중심에서 무형의 체험중심으로 변화하는 추세로 박물관의 사회적 가치를 확고히 할 수 있음 소장품의 보존 중심에서 보존과 활용의 조화 - 박물관 활동의 기준과 가치가 큐레이터에서 소비자로 변화, 즉 박물관은 이용자의 요구에 관심을 기울여야 함 - 전시, 사회교육, 문화행사 기능이 강조되는 추세. 상대적으로 소장품의 수집, 보존, 연구기능이 축소 - 박물관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뒷받침할 수 있는 협력망 구축이 중요 지역간 균형발전 시대의 정착 - 박물관을 비롯한 문화기반시설의 불균형으로 인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박물관 역할이 중요해짐 - 지역사회의 문화적 수요와 결합된 특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차별화하여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역할과 평생학습센터로서의 가교 역할이 중요 교육기관으로서 박물관 역할 강조 - 교육과 테크놀러지를 통한 박물관의 혁신 추구 - 박물관 기능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역할과 교육적 역할 대두

1-2. 문화예술의 트렌드 1. 전략적 방향 설정 모바일 확산에 따른 소비자 향유 스타일 변화, 문화자원의 세계화 및 다문화 가정 확산에 따른 문화의 다양성 전제, 지역중심의 특화된 문화, 창의적인 문화, 고령화 인구 증가에 따른 라이프 설계의 변화 등 문화적 트렌드에 맞는 박물관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문화예술의 10대 트렌드 주) 자료: 2011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한국문화관광연구원)

1-2. 문화예술의 트렌드 1. 전략적 방향 설정 New technology를 활용하여 접근성이 어려운 계층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역할을 다할 수 있는 박물관으로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문화예술 트렌드 스마트 컬쳐 시대 스마트 기술이 기술적 진보를 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차원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임 스마트 기술로 인해 문화예술의 생산과 소비/향유의 경계도 붕괴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소셜네트워크 (SNS)의 파워가 확대 가치와 윤리의 문화가 확산되면서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사회적 책임 공유가 온라인상에서 확산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 수행 일과 놀이, 일과 여가 등의 경계가 불명확한 시대에서 스마트 기술을 이용한 질 높은 서비스 제공 기회 확대 New technology를 이용하여 접근성이 어려운 이용자에게 질 높은 서비스 제공 새로운 독서문화 전차책은 언제든지 휴대가 가능하고 장기간 소지해도 손상되지 않는 특성을 지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여 내용의 이해를 높이고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소외계층에 대해서도 보다 많은 교육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1-2. 문화예술의 트렌드 1. 전략적 방향 설정 문화자원 확보 경쟁에서의 선도적 역할 및 다문화 정착을 문화 확산의 기회 제공자로서의 박물관 역할 재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문화예술 트렌드 문화자원의 확보 경쟁 심화 문화관광산업의 발달과 함께 전세계적으로 문화자원 확보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음 국가적으로 약탈 문화재 반환,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삭제가 유네스코의 핫이슈로 부상 전통문화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가속화되고, 전통문화 콘텐츠 개발과 문화유산을 스토리텔링과 결합하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지면서 국가간, 지역간 저작권 경쟁이 심화 문화자원 확보 경쟁에서의 박물관의 선도적 역할 강화 다문화 정착을 위한 세계적 문화 교류의 기회 제공자 역할로서의 박물관 기대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것처럼 유물의 발굴조사 및 연구 기능의 강화를 통하여 인프라 구축을 튼튼히 해야 할 것임 다국적 문화 결합 및 다문화 가정 확산 세계적인 문화산업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국적 자본과 기술의 협력시스템에 기반을 둔, 세계 보편적 문화 욕구에 부합하는 문화상품 제작이 활발해짐 다문화 가정의 확산에 따른 미래지향적 다문화 사회 마련을 위한 다문화 패러다임의 변화가 시급함

1-2. 문화예술의 트렌드 1. 전략적 방향 설정 박물관을 통한 사회적 공헌 활동과 함께 형식적인 것이 아닌 실질적인 질 높은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임 문화예술 트렌드 사회공헌 활성화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 콘텐츠 개발과 찾아가는 서비스 확대 박물관 교육을 통한 창의적 인재 양성에 기여하기 위해 형식적인 것이 아닌 실질적인 질 높은 콘텐츠 개발 필요 박물관을 통한 사회적 공헌 활동 강화 박물관의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위한 박물관 환경 개선에 노력해야 할 것임 ISO26000의 발효로 공식화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의 강조로 예술가 및 예술단체의 사회공헌 활성화 지원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기업의 찾아가는 메세나 활동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임 문화예술 소외지역 및 소외계층에 대한 찾아가는 문화예술공연이 증가하고, 사회공헌 활동의 자발적 노력이 두드러짐 문화예술교육 확대 문화예술 향수 및 문화예술교육의 소득별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창의성과 인성함양을 위한 초·중등예술교육활성화 기본방안’을 마련 기업에서도 직원 및 직원가족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사업 사례가 증가하는 등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창의력 육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짐 베이비붐 세대의 증가와 함께 생애설계에 대한 관심·사회적 이슈로 등장

1-2. 문화예술의 트렌드 1. 전략적 방향 설정 지역박물관의 특화된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하는 박물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해나가야 할 것임. 이를 위한 전시 및 행사 기획 전문가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문화예술 트렌드 지역문화 중심 문화의 중심축이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두드러짐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문인력 활용의 한계, 지역 문화예술축제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지역문화공동체를 발굴, 활성화하려는 추세를 보임 지역 박물관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문화 전통 계승에 기여 박물관 전시 및 행사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전문가 양성 및 콘텐츠 개발 필요 문화예술 일자리 창출 노력 지속 문화예술분야 일자리 1만여 개 창출을 목표로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중이나 단기계약직 중심이라는 한계점 노출 지역문화예술 진흥과 수요자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문화예술계 전문인력 양성이 커다란 과제로 제기됨

2-1. 정책적 추진 방향 2. 국립중앙박물관의 정책 방향 국립중앙박물관의 현황 분석 및 문화예술의 트렌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박물관의 정책적 방향은 다음과 같음 문화예술 트렌드 박물관 정책 방향 스마트 컬쳐 시대 박물관의 역량 확보 및 내실화 추구 새로운 독서문화 관람객을 위한 박물관의 새로운 역할 정립 문화자원의 확보 경쟁 심화 On line과 Off line의 결합으로 서비스 범위 확대 다국적 문화 결합 및 다문화 가정 확산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중앙박물관 내실화 및 지방박물관 특성화 중심으로 사회공헌 활성화 소장품의 보존 중심에서 보존과 활용의 조화 문화예술교육 확대 교육기관으로서 박물관 역할 강조 지역문화 중심 공립·사립 박물관 지원 강화 문화예술 일자리 창출 노력 지속

Table of Contents 프로젝트 Framework 환경분석 중장기 전략방향 기능 및 업무분석 직무조사 적정인력산정 인력재배치

1-1. 기능 및 업무 분석의 체계 1. 기능 및 업무분석 중장기 정책과제의 수행, 조직단위별 수행업무 비중 및 인력의 변화 요인을 검토하여 기능의 재설계를 실시함 기능 및 업무분석 인력변화 요인 검토 중장기 정책과제의 반영 조직 및 기능 신설 수요의 증가 부서 미션의 적합성 중장기 정책과제의 수행 박물관 관리에 필요한 필수인력 방호인력 아웃소싱 - ’13년까지 6명 정년퇴직 - 방재인력 확보 기능재설계 정책과제 수행을 위한 인력 소요 검토 예산 반영 사업의 검토 조직단위별 업무비중 분석 주) 인력 증감 요인 검토시 현재 전체 인력의 43.1%를 비정규직으로 운영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 부서별 / 기능별 업무비중 분석 부서 기능 수행을 위한 인력 소요 검토

박물관 시설의 건축 및 기능신설에 따른 인력증가 요인 발생 1-2. 주요 정책과제 1. 기능 및 업무분석 조직 및 기능의 신설, 주요 정책과제 수행을 위한 인력의 변화 요인을 검토하여 기능재설계에 반영함 주요 정책과제 국립나주박물관(나주종합수장고) 개관 준비·운영 신설 국가귀속문화재 체계적 관리를 위한 종합수장고 건립 박물관 시설의 건축 및 기능신설에 따른 인력증가 요인 발생 기증유물 감정평가센터 설치·운영 박물관 복합문화센터 건립에 따른 시설관리 강화 지방박물관 방재업무 강화 박물관 전시 디자인 업무 통합·강화 지방박물관 정보서비스 개선 예산반영 찾아가는 박물관 소장유물 관리시스템 선진화 및 공개 활성화 박물관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부족 인력 확보 박물관 출판·콘텐츠 개발 강화 국립경주박물관 관람환경 개선 및 효과적 전시 운영 주요유물 복제사업 실시 박물관 아카이브 구축

1-3. 기능별 업무량 분포 1. 기능 및 업무분석 직무조사 자료를 통한 업무량 검토 결과,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수집·보존, 관람객서비스, 교육 등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조사 · 연구 및 홍보마케팅 기능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전체 수행업무 분포 1 행정지원 27.3% 2 행정기획 2.7% 3 조사연구 2.6% 4 수집 보존 35.6% 5 교육 13.6% 6 관람객서비스 14.9% 7 홍보 마케팅 3.4% 작성 업무량 중 고유업무와 공통업무를 91% : 9%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고유업무 중 직접부분과 간접부분의 업무비율이 7:3 정도로 나타남 전체 고유업무 중 수집, 보존 기능, 관람객 서비스, 교육 등의 순으로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조사연구 기능 및 홍보 마케팅 기능의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고유업무 (91.3%) 공통업무 (8.7%) 주) 직무조사표를 근거로 작성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연구기획부 1. 기능 및 업무분석 연구기획부의 연구기획기능의 강화 및 디자인 업무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4명 정도의 인력 보강이 필요함 연구기획부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연구기획부는 학예연구실의 기획 및 총괄 부서로 control tower 기능을 수행하는 부서이나 연구기획보다는 상대적으로 교류 및 협력 기능을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소장유물관련 연구, 전시기법 및 체계 개선, 전시디자인 및 환경개선 등 연구기획 기능의 강화 및 전문 인력의 보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 미공개 유물 전시 및 활용, 표준유물관리시스템 개선, 국가귀속문화재 등록 체계, 권역별 종합수장고 건립 등 박물관 연구 기획 기능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인력 보강필요 (2명) - 박물관 전시 디자인 및 환경개선을 위한 인력 보강 필요(2명) * 외국 박물관의 경우 15~20명의 전문디자이너로 구성된 디자인실 운영(메트로폴리탄 23명, 브리티시박물관 32명, 루브르박물관 78명, 동경박물관 9명 등)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유물관리부 1. 기능 및 업무분석 문화관광연구원의 권역별 수장공간 예측 결과, 권역별 수장공간은 2011년에 비해 2025년까지 4배 정도 늘어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권역별 수장공간 예측 권역별 수장고는 유물을 최적의 상태로 보관 및 관리하여 다음 세대까지 보존하기 위한 시설로서 수장관리의 전문성을 갖춘 조직과 인력이 필요함 기존 박물관과 연계하여 운영의 효율성을 확보하면서 수장품의 반입, 등록, 관리 등 수장관련 분야의 전문성 확보가 중요함 수장의 합리화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 유물 반입 단계부터 유물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운영체계가 필요할 것임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유물관리부 1. 기능 및 업무분석 권역별 유물 수장량의 변화에 따른 년도별 소요인력은 다음과 같음 권역별 유물 수장량의 변화 권역별 유물 수장량의 변화를 보면 2017년까지 연평균 20% 정도씩 증가되는 추이를 나타냄 권역별 유물 수장량 규모 및 평균 증가율 감안한 소요 인력은 다음과 같음 나주수장고 추가 소요 인력 (단위: 명) - 2012년 나주수장고 운영을 위해 3명이 필요함(유물등록 2명, 보존처리 1명) 주) 경주 및 공주 수장고는 박물관 시설의 확장에 따라 관리인력의 추가 필요함 - 경주(2014년 완공): 학예사 5명 (학예연구 3명, 보존처리 2명) - 공주(2015년 완공): 학예사 3명 (학예연구 2명, 보존처리 1명) 주) ’08.3월 장관지시사항, ’08~’09년 국정감사시 지적사항 반영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유물관리부 1. 기능 및 업무분석 유물관리부의 유물정보의 체계적 관리 및 대국민 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해 6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함 유물관리부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유물관리부의 고유업무 중 소장유물등록에 60% 정도의 많은 시간을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기증유물에 대한 감정평가기능 및 전문인력이 없음  대외적인 유물평가기관으로서의 위상 및 리더 역할 필요  감정평가센터 소요인력: 5명(센터장 , 학예사 3, 통계1) 소장유물에 대한 정보공개 활성화 방안에 소극적  정보공개의 적극적 추진을 통한 서비스 강화  추가 소요인력 1명(전산직) 주) 대통령 업무보고에 포함된 사항임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유물관리부 1. 기능 및 업무분석 미등록유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정보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3명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미등록 유물 처리예정 현황(’11) 인원(명) 등록 예정 수량(점) 비고 일제강점기 (중앙) 국가귀속 계 중앙 지방 41 13 76 130 43,716 14,841 93,208 151,765 목표수량:139,375 현 등록률 : 108% ’11.1 현재 미등록 유물이 293,563점으로 미등록 유물의 1년간 일시 완전 해소를 위하여 263명이 필요한 상황임 (293,563점 / 1인당 년간 처리건수 1,115점= 263명)  연도별 예산에 의해 추진되는 사업으로 현재의 상황이 지속된다면 2016년까지는 유물등록사업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미등록 유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2012년 2명, 2013년~2014년 각 1명의 인력이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미등록 유물의 처리(예정 기간)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고고역사부 1. 기능 및 업무분석 고고역사부의 업무는 전시업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사연구기능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고고역사부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고고역사부 업무의 특징은 고유업무 중 상설전시, 특별전시, 테마전 등 대국민서비스를 위한 전시기능에 54.5%의 업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고고역사부의 조사·연구 기능은 매우 미흡(3.7%), 조사연구 기능의 역할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조사연구기능 강화 2명(고고학, 역사학 각 1명)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미술부 1. 기능 및 업무분석 미술부의 업무는 전시업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사연구기능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미술부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미술부 업무의 특징은 고유업무 중 상설전시, 특별전시, 테마전 등 대국민서비스를 위한 전시기능에 74.1%의 업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미술부의 조사·연구 기능은 매우 미흡(4.8%), 조사연구 기능의 역할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조사연구기능 강화 2명(학예연구 2명)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아시아부 1. 기능 및 업무분석 아시아부의 업무는 전시업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사연구기능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서아시아의 전문인력의 보강이 필요함 아시아부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아시아부 업무의 특징은 고유업무 중 상설전시, 특별전시, 테마전 등 대국민서비스를 위한 전시기능에 64.9%의 업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아시아부의 조사·연구 기능은 매우 미흡(10.6%), 조사연구 기능의 역할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조사연구기능 강화 2명(학예연구 2명)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보존과학팀 1. 기능 및 업무분석 보존과학팀의 경우 중요 문화재의 수준 높은 복제를 통하여 한국실 및 지방박물관 전시품을 확보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해야 하며, 대외적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박물관의 이미지를 강화해 나가야 함 보존과학팀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서화 복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복제업무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 현재까지는 100% 외부 위탁사업으로 추진하였으나 국내에서는 복제 전과정을 일괄로 처리할 수 있는 곳은 전무한 상태로 복제품의 완성도가 미흡한 실정임  중요 문화재의 수준 높은 복제를 통하여 해외 유명 박물관의 한국실 및 지방 박물관 전시품 확보의 차원에서 업무의 강화가 필요함  복제 전문인력 2명 필요 (분석 담당 1명, 장황 및 공예담당 1명)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문화사업과 1. 기능 및 업무분석 박물관 소장자료를 On-Off 라인을 통해 대국민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전문인력이 부재한 상태로 전산전문인력의 확보가 필요함 문화사업과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문화사업과는 문화사업, 출판, 정보화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박물관의 특화된 출판, 콘텐츠 개발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및 사업화 모델 개발 필요(현재 별정직 1명)  출판 전문인력 보강 1명 외국의 박물관 사례에서 보듯 박물관의 On-Off 라인을 통합한 서비스 제공이 추세임을 감안하여 볼 때 지방박물관 전산 및 정보관련 전문가가 매우 부족함  현재 전주, 부여, 제주, 공주 등에만 전산인력이 배치되어 있음  나머지 7개 지방박물관에 전산인력 배치 필요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전시과 1. 기능 및 업무분석 관람객의 증가와 함께 전시 횟수의 양적인 증가보다는 질적인 측면에서의 전시기획 및 특화된 콘텐츠의 개발이 시급할 것으로 보임 전시과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전시과 업무는 국내 기획전시, 전시디자인, 국외 기획전시 등의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박물관 관람객 수가 ’07년 기준으로 연평균 12%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기획전, 특별전, 테마전, 특별전의 경우 연간 평균 21건 기획전시를 하고 있음  해외유물전시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나 국제교류협상을 위한 전문가가 없는 상황임  국제전시협상 전문가(1명) 및 전시기획전문가(2명) 필요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국제교류홍보과 1. 기능 및 업무분석 해외마케팅 활동을 통한 박물관의 위상 제고를 위해 전문인력의 보강 필요함 국제교류홍보과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국제교류홍보과의 업무는 국제교류와 홍보마케팅의 업무로 구분되어져 있음 박물관 관람객 중 내국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96~97%를 차지하고 있어 외국인 관람객 유치를 위해 전략적 홍보마케팅을 강화해야 함  기관 중심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참여 확대 및 인적교류 활성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상황임  국제사회에서의 중심역할 수행으로 박물관 위상 제고와 우리 문화재의 해외진출 및 외국인 관람객 유치를 위한 전문인력 보강(해외 홍보전문가 1명) 확대되고 있는 국제교류 분야의 전문인력 1명(전문계약직) 추가확보 필요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교육과 1. 기능 및 업무분석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 구축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및 질 높은 찾아가는 박물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력보강이 필요함 교육과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교육과의 업무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도서관 운영, 교육관 관리로 구분되어져 있음 현재 도서관은 사서직 1명과 계약직으로 운영되고 있어 디지털 도서관으로의 역할 수행이 불가능하고 이용자 증가에 따른 서비스 확충이 시급함  도서관법상 사서직원 배치 기준에 따른 소요 인력: 건물면적 기준 4명 필요(330㎡ 당 1명) 찾아가는 박물관의 경우 비정규직 1명, 운전원 1명으로 운영되고 있어 양질의 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상황이며, 질 높은 현장 서비스의 제공 및 확대를 위해 인력 보강이 필요  추가 소요 인력: 2명 필요 (전시해설 및 교구재 개발 각 1명)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어린이박물관팀 1. 기능 및 업무분석 어린이박물관 관람인원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질 높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 어린이박물관팀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어린이박물관팀은 전시실 운영과 체험활동 및 특별행사 기획·운영 업무로 구분되어져 있음 2010년 학교연계프로그램으로 인해 관람인원이 전년대비 50% 증가를 가져옴  중장기적으로 전시실의 개편과 프로그램 개발 및 효율적 운영이 필요한 상태임  현재 어린이박물관팀은 정규직 5명으로, 학교교육 프로그램의 강화 및 양질의 서비스 제공, 어린이박물관의 관람환경 개선 등이 필요한 상황임  어린이박물관 관람객 추이를 감안, 학교교육프로그램 개발 (학예직 1명), 전시실 운영 및 해설(학예직 2명) 추가확보 필요 어린이박물관 관람인원 구 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관람인원 244,790명 212,820명 216,166명 213,204명 320,839명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행정지원과 1. 기능 및 업무분석 지방박물관 방재업무를 총괄하는 정규직원이 없어 책임있는 업무처리가 곤란한 상황으로 시급한 인력보강이 필요함 행정지원과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행정지원과의 업무 중 방호·보안 관련 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방호 및 보안 업무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지방박물관 방재업무의 중요성에 비해 정규직원없이 시설관리업체 및 계약직으로 운영되고 있어 책임있는 운영이 필요한 상황임  11개 지방박물관 방재인력 각 1명씩 필요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기획총괄과 1. 기능 및 업무분석 박물관 정책 수립 및 Control Tower 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인력 보강이 필요함 기획총괄과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기획총괄과의 업무는 현안 업무처리 중심의 수행으로 인해 박물관의 Control Tower 기능이 미흡함  박물관 정책 수립 기능 강화를 인력 보강 필요 (추가 소요인력 행정직 1명) 학예사 운영 등 사업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박물관협회로의 이관 검토가 필요함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관리과 1. 기능 및 업무분석 지방박물관의 청사 노후화 및 신축건물 유지관리가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건축시설관련 전문 인력이 없어 좋은 관람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임 관리과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관리과의 업무는 청사관리 및 중앙감시실 운영 등의 업무로 구분되어져 있음 지방박물관의 경우 건축시설 및 조경관련 기능인력이 없어 시설물 유지관리가 어려운 상황임  경주, 광주, 부여, 대구, 청주, 제주, 춘천, 진주, 공주 등 9개 박물관에 건축시설관리 인력이 필요함  춘천, 진주, 공주 등 3개 박물관에 농림조경분야의 인력이 필요함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고객지원팀 1. 기능 및 업무분석 관람객의 증가에 따른 환경개선 업무의 증가 및 업무부담이 가중되어 추가적인 인력 보강이 필요함 고객지원팀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고객지원팀의 업무는 관람객의 쾌적한 관람환경 조성과 전시 유물 해설 등이 주요 업무로 나타남 박물관 관람객의 증가에 따라 박물관 시설물 환경개선과 전시해설 인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함  전시해설의 경우 학예직 인력이 부족하여 타분야 근무자가 지원해주고 있는 상황임  박물관 전시관람 시설물 유지 및 관람환경 개선 1명, 전시해설 2명 필요 고객지원팀 추가 소요 인력 (단위: 명)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대구박물관 기획운영과 1. 기능 및 업무분석 지방박물관 유물정보의 체계화, 복합문화공간 조성 및 전시실 개편, 방호 등의 업무효율성 향상을 위한 인력의 보강이 시급히 필요함 기획운영과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건물의 노후화에 따른 유지보수, 전시실 개편, 복합문화공간 조성에 따른 건축관련 전문기능인력이 필요하나 인력이 부재하여 건축시설직 1명 필요 도서실 및 전시실 보안 관련 방호 인력이 부족하여 보안 및 책임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방호인력 1명 보강이 필요함 박물관 정보의 네트워크화 및 체계화, 유물정보의 공개 활성화, 홈페이지 관리를 통한 질 높은 정보 제공 등 정보화 업무를 추진할 전산직 인력이 필요하나 인력이 없는 상태로 전산인력 1명 보강이 필요함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대구박물관 학예연구실 1. 기능 및 업무분석 박물관 전시위주로 업무를 수행하는 편이나 지방박물관 특성에 따른 전시기획 역량 강화를 통하여 지역에 특화된 박물관으로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학예연구실 업무량 및 비중 (단위: 분) 학예연구실은 전시, 유물등록, 보존처리, 교육, 홍보·마케팅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음 박물관 전시위주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편임. 지역의 유물조사연구를 통하여 특화된 박물관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박물관 전시기획 전문가의 역량 강화를 통하여 전시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음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지방박물관 필요 인력 검토 1. 기능 및 업무분석 지방박물관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기능별 필수인력이 필요하나 현재 전산, 방재, 시설, 농림, 조경 분야 등의 경우 인력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지방박물관이 많아 인력의 보강이 필요한 상황임 지방박물관의 기능별 인력 현황 (단위: 명)

1-4. 조직단위별 업무분석_ 지방박물관 필요 인력 검토 1. 기능 및 업무분석 나주박물관 신설 및 지방박물관 기능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필수 인력 검토 결과, 나주(신설) 박물관 27명, 전시기획디자인 11명, 시설분야 9명, 전산분야 7명, 방재분야 11명, 농림·조경분야 3명 등 총 68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지방박물관별 소요인력 지방박물관의 기능별 추가 인력 (단위: 명) 추가 소요인력 나주 박물관: 신설에 따른 소요인력(27명) 경주 박물관: 전시기획, 전산, 시설, 방재 분야 각1명 광주 박물관: 전시기획, 전산, 시설, 방재 분야 각1명 전주 박물관: 전시기획, 방재 분야 1명 부여 박물관: 전시기획, 시설, 방재 분야 각1명 대구 박물관: 전시기획, 전산, 시설, 방재 분야 각1명 청주 박물관: 전시기획, 전산, 시설, 방재 분야 각1명 김해 박물관: 전시기획, 전산, 방재 분야 각1명 제주 박물관: 전시기획, 시설, 방재 분야 각1명 춘천 박물관: 전시기획, 전산, 시설, 조경, 방재 분야 각1명 진주 박물관: 전시기획, 전산, 시설, 조경, 방재 분야 각1명 공주 박물관: 전시기획, 시설, 조경, 방재 분야 각1명 현재원

2-1. 기능재설계의 방향 2. 기능재설계 직무조사에 의한 업무 및 기능 분석, 부서 인터뷰를 통한 이슈 도출 등을 통한 각 부/과/팀별 주요기능 및 기능 재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음 중앙박물관 및 대구박물관 기능분석 부서명 주요기능 기능재설계 강화 유지 축소 기획운영단 행정지원과 박물관 인사, 경리, 방호 등 행정지원 ● 기획총괄과 박물관 정책 수립 및 기획 조정 총괄 관리과 청사관리 및 보안 업무 고객지원팀 쾌적한 관람 환경 조성 및 고객서비스 제공 학예연구실 연구기획부 학예연구 총괄 및 전시기법 등 연구 유물관리부 유물관리 총괄 및 수장고관리 고고역사부 고고학, 역사학 연구 및 전시 미술부 미술사 연구 및 전시 아시아부 아시아 연구 및 전시 보존과학팀 유물의 보존과 복제 및 보존과학 지원 교육문화교류단 문화사업과 문화사업 총괄 및 출판, 정보화 계획 전시과 유물전시 및 해설 국제교류홍보과 국제교류 및 협력 총괄, 홍보마케팅 수립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도서관 운영 어린이박물관팀 어린이박물관 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 대구박물관 기획운영과 대구박물관 운영 및 기획 총괄 대구박물관 유물보존 및 등록, 전시, 교육, 홍보 주) 중앙박물관 및 대구박물관 인터뷰 및 업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내용임

2-2. 기능재설계에 따른 소요인력 2. 기능재설계 국립중앙박물관의 업무·기능 분석에 따른 기능 강화, 관람객 수의 증가에 따른 서비스 질 향상, 정책과제의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2012년에 110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업무분석에 따른 소요 인력 중앙박물관 지방박물관 (단위: 명)

Table of Contents 프로젝트 Framework 환경분석 중장기 전략방향 기능 및 업무분석 직무조사 적정인력산정 인력재배치

1-1. 직무조사의 목적 1. 직무조사의 분석체계 직무조사를 통하여 적정 인력 산정의 기초자료 수집에 그 목적이 있으며, 결과의 분석을 통한 업무량 기준 단위 조직별 적정인력 산정 및 인사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함 직무조사 직무분석을 통한 인사관리의 기초정보제공 업무분류체계 및 직무분류체계 확정 업무량 분석을 통한 단위조직별 소요인력 파악 업무 표준화를 통한 효율성 파악 직무분석 업무량 조사 -실적자료 적정 인력 산정 직무표준화 회귀분석을 통해 수행인원에 따른 업무량의 변화 분석 교차분석을 통해 실적자료와 직무조사표 작성자료간의 신뢰성 분석 회귀분석 교차분석 기 작성 조직진단 보고서 검토/조사 기 작성된 조직진단 보고서를 토대로 업무별 수행 프로세스 확인 업무수행 결과인 산출물 검토 비교분석

1-2. 직무조사 일정 1. 직무조사의 분석체계 직무조사는 업무조사와 인터뷰 조사로 구분되며, 업무조사는 단위조직별 업무량과 업무특성을 조사하고, 인터뷰 조사는 업무의 개요 및 업무의 선행요건·제약요건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됨 직무조사 추진 일정 4/28 5/2 5/12 5/17 5/19 단위조직 업무분장 분석 업무분류체계 작성 및 인터뷰 실시 업무조사 실시 업무분류체계 확정 및 조직별 인원 확정 Activity 각 단위조직별 직제규정을 통하여 과(팀)별 업무분장 상황 파악 기존 직무조사 보고서를 통해 조직·직무별 수행업무 파악 업무분류체계 확정 과별 고유 및 공통업무분류체계확정 실·부장 인터뷰(2명) 과/팀장 인터뷰(17명) 단위조직별 ·업무별 업무량조사 업무수행 특성 조사 업무분류체계 확정 단위조직별 현재 업무량 및 적정인력 산정 업무량 분석을 통한 조직별 적정 소요인력 검토 과/팀별 업무분장표 업무분장 및 수행 인력 파악 단위조직별 업무분류체계 안 고유업무 업무분류체계 안 공통업무 업무분류체계 안 인터뷰 결과보고서 Output 단위조직별·업무별 업무량 및 소요인력(안) 업무별 특성 파악 단위조직별 업무분류체계 단위조직별 적정인력 산정(안)

2-1. 직무조사 대상 인력 2. 직무조사 범위 국립중앙박물관 직무조사 대상 인력은 중앙박물관과 대구박물관 인력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함 직무조사 대상 인력 현황 (명, 20114.30 현재) 구 분 정규직 비정규직 조사 대상 인원 작성 인원 정원 현원 소계 기간제 무기 계약 기획운영단 106 101 36 18 137 122 행정지원과 57 54 2 - 56 기획총괄과 11 13 10 관리과 31 29 12 5 7 41 34 고객지원팀 20 9 27 24 학예연구실 84 72 85 157 136 연구기획부 15 6 1 16 유물관리부 14 50 45 61 52 고고역사부 26 23 미술부 아시아부 8 3 보존과학팀 4 25 28 교육문화교류단 55 43 95 80 문화사업과 전시과 21 국제교류홍보과 교육과 어린이박물관팀 중앙박물관 계 245 225 164 124 40 389 338 4 대구박물관 47 38 1 기획운영과 2 학예연구실 총합계 269 249 187 145 42 436 376

3-1. 고유업무분류 체계 3. 업무분류 체계 국립중앙박물관의 업무분류체계표를 확정하기 위하여 총 4단계의 프로세스를 수행함 업무분류체계 설정(고유/공통 업무) 기초 업무단위 설정 단위 조직별 업무단위 설정 업무단위 조정 업무 분류 체계 확정 1 단계 2 단계 3 단계 4 단계 직무조사표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내·외부 자료 검토 기존 업무분류체계 부서별 업무분장표 직제시행규칙 인터뷰 실시 5단계 분류로 작성한 가안을 각 부서에 확인 의뢰 취합된 업무분류체계표의 검토 및 확인 각 과의 선임직원 인터뷰실시 해당부서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업무분류체계표 초안 작성 각 조직 실무자들로부터 취합된 자료에 대해 중복 및 누락 업무 유무 검증 실시 각 조직의 기능을 중복과 누락 없이 작성된 5단계 업무분류체계표 확정 Activity Output 업무분류체계표 작성양식 업무분류체계표(가안) 업무분류체계표 코드집 업무분류체계표 박물관 확정 업무분류체계표

3-1. 고유업무분류 체계 3. 업무분류 체계 박물관 업무분류 체계는 각 과 단위별 고유업무와 공통업무로 구분하였으며, 고유업무는 그 과의 고유미션업무를 중심으로 대분류>중분류>소분류>단위과업>상세업무 의 5단계 기능분류체계로 설정함 중앙박물관 고유업무 분류체계표 대구박물관 고유업무 분류체계표 업무분류체계표 및 코드집은 별도로 첨부함

3-2. 공통업무분류 체계 3. 업무분류 체계 박물관의 각 조직에서 수행하는 공통업무로서 고유업무 외에 실/부 전체차원에서 관리되고 운영되어지는 업무를 공통업무로 설정하였음 중앙박물관 공통업무 분류체계표

4-1. 직무조사 설명서 4. 직무조사 Ⅰ. 업무량 조사의 개요 목적 조사일정 및 대상 국립중앙박물관의 조직진단 연구를 통해 인력 및 조직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 향후 업무 개선 방안 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각 부문별 업무 수행 현황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인력 및 조직 운영의 기초 자료로 활용 목적 조사일정 : 2011. 5.12(목) 배포, 제 출 : 2011. 5.16(월)pm 6:00 까지 조사 대상 : 국립중앙박물관 전직원 과(팀)의 장 이하 전직원 정규직(일반직, 별정직, 기능직) 및 무기계약직, 계약직 모두 작성 직무조사표 작성 비대상 단장, 실장, 부장,과장, 팀장 조사일정 및 대상 100

4-1. 직무조사 설명서 4. 직무조사 Ⅱ. 조사 양식 조사 양식의 구성 조사양식은 크게 본 조사양식 2가지와 별첨 자료 1가지로 구분됨 본 조사 양식 1) 추정개인 업무량조사 2) 개인별업무량 조사표 별첨 자료 1) 국립중앙박물관 전체 업무분류체계표(부서단위별) 조사 양식의 구성 구분 양식명 내용 작성 대상 과(팀)장 구성원 본양식 (양식1)추정 개인 업무량 조사 추정 개인 업무량 조사표 작성 확인 ○ (양식2) 개인별 업무량조사표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량을 기록 각 개인별 작성 원칙임 별첨자료 중앙박물관 업무분류체계표 중앙박물관 업무분류체계표(고유업무, 공통업무) - 101

4-1. 직무조사 설명서 4. 직무조사 Ⅲ. 작성 기준 및 원칙 작성 기준 작성기준 최근 1년 (2010.5.1 ~ 2011. 4.30)을 기준으로 함 최근 1년 사이에 개인에게 부여된 업무를 기준으로 발생 빈도 및 시간(분)을 작성함 기준년 사이에 보직이 변경되었을 경우 현재 보임지의 업무를 1년간 수행했다는 가정하에 환산치를 기록함 과거에 수행하였으나 현재 폐기된 업무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않음 과거에 수행하지는 않았으나 향후 발생 가능한 업무에 대해서는 작성하지 않음 양식에 표기된 업무 발생주기는 다음을 의미함 작성 기준 구분 개념 일간 매일 발생하는 업무임. 즉, 매일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업무를 의미함 주간 1주간을 단위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업무 월간 1개월을 단위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업무 분기 3개월을 단위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업무 반기 6개월을 단위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업무 연간 1년을 단위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업무 다년 수행업무 발생빈도가 1년이 아닌 수년을 단위로 발행하는 업무 성격일 경우임 처리건수에는 1년 단위로 환산한 후 기재 (예: 2년에 평균 1회씩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업무일 경우, 처리건수는 0.5로 기재함) 수시 (비주기) 수행 주기가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업무임 최근 1년 동안 발생했던 실제 총 건수를 고려하여 기재함 102

4-1. 직무조사 설명서 4. 직무조사 Ⅳ. 작성 방법- 개인 (추정개인업무량조사표) 2 3 1 103

4-1. 직무조사 설명서 4. 직무조사 Ⅳ. 작성 방법- 개인 (개인별 업무량조사표) 6 5 4 104

Table of Contents 프로젝트 Framework 환경분석 중장기 전략방향 기능 및 업무분석 직무조사 적정인력산정 인력재배치

1-1. 정원관리의 개념 1. 정원산정의 개요 조직을 둘러싼 경영환경에 신속히 대응하여 경쟁능력을 향상하고, 조직기능 활성화와 직무수행 능력을 개발하고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직무분석을 통한 합리적인 정원산정과 관리가 필요함 정원관리개념 정원관리란 조직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조직부서와 운영 단위별로 필요한 인원을 계획하고, 여러 가지 조건의 변화에 따라 정원을 적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조정 및 통제활동으로 인적자원 관리의 기본기능임 일반적으로 정원(적정정원)이란 조직 구성원이 현재의 기구조직, 기계설비, 작업방법 등을 유지하면서 최선을 다했을 경우, 소정의 업무를 완수하는데 필요한 인원을 말함 정원관리는 정원의 산정뿐만 아니라 적정인력을 배치, 유지하는 전 과정을 포함하므로 인력의 채용 및 배치의 기초가 되며, 직무분석과 인력계획을 연결시켜 줌으로써 인사 및 조직관리의 출발점임 작업조건 과업특성 작업자 시스템효율성 등에 의해서 영향 받음 중복업무를 제거하거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과업을 찾아내 제거하고, 과업수행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비효율성을 제거하는 작업 재설계과정이 필요함 업무와 조직 시스템 재설계과정으로 1년 이상의 장기적 계획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조직혁신 작업의 성격 특정 조직이 현재의 설비, 작업방식으로 소정의 생산 내지 업무를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의 양과 질을 결정하는 과정 미시적 접근방법 : 직무분석, 시간연구, Work sampling, Span of Control에 의한 방법 거시적 접근방법 : 전략, 시계열자료, 부가가치, 타조직 비교 방법 등.. 정원산정 인력예측 미래의 조직에서 요구되는 인력의 양과 질을 추정하는 방법 Markov Chain Analysis, Career Patter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

1-1. 정원관리의 개념 1. 정원산정의 개요 정원의 구성단위는 조직의 중·장기 경영전략 방향과 인사계획에 의한 정원관리 기준에 따라 법정정원, 설비정원, 조직정원,산정정원으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의 정원관리는 주로 산정정원을 말함 법정정원 법정정원은 관계법령이나 규정에 의해 제정된 정원으로 기준이 정해지면 법령과 규정 등이 개정되거나 폐지되지 않는 한 변경되지 않음 거시적 접근 방법에 의한 정원산정 설비정원 설비정원은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설비(관리설비, 사무자동화설비, 연구설비…)의 보유현황과 사양에 따라 결정되는 정원으로 설비의 운용계획 및 관리단위와 구성원의 숙련도와 기능도에 따라서 정원의 크기가 달라짐 산 정 인 력 조직정원 조직정원(기구정원)은 조직기구 형성에 따라서 결정되는 정원으로 조직구조의 변경에 따라 달라짐 - 주로 부서장을 말함 구성정원 : 정원을 구성하는 인력으로서 조직정원을 제외한 정원내 인력 미시적 접근 방법에 의한 정원산정 산정정원 산정정원은 과업을 수행하는 업무량에 따라서 결정되는 정원임 과업목표 및 직무 단위별 적정정원은 조직구조와 기능, 직무의 질적·양적조건, 직무능력, 과업행동단위 등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해서 산정됨 산정인력 : 업무량 조사에 의해 산출된 인력 산정현원 : 산정업무량을 기준으로 산출된 현원으로서「정규직 인력 + 정규직외 인력」이 포함되어 있는 인력임 구성현원 : 업무량 조사에서 제외된 현원내 인력

1-1. 정원관리의 개념 1. 정원산정의 개요 정원관리의 효과로는 직무분석의 일반적 목적과 정원모델링을 통한 구체적 효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정원 관리의 효과 직무분석의 일반적 목적 정원모델링을 통한 구체적 효과 개인별, 단위조직별 업무의 정리 및 표준화 적정인력 수준의 산정과 정원관리 체계 수립 효율적 조직 및 인사제도의 운영방안 모색 직무중심의 부문별, 기능별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모색 기능별, 영역별 업무의 종류, 질, 양, 빈도, 작업방법 등을 파악하여 직무별 적격자의 조건과 소요인력 산정 직무중심의 인력편성으로 사람중심의 조직팽창 방지 전문가 양성을 위한 직무경력의 활용 과업 및 직무 단위별 탄력적 정원 운영 과업분석, 인력분석, 조직시스템 분석을 통한 조직효율성 및 효과성 향상

1-2. 정원산정의 접근방법 1. 정원산정의 개요 정원산정은 Top-down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거시적 접근방법과 Bottom-up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미시적 접근방법을 통해서 산정될 수 있음 거시적 방법 미시적 방법 개념 전사적 수준에서 향후 목표 총인원을 산정하여 Top-down 방식으로 소요인원을 결정하는 방법 과업 및 직무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개별 과업 및 직무별 업무량에 따른 적정인원을 Bottom-up 방식으로 산정해 가는 방법 방법 조직의 전략, 지불능력, 부가가치, 매출액, Cost 분석, 시계열 자료, 타사 비교… 직무분석, 시간연구, 동작연구, Work sampling 등을 통해 과업 및 직무수행에 필요한 인력을 산정 장점 조직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정원을 파악할 때 가능 정원산정의 결과값에 대한 신뢰성이 높음 과업별, 직무별, 부서별 구체적인 적정인원을 추정 가능 적정정원을 산정하기 위한 최적의 합리적 기준을 적용하기 어려움 기업매출액, 부가가치, 노무비 등의 거시적 정원 판단자료는 내부 여건보다는 경영 외적인 조건에 따라 쉽게 변동됨 산정된 정원이 미래지향성, 동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함 과거지향적인 결과자료에만 의존할 경우 결과의 활용성이 낮아지게 될 수 있음 작업내용과 절차가 표준화되지 않은 분야에서는 적용하기 곤란함 단점

1-2. 정원산정의 접근방법 1. 정원산정의 개요 정원산정의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4단계를 포함함 정원산정의 일반적 4단계 인력구조 및 현황분석 연구방향설정 정원산정 및 인력 예측 정원확정 거시적정원 산정 환경 및 전략 방향 이해 적정인력산 정을 위한 단위 조직별, 전사적 모델 설정 자료수집 연도별매출액 ,부가가치액, 수익, 인건비 및 타조직 자료 허용인력수 준의 적정성 검토 지불능력 및 기타여건 조직 전체의 총 적정 인력 산정 환경 및 전략 방향 이해 기존 자료 검토 및 직무조사 도구 개발 직무정보수 집 업무량,업무 특성,업무내 용,노동시간, 인건비 등 자료 수집 업무량 검토 과업, 조직분석 업무량 조정 표준근무가 능시간 산정 부문별 소요인력 산정 미시적정원 산정 국립중앙박물관 미시적 접근 방법에 의한 정원산정 경영목표,경영전략,지불능력 등 파악 과거자료 수집(연도별 채용, 승진,이직률…) 인력추세 예측 Regression Markov Chain Model Career Pattern Model 부문별 중장기 적정인력 산정 인력예측

2-1. 정원모델링의 방향 2. 정원모델링 업무량 조사 결과와 각 기능 단위별 실적자료를 기초로 정원모델링을 통하여 중앙박물관의 적정인력을 산출함 정원산정 방향성 명확한 개인별 업무량 산정을 통한 단위조직별 필요인력 도출 직무별 연간 총 업무량 및 직무수행시간 산출 직무별/단위조직별 적정 소요인력 산출 단위조직별 현 배치인력 대비 적정인력 비교 실적데이터 및 개인별 업무량을 근거로 한 합리적인 정원산정을 통해 인력운용의 합리화 및 효율성 제고 실적데이터를 근거한 발생 가능한 업무량 예측 실적데이터와 인력규모의 관계성 비교 향후 사업진행에 따라 발생가능한 업무량 산정을 위해 실적데이터를 고려한 인력산정 사업특성에 따른 합리적인 정원모델링 도출 정원모델링의 신뢰성 제고를 위한 분석 및 측정모델의 도출 업무량(실적) 변동에 따른 합리적 정원산정 및 예측모델의 도출

하향식 접근법(Top Down Approach) 상향식 접근법(Bottom up Approach) 2-1. 정원모델링의 방향 2. 정원모델링 단기 적정인력 산정은 사업 및 조직재설계에 따른 하향식 접근법(Top-Down Approach)와 현재 부서별 업무량 산정을 기반으로 한 상향식 접근법(Bottom Up Approach)을 병행하여 산정함 적정인력 산정 접근법 하향식 접근법(Top Down Approach) 주요 방법론 사업내용 및 사업주체에 대한 변경과 이에 따른 인력소요 변화량 검토 신규 및 기능강화 필요사업 및 업무량 축소 및 폐지 필요사업 및 인력량 아웃소싱, 전산화 등 관련 인력변화 요인 및 변화량 조직단위별/기능별 정원 산정 결과물 적정인원 규모 산정 조직인력 단위조직의 역할과 책임을 위한 필요 인력 규모 상향식 접근법(Bottom up Approach) 주요 방법론 업무량 조사결과를 토대로 기능별 다양한 독립변수를 활용 적정한 인력산정 과부족 인력 재배치 방안 결과물 주요 기능별 업무량 조사 결과값 부서별/기능별 현 인력 과부족

2-2. 정원산정 프로세스 2. 정원모델링 정원산정의 기본 프로세스는 단위조직별로 직무조사표에 의한 업무량 조사, 표준근무시간 산정, 정원 산정, 중장기 인력운용 절차로 이루어짐 정원산정 프로세스 업무량 조사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정 정원 산정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정 시간외근무시간을 고려한 적정근무가능시간 산정 실적중심의 업무량 산정 업무특성에 따른 업무량 평가 조직단위별 적정 운영인력 배치 직무조사표에 의한 업무량 조사 직무조사표에 의한 업무량 조사 개인별 업무량 조사 업무량 조사표의 검토 확인 업무량 차이 분석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정 시간외근무(OT시간)에 의한 산정시간 기준 사고일수, 업무특수성에 오는 여유율 등을 고려하여 산정 고유업무와 공통업무로 분리하여 분석 단위조직별 산정인력의 재배치

2-2. 정원산정 프로세스 : 업무량 조사 2. 정원모델링 중앙박물관의 업무분류체계표는 업무분장표를 근거로 각과의 현재 수행업무와 폐지업무를 구분하고, 구성원 중심으로 나누어져 있는 업무를 업무중심인 유사업무로 그룹화하여 재편성함 업무량조사 업무량조사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정 정원 산정 기초자료 수집 및 업무특성 파악 업무분류체계표 작성 업무량조사표 설계 업무량 조사 실시 조사표 취합 및 검토 업무분류체계표를 바탕으로 정원산정을 위한 업무량 조사표 설계 개인별 조사표 양식설계 업무량 조사표 작성 안내문 작성 직무조사표설계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내/외부 자료 검토 기존 업무분류체계 부서별 업무분장표 직제시행규칙 인터뷰 실시 5단계 분류로 작성한 가안을 각 부서에 확인·조정 의뢰 취합된 업무분류체계표의 검토 및 확인 각 과의 선임직원 인터뷰실시 해당부서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업무분류체계표 작성 업무량조사표 작성 설명회 개최 대상 : 전부서 선임직원 개인별/과별 업무량조사표 작성 의뢰 업무량조사표 배포 조사표 작성상 오류 검토 및 재 작성 의뢰 정원산정을 위한 업무량 Dataset 작성 Activity Output 업무분류체계표 작성양식 업무분류체계표(가안) 업무분류체계표 코드집 업무량 조사표 작성 안내문 업무량조사표 업무량조사 raw data 업무량조사 dataset

2-2. 정원산정 프로세스 :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정 2. 정원모델링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정은 업무조사 단위기간(2010.5.1~2011.4.30) 안에서 근무할 수 있는 순근무일수와 박물관의 규정근무시간을 고려하여 산정함 표준근무가능시간산출 업무량 조사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정 정원산정 개념 및 산출 방법 표준근무가능 일수 산정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정 여유율 산정 OT (Over Time) 반영 부서별로 조사한 업무수행 총 시간을 1인당 적정근무가능시간으로 나누어 업무량 정원을 산정 개념 표준근무가능일수 표준근무가능시간 1일근무가능시간 적정근무가능시간 총원산정 1년(365일)중 법정공휴일 및 휴일, 사고일수를 차감하여 표준근무가능일수 산정 법정공휴일 산정 휴일산정 사고일수 산정 평균휴가일수 내부규정과 노동관련 규정에 의해 1일 근무가능시간 산정 여유율을 제외한 직원 1인당 연간 표준 근무 가능시간 산출 업무특성이나 작업조건 및 환경특성에 따른 적절한 일반여유율과 특수여유율을 산정 외경법 혹은 내경법을 적용하여 여유율 산정 여유율을 반영한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출 부서별 특성에 따른 적정 연장근무시간(OT)산정 부서별 연장근무내역 업무량조사표상의 연장근무조사 결과 부서별 적정 근무가능시간 산정 Activity

2-2. 정원산정 프로세스 : 정원 산정 2. 정원모델링 업무량 정원 산정은 단위기간 안에서 각 단위조직의 근무조건(OT, 사고일수)을 반영한 업무량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표준근무가능시간을 고려한 정원을 산정함 정원산정 업무량 조사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정 정원 산정 업무량 조정 업무량 정원 산정 조직정원 반영 정책정원 반영 정원표 확정 1차 : 직무조사시 개인업무량 허용 최대치(Max P)와 최소치(Min Q) 제한 2차 : 개인별조정 – 과대·소 OT와 년사고시간 조정 3차 : 부서별조정 – 정원모델에 따른 업무량 조정 4차 : 공통업무량 조정 조정된 업무량을 적정근무가능시간으로 나누어서 부서별 업무량정원산정 조직단위 정원 반영 정책적 방침에 따른 정원 반영 신규사업과 기능강화에 따른 인력 반영 최종적인 정원표 확정 부서별 인력 과부족표 작성 Activity

2-3. 표준근무가능시간 2. 정원모델링 표준근무가능시간은 정원 산정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로써, 시간외근무시간(OT), 사고일수, 여유율 등을 고려하여 산출됨 직원 1명이 1년 동안 업무수행을 위해 실제로 투입할 수 있는 근무 가능한 총 시간을 의미함 즉, 정해진 절차에 따라, 주어진 작업조건하에서 그 업무에 대해 요구되는 특정 숙련도를 보유한 담당자가 그 업무에 대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업무를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적정한 업무량을 기준으로 표준 속도로 작업을 할 때 1명이 1년 동안 업무 수행을 위해 실제로 투입할 수 있는 근무 가능 시간의 총합을 의미함 표준근무 가능시간 구성형태 및 산정방법 구성형태 표준근무 가능시간 산정 방법 365일 x 1일 근무시간 법정 공휴일 표준근무 가능시간 시간외 근무시간 사고일수 여유율 생활여유율 관리여유율 표준근무가능시간의 산정 1년 365일 - 공휴일 + 시간외 근무시간 - 휴가 및 사고일수 - 여유율 표준근무가능시간

2-3. 표준근무가능시간 2. 정원모델링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출은 크게 3단계로 이루어짐 용어 설명 표준근무가능일수 ①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출은 크게 3단계로 이루어짐 용어 설명 ② 표준근무가능일수 1년 365일 중에서 법정공휴일(토·일요일 포함), 내규에 의한 휴일, 사고일수(휴가, 공가…) 를 제외한 순수 근무가능일수 1일 표준근무시간 규정된 1일 근무시간 중에서 법이나 내규에 의해서 근무시간으로 인정되지 않는 시간(점심시간 등)을 제외한 나머지 근무 가능 시간을 의미함 연간근무가능시간 직원 1인이 1년간 근무할 경우 총 근무 가능한 시간으로서 표준근무가능일수에 1일 표준근무시간을 곱하여 산출됨 표준근무가능시간 연간근무가능시간에 적정 수준의 여유율을 반영하여 산출된 값 직원1인이 적정한 수준의 여유시간을 가지면서 1년간 근무할 경우의 총 시간을 의미함 표준근무가능일수 산출 = 365일 – (법정공휴일수 + 사고일수) ③ 연간근무가능시간 산출 (여유율 미반영) = 표준근무가능일수(①) * 1일 표준근무시간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출 (여유율 반영) = 연간근무가능시간(②) * 여유율

추석2일, 설날1일, 삼일절, 석가탄신일, 현충일, 광복절은 토요일 혹은 일요일(총 7일) 2-3. 표준근무가능시간 2. 정원모델링 주 5일 근무에 따른 휴일과 법정공휴일 그리고 기념일을 고려한 중앙박물관의 연간 총 근무가능일수는 251일임 법정 공휴일 및 내규에 의한 공휴일(10.5.1~11.4.30) 구분 일(day) 비고 토요일 52일 일요일 법정공휴일 7일 추석2일, 설날1일, 삼일절, 석가탄신일, 현충일, 광복절은 토요일 혹은 일요일(총 7일) 계 114일 연간 총 근무가능일수 = 251일 (251일=365일-114일)

2-3. 표준근무가능시간 : 여유율 2. 정원모델링 일반여유(생활여유)와 각 부서의 업무처리에 요구되는 정신적인 긴장도와 숙련도를 고려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한 관리여유를 차등 부여하는 방식을 채택함 여유율 여유시간이란 표준근무시간 동안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인적 또는 물적으로 요구되는 사전 준비시간을 의미함. 즉,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거나 피할 수 없는 지연 등의 업무간섭요소로 직접적으로 표준근무시간 내에 반영할 수 없는 시간임. 업무처리로 인한 피로를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나 인적 교구에 의한 시간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공제하는 시간임 여유율은 표준근무가능시간에 대한 여유시간의 비율을 의미함 여유시간은 일반적으로 일반여유 (생활여유)와 정신적 긴장도에 따른 관리여유로서 두 가지 항목으로 나눌 수 있음 항목별 분류로는 다시 기본여유, 업무별관리여유, 업무특성여유로 세분화 할 수 있음 본 보고서에는 일반여유(생활여유) 10%와 각 부서의 업무처리에 요구되는 정신적인 긴장도와 숙련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한 관리여유 (5%~15%)를 차등 부여하는 방식을 채택함 여유시간의 유형 항목 여유율 일반여유 (생활여유) 10% 관리여유 기본여유 3% 업무별관리여유 2% ~ 6% 업무특성여유 0 ~ 6% ILO 의 규정에는 여유율을 규정하고 있으나, 어떤 작업이 어디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없음

2-3. 표준근무가능시간 : 여유율 2. 정원모델링 여유율은 일반여유와 관리여유로 나누어지며 이에 대한 개념은 다음과 같음 구분 개념 예 기준 일반 여유 인적여유 작업자의 생리적 욕구에 의해 작업이 지연되는 시간 물마시기,화장실사용… ILO 남 : 5% 여 : 7% 지연여유 작업자 능력 밖의 원인에 의해 작업이 지연되는 시간 사무기의 고장,의사소통…. 관측 측정 피로여유 작업자의 정신적,육체적 피로를 회복하기 위한 여유시간 개인성향에 따라 다름 4% + α 일반여유 (생활여유) 구분 개념 기준 관리 여유 기본여유 업무의 준비 및 사후처리 등에 걸리는 시간을 의미함 3% 업무별관리여유 기획, 계획적 관리 업무가 많아 상시적인 상담, 타협 등을 필요로 하는 업무 6% 다수인이 공통 처리하는 작업 및 관련업무의 조정적 성격을 가진 업무로서 계속적인 협의·지시가 필요한 업무 4% 단순 , 정형적인 성격을 가진 업무로서 비교적 안정적인 형태의 업무 2% 업무특성여유 시간적으로 바쁘고 덜 바쁨의 차가 현저하며 업무 수행형태가 매우 불규칙적인 성격을 가진 업무 시간적으로 집중적으로 처리해야 할 일이 많고 업무 수행형태가 약간 불규칙적인 업무 계획, 심사, 설계 등 임시적 업무가 많은 업무 정형적, 정상적 업무 성격으로서 비교적 안정성 있는 업무 0% 관리여유

2-3. 표준근무가능시간 : 여유율 2. 정원모델링 여유율은 직무특성, 작업조건, 작업자의 상황 등에 따라서 다르게 산정되므로 명확한 기준은 없으나, 본 보고서에서는 직무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여유율을 적용함 산출기준 일반여유(생활여유) 10%와 각 부서에서 개인이 업무처리에 요구되는 정신적인 긴장도와 숙련도를 고려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한 관리여유 (5%~15%)를 차등 부여하는 방식을 채택함 정신적 긴장도를 작업별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방법은 없으며, 동일한 작업자라도 개인역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ILO 규정에 여유율을 규정하고 있으나 어떤 작업이 어떤 여유율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은 없음 따라서 관리여유율은 각 개인이 직무조사시 응답한 긴장도와 숙련도를 고려한 5% ~ 15%까지의 차등 여유율을 적용함 여유율 조정 중앙박물관 여유율 항목 여유율 일반여유 (생활여유) 10% 관리여유 min 7% 10% 주1) max 13% 주1) 직무조사시 조사된 관리여유율은 전체평균 10%로 산출됨

2-3. 표준근무가능시간 : 여유율 2. 정원모델링 여유율 산출방법은 크게 외경법과 내경법이 있으며, 금번 중앙박물관 여유율은 외경법을 활용함 외경법과 내경법의 비교 외경법은 ILO 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법으로 기본 시간에 대한 여유시간의 비율로 산출하고, 내경법은 총근무시간에 대한 여유시간의 비율로 여유율을 산출함 여유율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여유시간의 유형별로 기준이 설정되어야 하지만, 여유시간은 육체적, 정신적 요인, 작업환경, 작업자의 개인적 상황 등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일반적인 방법은 없음 따라서 여유율을 유형별로 나누어서 산정하기 보다는 근무조건 등을 고려하여 부서별 종 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범위는 10~35% 사이가 됨 본 보고서에서는 초기 직무조사시 각 부서별, 각 개인별 수행업무 형태를 고려한 여유율의 응답치에 대해 부서별 평균값을 사용함 외경법과 내경법의 비교 구분 외경법 내경법 개념 기본시간에 대한 여유시간의 비율 총 근무시간에 대한 여유시간의 비율 여유시간 계산 공식 기본시간 / (1+여유율) 총근무시간 / (1-여유율) 개인별 업무량 조사 결과, 평균적으로 관리업무 여유율 4%, 업무특성 여유뮬 3% 로 나타나 생활여유율과 기본여유율을 합한 13%와 합산하여 평균 여유율을 20%로 적용함

2-3. 표준근무가능시간 : Over Time 2. 정원모델링 표준근무가능시간에 대하여 OT (Over Time)를 적용한 적정근무가능시간을 산출하기 위하여 각 부서별 초과근무 현황을 산출하여 활용함 적정 OT 산정 중앙박물관의 초과근무시간 (OT)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는 업무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획일적으로 결정하기는 어려움 본 보고서에서는 모든 부서에서 시간외근무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내부시간외관리 실적 산정시간을 준거로 OT를 산정함 적정 OT 판단을 위해서 전체 평균을 인정하는 방법(1안)과 부서별 초과근무실적에 따라 부서별로 OT를 다르게 산정하는 방법(2안)을 검토한 결과 제2안에 의한 산정 방식이 훨씬 더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됨 제1안 (전체 평균 반영 방법) 제2안 (부서별 실적 반영 방법) 1안 vs 2안 초과근무 실적을 부 전체 평균으로 반영 단실별 업무특성에 따른 초과 근무 현상을 반영하지 못함 부/과 전체 평균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적정 OT는 1인당 연간 20,803분임 부서별 실적에 따라 OT 시간 반영 부서별 업무특성에 따른 초과 근무 현상 반영 부서별 실적에 따라 적정 OT를 산정할 경우 평균 17,298분으로 나타나고 있음

2-3. 표준근무가능시간 : Over Time 2. 정원모델링 각 부서별 초과 근무 실적을 산출함에 있어서 내부 초과근무 실적 현황 통계의 산정시간을 기준하였으며, 월평균 초과근무 시간을 산정하여 연간 환산시간으로 산정함 시간외 근무 실적 산출기준일자 : 2010.1.1 ~2010.12 Data 수집 초과 근무 실적자료 (인정시간이 아닌 실적시간으로 OT 산출함) OT 기준 평일 : am9:00 ~ pm18:00 외의 출퇴근 시간의 실적시간을 OT 로 인정 휴일, 공휴일 : 출퇴근 시간을 실적시간 OT 로 인정 1인당 월평균 초과근무(시간) 1 / 4 분기 23.5 2 / 4 분기 24.8 3 / 4. 분기 23.4 4 / 4 분기 24.4 중앙박물관 1인당 평균 년 초과근무시간 : 17,298분

2-3. 표준근무가능시간 : Over Time 2. 정원모델링 각 부서별 초과 근무 실적을 평균하면 다음과 같으며, 분기별 내부자료와 비교하여 평균 4.5시간 정도 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부서별 초과근무시간(OT) 초과 근무 분포

2-3. 표준근무가능시간 : 부서별 표준근무가능시간 3. 정원모델링 연간 총근무가능시간, OT, 사고시간, 여유율 등을 고려한 부서별 적정근무가능시간을 산정함 적정근무가능시간의 산정 초과 실적기준으로 OT 시간을 적정근무가능시간에 반영함 적정근무가능시간의 산정 연간 1인당 총근무가능시간 120,480분 (평균) 부서별 적정 OT 시간 시간외 실적 OT 타당성 검토 부서별 적정근무가능시간 산출 연평균OT = 17,298분 부서별 적정근무가능시간의 검토 및 최종 확정

2-3. 표준근무가능시간 : 표준근무가능시간의 산정 2. 정원모델링 여유율을 공제한 후의 중앙박물관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출함 국립중앙박물관 표준근무가능시간 시간(분) 연간 1인당 총근무가능시간 120,480 연간 1인당 총사고시간 5,318 연간 1인당 표준근무가능일수 240 연간 1인당 총시간외근무시간 17,298 132,460 여유율 20% 연간 1인당 표준근무가능시간 110,383 주1) ILO 에서 채택하고 있는 여유율 산정 방법 : 기본시간에 대한 여유시간의 비율 = 기본시간 / (1+여유율) 주2) 1인당 시간외 근무시간은 분기별 부서별 초과근무 현황 실적 자료를 토대로 반영함

3-1. 업무량 조정 3. 정원산정 업무량 조사표에 의해 업무량을 조사한 이후 작성된 업무량에 대해 과대 과소 작성 여부를 검토하여 3단계에 걸친 조정 절차를 수행함 업무량 조사 표준근무가능시간 산정 정원 산정 업무량 조정 업무량 정원 산정 조직정원 반영 정책정원 반영 정원표 확정 1차 : 직무조사시 개인업무량허용 최대치(Max P)와 최소치(Min Q) 제한 2차 : 개인별조정 – 과대·소 OT와 연사고시간 조정 3차 : 부서별조정 – 정원모델에 따른 업무량 조정 조정된 업무량을 적정근무가능시간으로 나누어서 부서별 업무량정원산정 조직단위 정원 반영 정책적 방침에 따른 정원 반영 신규사업과 기능강화에 따른 인력 반영 최종적인 정원표 확정 부서별 인력 과부족표 작성 Activity

3-1. 업무량조정 3. 정원산정 업무량조사표 검토는 조사표상 개인의 근무조건을 입력하고, 연간 근무일수와 근무시간을 산정하게 되면 개인의 년간 근무가능시간의 최대치 (P) 와 최소치(Q) 가 산출됨 업무량 조정 절차 완료 개인별 추정 업무량 작성 완료 Yes 1 No 재작성 StepⅠ : 개인업무량 1차 조정 추정 개인업무량조사표 2010.5.1~2011.4.30 기간 중 법정 공휴일을 제외한 근무가능 최대 일수 : 251일 월평균 초과 근무 일수와 시간, 사고일자 입력 개인업무 특성을 고려한 여유율 반영 : 10% ~ 25% 상기 기본조건을 입력하였을 경우 개인이 근무할 수 있는 근무가능시간은 최대치(P)와 최소치(Q) 사이에 있어야 함. 개인업무량의 오류 건에 대한 개인별 수정 조치함.

3-1. 업무량 조정 3. 정원산정 업무량 조사표 검토를 통해 완료 건에 대해 각 개인별 단위업무의 업무수행 건수 및 단위시간 작성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오류를 검증함 업무량 검증 절차 1 완료 StepⅠ: 개인업무량 1차 검증 추정 개인업무량 조사표 상의 완료 건에 대해 각 단위업무별 작성 오류 검증 실시 - 단위과업별 업무분류 코드 확인 및 검토 개인 업무량 조사표상의 단위업무에 대한 업무수행 건수는 일간>주간>월간>분기>반기>연간>다년>수시(비주기)의 한 cell 에 기록하게 되고, 연간 수행건수가 자동 계산됨 각 Cell 에 중복 기록하게 되면 동일 단위업무의 수행 건수가 과다 계산되고 수행업무량이 초과됨 작성자 378명중 12명이 상기 작성 오류 건에 해당 오류 건은 개인별 면담을 통해 중복 작성 사유를 확인하고 업무량시 조정함

3-2. 업무량 분석에 의한 정원 3. 정원산정 직무조사에 의한 업무량 분석을 통해 업무량 정원을 산출한 결과 업무량 조사서 작성인원 대비 19명 정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업무량 정원 (단위: 분, 명)

3-3. 조직정원 및 정책정원의 반영 3. 정원산정 업무량 분석 및 기능분석을 고려한 중앙박물관의 향후 소요정원은 61명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중앙박물관 인원 변경 내역 (단위: 명) 주) 조직정원은 현재 조직을 기준으로 반영함

3-3. 조직정원 및 정책정원의 반영 3. 정원산정 지방박물관의 신설 및 전시기획 전문가, 박물관 필수 인력의 보강 등을 반영한 결과 향후 소요정원은 68명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지방박물관 인원 변경 내역 (단위: 명)

3-4. 정원의 변화 3. 정원산정 조직진단 결과 향후 국립중앙박물관 소요정원은 129명이 추가로 필요한 총 1,036명으로 나타남(중앙 61명, 지방 68명) 중앙박물관 중장기 인력 증가 추이 지방박물관 중장기 인력 증가 추이 586 41 현원대비 13.1% 증가 545 68 450 27 518 500 42 현원대비 15.6% 증가 61 408 19 400 389 400 300 300 200 200 100 100 (단위: 명) (단위: 명) 현재원 업무량 정원 기능분석에 따른 정원 소요 정원 현재원 박물관 신설 기능분석에 따른 정원 소요정원

3-4. 정원의 변화 _ 중앙박물관 3. 정원산정 조직진단 결과 중앙박물관의 경우 향후 61명의 추가 소요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 인력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음 인력 증가의 상세 내역 (단위: 명)

3-4. 정원의 변화_지방박물관 3. 정원산정 조직진단 결과 지방박물관의 경우 향후 68명의 추가 소요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 인력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음 인력 증가의 상세 내역 (단위: 명)

Table of Contents 프로젝트 Framework 환경분석 중장기 전략방향 기능 및 업무분석 직무조사 적정인력산정 인력재배치

1-1. 정보화 부문 1. 인력재배치 정보화 조직 구조 측면에서의 주요 현안은 정보화 부문의 추진 리더십 제고, 인력운영의 효율화, 정보서비스의 통합화를 통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임 정보화 조직 및 운영 이슈 1. 정보화 사업 추진 리더십 확보 정보화 사업에 대한 사업타당성, 조정 기능 강화 필요 (실무의 내실화) 정보화 사업에 관한 CEO 의사결정 보좌 (적시성, 적정성 등) 정보화 사업의 지속 추진력 확보 (경영진 등 변화에 따른 사업 추진력 약화) 2. 정보화 부문의 조직운영 체계 개편 현업부문에 1:1 대면 체계(facing organization) 변경 현업 대응 체계 조직구조보다 수행 업무 속성 기준으로, 규모의 경제 추구 지역박물관별로 정보화 인력 배치의 비효율성 3. 현업부서와 커뮤니케이션 강화 협업 대응 체계 중심 업무체계이나 중앙과 지방간 정보전달 커뮤니케이션 동질성 미흡 비즈니스의 보조자로서가 아닌 정보화 실행 · 변화 주체로서 기능 강화 시급

1-1. 정보화 부문 1. 인력재배치 ‘시스템을 만드는 집단’에서 ‘IT를 활용하는 경영혁신의 전문가 집단’으로 변화해야 함 정보화 조직의 진화 방어적, 수동적 전략·고객·혁신 중심적 Defensive Reactive Responsive Strategy -Focused 기대효과 및 주요 특징 기본역량중심 Cost IT경비에 대한 예산은 외부에서 세워짐 일반적으로 매출의 일부분을 공유함 SLA와 Charge-Back 시스템 적용 각 단위별 경비와 요구가 정량화 되고 관리됨 기술적 투자 결정은 비즈니스 전략에 의해 결정됨 기술적 투자의 ROI 산출의 합리성 증대 비즈니스 성과와 IT성과의 결합성 증대로 전반적인 IT투자의 효과성 증대 Quality 시스템 가용성 시스템가용성 응답속도 SLA에 의해 품질관리 가용성,안정성은 주요 이슈가 아님 사용자 만족 및 비즈니스 성과가 중요 하드웨어적인 시스템의 평가를 넘어선 실제 End-User의 고객만족도가 중요시됨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세스 및 조직의 전반적 운영체계가 변화됨 전략기여중심 Agility 일정계획은 자원과 내부적 우선순위에 의해 제한됨 자원의 활당은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협업에 의해 결정됨 개발cycle을 줄이기 위해 방법론이 적용됨 On-Time-To-Market 한정된 자원의 전략적 집중이 가능하기 때문에 투자대비 성과 향상 빠른 시장 대응으로 시장 선점 가능 Innovation 예산안과 재무결과는 단지 outsourcing에 대한 자료로만 이용됨 기술이 IT cost를 줄이기 위해 혁신적 방법으로 사용됨 비즈니스 전략 안에서 기술의 역할이 고려됨 기술이 기업의 value proposition안에 포함됨 새로운 기술로 인해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는 등 기존 비즈니스 모델의 변혁을 이룰 수 있음 주) Harvard Business Review

1-1. 정보화 부문 1. 인력재배치 중앙박물관에 지방박물관의 정보화 및 지역특성화를 전담하는 인력을 배치하여 중앙과 지방간 일원화된 서비스 및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문화사업과 전산 인력 활용) 정보화 인력 재배치 현재 필수인력 확보시 인력재배치 (전산인력 11명) (전산인력 18명) (전산인력 11명) 관장 관장 관장 교육문화 교류단 교육문화 교류단 교육문화 교류단 문화사업과 지방박물관 문화사업과 지방박물관 문화사업과 지방박물관 전산인력 7명 전주, 부여, 제주, 공주 각 1명(4명) 전산인력 7명 11개 박물관 각 1명(11명) 전산인력 7명 전주, 부여, 제주, 공주 각1명(4명) 지방박물관의 정보화서비스를 지원체계 미흡 지방박물관별 전산담당자 확보를 통한 지역특성화 강화 박물관의 통합적 이미지 제공 미흡 필요인력: 7명 중앙의 정보화 방침의 효율적 전달 지방박물관의 정보화를 전담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중앙과 지방간 통합적 서비스 연계 원할 현 문화사업과 전산인력을 활용하는 방안: (기존 인력이 있는 박물관을 제외한 7개 박물관 정보화 지원)

중앙박물관 전시·출판 디자인 업무 인력 재배치 1-2 중앙박물관 디자인 관련 업무 1. 인력재배치 중앙박물관 전시기획, 출판·미디어 등 디자인 관련 업무의 통합을 통한 디자인 업무의 정체성 및 통일성 확보, 관련 업무의 통합을 통한 시너지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중앙박물관 전시·출판 디자인 업무 인력 재배치 현재 인력재배치 (전산인력 12명) 관장 관장 학예연구실 교육문화교류단 학예연구실 교육문화교류단 연구기획부 전시과 문화사업과 전시: 3명 (비정규직 3) 업무 및 기능분석에따른 증원 2명 전시: 3명(정원 2, 비정규직 1) 출판·미디어디자인 : 4명 (정원 1, 비정규직 3) 전시 디자인, 출판·미디어 통합(12명) 박물관 디자인 정체성 정립 및 통일성 유지 곤란, 시너지 효과 부재, 디자인 기반 사업 개발 한계 등으로 통합 필요 학예연구실 또는 교육문화교류단 내 통합 후 향후 독립부서 신설 추진

1-2 지방박물관 전시기획 및 홍보마케팅 부문 1. 인력재배치 지방박물관 전시기획의 전문성 및 홍보마케팅 역량 강화를 지원하여 지방박물관의 특성화 및 질적인 서비스 제공을 강화함 지방박물관 전시기획전문가 인력 재배치 현재 기능 강화시 인력재배치 관장 관장 관장 학예연구실 학예연구실 학예연구실 연구기획부 지방박물관 연구기획부 지방박물관 연구기획부 지방박물관 지방박물관별 전시담당 3~4명 존재 홍보/마케팅 1명 각 지방박물관별 1명(11명) 지방박물관 전시기획지원 담당 3명(3개 권역) 지방박물관의 전시기획 전문가가 부재 홍보/마케팅 담당의 경우 전시기획보다는 보도자료, 네트웤 관리, 홈페이지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 지방박물관별 전시기획/홍보/마케팅 전담인력 확보를 통한 지역특성화 강화 필요인력 : 11명 지방박물관의 전시기획 역량 강화 및 홍보마케팅 역량 강화 지원 중앙과 지방과의 연계성 강화 필요인력 : 3명

2. 인력재배치를 통한 인력변화 1. 인력재배치 인력재배치를 고려한 업무효율화를 반영한 인원 증가는 114명으로 현원 대비 12.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 국립박물관 인원 증감 내역 27 1,021 100 200 300 400 현재원 업무량 증가 소요 정원 19 907 현원대비 12.5% 증가 1,036 (단위: 명) 500 600 700 800 900 -15 나주박물관 신설 83 기능강화 인력재배치

End of Docu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