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에서 High Mobility Group I 유전자 발현의 임상적 의의에 관한 연구 박준영1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HYPERTHERMIA, 한국의학물리학회에 바란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김 명 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김 명 세.
Advertisements

Gastric adenoma 에 대하여 ESD 시행 후 PDA 로 재발한 1 예 30th September 2009 Gastrointestinal Division of Internal Medicine Presbyterian Medical Center Young Jae Lee.
기후변화와 오존 감소. 목 차 1. 기후의 변화 2. 기후변화의 원인 3. 기후변화의 증거 4. 기후변화의 문제점 5. 지구의 온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6. 오존층 파괴의 영향.
5 조 - 음악학과 이수영 5 조 - 음악학과 이수영 사회복지학과 김원미 사회복지학과 김원미 신민지 신민지 이정원
세포병리 슬라이드 집담회 (KCP-775 서울성모병원 ) 제출자 발표 서울성모병원 병리과 전공의 이영섭.
2005 경영학부 연합 MT 1 화합 : 하나되어 나아가는 2005 경영학부 연합 MT.
오정훈 오현주 유명희 윤다미 이진희 조수진 주하나 차승현.
 졸업식 - 졸업선물 196,000 - 케이크 31,800 - 기타 문구류 15, ,750  랩실 관리비 - 랩실 게시판 30,900 - 충전기, 멀티탭 53,400 - 스템플러.
휴먼게놈프로젝트와 컴퓨터 Human genome project and Computer science
RNA isolation from monolayer cell
여성가족부 폭력예방교육콘텐츠 대학생 성폭력 예방교육 동영상 활용 가이드
2011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청소년폭력예방재단(청예단)
대장암 (Colorectal cancer)
실시간 PCR(real-time PCR)법과
Double & Triple Blocking by DNA Binding Protein
KCP 783 이대목동병원 박희정.
Antineoplastic Effects of Variou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PPAR)-  Agonists against Hepatitis B virus (HBV)-associated Hepatocellular.
Monoclonal Antibodies
순천향대학교병원 소화기병센터, 병리학교실* 김영대, 김완중, 정인섭, 조주영, 이준성, 진소영*, 심찬섭
3조의 qPCR결과로 gel을 내림. 왼쪽부터 Marker, GAPDH, PPAR-r, C/EBP-a, Adiponectin, Them6, Rbpms2, Hist1h2ad 모든 gene PCR product size는 200bp로 우리가 예상했던 대로 나왔음. Hist1h2ad는.
아주대학교 소화기 내과 임선교, 신성재, 이기명, 김진홍
STA-R Evolution EXPERT 을 이용한 Free Protein S 검사
KCP 807 대한세포병리학회 2014 봄 학술대회 슬라이드 세미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전공의 4년차 조의주.
KCP 801 (Pericardial effusion)
Western Blot Analysis using His-Tag Antibody
BP 윤리실천서약서 공급하는 자(이하 “[당사/본인]”)은, 귀사와의 거래(현재 진행 중인 거래 및 장래 귀사와 체결하는 계약에 따라 진행되는 모든 거래를 포함함. 이하 동일함)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비윤리 행위 및 그에 따른 책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서약합니다. ****
2016학년도 신.편입생 충북지역대학 오리엔테이션.
NKM 교육자료.
RNA analysis.
MHC (major histocompatiblity complex)
Sentinel Lymph Node Biopsy in Multifocal or Multicentric Breast Cancer An approach by subareolar injection of blue dye HTG Dae-Kyum Kim, Sang-Uk Woo,
제 9 장 신 생 물 1. 종양이란? 2. 종양의 분류 3. 종양의 명칭 4. 종양발생의 원인 5. 양성종양과 악성종양
제1장 생명체의 특성 및 구성성분.
분자생물학실험 SUBJECT Electrophoresis 결과 확인, Sequence blast
Technical Tips & Cautions
RT-PCR법을 이용한 결핵 검출법 (SLAN장비의 소개)
공업통계학 (과제) 과제 1-9 : 목요일 분반 6월 01일 실습 시간 전까지
분자생물학실험 Introduction.
조직검사학.
Mammalian cell culture Ⅲ (Real-time PCR)
구강악안면 영역의 낭종 및 종양 낭종.
RFMP vs. HPV 년 4월 23일 학술마케팅본부.
.
MICRO-ARRAY 화공생명공학과 이수진.
유전자 발현 분석 (Analysis of Gene Expression )
유방암 환자에서 Breast-Specific Gamma Imaging(BSGI)의 유용성
GPIA 한국 생명공학 특허기술 분석 실증적 연구 분과 특허정보분석연구회(GPIA) Group of Patent
호흡기 질환에서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세포학적 소견 이영경, 강희정, 박민정, 조현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과학교실
가족성암의 유전자 분석 가족성 암의 유전자 분석 국립암센터 연구소 대장암 연구과 김일진, 강효정, 박재현, 박 재 갑.
Chapter 7-2.
Interpretation of brucella serology in 2003 ~ 2005
장애인 가족 7조.
갑상선암 데이타베이스 구축 분자유전체의학 내분비내과 김경원.
Ⅲ-3. 생명의 연속성 5. 유전적 다양성과 현대의 진화
종양(신생물)의 정의 신생물 (종양, tumor, neoplasm) 그리스어로 새로운 성장 (neos + plasm)
Negative PCR control I 2% agarose 10% PAA
신경세포 신호전달 및 분화 과정에서 Phospholipase C의 역할 연구 연구목표 연구책임자 : 서 판 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산업방사선이용평가실 서 보 균
Chapter9 신생물(종양) 임미란.
제 6장. 유전체 지도 작성과 지도 데이터베이스.
세포생물학 및 실험 학기 생명과학과 박태식 교수님 화요일 (1-4 교시) Real time PCR (Q-PCR)
돌연변이 생물교재론 양현주.
2010년 1분기 정리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연구팀 (mtDNA research lab) (금)
조직병리학 문항 이론 35 문항 실기 17 문항 병리학 6 문항 조직학 조직검사학 14 문항 진단세포학 9 문항 2 문항
비만 대사기전 식품영양학과 김 수 연.
허혈성 뇌질환 저항성 동물 모델 및 이의 제조 방법
HERVs 의 LTR은 강력한 프로모터로 작용하지만 특정 유전자에서만 작용을 하고 있으며, 또한 특정 조직이나 cell line에서만 작용하고 있다. 무엇이 이러한 HERV들을 조절하는 것일까?
문제 한번 풀어보세요.
CHAPTER15 암과 그 치료법.
Presentation transcript: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에서 High Mobility Group I 유전자 발현의 임상적 의의에 관한 연구 박준영1 서론 4. HMGI(Y) 단백질 발현과 임상 및 병리학적 소견과의 관계 1)종양의 국소침범정도와 병리적 병기에 따른 HMGI(Y) 단백질 발현과 RT-PCR 원발병소의 병기에 따른 HMGI(Y)단백질은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는 T1: 100%, T2: 94.1%, T3: 90%, T4: 72.7%로 T병기와 연관성이 없었으며, RT-PCR을 이용한 반정량적 분석에서도 T 병기에 따라 각각 2.24±0.49, 2.78±2.57, 3.05±2.56, 3.37±1.68로 연관성이 없었다. 종양의 병리적 병기에서도 HMGI(Y)단백질은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는 1기: 100%, 2기:100%, 3기: 87.5%, 4기: 83.3%로 병리적 병기와 연관성이 없었으며, RT-PCR을 이용한 반정량적 분석 에서도 병리적 병기에 따라 각각 2.59±0.00, 3.38±3.12, 2.83±2.39, 2.93±2.05로 연관성이 없었다. 2) 병리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른 HMGI(Y)단백질 발현과 RT-PCR HMGI(Y)단백질은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고도분화군: 90.92%, 중등도분화군: 80%, 저분화군: 100%로 분화도에 따른 양성률의 차이는 없었나, RT-PCR을이용한 반정량적 분석에서 반 정량적 값이 분화도가 좋을수록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 (p<0.05,Table 2). HMGI(Y)은 포유류 핵에 존재하는 구조단백질군으로 HMGI,HMGY, HMGI-C로 구성되어있으며 배형성 시기의 세포와 종양세포에서 높은 발현을 보이나, 정상세포에서는 낮은 발현 또는 발현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장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등에서 강한 발현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어졌다.  이에 저자들은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과 RT-PCR을 이용하여 HMGI(Y)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고이 결과를 조직학적 국소침윤, 임상적 병기, 경부림프절 전이 여부, 및 조직학적 분화도와 비교하여 HMGI(Y)단백질이 두경부편평상피세포암에 있어 예후 인자로써의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tjf 대상 및 방법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동성심병원에서 원발성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총 40례(M:F=32:8, 34세-86세, 평균연령 59.1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국소 침범정도는 T1(2),T2(17),T3(10),T4(11),병기는 stage I(1),Ⅱ(7),Ⅲ(8). Ⅳ(24),분화도는G1(22), G2 (15),G3(3),그리고 림프절 전이는 20례였다. 포르말린으로 고정 후 파라핀에 포매되어 보존된 종양 조직을 5㎛ 두께로 박절하였다. 통상의 LSAB(DAKO corp.) 면역염색법을 사용했으며 일차 항체로는 HMGI(Y) goat polyclonal antibody를 1:200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반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RT-PCR을 이용하였다. 양성대조군은 colon carcinoma로, 음성대조군은 정상구강점막조직으로 하였다. 통계처리는 윈도우형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0.05를 의의 있는 것 으로 하였다.  Table 2.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HMGI(Y) protein and   pathologic grades    Pathologic grades Number of  positive cases (%)by IHC(n=35)  Semiqauntification  of RT-PCR*(mean±SD)  G1(n=22)  20(90.9%)  3.79 ± 2.39  G2(n=15)  12(80%)  1.93 ± 1.67  G3(n=3)  3(100%)  2.34 ± 1.63  IHC : Immunohistochemistry   G1 : well differentiated, G2 : moderate differentiated, G3 : poorly differentiated  * : p < 0.05    결과 1. HMGI(Y)단백질의 면역조직화학검사   HMGI(Y)단백질의 면역염색은 대부분 핵내에 갈색으로 염색되었다. 두경부암 40례중 35례(87.5%)에서 10%이상의 종양세포 핵에서 발현되었으나 (Fig. 1),양성으로 판명된 두경부 암종의 발현강도는 유사하여 염색의 강도와 비율을 기준으로 정량적으로 나누기는 어려웠다 (Table 1). 대조군 및 종양 주변부 점막은 음성이였고 (Fig. 2)40례 중 5례의암종에서는 편평세포 기저층에 미약하거나 중등도의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HMGI(Y)단백질 양성이었던 두경부 암종보다는 미약한 수준이었다 (p<0.05, Fig. 3).   3) 경부 림프절 전이에 따른 HMGI(Y)단백질 발현과 RT-PCR HMGI(Y)단백질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경부림프절 전이가 있던 군은 85%, 전이가없던 군에서는 9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RT-PCR을 이용한 반정량적 분석에서도 전이가 있던 군이 3.32±2.44, 전이가 없던 군이 2.64±2.04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4) 재발에 따른 HMGI(Y)단백질 발현과 RT-PCR 재발은 총 40명중에서 6명에서 재발을 보였으며 HMGI(Y)단백질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는 재발한 경우: 100%, 재발하지 않은 경우: 85.2%로 재발한 경우 발현이 더 잘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RT-PCR을 이용한 반정량적 분석에서는 재발한 경우: 5.04±3.09, 재발하지 않은 경우: 2.62±1.89로 재발한 경우 반정량적 값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P<0.05,Table 3). Fig.1 Fig.2 Fig.3 Table 3.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HMGI(Y) protein and  recurrence   Recurrence  Number of  positive cases (%)by IHC(n=35)  Semiqauntification  of RT-PCR *(mean±SD)  Yes(n=6)  6 (100%)  5.04 ± 3.09  No (n=34)  29 (85.3%)  2.62 ± 1.89       IHC : Immunohistochemistry  * : p < 0.05  Table 1. HMGI(Y) protein expression of normal mucosa and  cancer tissue  Method Number of  positive cases (%) by IHC* Semiqauntification of RT-PCR*  (mean±SD)  Normal tissue 0/10(0%) 0.47 ± 0.25  Carcinoma 35/40(87.5%) 2.98 ± 2.24  IHC : Immunohistochemistry          * : p<0.05  결론 두경부 편평세포암에서 HMGI(Y) 유전자의 발현은 정상 점막조직에 비하여 현격한 HMGI(Y) 발현 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면역조직화학 검사뿐 아니라 역전사 중합효소연쇄 반응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면역조직학적염색에서 HMGI(Y)의 발현은 암의 병리학적 분화도와 예후를반영하는 인자 즉 원발부위 병기, 병리적 병기, 림프절 전이나 종양의 재발여부 상관관계가 없었다. RT-PCR을 이용한 HMGI(Y) mRNNA의 반정량적 분석은 종양의 원발부위 병기, 병리적 병기나 림프절 전이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종양의 분화도가 고분화도일수록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재발한 경우에 도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정상 점막과 종양주변의 정상 두경부 편평상피 조직은 대부 분 음성이거나 미약한 염색을 보여 암종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세포의 분화도 에 따라서는 분화가 발달된 군에서 더욱 강한 발현을 보였고 치료후의 재발한 군에서 역시 발현율이 높 아 통상적인 분화가 나쁜 세포에서 예후가 불량하다는 개념과는 상이한 결과를 보여 이에 대한 보다 구 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결론적으로 HMGI(Y)유전자는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발생 및 진행에 있어서 어떤 형식으로든 관여함을 의미 한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표식자로서 활용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악성도를 나타내는 예후인자로서의 가치에 대해서는 향 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1. Bandiera A, Bonifacio D, Manfiloletti G, Mantovani F, Rustighi A, Zanconati F, Fusco A, Di Bontio L & Giancotti V, Expression of HMGI(Y) proteins in squamous intraepithlial and invasive lesions of the uterine cervix, Cancer Res, 5 : 426-431, 1998 2. Chiappeta G, Bandiera A, Berlingieri MT, Visconti R, Manifioletti F, Battista A, Martinez-Tello FJ, Santoro M, Giancotti V & Fusco A, The expression of the high mobility group HMGI(Y) proteins correlates with the malignant phenotype of human thyroid neoplasias, Oncogene, 10 : 1307-1314, 1995 3. Chiappeta G, Tallini MC, De Biasio G, Manfioletti F, Martinez-Tello FJ & Pentimalli F, Detection of high mobility group HMGI(Y) proteins in the diagnosis thyroid tumors : HMGI(Y) expression represents a potenial diagnostic indicator of carcinoma, Cancer Res, 58 : 4193-4198, 1998 4. Fedele M, Bandiera A, Chiappetta G, Battista S, Viglietto G, Manfioletti G, Casamassimi A, Santoro M, Giancotti V & Fuso A, Human colorectal carcinomas express high levels of high mobility group HMGI(Y) proteins, Camcer Res, 56 : 1986-1901, 1996 2. 정상 점막과 암세포에서의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의한 HMGI(Y)단백질의 발현   HMGI(Y)단백질 RT-PCR의 반정량은 β-actin과의 상대적 band의 강도로 구하였는데 두경부 암종에서 평균은 2.98±2.24이었고, 정상조직에서의 평균은 0.47±0.25로 두경부 암종과 정상조직사이에 현격한 HMGI(Y)단백질 발현의 차이를 보여 주었다 (p<0.001)(Table1). HMGI(Y)단백질 양성인 검체 에서 RT-PCR로 확인된 신호강도는 164 염기의 크기였으며, 양성으로 나온 두경부암종 조직중 무작위로 추출한 5예의 DNA 서열검사에서 HMGI(Y) cDNA (gene bank accession no., M90100)의 염기서열과 동일하였다(Fig. 4).   Fig.4 HMGI(Y) expression in normal mucosa(N1-3),positive control (C)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head and neck (T1-10) by RT-PCR. 164bp : HMGI(Y)  154bp : β-actin    3. HMGI(Y)단백질의 면역조직화학검사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의한 발현과의 관계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 HMGI(Y)단백질 발현이 음성인 5례에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의한반정량적 값의 평균은 2.52±1.52였고, 양성인 35례에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의한 반정량적 값의 평균은 3.05±2.34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